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833B1 - 신규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833B1
KR100972833B1 KR1020080006122A KR20080006122A KR100972833B1 KR 100972833 B1 KR100972833 B1 KR 100972833B1 KR 1020080006122 A KR1020080006122 A KR 1020080006122A KR 20080006122 A KR20080006122 A KR 20080006122A KR 100972833 B1 KR100972833 B1 KR 10097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oth muscle
formula
compound
vascular smoo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664A (ko
Inventor
윤여표
서지민
김택중
유충규
임용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9001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o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e.g. ketorolac, physostigm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용 조성물 및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은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어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상 증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 혈관재협착, 동맥경화, 심혈관계 질환

Description

신규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Novel Indoledione Derivative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 Hyper-Proliferative Disease}
본 발명은 신규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 세포 증식 억제용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심혈관계 질환은 심부전,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경색증, 협심증 등의 심장질환과 동맥경화, 뇌졸중, 말초혈관 질환 등의 혈관질환을 포함하는 질환으로서 광범위하게 허혈성 심혈관 질환이라 한다. 이 질환들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적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후유증과 더불어 사망 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서구화된 식생활 및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하여 최근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률 및 그로 인한 사망률이 계속 급증하는 추세이나 아직까지는 이를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제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치료법으로 약물요법, 유전자 치료법, 경피적 관동맥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 (PTCA: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and stenting), 그리고 외과적으로 수술하는 관동맥우회술(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의 재관류 요법(revascularization therapy)이 시행중이다. 그러나 재관류 요법을 시행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약물을 투여하여야 하며 관상동맥 질환이 재발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특히, 경피적 관동맥 성형술 (PTCA)은 혈관성 질환의 관상동맥경화 환자들에 대한 치료법으로서 1977년 이래 널리 실시되어지고 있으며(Gurentzig, Lancet, 4, 263, 1978), 효율성이 높은 치료법임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3-6 개월 후에는 약 40 % 가량의 환자들에 있어서 재협착(restenosis)이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Ryan et al., J. Am . Coll . Cardiol ., 22. 2033-2054, 1993). PTCA후의 재협착의 발생 기전은 기구(balloon)에 의해 손상된 혈관내피 세포, 활성화된 혈소판 또는 대식세포로부터 여러 가지의 사이토카인이 생성, 분비되면서 혈관 평활근세포의 유주 및 증식이 촉진되고 이에 따라 세포외간질 (ECM: extracellular matrix)의 생성 및 분비가 촉진되어 혈관내막의 비후를 일으켜 재협착으로 발전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Godfried et al, Am . Heart J., 129, 203-210, 1995).
정상적인 상태의 혈관 평활근세포는 증식을 하지 않지만, 스텐트 시술 등을 통하여 내피세포의 중막이 손상되면서 여러 단계의 신호전달을 거쳐 혈관 평활근세포의 분열, 이동 및 증식이 유발된다. 혈관 평활근세포 증식의 기전으로는 정상적인 내피세포의 손상에 의한 증식억제인자의 제거와 증식유발인자의 활성화, 혈관 평활근세포 표면의 수용체를 통한 증식유발신호의 전달, 혈관 평활근세포의 핵 내로 전달된 증식유발신호에 의한 세포 주기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정상적인 내피세포는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하는데, 내피세포가 손상되면 이들의 분비가 억제되고, 활성화된 혈소판에서 분비되는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혈장 중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사이토카인(cytokine)등에 의해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는 항 혈소판제, 항 응고제, 콜레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항 알레르기제 등을 이용하여 재협착을 예방해보려고 시도를 하였으며 (Lefkovits et al., Progr . Cardiovas . Dis ., 40, 141-158, 1997), 최근에는 생선유(fish oil), 비타민C 나 비타민E 등 천연물 유래 성분의 재협착 예방 작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 약제는 임상에서는 아직 충분한 결과를 얻지 못한 실정이다.
