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659B1 -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 Google Patents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659B1
KR101377659B1 KR1020120122783A KR20120122783A KR101377659B1 KR 101377659 B1 KR101377659 B1 KR 101377659B1 KR 1020120122783 A KR1020120122783 A KR 1020120122783A KR 20120122783 A KR20120122783 A KR 20120122783A KR 101377659 B1 KR101377659 B1 KR 10137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otrusion
attachment portion
side anch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최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수 filed Critical 최종수
Priority to KR102012012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몰탈, 콘크리트몰탈, 황토, 맥반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에 의하여 폭은 좁고 길이는 길게 성형되며, 일정길이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 부착되는 직각형 부착부와, 상기 직각형 부착부를 기준하여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직각형 부착부를 기준하여 돌출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는 고정측 앵커부와, 상기 직각형 부착부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직각형 부착부와 지지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공간이 구성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 고정 부착되는 일자형 부착부와, 상기 일자형 부착부의 일단에는 일자형 부착부와 수평을 이룬 상태로 본체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지지공간으로 분리가능하게 삽입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끼움돌부와, 상기 일자형 부착부의 타단에는 끼움돌부의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본체의 내부로 매립되는 체결측 앵커부와 상기한 체결측 앵커부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돌출부와 수평을 이루는 위치까지 돌출되는 바닥형성돌기가 함께 형성되어 있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고정측 앵커부와 체결플레이트의 체결측 앵커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한 고정측 앵커부와 체결측 앵커부에 각각 결착되는 복수의 고정연결간;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Decoration block for construcyion materials}
본 발명은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벽 및 외벽에 부착되는 장식블록들을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되도록 연결 부착하므로써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장식블록을 벽면의 구조에 맞추어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징식블록의 표면에 다양한 요철무늬를 형성하여 건물의 내벽 및 외벽의 미관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잇돌록 하는 내·외장용 장식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벽 및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내,외장용 블록들은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제조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러한 내,외장용 블록들은 시멘트몰탈을 이용하여 내벽 및 외벽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상하좌우로 적층 및 배열하는 방법으로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내,외장용 블록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시멘트몰탈을 벽면에 바르면서 부착시켜야 하므로 내,외장용 블록의 설치작업 현장에는 시멘트몰탈이 떨어져 주변바닥을 지저분하게 하며, 바닥에 떨어진 시멘트몰탈이 굳게 될 경우에는 그것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인력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종래의 내,외장용 블록은 벽면에 부착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면에 발라 놓은 시멘트몰탈에 블록을 차례대로 밀착시키고, 또 블록의 상면 및 좌,우측에 시멘트몰탈을 일정두께로 도포하고 블록을 쌓아주거나 밀착 배열하는 방법으로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어렵기 때문에 숙련자가 아닌 비숙련자의 경우에는 내,외장용 블록을 설계대로 설치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종래의 내,외장용 블록은 상,하측 및 좌,우측에 적층, 배열되는 블록들은 시멘트몰탈의 접착력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측 및 좌,우측에 배열 설치되는 블록들이 서로 떨어진 상태로는 설치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내,외장용 블록 자체는 중량물이므로 벽면에 일정두께로 발라놓은 시멘트몰탈의 접착력만으로는 블록을 견고한 상태로 부착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건물의 내벽 및 외벽에 내,외장용 블록 자체를 부착 고정시킬 수 있고 이웃하는 블록끼리 서로 맞물린 상태로 연결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내,외장용 블록을 건물의 벽면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외장용 블록은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건물의 벽면 구조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외장용 블록의 표면에 다양한 요철무늬를 형성하여 건물의 내벽 및 외벽을 블록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무늬를 이용하여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도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건물의 내벽 및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장식블록에 있어서,
상기 장식블록은,
시멘트몰탈, 콘크리트몰탈, 황토, 맥반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에 의하여 폭은 좁고 길이는 길게 성형되며, 일정길이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 부착되는 직각형 부착부와, 상기 직각형 부착부를 기준하여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직각형 부착부를 기준하여 돌출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는 고정측 앵커부와, 상기 직각형 부착부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직각형 부착부와 지지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공간이 구성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 고정 부착되는 일자형 부착부와, 상기 일자형 부착부의 일단에는 일자형 부착부와 수평을 이룬 상태로 본체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지지공간으로 분리가능하게 삽입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끼움돌부와, 상기 일자형 부착부의 타단에는 끼움돌부의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본체의 내부로 매립되는 체결측 앵커부와 상기한 체결측 앵커부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돌출부와 수평을 이루는 위치까지 돌출되는 바닥형성돌기가 함께 형성되어 있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고정측 앵커부와 체결플레이트의 체결측 앵커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한 고정측 앵커부와 체결측 앵커부에 각각 결착되는 복수의 고정연결간;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표면에는 울퉁불퉁하게 돌출 및 요입되는 요철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돌출부에는 타정못이나 나사못을 일정간격으로 박아줄 수 있도록 V자형으로 요입된 타정못 기준선이 본체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직각형 부착부와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일자형 부착부 각각에는 본체를 시멘트몰탈, 콘크리트몰탈, 황토, 맥반석 중 선택된 하나의 재료로 성형할 때 상기 본체의 양단 끝부분에서 재료가 누설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지지돌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내부 및 외부 벽면에 장식블록을 연속해서 연결되도록 설치함에 있어 각각의 장식블럭들은 벽면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벽면의 구조에 맞추어 각 장식블록들을 상,하 및 좌,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각 장식블록들은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되도록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의 장식블록은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벽면의 구조에 맞추어 장식블록의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장식블록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식블럭에 매립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체결플레이트의 연결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식블록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식블록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장식블록 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장식블록을 나타낸다.
