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786B1 -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장식재 - Google Patents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786B1
KR100971786B1 KR1020080044031A KR20080044031A KR100971786B1 KR 100971786 B1 KR100971786 B1 KR 100971786B1 KR 1020080044031 A KR1020080044031 A KR 1020080044031A KR 20080044031 A KR20080044031 A KR 20080044031A KR 100971786 B1 KR100971786 B1 KR 100971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aterial
pillar
silicone
mol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316A (ko
Inventor
최경주
Original Assignee
최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주 filed Critical 최경주
Priority to KR102008004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786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 장식재에 관한 것으로서, (a) 기둥을 감싸는 목형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목형의 표면에 점토를 부착시킨 후 질감표현을 하는 단계, (c) 이형제 도포 후 건조시켜 원형틀을 완성하는 단계, (d) 쪼갬볼을 설치하는 단계, (e) 실리콘을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작업을 다수회 반복한 후 보강천을 덧대고 실리콘 도포를 다수회 반복한 후 경화시켜 실리콘틀을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실리콘틀을 원형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g) 분리된 실리콘틀의 내면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수지층과 유리섬유층을 적층시켜 장식재를 생성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h) 상기 장식재를 상기 실리콘틀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i) 상기 장식재의 표면에 도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 장식재에 의하면, 게시대, 난간 등의 기둥을 장식재로 감싸므로써 기둥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재에 화강암 등과 같은 다양한 질감을 부여함으로써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강암, 실리콘틀, 원형틀, 장식재

Description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 장식재{THE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ONS FOR DECORATING STAND AND THE DECORATIONS}
본 발명은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 장식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게시대, 난간 등의 기둥의 외벽에 부착하여 기둥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질감을 나타낼 수 있는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와 같은 공공건물이나 도로변에는 광고나 알림을 목적으로 다양한 게시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게시대의 구조물, 예컨대 기둥은 단순히 그 외주면에 페인트 등의 도료를 도포하여 외관처리를 마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상기 도료의 색상에 따라 구조물의 외관 색상을 변경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어느 정도 줄 수는 있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료가 벗겨져 보기에도 흉하고 또 그 내부의 구조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녹이 슬게될 뿐만 아니라 도료의 색상도 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환경적인 차원에서 점차 도시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이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도료를 도포하거나 게시대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게시대, 난간 등의 기둥의 외벽에 부착하여 기둥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다양한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은 (a) 기둥을 감싸는 목형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목형의 표면에 점토를 부착시킨 후 질감표현을 하는 단계, (c) 이형제 도포 후 건조시켜 원형틀을 완성하는 단계, (d) 쪼갬볼을 설치하는 단계, (e) 실리콘을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작업을 다수회 반복한 후 보강천을 덧대고 실리콘 도포를 다수회 반복한 후 경화시켜 실리콘틀을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실리콘틀을 원형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g) 분리된 실리콘틀의 내면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수지층과 유리섬유층을 적층시켜 장식재를 생성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h) 상기 장식재를 상기 실리콘틀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i) 상기 장식재의 표면에 도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b)단계에서는 점토에 음각 및 양각을 하여 질감표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g)단계에서는 순차적으로 제1 플라스틱 수지층, 유리섬유층, 제2 플라스틱 수지층을 적층시켜 장식재를 생성시키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플라스틱 수지층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탈크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단계는 순차적으로 바탕 도색, 질감표현 도색, 마감 도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질감표현 도색에서는 동펄(Bronze pearl) 도료와 우레탄 투명 도료를 3:10의 비율로 혼합한 도료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 장식재에 의하면, 게시대, 난간 등의 기둥을 장식재로 감싸므로써 기둥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재에 화강암 등과 같은 다양한 질감을 부여함으로써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장식재를 기둥에 나사체결 함으로써 기둥에 부착된 장식재의 일부분이 파손되더라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장식재가 기둥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장식재(이하, '장식재'라 한다)는 기둥을 보호하고 질감표현 등을 통해 장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현수막 게시대 기둥, 난간 기둥 또는 기타 다양한 구조물 즉, 지면과 수평하거나 수직한 기둥의 외벽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벽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 기둥은 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장식재 또한 기둥의 다양한 외벽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재(100)는 수지층과 유리섬유층의 적층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유리섬유보강 플라스틱 장식재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라스틱 수지층(110), 유리섬유층(120), 제2 플라스틱 수지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수지층과 유리섬유층의 개수가 추가되어 더욱 복합적인 층을 이루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플라스틱 수지층(110,130)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Unsaturated polyester) 수지와 탈크(TALC)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유리섬유층(120)은 상기 장식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수지층 사이에 적층된다.
