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955Y1 - 쇠스랑 - Google Patents

쇠스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955Y1
KR200481955Y1 KR2020140004229U KR20140004229U KR200481955Y1 KR 200481955 Y1 KR200481955 Y1 KR 200481955Y1 KR 2020140004229 U KR2020140004229 U KR 2020140004229U KR 20140004229 U KR20140004229 U KR 20140004229U KR 200481955 Y1 KR200481955 Y1 KR 200481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round
blades
wedg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453U (ko
Inventor
이천희
Original Assignee
이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희 filed Critical 이천희
Priority to KR2020140004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95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4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9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16Tools for uprooting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2Attaching the blades or the like to handles;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련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이면서 원가절감을 통하여 경쟁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은 물론 경량화로 취급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중앙에 자루가 연결되는 자루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루연결부와 직각을 이루게 형성하는 쇠스랑바디와, 상기 쇠스랑바디에 등 간격을 유지시켜 자루연결부와는 반대방향으로 고정하는 다수 개의 쇠스랑날과, 상기 쇠스랑날에 일체로 형성하여 쇠스랑날이 지면을 파고들어 땅을 파헤칠 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엠보싱과, 상기 쇠스랑바디와 연결되는 부위의 쇠스랑날에 고정하여 쇠스랑날이 인접한 위치의 쇠스랑날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림과, 상기 쇠스랑날과 쇠스랑날 사이의 솨스랑바디에 결합하여 쇠스랑날이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회전하여 흙을 파헤치면서 부술 수 있도록 지레역할을 수행하는 버팀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쇠스랑{A SCRAPER}
본 고안은 쇠스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논이나 밭의 흙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동시에 흙을 잘게 부수고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을 병행하도록 함으로서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 쇠스랑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한 쇠스랑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쇠스랑은 주로 농가에서 수작업용으로 사용되는 농기구의 한 종류로서 작업자가 어깨와 팔을 이용하여 스윙하듯이 상방으로 들어올린 후 지면에 박은 후 젖히면서 흙을 파헤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쇠스랑은 넓은 지역의 작업지를 일구는 것보다는 소규모의 작업지 또는 경운기나 관리기와 같은 농기계가 접근할 수 없는 협소한 지역 및 작은 텃밭을 일구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쇠스랑은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와 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 예를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의 a 타입의 쇠스랑(1)은, X축 방향으로 연결공(2)을 형성한 연결관(3)을 가지고, 상기 연결관(3)의 선단에서 X축 중심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인 Y축 방향이면서 양측으로 쇠스랑바디(4)를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쇠스랑바디(4)에는 Y축에 대한 직각 방향인 Z축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쇠스랑날(5)을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3)의 연결공(2)에는 긴 길이의 자루(6)를 결합하여 스크류 또는 못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 7의 b타입의 쇠스랑(50)은, 지면에 박혀지는 포크부(51)와; 상기 포크부(51)와 결합 되어 포크부(5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버팀 역할을 수행하는 버팀부(52)로 구성하고, 지면에 박힌 포크부(51)가 버팀부(52)를 힘점으로 회전하여 흙을 파헤치면서 작은 크기로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실용신안출원 제 20 - 1985 - 0003306 호 실용신안출원 제 20 - 1986 - 0021236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037317 - 0000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50055 - 0000 호 실용신안출원 제 20 -2013 - 0010174 호
