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507B1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적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적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507B1
KR100971507B1 KR20080038745A KR20080038745A KR100971507B1 KR 100971507 B1 KR100971507 B1 KR 100971507B1 KR 20080038745 A KR20080038745 A KR 20080038745A KR 20080038745 A KR20080038745 A KR 20080038745A KR 100971507 B1 KR100971507 B1 KR 100971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xaminee
medical
portable terminal
databas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3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944A (ko
Inventor
하규섭
정진엽
이학종
김주영
이기헌
이철희
한순화
변남수
이민호
제훈
김승범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이지케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이지케어텍(주)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to KR2008003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50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50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강 검진을 받고자하는 수진자가 병원 내에서 검사실 안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수진자 자신에 대한 과거 진료 기록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은, 개별 수진자의 진료 기록 정보와 개별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개별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검사실 컴퓨터, 특정 수진자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특정 수진자의 진료 기록 정보를 검색하고, 일정 주기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특정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검색하는 운영 서버, 및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수진자의 진료 기록 정보와 상기 특정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전송받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38745
건강 검진, 휴대용 단말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운영 서버, 근거리 통신망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A medical information offer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and a medical information offer system adapt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강 검진을 받고자하는 수진자가 병원 내에서 검사실 안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수진자 자신에 대한 과거 진료 기록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종이 차트로 관리되던 의무 기록 관리 방식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병원에서 발생하는 모든 의료 정보를 일체의 수정 없이 모두 전산화하는 방식을 전자 의무 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방식이라 한다. 이러한 전자 의무 기록 방식은 환자를 진료하면서 발생하는 모든 형태의 의료 정보, 예를 들어, 환자별 건강 상태, 환자별 병력, 환자별 검사 결과, 환자별 처방 결과, 환자별 약물 반응, 환자별 입원/퇴원 기록 등을 일정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전자 의무 기록 방식은 병원 경쟁력 강화 차원, 의료 환경 개선 차원, 및 임상 연구 데이터 확보 차원에서 매우 바람직한 방식이다. 특히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면 업무의 효율성 개선, 의료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향상, 의료사고 방지, 및 의사결정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전자 의무 기록 방식에 의해 전산화된 데이터는 병원 관계자들 사이에서만 이용될 뿐 과거 진료 기록 등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어하는 환자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종합 병원 또는 대학 병원 등에 구비된 건강 증진 센터에서 수행하는 종합 건강 검진 서비스는, 정해진 검사 순서에 따라 수진자를 해당 검사실로 안내하고, 각각의 검사실에서 입실 순서에 따라 수진자를 일일이 호명하고, 호명된 순서에 따라 의료진이 수진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종합 검진을 받는 수진자가 많은 경우에는 건강 증진 센터가 매우 혼잡스러워지고 이로 인해 종합 검진을 받고 있는 수진자도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종합 병원 또는 대학 병원 내에서 건강검진을 받는 수진자가 관리자 또는 의료진의 도움없이도 자신이 이동해야할 검사실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고, 전자 의무 기록 방식으로 저장된 과거 진료 기록을 제공받아 자신의 과거/현재 의료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자신이 받고자하는 검사에 관한 정보와 검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질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강 검진을 받는 수진자가 의료진의 도움없이도 검사 진행 순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고, 과거 진료 기록과 같은 개별 환자에게 특화된 진료 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으며, 진행할 검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손쉽게 조회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은,
개별 수진자의 진료 기록 정보와 개별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개별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검사실 컴퓨터, 특정 수진자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특정 수진자의 진료 기록 정보를 검색하고, 일정 주기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특정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검색하는 운영 서버, 및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수진자의 진료 기록 정보와 상기 특정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전송받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검사실 컴퓨터 및 상기 운영 서버와 근거리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운영 서 버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검사 안내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특정 수진자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검사 안내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검사 안내 정보를 전송받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전체 수진자에 대한 검사 현황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검사실 컴퓨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검사 현황 정보를 조회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송받아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진자가 건강 검진을 시작하는 시점에 관리자에 의해 배부되고 수진자가 건강 검진을 종료하는 시점에 관리자에 의해 회수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은,
운영 서버가 고유 식별 번호로 로그인이 수행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과거 진료 기록의 조회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운영 서버가 상기 고유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과거 진료 기록을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검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 서버가 상기 고유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호출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검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출 메시지는, 개별 수진자가 이동하여야 할 검사실에 관한 안내 정보를 포함하며, 건강 검진을 위한 검사실에 있는 의료진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출 메시지는, 상기 운영 서버가 소정 시간 간격마다 자동으로 검색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검색한 호출 메시지를 그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번호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은, 수진자가 건강 검진을 받을 때 건강 검진을 받는 검사실을 안내하기 위한 호출 메시지가 개인에게 배부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되어 편리하게 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의료진의 도움없이도 자신의 과거 진료 기록을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어 정보 제공에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 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검사실 컴퓨터(110), 데이터베이스 서버(120), 운영 서버(130), 및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검사실 컴퓨터(110)는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고자하는 수진자가 일정한 순서에 따라 방문해야 할 검사실에 존재하는 컴퓨터이다. 검사실 컴퓨터(110)는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된다. 검사실 컴퓨터(110)는 특정 검사를 완료한 수진자를 해당 검사실로 호출하기 위한 호출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관리실 컴퓨터가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는 모든 수진자에 대한 개인 기록 데이터 및 검사 이력 데이터를 독립 영역으로 저장하며 일반적인 검사 안내 정보와 질환 설명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는 검사실 컴퓨터(110)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는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운영 서버(130)에 접속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는 운영 서버(130)의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운영 서버(130)에 전송한다.