상기 장식재는 접착제에 의한 본딩 또는 나사를 박는 기계적 결합에 의해 기둥(C)의 외벽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외관을 형성하는 장식재의 외면에는 대리석, 화강암 등과 같은 다양한 질감 및 색상이 표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강암 질감이 표현되도 록 우레탄 도료, 금펄(Golden pearl) 또는 은펄(Silver pearl) 도료를 도포하여 흡착시킨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음각 및 양각에 의한 방법, 문양이 인쇄된 필름을 도포하는 방법, 스프레이를 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화강암 질감 이외에 다양한 질감 및 문양이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장식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형틀과 실리콘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리콘틀과 장식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분리된 장식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장식재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기둥을 감싸는 목형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목형의 표면에 점토를 부착시킨 후 질감표현을 하는 단계, (c) 상기 점토의 표면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 원형틀을 완성하는 단계, (d) 쪼갬볼을 설치하는 단계, (e) 실리콘을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작업을 다수회 반복한 후 보강천을 덧대고 실리콘 도포를 다수회 반복한 후 경화시켜 실리콘틀을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실리콘틀을 원형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g) 분리된 실리콘틀의 내면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수지층과 유리섬유층을 적층시켜 장식재를 생성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h) 상기 장식재를 상기 실리콘틀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i) 상기 장식재의 표면에 도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단계별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게시대, 난간 등의 기둥(C)을 감싸도록 목형(200)을 생성한다(S10).
여기서, 상기 목형(200)은 목재 또는 합판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질 수 있고, 이때 기둥을 감싸는 목형(200)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목형(200)의 겉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점토(210)를 부착시킨 후, 음각 및 양각을 통해 질감표현을 한다(S20).
상기한 질감은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강암의 질감이 표현되도록 한다.
한편, 점토(210)에 질감표현을 한 후에는 표면의 거친 부분을 다듬어서 질감표현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점토(210)의 겉표면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충분히 건조시켜 원형틀(220)을 완성한다(S30).
여기서, 상기 이형제는 오일 또는 실리콘 이형제 등이 적용 가능하고, 상기 건조는 자연건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원형틀(220)로부터 후술하는 실리콘틀(300)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쪼갬볼(400)을 설치한다(S40).
여기서, 상기 쪼갬볼(400)은 적절한 다수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형틀(220)의 표면에 소정 두께의 실리콘층(310)이 형성되도록 실리콘을 도포한 후 경화시킨다. 여기서, 실리콘층(310)의 경도 증가를 위해서는 상기 도포되는 실리콘에 경화제를 추가시킬 수 있다.
상기한 작업을 1회 이상 반복한 후 실리콘층(310)의 표면에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부직포 등의 보강천(320)을 덧댄다. 그 후, 전술한 실리콘 도포와 경화시키는 작업을 적어도 3회 이상 반복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일정 이상의 경도를 가지는 실리콘틀(300)을 생성시킨다(S50).
이어서, 상기 쪼갬볼(400)을 이용하여 실리콘틀(300)을 원형틀(220)로부터 분리시킨다(S60).
이때, 상기 실리콘틀(300)의 내면에는 상기 S20 단계에 의해 다양한 질감이 표현된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 실리콘틀(300)의 내면에 이형제를 도포하고 수지층과 유리섬유층 을 적층시켜 장식재(100)를 생성시킨다(S70).