전자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사용은, 이용자가 자루의 후미를 양 손으로 잡고 어깨와 팔을 이용하여 머리보다 높은 위치로 스윙하듯이 들어올린 후 다시 지면으로 내려치는 듯한 동작을 통하여 자루의 선단에 결합 된 쇠스랑바디의 쇠스랑날이 지면에 박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루를 잡고 이용자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젖혀주거나 또는 이용자 방향으로 자루를 잡고 당기게 되면 지면에 박힌 쇠스랑날이 흙을 파헤치게 되므로 작업지의 굳어진 흙을 부드럽게 하여 작물을 심거나 파종할 수 있는 부드러운 형태를 만들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쇠스랑을 이용하여 지면을 부드럽게 만드는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1차로 지면의 흙을 파헤친 상태를 유지하는 데, 1차로 파헤친 흙은 잘게 부서지지 않고 덩어리진 상태에 있게 되므로 흙을 파헤치는 과정 또는 흙을 완전하게 파헤친 후 다시 흙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쇠스랑을 이용하여 지면의 흙을 파헤치는 작업과 파헤쳐진 흙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작업을 이중으로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 명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작업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인력에 의하여 지면을 파헤치거나 파헤쳐진 흙덩어리를 작은 크기로 분쇄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어깨와 팔 및 손을 많이 움직여야 하는 관계로 신체적인 피로가 가중되고 관절이나 근육계통의 이상이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후자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은, 포크부와 버팀부에 의하여 흙을 파헤치고 부수고 정리하는 과정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이 어렵고 그에 따르는 생산원가가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많은 부품수로 구성되고 특히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구성하기 때문에 무거워 누구나가 쉽게 취급하는 것이 어려우며, 특히 주말농장과 같이 여성과 어린이와 같은 노약자가 들고 이동시키거나 이를 이용하여 땅을 파헤치는 작업을 쉽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포크가 지면 깊이 박힌 상태에서 지레 원리에 의하여 젖혀지는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부러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 충분한 강성과 내구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중앙에 자루가 연결되는 자루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루연결부와 직각을 이루게 형성하는 쇠스랑바디와, 상기 쇠스랑바디에 등 간격을 유지시켜 자루연결부와는 반대방향으로 고정하는 다수 개의 쇠스랑날과, 상기 쇠스랑날에 일체로 형성하여 쇠스랑날이 지면을 파고들어 땅을 파헤칠 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엠보싱과, 상기 쇠스랑바디와 연결되는 부위의 쇠스랑날에 고정하여 쇠스랑날이 인접한 위치의 쇠스랑날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림과, 상기 쇠스랑날과 쇠스랑날 사이의 솨스랑바디에 결합하여 쇠스랑날이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회전하여 흙을 파헤치면서 부술 수 있도록 지레역할을 수행하는 버팀수단으로 구성하여;
관련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이면서 원가절감을 통하여 경쟁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은 물론 경량화로 취급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발을 이용하여 쇠스랑을 지면에 박아넣도록 함으로서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한번에 지면의 흙을 파헤치는 것과 더불어 파헤쳐진 흙덩어리를 작은 크기로 부수는 것을 동시에 수행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부품 수를 대폭 줄여 생산의 용이성과 원가절감을 통한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이고, 경량화를 통하여 누구나가 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하면서 취급과정에서 신체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중요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버팀수단을 도시한 다른 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 a, b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중요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버팀수단을 도시한 다른 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쇠스랑(100)은, 중앙에 자루(101)가 연결되는 자루연결부(102)를 형성하고, 원 또는 다각형상의 관체로 이루어는 쇠스랑바디(103)를 자루연결부(102)와는 직각을 이루도록 구비한다.
상기 쇠스랑바디(103)에는 등 간격을 유지시켜 자루연결부(102)와는 반대방향으로 다수 개의 쇠스랑날(104)을 고정하여 지면을 파고들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쇠스랑날(104)의 끝단에는 지면을 용이하게 파고들 수 있도록 첨단부(105)를 형성한다.
상기 쇠스랑날(104)은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원통형상 또는 다각형상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무게가 많이 나가 취급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판상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상부재로 이루어진 쇠스랑날(104)이 지면을 파고들어 땅을 파헤칠 때 하중 등에 의하여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쇠스랑날(104)에 일체형의 보강엠보싱(106)을 형성하고, 상기 쇠스랑바디(103)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쇠스랑날(104)이 인접한 위치의 쇠스랑날(104) 방향으로 휘어지는 등의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보강림(107)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도록 한다.