운영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휴대 용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운영 서버(130)는 휴대용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운영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에 저장된 호출 데이터를 스캔하여 휴대용 단말기(140)에 호출 데이터를 전송한다. 운영 서버(130)는 무선 네트워크 망(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망 포함)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40)에 연결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40)는 운영 서버(13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ce)이다. 휴대용 단말기(140)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후 관리자로부터 수진자에게 배부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40)는 병원 내에서 사용가능한 단말기로서 건강 검진을 받고자하는 모든 수진자에게 배부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40)는 전자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알 에프 아이디 리더 모듈을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복수 개의 검사실(210), 전자 의무 기록 관리실(220), 운영 서버 관리실(230), 중계 장치(240), 및 휴대용 단말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검사실(210)은 병원에 접수한 수진자가 건강 검진을 받는 장소로서, 초음파 검사실, 심전도 검사실, 시청각 검사실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검사실들이 포함될 수 있다. 검사실(210)에는 해당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의료진(간호사 포함)이 있으 며 전체 수진자의 현재 검사 현황을 조회하고, 해당 검사의 시작 및 종료 여부를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가 존재한다. 검사실(210)은 유선 통신망을 통해 특정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전자 의무 기록 관리실(22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의무 기록 관리실(220)은 의료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로서, 각각의 수진자에 대한 과거 진료 데이터와 일반적인 의학 지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의무 기록 관리실(220)은 전체 수진자의 현재 검사 현황을 저장하고, 개별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의무 기록 관리실(220)은 유선 통신망을 통해 특정 수진자에 대한 필수 의무 기록 데이터, 과거 진료 기록 데이터, 검사 정보 데이터 등을 서버 관리실(230)에 전송할 수 있다.
운영 서버 관리실(230)은 사용자 요청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장소로서, 전자 의무 기록 관리실(220)에 저장된 의료 관련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250)에 전송할 수 있다. 운영 서버 관리실(230)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운영 서버 관리실(230)은 중계 장치(24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25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 장치(240)는 병원 내에서 원활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이다.
휴대용 단말기(250)는 각각의 수진자에게 제공되는 장치로서, 각각의 수진자의 환자 번호와 비밀 번호를 바탕으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단말기이다. 사용자 인증은 보안 유지를 위해 관리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50)는 운영 서버 관리실(230)로부터 해당 수진자에 대한 과거 검사 기록과 검사 안내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50)는 운영 서버 관리실(230)로부터 일반적 인 검사 설명 정보와 일반적인 질환 설명 정보도 전송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수진자 정보 섹션(310), 개인 기록 섹션(320), 검사 이력 섹션(330), 검사 정보 섹션(340), 질환 정보 섹션(350), 및 수진자 호출 섹션(360)을 포함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수진자 정보 섹션(310)은 수진자 아이디, 수진자 비밀번호, 수진자 이름, 수진자 나이, 수진자 성별 등을 저장한다. 개인 기록 섹션(320)은 수진자 신장, 수진자 체중, 수진자 혈압, 수진자 체-질량 지수, 수진자 체-지방율 등을 저장한다. 검사 이력 섹션(330)은 검사 코드, 검사 이름, 검사 방법, 검사 결과 등을 저장한다. 상기 섹션들(310~330)은 각각의 수진자에 대한 개별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각각의 수진자마다 할당된 독립적인 메모리 영역이다.