이 밖에 택솔 (Herdeg et al., Zeischrift fur Kardiologie , 89, 390-397, 1999), 헤파린, EPA, 에스트로겐 등이 혈관 재협착 억제제로서 연구 개발 중에 있으나, 이 역시 뚜렷한 실효를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478671호에는 클로트리마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재협착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516026호에는 3-디옥시아데노신(3-deoxyadenosine)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재협착 예방 및 치료용 조성 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110793호에는 Rho 키나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협착증의 예방 및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46314호에는 항트롬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이식 혈관병, 재협착증, 인-스텐트 재협착증(in-stent restenosis) 및 폐 고혈압과 같은 혈관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23249호에는 레티노이드 및 레티노이드 작용 조절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내 스텐트를 사용한 경피적 관상동맥 혈관형성술 후의 혈관 재협착 및/또는 재폐색 등 혈관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43183호에는 커쿠민(curcumin)을 포함하는 혈관 재협착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혈관 재협착 억제제는 혈관 재협착을 방지하는 것 이외의, 상처재생억제, 혈관손상, 간독성, 신장손상, 혈소판응집억제에 의한 출혈량 증가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사람에 대하여 안전성이 입증된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혈관 재협착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별다른 연구성과가 보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혈관 재협착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또한, 동맥경화는 동맥벽의 탄력이 손실되고 그 벽이 두꺼워져서 경화되는 질환으로, 침범된 장기에 따라 다양한 증세를 나타내지만, 공통적으로 혈액공급의 부족으로 인한 허혈에 기인한 증세가 가장 많고 탄력성 상실로 인해 파열출혈의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심장관상동맥이 동맥경화를 일으켜서 혈류가 줄어들 면, 운동 시 흉부통을 느끼는 협심증이 생기고, 더욱 줄어들면 휴식 시에도 통증을 느끼는 불안정협심증(unstable angina)이 되며, 아주 막히면 심근이 썩는 심근경색이 되어 생명이 위험하게 되기도 한다.
그 동안 이러한 동맥경화를 치료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1970년대에 비로소 심장으로 관을 넣어 혈관촬영을 하고 병소를 발견하였고, 여기에 풍선을 넣어 물리적으로 넓히는 시술법의 아이디어가 도입되었다. 최근에는 약물코팅 스텐트를 이용하여 시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보다 광범위한 상황에서의 시술 성공률이 높아져 심장병의 치료에 전기를 맞고 있다. 동맥경화로 인한 심장병에 대한 시술기법은 이렇듯 많은 발전을 낳았으나, 한편으로는 동맥경화자체를 예방하고 조절하기 위한 학문적인 성과에는 아직 해결해야할 부분이 많으며, 동맥경화의 원인 및 치료에 대한 연구, 혈전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항 혈전 및 항응고제 의 탐색 및 응용연구가 필요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혈관평활근세포의 과도한 증식에 기인하는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자들이 합성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들이 혈관평활근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의 증식 억제 활성이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규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신규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Ⅰ]
Figure 112008004803108-pat00001
단, 상기 화학식 I에서, X가 CH이고 Y가 N인 경우 R1 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alkyl)기이고, R2 는 H,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alkoxy)기이며; X가 N이고 Y가 CH인 경우 R1 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 알킬기이고, R2 는 H, 할로겐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자들은 혈관평활근세포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의 과도한 증식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자들이 합성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이 우수한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 활성이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화학식 I의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들은 본 발명자들이 최초로 합성한 신규한 화합물들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I의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중에서 X가 CH이고 Y가 N인 경우의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 Ia로 표현된다.
[화학식 Ⅰa]
Figure 112008004803108-pat00002
상기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다음 반응식 1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08004803108-pat00003
Figure 112008004803108-pat00004
Figure 112008004803108-pat00005
상기 반응식에서 a 는 C1 - 4알킬시아노아세테이트/에탄올 또는 시아노아세테이트/에탄올, b 는 C1 - 4알킬페닐아민/에탄올, C1 - 4알콕시페닐아민/에탄올 또는 페닐아민/에탄올이다.
상기 반응식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화합물 1 (6,7-다이클로로-5,8-퀴놀린다이온)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문헌[J. Am , Chem . Soc, 82, 1155 (1960)] 및 [J. Med . Chem . 1986, 29, 1329])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에서 화합물 2는 화합물 1을 알콜 용매 중에서 C1 - 4알킬시아노아세테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C1 -4 알킬은 직쇄 또는 가지쇄 알킬이다. 필요에 따라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또는 빙초산 존재하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알콜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상기 반응식에서 화합물 3은 화합물 2을 알콜 용매 중에서 C1 -4 알킬페닐아민, C1 -4 알콕시페닐아민 또는 페닐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C1 -4 알킬 또는 C1 -4 알콕시는 직쇄 또는 가지쇄 C1 -4 알킬 또는 알콕시이다. 알콜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본 반응은 상온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서 2-6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된 용매의 비점에서 환류시키면서 3-5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C1 -4 알킬페닐아민은 화합물 2에 대하여 1-1.2 당량, 바람 직하게는 1.1-1.5 당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a 에서 R1 은 H 또는 -CH3 이고, R2 는 H, -CH3 또는 -OCH3 인 화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Ⅱ, 화학식 Ⅲ, 또는 화학식 Ⅳ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Ⅱ] [화학식 Ⅲ]
Figure 112008004803108-pat00006
Figure 112008004803108-pat00007
[화학식 Ⅳ]
Figure 112008004803108-pat00008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중에서 X가 N이고 Y가 CH인 경우의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 Ib로 표현된다.
