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968Y1 - 보강토 블록 - Google Patents

보강토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968Y1
KR200482968Y1 KR2020160006985U KR20160006985U KR200482968Y1 KR 200482968 Y1 KR200482968 Y1 KR 200482968Y1 KR 2020160006985 U KR2020160006985 U KR 2020160006985U KR 20160006985 U KR20160006985 U KR 20160006985U KR 200482968 Y1 KR200482968 Y1 KR 200482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block
block body
reinforcing soil
reinforc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김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일 filed Critical 김광일
Priority to KR2020160006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강토 블록 몸체의 후방 양측에 손잡이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보강토 블록의 이송 및 취급이 용이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후방 양측 손잡이돌기를 절단홈을 따라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보강토 블록의 곡선부분 시공이 용이하고, 종래의 보강토 블록에 비해 곡선 각도를 크게 시공할 수 있는 보강토 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강토 블록{REINFORCED EARTH BLOCK}
본 고안은 보강토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토 블록 몸체의 후방 양측에 손잡이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보강토 블록의 이송 및 취급이 용이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후방 양측 손잡이돌기를 절단홈을 따라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보강토 블록의 곡선부분 시공이 용이하고, 종래의 보강토 블록에 비해 곡선 각도를 크게 시공할 수 있는 보강토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콘크리트, 석조, 벽돌 및 석재나 콘크리트로 된 블록 등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 및 방법으로 축조된다. 즉 복수 개의 블록이 좌우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에 다수의 블록이 적층되는 형태로 축조되어 옹벽을 구축하게 되는데, 직선 또는 오목 및 블록한 곡선을 이루는 등 조경적인 활용을 고려하여 여러 축조방법으로 옹벽을 축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에 의해 축조된 옹벽은 모두 외관이 미려하지 않고, 블록의 제작이 복잡하며, 곡선 및 여러 형태의 축조공사에 자유롭게 사용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인접한 보강토 블록을 연결할 때 종래의 핀을 이용한 보강토 블록 연결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핀 제작에 따른 블록의 생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시공시 핀을 연결하는 작업공정이 추가되어 시공 능률이 떨어지고 작업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강토 블록은 상부에 다수의 돌기가 상향으로 돌출되어 적층된 보강토 블록의 상부에서 작업자가 작업시 돌출된 돌기에 걸려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보강토 블록을 곡선으로 시공할 때 보강토 블록의 후방 양측단이 서로 밀착되어 일정한 각도 이상의 곡선으로는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2968호(2011. 04. 27.)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2085호(2006. 11. 22)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강토 블록 몸체의 후방 양측에 손잡이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보강토 블록의 이송 및 취급이 용이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보강토 블록의 방향 전환이 용이한 보강토 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보강토 블록의 후방 양측 손잡이 돌기를 절단홈을 따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고, 양측 손잡이를 제거함으로써 보강토 블록의 곡선부분 시공이 용이하고, 종래의 보강토 블록에 비해 곡선 각도를 크게 시공할 수 있는 보강토 블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방 양측단 하단부에 하향으로 전방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적층시 하부에 위치된 보강토 블록에 전방걸림돌기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다수의 보강토 블록을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적층할 수 있는 보강토 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보강토 블록 상부면에 돌기가 없고, 평평한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보강토 블록의 상부에서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과정에서 자갈 등을 채울 때 걸림이 없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토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개의 블록을 상하 좌우로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보강토 블록에 있어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 1, 2관통공(110, 120)이 구비되고, 전면 중앙은 요철 형상의 장식 절단면(130)이 구비되며, 상기 장식 절단면(130)의 양측에 파형의 곡면을 이루는 다수의 장식 곡면 돌기(140)가 구비된 보강토 블록 몸체(100)와;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후방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 돌기(200)와;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제 1, 2관통공(110, 120)) 하단부 양측에 