상기 장식블록(1)은 본체(2)와, 고정플레이트(3)와, 체결플레이트(4) 및 고정연결간(5)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는 시멘트몰탈, 콘크리트몰탈 및 황토, 맥반석 등의 재료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로 구성되며, 폭은 6∼50cm 정도로 좁고 길이는 200∼400cm 정도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와 체결플레이트(4) 각각은 본체(2)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미도시)에 선택된 재료(시멘트몰탈, 콘클리트몰탈, 황토, 맥반석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타설하여 충진시키는 작업공정 중에 일부는 본체(2)에 매립되고 일부는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인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정플레이트(3)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는 본체(2)의 일측에 면접촉된 상태로 부착되는 직각형 부착부(31)를 기준하여 볼 때 상기 본체(2)의 바닥면(21)과 수평한 상태로 노출되면서 외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32)와, 상기 돌출부(3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본체(2)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측 앵커부(3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3)에는 돌출부(32)에서 직각형 부착부(31)을 향해 돌출하는 지지돌기(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돌기(34)와 직각형 부착부(31) 사이에는 지지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3)의 돌출부(32)에는 단면이 V자형으로 된 타정못 기준선(36)이 본체(2)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타정못 기준선(36)은 타정못이나 나사못 등을 박아줄 때 그 박아주는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므로써 복수의 타정못 등을 일직선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박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체결플레이트(4)에 대하여 살펴 본다.
상기 체결플레이트(4)는 본체(2)의 타측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부착되는 일자형 부착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자형 부착부(41)의 일측 끝단(도면상 좌측부분)에는 본체(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3)에 형성된 지지공간(35)으로 삽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끼움돌부(42)가 수평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자형 부착부(41)의 타측 끝단(도면상 우측부분)에는 체결측 앵커부(43)와 바닥형성돌기(44)가 동시에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한 체결측 앵커부(43)는 본체(2)에 매립되도록 상기 본체(2)의 내부를 향해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닥형성돌기(44)는 체결측 앵커부(43)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되, 그 하단이 본체(2)의 바닥면(21)과 수평을 이루는 위치까지 돌출되어 있다.
상기에 살펴 본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3)의 돌출부(32)와 체결플레이트(4)에 형성된 바닥형성돌기(44)의 하단은 본체(2)의 바닥면(21)과 수평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의 고정측 앵커부(33)와 상기 체결플레이트(4)의 체결측 앵커부(43)는 복수의 고정연결간(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연결간(5)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2)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측 앵커부(33)와 체결측 앵커부(43)를 일정간격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고정연결간(5) 각각의 양단은 리벳(51) 또는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고정측 앵커부(33)와 체결측 앵커부(43)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크(3)의 직각형 부착부(31) 및 상기 체결플레이트(4)의 일자형 부착부(41) 각각에는 상기 본체(2)의 양측 끝부분에서 재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부(37)(45)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장식블록(1)은 본체(2)를 시멘트몰탈, 콘클리트몰탈, 황토, 맥반석 등의 재료로 성형할 때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본체(2)의 표면을 밋밋한 모양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도 2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체(2)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모양을 표현하는 요철무늬(2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식블록(1)은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체(2)를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체(2)를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식블록(1)을 제조 및 설치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장식블록(1)을 제조할 때에는 도시하지 아니한 성형틀에 시멘트몰탈, 콘크리트몰탈, 황토, 맥반석 등의 재료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재료를 타설하여 충진시킨 작업공정으로 본체(2)를 성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성형틀에 충진되는 재료가 굳기 전(경화되기 전)에 고정플레이트(3)의 고정측 앵커부(33) 및 체결플레이트(4)의 체결측 앵커부(43)를 각각 성형틀에 충진되어 있는 재료에 매립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플레이트(3)는 직각형 부착부(31)가 본체(2)의 일측 끝부분(도면상 우측 끝부분)에 면접촉하도록 눌러주며, 상기 체결플레이트(4)는 일자형 부착부(41)가 본체(2)의 타측 끝부분(도면상 좌측 끝부분)에 면접촉하도록 눌러주는 작업공정으로 