[화학식 Ⅰb]
Figure 112008004803108-pat00009
상기 화학식 Ib의 화합물(1H-pyrrolo[3,2-g]isoquinoline-4,9-diones 유도체)은 다음 반응식 2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08004803108-pat00010
Figure 112008004803108-pat00011
Figure 112008004803108-pat00012
Figure 112008004803108-pat00013
Figure 112008004803108-pat00014
상기 반응식에서 a는 C1 - 4알킬시아노아세테이트/에탄올 또는 시아노아세테이 트/에탄올, b는 C1 - 4알킬페닐아민/에탄올, 할로겐화페닐아민/에탄올 또는 페닐아민/에탄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6,7-다이클로로이소퀴놀린-5,8-다이온(6,7-dichloroisoquinoline-5,8-dione)(화합물 4)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화합물으로서, 5-히드록시이소퀴놀린(5-hydroxyisoquinoline)으로부터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6,7-다이클로로이소퀴놀린-5,8-다이온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문헌(J. Med . Chem . 1986, 29, 1329.)을 참고하여 합성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에 따른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화합물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합물 4로 표시되는 6,7-다이클로로이소퀴놀린-5,8-다이온(6,7-dichloroisoquinoline-5,8-dione)과 에틸-시아노아세테이트(ethyl cyanoacetate) 혹은 메틸-시아노아세테이트(methyl cyanoacetate)를 알코올 용매 혹은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또는 빙초산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한다. 이때, 알코올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3의 저급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반응은 실온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2-6 시간 동안 수행되는데, 사용된 용매의 비점에서 환류시키면서 3-5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반응식에서 화합물 6은 화합물 5을 알콜 용매 중에서 C1 -4 알킬페닐아민, C1 -4 할로겐화페닐아민 또는 페닐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C1-4 알킬은 직쇄 또는 가지쇄의 C1-4 알킬이다. 알콜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본 반응은 상온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서 2-6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된 용매의 비점에서 환류시키면서 3-5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C1-4 알킬페닐아민, C1-4 할로겐화페닐아민 또는 페닐아민은 화합물 5에 대하여 1-1.2 당량, 바람직하게는 1.1-1.5 당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식 Ib에서 R1 은 H 또는 -CH3 이고, R2 는 -CH3, 플루오르(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 인 화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Ⅴ 또는 화학식 Ⅵ 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Ⅴ] [화학식 Ⅵ]
Figure 112008004803108-pat00015
Figure 112008004803108-pat00016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vascular smooth muscle cell) 증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8004803108-pat00017
단, 상기 화학식 I에서 X가 CH이고 Y가 N인 경우 R1 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alkyl)기이고, R2 는 H,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alkoxy)기이며; X가 N이고 Y가 CH인 경우 R1 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 알킬기이고, R2 는 H, 할로겐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혈관평활근세포 (vascular smooth muscle cell) 증식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바람직한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에서 X가 CH이고 Y가 N인 경우에 R1 은 H 또는 -CH3 이고, R2 는 H, -CH3 또는 -OCH3 인 화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Ⅱ, 화학식 Ⅲ, 또는 화학식 Ⅳ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혈관평활근세포 (vascular smooth muscle cell) 증식 억제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에서 X가 N이고 Y가 CH인 경우에 R1 은 H 또는 -CH3 이고, R2 는 -CH3, 플루오르(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인 화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Ⅴ 또는 화학식 Ⅵ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지므로, 혈관평활근세포의 과도한 증식이 억제되어야 하는 필요가 있는 다양한 분야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 (vascular smooth muscle cell hyper-proliferative disorder)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8004803108-pat00018
단, 상기 화학식 I에서, X가 CH이고 Y가 N인 경우 R1 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alkyl)기 이고, R2 는 H,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alkoxy)기이며; X가 N이고 Y가 CH인 경우 R1 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 알킬기이고, R2 는 H, 할로겐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에서 X가 CH이고 Y가 N인 경우에 R1 은 H 또는 -CH3 이고 R2 는 H, -CH3 또는 -OCH3 인 화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Ⅱ, 화학식 Ⅲ, 또는 화학식 Ⅳ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에서 X가 N이고 Y가 CH인 경우에 R1 은 H 또는 -CH3 이고, R2 는 -CH3, 플루오르(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 인 화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Ⅴ 또는 화학식 Ⅵ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은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소판유래성장인자 (platelet-dereived growth factor, PDGF-BB)로 유도한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PDGF-BB로 유도된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 증식시에 [3H]티미딘(thymidine)이 DNA로 혼입(incorporation) 되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평활근은 관 모양의 기관(organ), 방광, 복강, 자궁, 생식도관, 위장관, 호흡기관, 맥관구조, 피부 및 모양체근(ciliary muscle), 눈의 홍채 등의 기관(organ)의 벽(wall) 내에서 발견되는 비-줄무늬근(non- striated muscle)을 의미한다. 상기 평활근은 방추형(spindle shaped)이며 수축과 이완이 가능하다.