상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된 배수홈(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제 1관통공(110) 하단부 양측에 하향으로 돌출되고, 테두리는 중앙으로 경사지게 걸림돌기 경사면(410)이 구비되며, 하부에 적층되는 보강토 블록에 걸리도록 제 1관통공(110) 내부로 삽입되는 전방 걸림돌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상부면은 평평한 상부 수평면(150)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후방 중앙 하단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고, 테두리는 중앙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후방 걸림돌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돌기(200)는 양측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보강토 블록 몸체(100) 중심으로 좁아지도록 손바닥 밀착 경사면(210)이 구비되고, 양측 전면은 전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전방 경사면(220)이 구비되며, 상기 손바닥 밀착 경사면(210)과 전방 경사면(220) 사이 모서리는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원호형 형상으로 구비된 손가락 밀착 곡면(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후방 하단부 양측 손잡이 돌기(200) 사이에 상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된 손잡이 돌기 절단홈(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강토 블록 몸체의 후방 양측에 손잡이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보강토 블록의 이송 및 취급이 용이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보강토 블록의 방향 전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보강토 블록의 후방 양측 손잡이 돌기를 절단홈을 따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고, 양측 손잡이를 제거함으로써 보강토 블록의 곡선부분 시공이 용이하고, 종래의 보강토 블록에 비해 곡선 각도를 크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방 양측단 하단부에 하향으로 전방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적층시 하부에 위치된 보강토 블록에 전방걸림돌기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다수의 보강토 블록을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적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보강토 블록 상부면에 돌기가 없고, 평평한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보강토 블록의 상부에서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블록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블록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블록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블록이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블록의 손잡이 돌기가 절단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블록이 곡선으로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내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개의 블록을 상하 좌우로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블록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전방과 후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각각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 1, 2관통공(110, 12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제 1, 2관통공(110, 120)에는 옹벽 축조시에 배수가 원활하고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자갈이나 식생토가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전면 중앙은 요철 형상의 장식 절단면(130)이 구비되며, 상기 장식 절단면(130)의 양측에 파형의 곡면을 이루는 다수의 장식 곡면 돌기(14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장식 절단면(130)과 장식 곡면 돌기(140)는 옹벽 축조시에 외부에 보임으로써 옹벽의 입체감과 곡선미 가미된 자연스러운 미관을 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제 1, 2관통공(110, 120)) 하단부 양측에는 상향으로 오목하게 각각 배수홈(30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배수홈(300)은 다수 개가 축조된 보강토 블록이 적층되어 축조된 상태에서 우천시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제 1, 2관통공(110, 120)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보강토 블록 몸체(100) 외부로 배수하여 원활하게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상부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상부 수평면(150)이 구비되어 보강토 블록 몸체 상부면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없어 작업자가 보강토 블록 몸체의 상부에서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후방 양측에는 외측으로 손잡이 돌기(200)가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 돌기(200)는 양측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보강토 블록 몸체(100) 중심으로 좁아지도록 손바닥 밀착 경사면(210)이 구비되고, 양측 전면은 전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전방 경사면(220)이 구비되며, 상기 손바닥 밀착 경사면(210)과 전방 경사면(220) 사이 모서리는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상으로 손가락 밀착 곡면(23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손잡이 