본체(2)를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2)를 성형하는 성형틀 속에 재료를 타설 및 충진시키고, 이어서 고정플레이트(3) 및 체결플레이트(4)를 동시에 눌러주게 될 때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3)의 직각형 부착부(31)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돌부(37)는 본체(2)의 일측 끝부분(도면상 우측 끝부분)으로 재료가 누설되는 방지하게 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4)의 일자형 부착부(31)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돌부(45)는 본체(2)의 일측 끝부분(도면상 우측 끝부분)으로 재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체(2)를 성형하는 성형틀 속에 타설 및 충진된 재료에 고정플레이트(3) 및 체결플레이트(4) 각각의 앵커부(33)(43)가 충진된 재료에 매립되도록 눌러주면서 재료를 타설하여 본체(2)를 성형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3)의 돌출부(32) 및 체결플레이트(4)의 바닥형성돌기(44)에 재료가 수평을 이루도록 타설하는 방법으로 본체(2)를 성형하게 되면 본체의 바닥면(21)을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장식블록(1)을 제조할 때 다양한 무늬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무늬지(미도시)를 성형틀(미도시)의 내면에 깔아놓고 본체(2)를 성형한 후 탈형하게 되면 본체(2)의 표면에는 상기한 요철무늬지(미도시)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탈형되는 것이며, 이어서 탈형된 본체(2)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요철무늬지를 떼어내게 되면 상기 본체(2)의 표면에는 요철무늬지에 형성되어 있던 다양한 요철형상에 의하여 본체(2)의 표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철무늬(22)가 입체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장식블럭(1)의 설치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장식블록(1)을 벽면(W)에 고정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면상 좌측의 장식블록(1-1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로 설명함)의 본체(2)의 바닥면(21)을 벽면(W)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돌출부(32)에 V자형으로 형성된 타정못 기준선(36)을 기준하여 복수의 타정못(6 : 실선부분 참조)을 일정간격으로 박아주게 되면 도면상 좌측의 장식블럭(1-1)은 벽면(W)에 고정 부착되는 것이다.
이어서, 벽면(W)에 고정 부착된 도면상 좌측의 장식블록(1-1)의 본체(2) 일측(도면상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3)의 돌출부(32) 위에 도면상 우측의 장식블록(1-2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로 설명함)의 본체(2)에 형성된 체결플레이트(4)의 일자형 부착부(41)가 위치하도록 조립함에 있어 상기 체결플레이트(4)의 끼움돌부(42)를 좌측의 장식블록(1-1)의 고정플레이트(3)에 형성된 직각형 부착부(31)와 지지돌기(34) 사이를 통해 지지공간(35)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서로 이웃하는 좌,우측의 장식블록(1-)(1-2) 각각은 지지공간(35)과 이에 삽입되는 끼움돌기(42)에 의하여 서로 맞물린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조립되는 도면상 우측의 장식블록(1-2)의 돌출부(32)에 형성된 타정못 기준선(36)에 일정간격으로 타정못(6 : 가상선부분 참조)이나 나사못 등을 박아주게 되면 우측의 장식블록(1-2)도 벽면(W)에 고정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벽면(W)에 고정 부착된 장식블록(1)의 지지공간(35) 속으로 다음 차례로 조립하고자 하는 장식블럭(1)의 끼움돌기(42)를 삽입시킨 후 다음 차례로 조립되는 장식블록(1)의 고정플레이트(3)에 형성된 돌출부(32)를 타정못(6)으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벽면(W)에 부착 설치되는 복수의 장식블록(1)들은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맞물린 상태로 견고하게 조립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식블록(1)은 건물의 1층 높이와 같은 길이로 제조되어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각층 구조에 따라 장식블록(1)의 길이를 절단 조절하여 내,외벽에 부착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장식블록(1)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벽면(W)에 고정 부착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벽면(W)에 설치되는 창문 등의 구조에 맞추어 장식블록(1)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식블록(1)은 본체(2)의 표면에 다양한 입체적인 모양을 표현하는 요철무늬(2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건물의 내,외부 벽면에 다양한 입체적인 무늬모양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1 : 장식블록 2 : 본체
21 : 바닥면 22 : 요철무늬
3 : 고정플레이트 31 : 직각형 부착부
32 : 돌출부 33 : 고정측 앵커부
34 : 지지돌기 35 : 지지공간
36 : 타정못 기준선 37,45 : 지지돌부
4 : 체결플레이트 41 : 일자형 부착부
42 : 끼움돌부 43 : 체결측 앵커부
44 : 바닥형성돌기 5 : 고정연결간
6 : 타정못

Claims (4)

  1. 건물의 내벽 및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장식블록에 있어서,
    상기 장식블록은,