상기 평활근을 구성하는 세포인 평활근 세포는 단핵세포로서, 시트(sheet)나 다발(bundle)의 형태로 배열되어 갭정션(gap junction)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혈관 평활근 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는 혈관 벽의 평활근을 구성하는 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 (VSMC hyper-proliferative disorder)이란 혈관 평활근 세포의 과도한 증식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질환 또는 질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은 다양한 질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상 증식에 의해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혈관재협착증, 혈관협착증,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뿐만 아니라, 혈관협착증 또는 동맥경화증에 의해 이차적으로 유발되는 심혈관계 질환인 심부전증, 심근경색증, 협심증, 부정맥증, 고혈압성 심장질환증, 선천성 심장질환증, 뇌졸중, 말초혈관협착증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해 치료 또는 예방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은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혈관재협착증 또는 혈관협착증이다.
아테롬성 동맥경화증은 동맥의 내층에 지방 물질이 침착되거나 섬유 화(fibrosis)되어 있는 질환이다. 한편, 혈관의 재협착증(restenosis)은 혈관벽이 손상(traumatization)된 후 혈관 통로가 좁혀지는 질환이다. 동맥경화 진행과 스탠트 삽입술 후에 발생하는 혈관 재협착증은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 이동 그리고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분비 등에 기인한다고 알려지고 있다(Circulation, 1997, 95, 1998-2002; J. Clin . Invest . 1997, 99, 2814-2816; Cardiovasc. Res. 2002, 54, 499-502). 이에, 동맥경화의 진행과 혈관 재협착의 방지를 위해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물에 대한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몇 가지 약물이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J. Am. Coll. Cardiol., 2002, 39, 183-193). 따라서,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매우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본 발명의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은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 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1-100 mg/kg(체중)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용되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투여 경로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인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은 조성물 중에 0.5-5 μM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0.5 μM 미만의 농도로 포함되는 경우 원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 μM 초과의 농도로 포함되면 농도가 증가하는 것에 비례한 증가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의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 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용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인돌다이온의 유도체 화합물은 우수한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지므로,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인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혈관재협착증, 혈관협착증 및 이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methyl 2-(7- chloro -5,8- dihydro -5,8- dioxoquinolin -6- yl )-2- cyanoacetate의 합성
Figure 112008004803108-pat00019
Figure 112008004803108-pat00020
상기 반응식에서 a는 메틸시아노아세테이트(methyl cyanoaccetate)/에탄올이다.
6,7-다이클로로퀴놀린-5,8-다이온(6,7-dichloroquinoline-5,8-dione) 590 mg (2.66 mmole)을 100 ㎖의 abs. 에탄올에 녹인 후, 메틸시아노아세테이트(methyl cyanoaccetate) 0.26358 ㎖ (2.66 mmol)을 넣었다. 암모니아수 2 ㎖를 넣고 10 분간 반응시킨 후 dil-HCl로 산성화시켰다. MC로 추출 후 EA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생성된 화합물은 갈색 오일(Brown oil, 32%) 형상이었고, 화합물의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H-NMR (CDCl3 , 400 MHz) δ 3.91(s, 3H, methoxy), 5.50(s, 1H, CH), 7.80(q, 1H, 2-pyridine), 8.53(q, 1H, 2-pyridine), 9.14(q, 1H, 2-pyridine); MS (m/z) 290 (M+).
합성된 화합물은 methyl 2-(7-chloro-5,8-dihydro-5,8-dioxoquinolin-6-yl)-2- cyanoacetate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 : methyl 2- amino -4,9- dihydro -4,9- dioxo -1-p- tolyl -1H- pyrrolo [3,2-g]quinoline-3-carboxylate의 합성
Figure 112008004803108-pat00021
Figure 112008004803108-pat00022
상기 반응식에서 b는 4-메틸-페닐아민(4-methyl-phenylamine)/에탄올이다.