돌기(20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 블록 몸체(100)를 이송시킬 때 양측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보강토 블록 몸체(100) 중심으로 좁아지도록 구비된 손바닥 밀착 경사면(210)에 작업자의 손바닥이 밀착되고, 손잡이 돌기(200)의 양측 전면은 전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전방 경사면(220)이 구비되어 작업자의 손가락 끝마디가 밀착되며, 상기 손바닥 밀착 경사면(210)과 전방 경사면(220) 사이 모서리에는 원호형으로 형상으로 구비된 손가락 밀착 곡면(230)에 작업자의 손가락 안쪽이 밀착되어 파지가 용이하고, 작업자의 보강토 블록 몸체(100)을 놓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손잡이 돌기(200)는 중장비를 이용하여 이송시킬 경우 로프를 보강토 블록 몸체(100)에 걸기 위한 걸림돌기 기능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제 1관통공(110) 하단부 양측에는 하향으로 돌출되고, 테두리는 중앙으로 경사지게 걸림돌기 경사면(410)이 구비되며, 하부에 적층되는 보강토 블록에 걸리도록 제 1관통공(110) 내부로 삽입되는 전방 걸림돌기(40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전방 걸림돌기(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강토 블록 몸체(100)를 상부에 적층시 하부 양측에 위치한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제 1관통공(110)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다수의 보강토 블록 몸체(100)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적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10)의 후방 중앙 하단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고, 테두리는 중앙으로 경사지게 후방 걸림돌기(500)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 걸림돌기(500)는 손잡이 돌기(200)와 함께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무게중심이 전방과 후방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곡선으로 다수의 보강토 블록 몸체(100)를 축조시 과도하게 보강토 블록 몸체(1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후방 하단부 양측 손잡이 돌기(200) 사이에 상향으로 오목하게 손잡이 돌기 절단홈(600)이 구비되는 데, 상기 손잡이 돌기 절단홈(600)에는 절단 공구(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손잡이 돌기 절단홈(600)을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손잡이 돌기(200)를 절단하여 보강토 블록 몸체(1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강토 블록 몸체(100)로부터 손잡이 돌기(200)를 분리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곡선부분 시공이 용이하고, 종래의 보강토 블록에 비해 곡선 각도를 크게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블록 몸체(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보강토 블록 몸체(100)가 일체가 되도록 제조하여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실시예에 불과하고,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고,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보강토 블록 몸체
110 : 제 1관통공 120 : 제 2관통공
130 : 장식 절단면 140 : 장식 곡면돌기
150 : 상부 수평면
200 : 손잡이 돌기
210 : 손바닥 밀착 경사면 220 : 전방 경사면
230 : 손가락 밀착 곡면
300 : 배수홈
400 : 전방 걸림돌기 410 : 걸림돌기 경사면
500 : 후방 걸림돌기
600 : 손잡이 돌기 절단홈

Claims (6)

  1. 다수개의 블록을 상하 좌우로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보강토 블록에 있어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관통되어 옹벽 축조시에 배수가 원활하고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자갈이나 식생토가 채워지는 제 1, 2관통공(110, 120)이 구비되고, 전면 중앙은 요철 형상의 장식 절단면(130)이 구비되며, 상기 장식 절단면(130)의 양측에 파형의 곡면을 이루는 다수의 장식 곡면 돌기(140)가 구비되고,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없어 작업자가 상부에서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은 평평한 상부 수평면(150)이 구비된 보강토 블록 몸체(100)와;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를 이송시킬 때 작업자의 보강토 블록 몸체(100)을 놓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후방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 돌기(200)와;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제 1, 2관통공(110, 120) 하단부 양측에 다수 개가 축조된 보강토 블록이 적층되어 축조된 상태에서 우천시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제 1, 2관통공(110, 120)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보강토 블록 몸체(100) 하부로 배출되도록 상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된 배수홈(300);