상기 보강림(107)은 쇠스랑날(104)의 어느 한 방향에만 고정하여도 되고, 쇠스랑날(104)의 양측에 고정하여 보다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쇠스랑날(104)과 쇠스랑날(104) 사이의 솨스랑바디(103)에는 쇠스랑날(104)이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회전하여 흙을 파헤치면서 부술 수 있도록 지레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버팀수단(110)을 더 가지도록 한다.
상기 버팀수단(110)은, 단면이 원형상 또는 다각형상인 봉체를 스프링과 같이 권선한 루프(111)를 형성한 버팀바디(112)를 구비하여 상기 루프(111)가 쇠스랑바디(103)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루프(111)의 전방으로는 쇠스랑날(104)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시켜 지면에 박힌 쇠스랑날(104)을 회전시킬 때 지면과 연접된 상태에서 버티면서 쇠스랑날(104)이 회전할 수 있는 버티면서 힘점역할을 수행하는 프론트바(113)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111)의 후방으로는 리어바(114)를 돌출시켜 쇠스랑날(104)과 쇠스랑날(104) 사이에 결합된 버팀바디(112)를 연결바(115)로 연결하여 각각의 버팀바디(112)가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일체화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예로서는, 상기 루프(111)를 봉체를 권선하지 않고 관체를 절단하여 구성하고, 상기 관체로 구성된 루프(111)의 전방과 후방으로 프론트 및 리어바(113,114)를 용접고정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물론, 상기 루프(11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프론트바(113)의 길이를 쇠스랑날(104) 같이 긴 길이로 형성하지 않고 리어바(114)와 같이 짧은 길이로 구성하거나 또는 프론트바(113)를 생략한 상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쇠스랑(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쇠스랑날(104)의 첨단부(105)가 지면 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세워주면, 쇠스랑바디(103)에 결합된 버팀수단(110)은 자중에 의하여 쇠스랑날(104)과 벌어지지 않고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보관과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쇠스랑(10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용자가 자루ㅠ(101)를 잡고 쇠스랑날(104)의 첨단부(105)를 작업하고자 하는 지면에 위치시킨 후 이용자가 발로 쇠스랑바디(103)를 강하게 밟아(눌러)주면 쇠스랑날(104)이 지면속으로 박혀지게 된다.
이때 쇠스랑바디(103)에 결합된 버팀수단(110)은 지면으로 박혀지지 않고 회동되어 버팀바디(112)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프론트 및 리어바(113,114)가 지면과 연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자루(101)를 잡고 쇠스랑(100)을 후방으로 젖혀주게 되면 버팀수단(110)을 기점으로 지면 속에 박혀있던 쇠스랑날(104)이 지면위로 올라 오면서 흙을 파헤치면서 동시에 작은 크기로 부수게 되고, 이와 같은 작업을 완료한 후에도 지면이 울퉁불퉁하지 않고 고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흙이 부드럽게 되므로 작물을 심거나 파종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고, 두둑을 형성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한번에 흙을 파헤치고 잘게 부수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 효율성을 높이면서 작업 후 지면이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별도의 후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그리고, 쇠스랑을 구성하는 관련 부품수를 대폭 줄여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생산에 소요되는 제반비용을 줄일 수 있고, 부품수 절감으로 무게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노약자가 쉽게 취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는 고안이다.