실시예 1에서 합성된 화합물 methyl-2-(7-chloro-5,8-dihydro-5,8- dioxoquinolin -6-yl)-2-cyanoacetate 150 mg을 100 ㎖의 abs.에탄올에 용해시키고, 교반 후 당량에 해당하는 4-메틸-페닐아민(4-methyl-phenylamine)을 가하고 상온에서 5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의 종결여부는 TCL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반응액을 냉각하여 농축시킨 후 클로로포름(chloroform)으로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 한 후, 에탄올(ethanol)로 재결정하였다.
합성된 화합물의 구조를 NMR 분석하였다.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mp 262-263 ℃ 1H-NMR (CDCl3, 400 MHz) δ2.37(s, 3H, methyl), 3.92(s, 3H, methoxy), 6.98(d, 1H, benzene), 7.14(d, 1H, benzene), 7.50(m, 1H, benzene), 7.66(q, 1H, 2-pyridine), 7.91(m, 1H, benzene), 8.43(q, 1H, 2-pyridine), 9.09(q, 1H, 2-pyridine); MS (m/z) 361 (M+).
NMR 분석 결과에 의해 합성된 화합물은 methyl-2-amino-4,9-dihydro- 4,9- dioxo-1-p-tolyl-1H-pyrrolo[3,2-g] quinoline-3-carboxylate로 확인하였고, 합성된 화합물을 "YSK2821" 이라고 명명하였다.
실시예 3 : Methyl 2-amino-4,9-dihydro-1-(4-methoxyphenyl)-4,9-dioxo-1H- pyrrolo [3,2-g] quinoline - 3- carboxylate 의 합성
Figure 112008004803108-pat00023
상기 반응식에서 b는 4-메톡시페닐아민(4-methoxyphenylamine)/에탄올이다.
실시예 1에서 합성한 Methyl 2-(7-chloro-5,8-dihydro-5,8-dioxoquinolin -6-yl)-2-cyanoacetate 150 mg을 100 ㎖의 abs. EtOH에 용해시키고, 교반한 후 당량에 해당하는 4-메톡시페닐아민(4-methoxyphenylamine)을 가하여 상온에서 4-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의 종결여부는 TCL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반응액을 냉각하여 농축시킨 후, EA : HX = 1:1 용매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95% EtOH 로 재결정하였다. 합성된 화합물의 구조를 NMR 분석하였다.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Dark violet powder (10%); mp 261.1- 261.3 ℃; 1H-NMR (CDCl3 , 400 MHz) δ 3.85(s, 3H, methoxy), 3.89(s, 3H, methoxy), 6.99(m, 1H, benzene), 7.06(d, 1H, benzene), 7.21(d, 1H, benzene), 7.27(m, 1H, benzene), 7.66(q, 1H, 2-pyridine), 7.96(s, 2H, NH2), 8.45(q, 1H, 2-pyridine), 9.08(q, 1H, 2-pyridine); MS (m/z) 377 (M+).
NMR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합성된 화합물은 Methyl-2-amino-4,9-dihydro-1- (4-methoxyphenyl)-4,9-dioxo-1H-pyrrolo[3,2-g] quinoline-3-carboxylate으로 확인하였고, "YSK2822"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4 : Methyl 2- amino -4,9- dihydro -4,9- dioxo -1- phenyl -1H-pyrrolo[3,2-g]quinoline -3- carboxylate 의 합성
Figure 112008004803108-pat00024
상기 반응식에서 b는 아닐린(aniline)/에탄올이다.
실시예 2에서 합성한 Methyl 2-(7-chloro-5,8-dihydro-5,8-dioxoquinolin -6-yl)-2-cyanoacetate 150 mg을 100 ㎖의 abs. EtOH에 용해시키고 교반 후, 당량에 해당하는 아닐린(aniline)을 가하고 상온에서 4-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의 종결 여부는 TCL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반응액을 냉각시켜 농축시킨 후, EA : HX = 1:1 용매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95% EtOH로 재결정하였다.
합성된 화합물의 구조를 NMR 분석하였다.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Bright red powder (12%); mp 232.8-233.1℃; 1H-NMR (CDCl3 , 400 MHz) δ 3.91(s, 3H, methoxy), 7.11(d, 1H, benzene), 7.25(m, 2H, benzene), 7.38(t, 1H, benzene), 7.73(d, 1H, benzene), 7.68(q, 1H, 2-pyridine), 8.00(s, 2H, NH2), 8.46(q, 1H, 2-pyridine), 9.09(q, 1H, 2-pyridine); MS (m/z) 348 (M+).