자세하게는, 이형제가 도포된 상기 실리콘틀(300)의 내면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플라스틱 수지층(110)을 도포하고 그 위에 순차적으로 유리섬유층(120)과 제2 플라스틱 수지층(130)을 도포하여 적층시킨 후 경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플라스틱 수지층(110,130)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Unsaturated polyester) 수지와 탈크(TALC)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리섬유층(120)은 장식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수지층 사이에 적층된다.
한편, 제1, 제2 플라스틱 수지층(130), 유리섬유층(120)이 적층된 두께는 실리콘틀(300)의 내면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유리섬유층(120)은 제1 플라스틱 수지층(110)이 충분히 경화된 후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플라스틱 수지층(130)의 표면은 기둥의 외벽에 접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 플라스틱 수지층(130)의 도포시에는 붓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기포가 제거된 상태로 적층되게 하여 상기 기둥의 외벽에 접하게 되는 접촉면을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좀 더 밀착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장식재(100)를 상기 실리콘틀(300)로부터 분리시킨다(S80).
이때, 상기 제1 플라스틱 수지층(110)의 표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에 의한 다양한 질감이 표현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재(100)의 표면에 화강암 등의 질감표현을 위해 도색을 한다(S90). 즉, 상기 제1 플라스틱 수지층(110)의 표면에 페인트 또는 에나멜 등의 도료를 이용하여 도색한다.
여기서, 상기 도색작업을 하기 전에 아세톤 등을 이용하여 제1 플라스틱 수지층(110)의 표면을 세척하는 작업을 추가하여 페인트 등의 도료가 좀 더 용이하게 표면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도색작업은 순차적으로 바탕 도색, 질감표현 도색, 마감 도색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바탕 도색작업에서는 상기 제1 플라스틱 수지층(110)의 표면에 흑색의 도료를 도포한 후 일정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상기 질감표현 도색작업에서는 바탕 도색작업된 그 위에 동펄(Bronze pearl)도료와 우레탄 투명 도료를 3:10의 비율로 혼합한 도료를 붓을 이용하여 도색하고 좀 더 실제감있는 질감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그라데이션(Gradation)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마감 도색에서는 상기 동펄 도료에 포함된 동펄 입자가 좀 더 잘 흡착되도록 질감표현 도색작업된 그 위에 우레탄 투명 도료를 도포하여 마감한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서 제조된 장식재는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 또는 나사를 이용한 기계적 결합에 의해 기둥의 외벽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장식재가 기둥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형틀과 실리콘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리콘틀과 장식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분리된 장식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장식재
110: 제1 플라스틱 수지층 120: 유리섬유층
130: 제2 플라스틱 수지층 200: 목형
210: 점토 220: 원형틀
300: 실리콘틀 310: 실리콘층
320: 보강천 400: 쪼갬볼
C: 기둥

Claims (7)

  1. (a) 기둥을 감싸는 목형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목형의 표면에 점토를 부착시킨 후 질감표현을 하는 단계;
    (c) 상기 점토의 표면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 원형틀을 완성하는 단계;
    (d) 쪼갬볼을 설치하는 단계;
    (e) 실리콘을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작업을 다수회 반복한 후 보강천을 덧대고 실리콘 도포를 다수회 반복한 후 경화시켜 실리콘틀을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실리콘틀을 원형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g) 분리된 실리콘틀의 내면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수지층과 유리섬유층을 적층시켜 장식재를 생성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h) 상기 장식재를 상기 실리콘틀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i) 상기 장식재의 표면에 도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점토에 음각 및 양각을 하여 질감표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에서는 순차적으로 제1 플라스틱 수지층, 유리섬유층, 제2 플라스틱 수지층을 적층시켜 장식재를 생성시키는 특징으로 하는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플라스틱 수지층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탈크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는 순차적으로 바탕 도색, 질감표현 도색, 마감 도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질감표현 도색에서는 동펄(Bronze pearl) 도료와 우레탄 투명 도료를 3:10의 비율로 혼합한 도료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장식재.