    시멘트몰탈, 콘크리트몰탈, 황토, 맥반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에 의하여 폭은 좁고 길이는 길게 성형되며, 일정길이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 부착되는 직각형 부착부와, 상기 직각형 부착부를 기준하여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직각형 부착부를 기준하여 돌출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는 고정측 앵커부와, 상기 직각형 부착부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직각형 부착부와 지지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공간이 구성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 고정 부착되는 일자형 부착부와, 상기 일자형 부착부의 일단에는 일자형 부착부와 수평을 이룬 상태로 본체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지지공간으로 분리가능하게 삽입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끼움돌부와, 상기 일자형 부착부의 타단에는 끼움돌부의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본체의 내부로 매립되는 체결측 앵커부와 상기한 체결측 앵커부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돌출부와 수평을 이루는 위치까지 돌출되는 바닥형성돌기가 함께 형성되어 있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고정측 앵커부와 체결플레이트의 체결측 앵커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한 고정측 앵커부와 체결측 앵커부에 각각 결착되는 복수의 고정연결간;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표면에는 울퉁불퉁하게 돌출 및 요입되도록 형성되는 요철무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돌출부에는 타정못이나 나사못을 일정간격으로 박아줄 수 있도록 V자형으로 요입된 타정못 기준선이 본체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지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직각형 부착부와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일자형 부착부 각각에는 본체를 시멘트몰탈, 콘크리트몰탈, 황토, 맥반석 중 선택된 하나의 재료로 성형할 때 상기 본체의 양단 끝부분에서 재료가 누설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지지돌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KR1020120122783A 2012-11-01 2012-11-01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KR101377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83A KR101377659B1 (ko) 2012-11-01 2012-11-01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83A KR101377659B1 (ko) 2012-11-01 2012-11-01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659B1 true KR101377659B1 (ko) 2014-04-01

Family

ID=5065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783A KR101377659B1 (ko) 2012-11-01 2012-11-01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6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64A (ko) * 2000-05-30 2000-10-05 신홍대 은타일 제조방법 및 은타일
KR20020062254A (ko) * 2002-06-25 2002-07-25 오병춘 건축물 실내 인테리어용 내장마감재와 그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834507B1 (ko) * 2008-01-29 2008-06-02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용 테라코타 입체 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입체타일
KR20090118316A (ko) * 2008-05-13 2009-11-18 최경주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장식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64A (ko) * 2000-05-30 2000-10-05 신홍대 은타일 제조방법 및 은타일
KR20020062254A (ko) * 2002-06-25 2002-07-25 오병춘 건축물 실내 인테리어용 내장마감재와 그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834507B1 (ko) * 2008-01-29 2008-06-02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용 테라코타 입체 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입체타일
KR20090118316A (ko) * 2008-05-13 2009-11-18 최경주 기둥 장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둥장식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35309A1 (en) Panel veneer systems
AU2002302249B2 (en) Panel, kit and method for forming a masonry wall
US8627625B2 (en) Masonry wall panel for retaining bricks
US8806826B2 (en) Locking panel veneer system
US20080222986A1 (en) Exterior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CA2258241A1 (en) Expansion joint guide for masonry walls
US20140144092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tile floor
KR101377659B1 (ko)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KR200465477Y1 (ko) 건축용 영구 거푸집
KR200451517Y1 (ko) 황토벽 설치 구조물 및 황토벽의 시공방법
KR101477214B1 (ko)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37433B1 (ko)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JPH09112029A (ja) ポリスチレン系発泡体製断熱パネル
KR20120027659A (ko) 타일 시공장치
CA2581604C (en) Exterior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KR200459623Y1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KR101791545B1 (ko)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KR20200076306A (ko) 조적용 스페이서
CA2749337C (en) A masonry wall panel for retaining bricks
KR101383074B1 (ko)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JP2786412B2 (ja) 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外装パネル被覆構造及び被覆施工方法
KR101125552B1 (ko) 건축구조물의 벽체 시공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RU131404U1 (ru) Облицовочная плитка (варианты)
RU56428U1 (ru) Фасадная плита "ра-дом"
JP2659680B2 (ja) 壁構築用セパ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