KR100973306B1 -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 - Google Patents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306B1
KR100973306B1 KR1020100022002A KR20100022002A KR100973306B1 KR 100973306 B1 KR100973306 B1 KR 100973306B1 KR 1020100022002 A KR1020100022002 A KR 1020100022002A KR 20100022002 A KR20100022002 A KR 20100022002A KR 100973306 B1 KR100973306 B1 KR 10097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ap
blocking
coupling groove
inser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10002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2Attaching the blades or the like to handles;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된 삽판 및 이에 연결되는 자루의 결합에서 삽판과 자루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공간부에 흙과 모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막음캡을 끼움 결합한 모종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흙을 파내거나 담아 올리는 것이며, 철판 소재를 절단 및 누름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자루연결부(111)가 돌출 형성된 삽판(110)과; 상기 삽판(110)의 일측에서 끼움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 단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결합홈(121)이 형성된 자루(120)와; 상기 자루연결부(111)가 결합홈(121)에 삽입된 후 연결부위에 형성된 공간부(30)를 차단하는 기능의 막음캡(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막음캡(130)은 공간부(30)를 차단하는 덮개(131)와; 상기 덮개(131)가 일정 위치에 자리 잡은 후 결합홈(121) 내측으로 더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걸림편(132)과; 상기 결합홈(121) 내측에 수용 결합되어 결속 상태를 형성하는 몸체부(133)와; 상기 몸체부(133)로부터 돌출된 비틀림방지돌기(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 {Trowel having cap}
본 발명은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된 삽판 및 이에 연결되는 자루의 결합에서 삽판과 자루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공간부를 캡을 이용하여 차단함으로 흙이 공간부에 충진되는 현상을 방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종삽은 농경지의 이랑에 모종을 심기 위해 소정 깊이의 모종홈을 파내거나 흙을 옮기는데 사용하는 원예 도구로서, 가정에서 취미로 화초를 키울 경우에도 화초를 화분이나 다른 장소로 옮겨심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원예 도구이다.
도 1은 종래의 모종삽에 대해 도시한 전체 사시도로서, 모종삽의 하부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통상의 모종삽(1)은 삽판(10)과 자루(20)가 결합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먼저 철판 소재를 이용하여 프레스 작업을 통해 삽판(10) 형상을 제작한 후 손잡이에 해당하는 원통 형상의 자루(20)를 상호 결합하여 제품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삽판(10)의 일측에는 자루(20)와의 결합을 위한 자루연결부(11)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자루연결부(11)는 일 방향으로 돌출된 금속부위를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시키고 자루(20)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삽입홈에 끼움 결합하여 모종삽(1)이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과정에서 생산성을 위해 철판 소재를 프레스 작업하여 삽판(10)을 형성하다 보니 둥글게 절곡된 자루연결부(11)의 내측에는 공간부(30)가 형성되었고, 이를 자루(20)의 삽입홈 측에 끼움 결합한 후에도 여전히 삽판(10)과 자루(20)의 연결 부위에는 공간부(30)가 남아있었다. 즉, 이와 같은 공간부(30)에는 모종삽(1)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흙과 모래 등이 유입되어 내부 공간에 충진될 수 있었으며 이는 모종삽(1)을 무겁게함으로 작업자는 손목에 빨리 피로를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종삽(1)의 삽판(10)과 자루(20)의 연결부위에 충진된 흙은 삽판(10)과 자루(20)의 결속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도 있었으며, 상기와 같은 이유로 삽판(10)과 자루(20)의 연결부위에 충진된 흙을 수시로 빼내어 주면서 작업을 하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고, 그와 함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삽판과 자루의 연결부위로부터 형성된 공간부에 흙과 모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막음캡을 더 형성하여 끼움 결합한 기능성 모종삽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흙을 파내거나 담아 올리는 것이며, 철판 소재를 절단 및 누름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자루연결부가 돌출 형성된 삽판과; 상기 삽판의 일측에서 끼움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 단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결합홈이 형성된 자루와; 상기 자루연결부가 결합홈에 삽입된 후 연결부위에 형성된 공간부를 차단하는 기능의 막음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막음캡은 공간부를 차단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일정 위치에 자리 잡은 후 결합홈 내측으로 더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걸림편과; 상기 결합홈 내측에 수용 결합되어 결속 상태를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막음캡은 모종삽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루의 결합홈 내측 벽면에는 한 쌍의 걸림편이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막음캡에서 결합홈 내측에 수용되는 결합되는 부위에는 비틀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걸림편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비틀림방지돌기가 끼움 결합되어 삽판 및 막음캡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막음캡의 전방측 단부에는 밀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삽판에는 밀림방지돌기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막음캡이 자루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 구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루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측 부위에 해당하는 삽판의 어깨부는 둥글게 내려가거나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다수의 