    상기 다수의 보강토 블록 몸체(100)를 상부에 적층시 하부 양측에 위치한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제 1관통공(110)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다수의 보강토 블록 몸체(100)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적층할 수 있도록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제 1관통공(110) 하단부 양측에 하향으로 돌출되고, 테두리는 중앙으로 경사지게 걸림돌기 경사면(410)이 구비되며, 하부에 적층되는 보강토 블록에 걸리도록 제 1관통공(110) 내부로 삽입되는 전방 걸림돌기(400);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무게중심이 전방과 후방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곡선으로 다수의 보강토 블록 몸체(100)를 축조시 과도하게 보강토 블록 몸체(1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후방 중앙 하단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고, 테두리는 중앙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후방 걸림돌기(500);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로부터 손잡이 돌기(200)를 분리시켜 수평으로 시공되는 보강토 블록 몸체(100)와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곡선 각도를 크게 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토 블록 몸체(100)의 후방 하단부 양측 손잡이 돌기(200) 사이에 상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된 손잡이 돌기 절단홈(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돌기(200)는 작업자의 손바닥이 밀착되도록 양측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보강토 블록 몸체(100) 중심으로 좁아지도록 손바닥 밀착 경사면(210)이 구비되고, 작업자의 손가락 끝마디가 밀착되도록 양측 전면은 전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전방 경사면(220)이 구비되며, 상기 손바닥 밀착 경사면(210)과 전방 경사면(220) 사이 모서리는 작업자의 손가락 안쪽이 밀착되도록 원호형 형상으로 구비된 손가락 밀착 곡면(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6. 삭제
KR2020160006985U 2016-12-01 2016-12-01 보강토 블록 KR200482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85U KR200482968Y1 (ko) 2016-12-01 2016-12-01 보강토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85U KR200482968Y1 (ko) 2016-12-01 2016-12-01 보강토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68Y1 true KR200482968Y1 (ko) 2017-04-05

Family

ID=5860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985U KR200482968Y1 (ko) 2016-12-01 2016-12-01 보강토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76B1 (ko) 2020-12-18 2021-11-17 김재봉 배수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KR102665788B1 (ko) * 2023-12-01 2024-05-10 구춘원 환경친화형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266Y1 (ko) * 2004-02-11 2004-06-10 강용구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
KR200432085Y1 (ko) 2006-09-05 2006-11-30 이상태 블럭식 보강토 옹벽구조
KR200432148Y1 (ko) * 2006-09-20 2006-12-01 최슬기 옹벽용 블럭
KR20070004417A (ko) * 2005-07-04 2007-01-09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20100111647A (ko) * 2010-09-20 2010-10-15 삼성콘크리트 주식회사 보강토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266Y1 (ko) * 2004-02-11 2004-06-10 강용구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
KR20070004417A (ko) * 2005-07-04 2007-01-09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432085Y1 (ko) 2006-09-05 2006-11-30 이상태 블럭식 보강토 옹벽구조
KR200432148Y1 (ko) * 2006-09-20 2006-12-01 최슬기 옹벽용 블럭
KR20100111647A (ko) * 2010-09-20 2010-10-15 삼성콘크리트 주식회사 보강토블록
KR101032968B1 (ko) 2010-09-20 2011-05-09 김경령 보강토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76B1 (ko) 2020-12-18 2021-11-17 김재봉 배수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KR102665788B1 (ko) * 2023-12-01 2024-05-10 구춘원 환경친화형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4036B2 (en) Retaining wall block
KR200482968Y1 (ko) 보강토 블록
KR101116393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럭
KR101187736B1 (ko)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0970303B1 (ko) 옹벽블럭
KR20170083251A (ko)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98148B1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200470870Y1 (ko) 옹벽블록의 상단 마감용 마감블록
KR20090012897U (ko) 복합형 옹벽 블록
KR101324125B1 (ko) 경사면을 갖는 옹벽축조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443333Y1 (ko) 플라스틱 삽의 삽날 보강부재의 개선구조
CN110965564A (zh) 一种抗冲刷生态护坡砖、护坡、铺设方法
KR200461591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101700679B1 (ko) 미장용 흙판
KR100973306B1 (ko) 막음캡이 부가된 기능성 모종삽
KR102505314B1 (ko) 가변형 옹벽 구조물
WO2004038105A1 (ja) 誘導路形成用ブロック、誘導路を備えた壁体構築用パネル材及び型枠
US20180266060A1 (en) Hand Float for Spreading Concrete
US760841A (en) Artificial-stone sewer-cap.
JP3930016B2 (ja)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US1690944A (en) Lawn-trimming tool
CN209243758U (zh) 一种防冲击的挡土墙及基建体
KR200496568Y1 (ko) 횡방향 물결 쌓기가 가능한 옹벽블록
KR200394209Y1 (ko) 걸이형 보강토 옹벽용 블록
TWM502063U (zh) 金屬鋼瓦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