  7. 제5항에 기재된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장식재.
KR1020080044031A 2008-05-13 2008-05-13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장식재 KR100971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031A KR100971786B1 (ko) 2008-05-13 2008-05-13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장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031A KR100971786B1 (ko) 2008-05-13 2008-05-13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장식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316A KR20090118316A (ko) 2009-11-18
KR100971786B1 true KR100971786B1 (ko) 2010-07-22

Family

ID=4160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031A KR100971786B1 (ko) 2008-05-13 2008-05-13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17B1 (ko) * 2011-08-30 2013-07-17 곽동창 기능성 에프알피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세정탑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8392A (zh) * 2011-12-23 2012-07-04 浙江鼎美电器有限公司 一种防氧化不变色局部拉丝扣板制备工艺
KR101337433B1 (ko) * 2012-09-21 2013-12-06 최종수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101377659B1 (ko) * 2012-11-01 2014-04-01 최종수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KR101401621B1 (ko) * 2012-11-22 2014-06-02 (주)안현엔지니어링 환경친화적 전주용 인조 외피의 제조 방법
CN109797951B (zh) * 2019-03-20 2023-09-22 常卫星 一种墙面图案装饰用硅胶模板及施工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6207A (ko) * 1991-02-28 1992-09-24 김인규 합성수지 가구문 제조방법
KR20010016079A (ko) * 2000-10-30 2001-03-05 박종탁 주물사 성형용 형틀 제조방법
KR20060115797A (ko) * 2005-05-06 2006-11-10 캔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장식용 조형물 제조방법
KR20080000897A (ko) * 2006-06-28 2008-01-03 김승현 친환경 가로등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6207A (ko) * 1991-02-28 1992-09-24 김인규 합성수지 가구문 제조방법
KR20010016079A (ko) * 2000-10-30 2001-03-05 박종탁 주물사 성형용 형틀 제조방법
KR20060115797A (ko) * 2005-05-06 2006-11-10 캔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장식용 조형물 제조방법
KR20080000897A (ko) * 2006-06-28 2008-01-03 김승현 친환경 가로등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17B1 (ko) * 2011-08-30 2013-07-17 곽동창 기능성 에프알피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세정탑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316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786B1 (ko)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장식재
WO2006007269A2 (en) Composite structures having the appearance of knotty wood and methods of making such structures
CN107009804A (zh) 一种雕塑的制作工艺
CN107447594B (zh) 一种3d墙纸及其制造方法
US200701878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constructing a mold for use in generating cast polymer products resembling natural stonework
KR101379975B1 (ko)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07621B1 (ko) 완성도가 높고 비용이 절감되는 콘크리트 조형물의 제조방법
KR100902599B1 (ko) 호마이카에 내장된 무늬를 형성한 장식용 판재 및 그제조방법
KR101131889B1 (ko) 유브이에 의한 장식패턴을 갖는 데코 글라스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데코 글라스
KR100791755B1 (ko) 장식 벽면 구축 공법
KR101663626B1 (ko) 자연 암석 형상의 조립식 방갈로 제조 방법
KR102503889B1 (ko) 나무무늬 거푸집 제조 방법
KR20190020413A (ko) 레진을 이용한 다층구조 제조공법
RU239121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ых изделий
RU2326008C1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окрытия и декоративное изделие (варианты)
KR200443528Y1 (ko) 그림이 연출되는 블록
US1789153A (en) Ornamental plaque and the like
CN201040907Y (zh) 镶嵌结构木地板
CN109516350A (zh) 一种用于电梯轿厢内部的装饰板及其制造方法
KR10106913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제조방법
CN201850727U (zh) 一种塑料装饰板
KR20170121809A (ko) 혼합실리콘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DE202006020340U1 (de) Kunststeinformkörper
CN1620187A (zh) 镶有皮饰的音箱及其制造方法
CN202467544U (zh) 水转印玻璃钢室内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