NMR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합성된 화합물은 Methyl 2-amino-4,9-dihydro- 4,9-dioxo-1-phenyl-1H-pyrrolo[3,2-g]quinoline -3-carboxylate으로 확인하였다. 합성된 화합물을 “YSK2823”으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5 : Methyl 2-(7- chloro -5,8- dihydro -5,8- dioxoisoquinolin -6- yl )-2-cyanoacetate 의 합성
Figure 112008004803108-pat00025
상기 반응식에서 a는 메틸시아노아세테이트(methyl cyanoaccetate)/에탄올이다.
6,7-다이클로로이소퀴놀린-5,8-다이온(6,7-dichloroisoquinoline-5,8-dione) 590 mg (2.66 mmole)을 100㎖의 abs. 에탄올(EtOH)에 녹인 후, 메틸시아노아세테이트(methyl cyanoacetate) 0.26358 ㎖ (2.66 mmol)을 넣었다. 암모니아수 2㎖를 넣고 10분간 반응시킨 후 d-HCl로 산성화시켰다. MC로 추출 후 EA로 컬럼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하여 분리하였다. 합성된 화합물의 NMR 분석 자료는 다음과 같았다.
Brown oil (42%); 1H-NMR (CDCl3, 400 MHz) δ 3.86(s, 3H, methoxy), 5.50(s, 1H, CH), 7.96(d, 1H, J = 4.8, 3-pyridine), 9.13(d, 1H, J = 4.8, 3-pyridine), 9.39(s, 1H, 3-pyridine); MS (m/z) 290 (M+).
합성된 화합물은 Methyl 2-(7-chloro-5,8-dihydro-5,8-dioxoisoquinolin-6-yl) -2-cyanoacetate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6 : Methyl 2-amino-4,9-dihydro-4,9-dioxo-1-p-tolyl-1H-pyrrolo[3,2-g] isoquinoline -3- carboxylate 의 합성
Figure 112008004803108-pat00026
상기 반응식에서 b는 4-메틸-페닐아민(4-methyl-phenylamine)/에탄올이다.
실시예 5에서 합성한 화합물 Methyl 2-(7-chloro-5,8-dihydro-5,8 -dioxoisoquinolin-6-yl)-2-cyanoacetate 150 mg을 100㎖의 abs. EtOH에 용해시키고 교반한 후, 당량에 해당하는 4-메틸-페닐아민(4-methyl-phenylamine)을 가하고 상온에서 4-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의 종결여부는 TCL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반응액을 냉각하여 농축시킨 후, EA : HX = 1:1 용매로 컬럼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 한 후 95% EtOH로 재결정하였다.
합성한 화합물의 NMR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Dark red powder (12%); mp 218.9-219.4 ℃; 1H-NMR (CDCl3 , 400 MHz) δ 2.48(s, 3H, methyl), 3.96(s, 3H, methoxy), 6.97(m, 2H, benzene), 7.04(m, 2H, benzene), 7.50(s, 2H, NH2), 7.83(d, 1H, J = 5.2, 3-pyridine), 9.07(d, 1H, J = 5.2, 3-pyridine), 9.44(s, 1H, 3-pyridine); MS (m/z) 361 (M+), 332 (M+-29 -OCH3); MS (m/z) 361 (M+).
합성된 화합물은 Methyl 2-amino-4,9-dihydro-4,9-dioxo-1-p-tolyl-1H-pyrrolo [3,2-g] isoquinoline-3-carboxylate 으로 확인하였고,“YSK2824”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7 : Methyl 2- amino -1-(4- fluorophenyl )-4,9- dihydro -4,9- dioxo -1H- pyrrolo[3,2-g] isoquinoline -3- carboxylate 의 합성
Figure 112008004803108-pat00027
상기 반응식에서 b는 4-플루오로-페닐아민(4-fluoro-phenylamine)/에탄올이다. 실시예 5에서 합성한 화합물인 Methyl 2-(7-chloro-5,8-dihydro-5,8 -dioxoisoquinolin-6-yl)-2-cyanoacetate 150 mg을 100㎖의 abs. EtOH에 용해시키고, 교반한 후, 당량에 해당하는 4-플루오로-페닐아민(4-fluoro-phenylamine)을 가하고 상온에서 4-5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의 종결여부는 TCL를 이용했고 반응액을 냉각하여 농축시킨 후, EA:HX = 1:1 용매로 컬럼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 한 후, 95% EtOH로 재결정하였다.