요철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에 의하면, 철판을 절곡하여 삽판을 형성함에 따라 자루연결부에 형성된 내측 공간부를 막음캡을 이용하여 차단함으로 삽판과 자루의 연결 공간에 흙이 충진되는 문제를 해소하였고, 그에 따른 작업 능률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삽판은 종래의 방식과 같이 철판 소재를 이용하여 프레스 작업으로부터 형성함으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막음캡은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기존의 모종삽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종삽에 대해 도시한 전체 조립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에 대한 상부면측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에 대한 하부면측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삽판과 막음캡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에 대한 조립 사시도로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삽의 하부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종삽(100)은, 흙을 파내거나 담아올리는 기능으로 철판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된 삽판(110)과, 손잡이 역할을 하며 상기 삽판(110)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 자루(120)와, 상기 삽판(110)과 자루(120)의 연결부위로부터 형성된 공간부(30)를 차단하는 기능의 막음캡(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삽판(110)은 철판 소재를 프레스 작업을 통해 절단 및 절곡시켜 그 형상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어느 일 면을 향해 만곡되어 흙을 담아올리기 쉬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일측 단부에는 자루(120)와의 결합을 위해 돌출된 자루연결부(111)를 형성한다.
상기 자루연결부(111)는 어느 일 방향으로 돌출되나 양측 선단이 프레스 과정을 통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는 자루(120)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121)에 안정된 결합 및 지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삽판(110)은 흙을 담아올리는 부분이 상부면이라 하면, 자루연결부(111)는 하부측을 향해 둥글게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양단이 하부측으로 절곡된 내측에는 공간부(3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자루(120)는 모종삽(100)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합성수지 또는 목재 등으로 형성되며, 자루(120)의 일 단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공간부인 결합홈(121)이 형성되어 상기의 자루연결부(11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자루(120)에서 결합홈(121)의 내측 벽면에는 한 쌍의 걸림편(122)이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것으로, 걸림편(122)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는 후술되는 막음캡(130)의 비틀림방지돌기(134)가 끼움 결합됨으로 삽판(110) 및 막음캡(130)이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였으며, 이를 통해 모종삽(100)의 견고하고 안정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막음캡(130)은 삽판(110)과 자루(120)가 결합되는 연결부위에서 자루연결부(111)의 절곡에 따라 형성된 내측 공간부(30)를 차단하기 위해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 막음캡(130)의 구성은 상기 공간부(30)를 차단하는 덮개(131)와, 덮개(131)가 일정 위치에 자리 잡은 후 결합홈(121) 내측으로 더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걸림편(132)과, 결합홈(121) 내측에 수용 결합되어 결속 상태를 형성하는 몸체부(133)와, 상기 몸체부(133)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걸림편(122)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끼움 결합됨으로 삽판(110) 및 막음캡(130)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는 비틀림방지돌기(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막음캡(130)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것으로, 삽판(110)과 자루(120)의 연결부위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프레스 작업으로 삽판(110) 및 자루연결부(111)가 형성된 기존의 모종삽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그 형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에 대한 사시도로서, 도 4는 모종삽의 상부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모종삽의 하부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종삽(100)의 전체적인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되, 삽판(110)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자루연결부(111)를 중심으로 양측 부위에 해당하는 삽판(110)의 어깨부(112)는 일 방향으로 솟아오른 형상이 아닌 둥글거나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최근 농경지에서는 이랑 등에 비닐을 포장한 후 모종을 심는 방식이 이루어지나 삽판(110)에서 돌출된 형상의 어깨부(112)는 모종을 심는 작업 중 비닐포장에 걸려 비닐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판(110)에서는 어깨부(112)가 돌출되지 않은 형상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삽판(1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다수의 요철부(113)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는 원예작업 중 흙이 삽판(110)의 표면상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흙이 달라붙지 않고 쉽게 탈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요철부(113)를 프레스 작업을 통해 돌출 형성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삽판과 막음캡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종삽(100)의 전체적인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되, 상기와 같이 막음캡(130)의 전방측 단부에는 밀림방지돌기(135)가 더 돌출 형성되고, 삽판(110)에는 밀림방지돌기체결공(114)이 관통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막음캡(130)이 자루(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0 : 모종삽 110 : 삽판
111 : 자루연결부 112 : 어깨부
113 : 요철부 114 : 밀림방지돌기체결공
120 : 자루 121 : 결합홈
122 : 걸림편 130 : 막음캡
131 : 덮개 132 : 걸림편
133 : 몸체부 134 : 비틀림방지돌기
135 : 밀림방지돌기 30 : 공간부