100; 쇠스랑
101; 자루
103; 쇠스랑바디
104; 쇠스랑날
110; 버팀수단
111; 루프
112; 버팀바디
113; 프론트바
114; 리어바
115; 연결바

Claims (2)

  1. 중앙에 자루(101)가 연결되는 자루연결부(102)를 형성하고, 상기 자루연결부(102)와 직각을 이루게 형성하는 쇠스랑바디(103)와;
    상기 쇠스랑바디(103)에 등 간격을 유지시켜 자루연결부(102)와는 반대방향으로 고정하는 다수 개의 쇠스랑날(104)과;
    상기 쇠스랑날(104)에 일체로 형성하여 쇠스랑날(104)이 지면을 파고들어 땅을 파헤칠 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엠보싱(106)과;
    상기 쇠스랑바디(103)와 연결되는 부위의 쇠스랑날(104)에 고정하여 쇠스랑날(104)이 인접한 위치의 쇠스랑날(104)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림(107)과;
    상기 쇠스랑날(104)과 쇠스랑날(104) 사이의 솨스랑바디(103)에 결합하여 쇠스랑날(104)이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회전하여 흙을 파헤치면서 부술 수 있도록 지레역할을 수행하는 버팀수단(110)으로 구성하고;
    상기 버팀수단(110)은, 봉체를 권선하여 쇠스랑바디(103)와 결합할 수 있는 루프(111)를 형성한 버팀바디(112)와;
    상기 루프(111)의 전방으로 쇠스랑날(104)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시켜 지면에 박힌 쇠스랑날(104)을 회전시킬 때 지면과 연접된 상태에서 쇠스랑날(104)이 회전할 수 있는 버티면서 힘점역할을 수행하는 프론트바(113)와;
    상기 루프(111)의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리어바(114)와;
    상기 리어바(114)를 연결하여 쇠스랑날(104)과 쇠스랑날(104) 사이에 결합된 버팀바디(112)가 일체화된 상태로 움직이도록 하는 연결바(115)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쇠스랑.
  2. 삭제
KR2020140004229U 2014-06-03 2014-06-03 쇠스랑 KR200481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29U KR200481955Y1 (ko) 2014-06-03 2014-06-03 쇠스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29U KR200481955Y1 (ko) 2014-06-03 2014-06-03 쇠스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53U KR20150004453U (ko) 2015-12-11
KR200481955Y1 true KR200481955Y1 (ko) 2016-12-01

Family

ID=5502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229U KR200481955Y1 (ko) 2014-06-03 2014-06-03 쇠스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9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2679A (zh) * 2019-04-24 2019-07-16 沈宇豪 一种园林手持式割草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9486A (ja) 2009-07-21 2011-02-03 Shigeo Okuhara 鍬用補助具および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039B1 (ko) 1981-07-14 1985-07-19 다이호야꾸힝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알로파노일 피페라진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450055Y1 (ko) 2009-09-16 2010-09-02 주충열 포크 겸용 쇠스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9486A (ja) 2009-07-21 2011-02-03 Shigeo Okuhara 鍬用補助具および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게시물(도시농부, 2014.05.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53U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560128U (zh) 多功能挖掘工具
US8388031B1 (en) High strength shovel and trowels
USRE48744E1 (en) Object lifting, pulling and digging apparatus
US6490815B1 (en) Excavator bucket with ripping implement
KR200481955Y1 (ko) 쇠스랑
KR20150002319U (ko) 쇠스랑
US1478204A (en) Combined shovel and hoe
CN201928586U (zh) 一种铁锹
US8708057B2 (en) Scuffle hoe and multipurpose garden tool
CA2290271A1 (en) Bare root tree and stump extracting tool
US20140013516A1 (en) Gardening Implement
US20030056961A1 (en) Plant removing or weeding device
KR101777364B1 (ko) 쟁기날이 구비된 굴삭기용 집게장치
CN216163158U (zh) 一种园林绿化松土器
JP2000125615A (ja) 園芸用具
CN214014907U (zh) 一种松土器
KR20180087641A (ko) 쇠스랑
CN204132094U (zh) 一种铲柄可伸缩的挖苗铲
KR20130000699U (ko) 조경용 전지 가위
KR101213216B1 (ko) 다용도 농기구
JP3171159U (ja) 作業機械バケットの横ピン抜き工具及び横ピン抜き工具セット
US20140193198A1 (en) Landscaping tool system including tamp, scuffle hoe, and rake
JP3122959U (ja) 軽重量物移動用具
CN206341567U (zh) 一种新型的农用铲子
US634409A (en) Hand-w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