합성한 화합물의 NMR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Dark red powder (15%); mp 241.5-241.8 ℃; 1H-NMR (CDCl3 , 400 MHz) δ 3.95(s, 3H, methoxy), 7.12(m, 4H, benzene), 7.87(s, 2H, NH2), 7.91(d, 1H, J = 5.2, 3-pyridine), 9.11(d, 1H, J = 5.2, 3-pyridine), 9.45(s, 1H, 3-pyridine); MS (m/z) 365 (M+), 336 (M+-29 -OCH3); MS (m/z) 366 (M+).
합성된 화합물은 Methyl 2-amino-4,9-dihydro-4,9-dioxo-1-p-tolyl-1H-pyrrolo [3,2-g] isoquinoline-3-carboxylate 으로 확인하였고, “YSK2825”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8 : 대동맥 평활근세포의 증식억제에 미치는 본 발명의 YSK2821 , YSK2822, YSK2823 , YSK2824 , YSK2825 화합물의 효과
실시예 2, 3, 4, 6 및 7에서 합성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 이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4.0 x 104 cells/㎖의 대동맥 평활근세포를 12 well 플레이트에 옮기고, 0.5 % (V/V)의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상기 배지에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 을 0.5-5 μM의 농도 범위에서 처리한 후, 다시 24 시간 동안 더 배양한 다음,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eived growth factor, PDGF-BB)로 처리하고, 24 시간 후에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바닥으로부터 분리해 내고, 혈구 계(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분리된 세포의 수를 계수하였다.
도 1a-1e은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 을 0.5-5 μM의 농도 범위에서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세포에 처리한 후 이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a-1e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 은 0.5-5 μM의 농도 범위에서 대동맥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 YSK2821 , YSK2822 , YSK2823 , YSK2824 , YSK2825 화합물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 DNA 합성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6에서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이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원의 화합물들이 대동맥 평활근세포의 증식 억제 작용이 어떠한 기전에 의해 이루어지는지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 의 세포 증식시의 DNA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2.0 x 104 cells/㎖의 대동맥 평활근세포를 24 well 플레이트에 옮기고, 0.5 % (V/V)의 우태아혈청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 를 0.5-5 μM의 농도 범위에서 각각 처리하고, 다시 24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혈소판유래성장인자 (platelet-dereived growth factor, PDGF-BB)로 처리하였다. 이후 20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1 ㎕의 [3H]- 티미딘(thymidine)을 처리하였다. 4시간 인큐베이션 한 후 PBS로 2회 세척하고, TCA시약으로 30분 처리하였다. TCA시약을 제거한 후 에탄올/에테르(ethanol/ether) (1:1 v/v)로 2회 세척하였다. 1 N의 NaOH를 500 ㎕씩 각 well에 분주하여 완전하게 세포를 라이시스(lysis) 시킨 다음, 3 ㎖ 신틸레이션 칵테일(scintillation cocktail)과 혼합하여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방사선능을 측정하였다.
도 2a-2e는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를 0.5-5 μM의 농도범위에서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세포에 처리한 후 이 세포의 DNA 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2e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 은 0.5-5 μM의 농도범위에서 대동맥 평활근세포의 DNA의 생합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 YSK2821 , YSK2822 , YSK2823 , YSK2824 , YSK2825 화합물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증식주기에 미치는 영향
혈소판유래성장인자로 증식을 유도한 대동맥 평활근 세포에 본 발명의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 을 처리함에 따라 발생되는 세포주기의 진행 과정 변화를 알아보았다. 4.0 x 104 cells/㎖의 대동맥 평활근세포를 12 well 플레이트에 옮기고, 0.5 % (V/V)의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상기 배지에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 을 0.5-5 μM의 농도 범위에서 처리한 후, 다시 24 시간 동안 더 배양한 다음, 혈소판유래성장인자 (platelet-dereived growth factor, PDGF-BB)로 처리하고, 배양한 세포를 PI 염색법을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이후 세포핵의 양을 FACS(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도 3a-3e는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를 0.5-5 μM의 농도 범위에서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세포에 처리한 후, 이 세포의 세포 증식 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3e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이 혈소판유래성장인자로 유도한 혈관평활근 세포 주기 진행에 있어서 G0/G1 과 S기의 inter-phase를 지체시켜 세포증식을 억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 : 급성 독성 연구
25± 5 g의 ICR계 마우스와 235± 10 g의 특정병원부재(SPF) 스프라그-도올리(Sprague Dawley, Biogenomics사) 랫트를 각각 3 마리씩 4 군으로 나누어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를 각각 100 mg/㎏, 10 mg/㎏, 1 m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독성 실험 수행 결과, 4 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고,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등에서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a-1e은 본 발명의 인돌 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 을 0.5-5μM의 농도 범위로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세포에 처리한 후 이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2e는 본 발명의 인돌 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 을 0.5-5μM의 농도 범위로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세포에 처리한 후 이 세포의 DNA 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3e는 본 발명의 인돌 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YSK2821, YSK2822, YSK2823, YSK2824, YSK2825 을 0.5-5μM의 농도로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세포에 처리한 후, 이 세포의 세포 증식 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112010008777217-pat00028
    단, 상기 화학식 I에서,
    X가 CH이고 Y가 N인 경우, R1 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alkyl)기이고, R2 는 H,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alkoxy)기이며;
    X가 N이고 Y가 CH인 경우 R1 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 알킬기이고, R2 는 H, 할로겐,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기이다.