Claims (7)

  1. 삭제
  2. 흙을 파내거나 담아 올리는 것이며, 철판 소재를 절단 및 누름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자루연결부(111)가 돌출 형성된 삽판(110)과; 상기 삽판(110)의 일측에서 끼움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 단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결합홈(121)이 형성된 자루(120)와; 상기 자루연결부(111)가 결합홈(121)에 삽입된 후 연결부위에 형성된 공간부(30)를 차단하는 기능의 막음캡(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막음캡(130)은 공간부(30)를 차단하는 덮개(131)와; 상기 덮개(131)가 일정 위치에 자리 잡은 후 결합홈(121) 내측으로 더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걸림편(132)과; 상기 결합홈(121) 내측에 수용 결합되어 결속 상태를 형성하는 몸체부(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
  3. 삭제
  4. 흙을 파내거나 담아 올리는 것이며, 철판 소재를 절단 및 누름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자루연결부(111)가 돌출 형성된 삽판(110)과; 상기 삽판(110)의 일측에서 끼움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 단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결합홈(121)이 형성된 자루(120)와; 상기 자루연결부(111)가 결합홈(121)에 삽입된 후 연결부위에 형성된 공간부(30)를 차단하는 기능의 막음캡(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자루(120)의 결합홈(121) 내측 벽면에는 한 쌍의 걸림편(122)이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막음캡(130)에서 결합홈(121) 내측에 수용되는 결합되는 부위에는 비틀림방지돌기(134)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걸림편(122)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비틀림방지돌기(134)가 끼움 결합되어 삽판(110) 및 막음캡(130)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
  5. 흙을 파내거나 담아 올리는 것이며, 철판 소재를 절단 및 누름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자루연결부(111)가 돌출 형성된 삽판(110)과; 상기 삽판(110)의 일측에서 끼움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 단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결합홈(121)이 형성된 자루(120)와; 상기 자루연결부(111)가 결합홈(121)에 삽입된 후 연결부위에 형성된 공간부(30)를 차단하는 기능의 막음캡(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막음캡(130)의 전방측 단부에는 밀림방지돌기(135)가 돌출 형성되고, 삽판(110)에는 밀림방지돌기체결공(114)이 관통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막음캡(130)이 자루(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 구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

  6. 삭제
  7. 삭제
KR1020100022002A 2010-03-11 2010-03-11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 KR10097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002A KR100973306B1 (ko) 2010-03-11 2010-03-11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002A KR100973306B1 (ko) 2010-03-11 2010-03-11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306B1 true KR100973306B1 (ko) 2010-07-30

Family

ID=4264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002A KR100973306B1 (ko) 2010-03-11 2010-03-11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3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7376A (zh) * 2015-10-11 2017-04-19 虞毅 一种铺设沙袋沙障的灌沙工具
CN110089210A (zh) * 2019-04-24 2019-08-06 昆明理工大学 一种具有仿生几何结构的筑垱机铲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6101U (ko) * 1978-05-15 1979-11-21
KR200289013Y1 (ko) * 2002-06-05 2002-09-11 박준석 개량 모종삽
KR20020089013A (ko) * 2001-05-22 2002-11-29 이무호 마블형상의 무늬를 가지는 합성수지 제품의 제조방법 및그 합성수지 제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6101U (ko) * 1978-05-15 1979-11-21
KR20020089013A (ko) * 2001-05-22 2002-11-29 이무호 마블형상의 무늬를 가지는 합성수지 제품의 제조방법 및그 합성수지 제품
KR200289013Y1 (ko) * 2002-06-05 2002-09-11 박준석 개량 모종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7376A (zh) * 2015-10-11 2017-04-19 虞毅 一种铺设沙袋沙障的灌沙工具
CN110089210A (zh) * 2019-04-24 2019-08-06 昆明理工大学 一种具有仿生几何结构的筑垱机铲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306B1 (ko)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
KR101558867B1 (ko) 토낭 연결 및 보강 부재
US20160324060A1 (en) Hand tool
JP2009291099A5 (ko)
KR20090011914U (ko) 모종삽
KR200482968Y1 (ko) 보강토 블록
CN207948022U (zh) 一种铲柄
US2947370A (en) Garden tool
CN205864966U (zh) 一种园林用便利除草锄头
CN201910996U (zh) 园艺铲
CN216873743U (zh) 一种具有松土功能的手持式施肥装置
KR101317821B1 (ko) 스탠딩 조립식 삽
CN209243758U (zh) 一种防冲击的挡土墙及基建体
CN212876553U (zh) 一种生态环境建设用绿植栽培装置
CN208143728U (zh) 防磨脚的农用铲子
KR200453388Y1 (ko) 도끼 겸용 삽
KR20200145171A (ko) 돌기날부의 양측에 칼날부가 구비된 농기구
KR102321034B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KR20150140189A (ko) 흙을 담을 수 있는 모종삽
CN204578977U (zh) 防粘土草坪铲锹
KR200487065Y1 (ko) 모종삽
CN214861120U (zh) 一种组合有多种首饰和配件的挖矿游戏盲盒结构
CN218353034U (zh) 挖土工具
KR200481955Y1 (ko) 쇠스랑
CN203430002U (zh) 一种铲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