  2. 삭제
  3. (a)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며, 혈관재협착증, 혈관협착증,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심근경색증, 협심증, 부정맥증, 고혈압성 심장질환증, 또는 말초혈관협착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712010002309005-pat00030
    단, 상기 화학식 I에서,
    X가 CH이고 Y가 N인 경우 R1 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기이고, R2 는 H,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며;
    X가 N이고 Y가 CH인 경우 R1 은 H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 알킬기이고, R2 는 H, 할로겐 또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의 알킬기이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에서,
    X가 CH이고 Y가 N인 경우 R1 은 H 또는 -CH3이고, R2 는 H, -CH3, 또는 -OCH3 이며; X가 N이고 Y가 CH인 경우 R1 은 H 또는 -CH3이고, R2 는 -CH3, 플루오르(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Ⅱ 내지 화학식 Ⅵ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Ⅱ] [화학식 Ⅲ] [화학식 Ⅳ]
    Figure 112008004803108-pat00031
    Figure 112008004803108-pat00032
    Figure 112008004803108-pat00033
    [화학식 Ⅴ] [화학식 Ⅵ]
    Figure 112008004803108-pat00034
    Figure 112008004803108-pat00035
  6. 삭제
KR1020080006122A 2007-08-01 2008-01-21 신규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KR100972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329 2007-08-01
KR20070077329 2007-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64A KR20090013664A (ko) 2009-02-05
KR100972833B1 true KR100972833B1 (ko) 2010-07-28

Family

ID=4068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122A KR100972833B1 (ko) 2007-08-01 2008-01-21 신규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6914B2 (en) * 2015-01-08 2021-02-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uroquinolinediones as inhibitors of TDP2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1992, 15(2), 138-141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2003, 11, 1511-1519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2003, 67(9), 1944-1949*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5, 49(5), 449-46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64A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0194C2 (ru) Бензофеноны как ингибиторы il-1бета и tnf-альфа,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KR100353014B1 (ko) 발기부전 치료에 효과를 갖는 피라졸로피리미디논 화합물
KR20210102328A (ko) THRβ 수용체 효능제 화합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200130868A (ko) O-아미노헤테로아릴알키닐기를 함유한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용도
CA2312749A1 (en) Pdgf receptor kinase inhibitory compounds and compositions, method for synthesis of same and use of same for treatment of proliferate disorders
WO2014044113A1 (zh) 吡唑并[3,4-c]吡啶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US8741932B2 (en) Imidazopyridine derivatives
ZA200606909B (en) Hydrazide type compounds and the use thereof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KR20150080423A (ko) 1,2 나프토퀴논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05192A9 (en) Compounds and their use for reducing uric acid levels
JP2010520156A (ja) オキサジニルイソフラボノイド化合物、薬物及び使用
RU2126401C1 (ru) Производные бензимидазола, их таутомеры или их соли и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с антагонистическим в отношении ангиотензина ii действием
KR100972833B1 (ko) 신규한 인돌다이온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KR101210553B1 (ko) 신규한 당지질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 억제용 조성물
WO2022005961A1 (en) Prpk inhibitors
US6255298B1 (en) Macrophage scavenger receptor antagonist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US20120178759A1 (en) Condensed pyridine derivatives useful as potent inhibitors of the protein kinase ck2
US9034870B2 (en) Azaindenoisoquinoline topoisomerase I inhibitors
KR100922507B1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13214097B (zh) 治疗阿尔茨海默病的化合物
RU2695062C2 (ru) 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3,5-дивинил-пиразола для медицинского применения
JPS6197284A (ja) ピリジルフエニルピリダジノン変力剤
JP3049816B2 (ja) 強心薬
FI81802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terapeutiskt verksamt 2-(3-metoxi-5-metyltio- eller 5-metylsulfinyl-2-tienyl-1h-imidazo(4,5-c)pyridin.
EP1433789A1 (en) Pyrrolopyrazines and their use as selective apoptosis induc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