검사 정보 섹션(340)은 검사 코드, 검사 명칭, 검사 내용 등을 저장한다. 질환 정보 섹션(350)은 질환 코드, 질환 명칭, 질환 내용 등을 저장한다. 상기 섹션들(340~350)은 일반적인 의료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공통된 메모리 영역이다. 수진자 호출 섹션(360)은 호출한 검사실 코드, 호출한 검사실 이름, 호출 메시지, 수진자 아이디, 호출 시각 등을 저장한다. 수진자 호출 섹션(360)은 의료진이 해당 수진자를 해당 검사실로 호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 면이다.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서버에 수진자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410).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의 수진자에게 부여되는 단말기로서, 건강 검진을 예약한 수진자가 병원을 방문하면 해당 수진자에게 배부되는 개인용 단말기이다. 다만, 개인용 단말기는 건강 검진이 완료되면 다시 병원에 반납해야 한다. 수진자 인증 정보는 수진자의 환자 번호와 비밀 번호가 포함된다. 수진자 인증 과정은 병원 관계자에 의해 수행되고 정상적인 수진자 인증이 완료된 후 수진자에게 배포된다.
웹 서버에서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송된 수진자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430). 수진자 인증 정보가 암호화된 경우 이를 복호화한 후 인증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판단결과 유효한 인증 정보가 아닌 경우, 에러 메시지를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한다(420). 판단결과 유효한 인증 정보인 경우, 웹 서버가 해당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세션을 연결한다(440). 통신 세션은 해당 휴대용 단말기와 독립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이다.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수진자 인증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수진자 기본 정보를 검색한다(450). 수진자 인증 정보에는 환자 번호가 포함되므로 환자 번호를 바탕으로 분류된 수진자 기본 정보를 검색한다. 환자 번호와 대응하는 수진자 기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한다(460). 수진자 기본 정보에는 수진자 신장, 체중, 혈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판독한 수진자 기본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한다(470).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수진자가 해당 병원에서 배부받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서버에 자신의 과거 기록 정보의 조회를 요청한다(510).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 망을 통해 웹 서버와 세션이 연결된 단말기이다. 과거 기록 정보는 해당 수진자가 이전에 수행한 검사 항목에 대한 건강 검진 결과를 나타내며 의료진에 의한 종합 판정 결과(권유 사항)를 포함한다. 따라서, 해당 수진자가 해당 병원에서 건강 검진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 과거 기록 정보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웹 서버가 세션을 연결할 때 사용한 환자 번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수진자의 과거 기록 정보를 검색한다(520). 과거 기록 정보는 해당 수진자에게 할당된 의료 기록 테이블에 존재할 수 있다. 웹 서버가 의료 기록 테이블에서 해당 수진자의 과거 기록 정보를 판독한다(530). 웹 서버가 판독한 과거 기록 정보를 수진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한다(540). 휴대용 단말기는 웹 서버로부터 전송된 과거 기록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진자가 해당 병원에서 배부받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서버에 질환 검사 정보의 조회를 요청한다(610).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 망을 통해 웹 서버와 세션이 연결된 단말기이다. 질환 검사 정보는 일반적인 의료 관련 데이터로서, 질환의 종류, 검사 방법, 검사 내용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수진자는 건강 검진에서 수행하게 될 검사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원하는 경우 휴대 용 단말기를 통해 웹 서버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웹 서버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 검사 정보를 검색한다(620). 질환 검사 정보는 검사 코드 또는 질환 코드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 질환 검사 정보는 해당 수진자와 상관없는 의료 기록 테이블에 존재할 수 있다. 웹 서버가 의료 기록 테이블에서 질환 검사 정보를 판독한다(630). 웹 서버가 판독한 과거 기록 정보를 수진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한다(640). 휴대용 단말기는 웹 서버로부터 전송된 질환 검사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당 검사실에 있는 의료진 또는 검사 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저장한다(710). 호출 메시지는 해당 수진자가 특정 검사실로 이동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선행 행위를 나타내는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호출 메시지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해당 수진자에 대해 할당된 영역에 저장된다. 호출 메시지의 저장은 이전 검사의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 서버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여 호출 메시지를 검색한다(720). 웹 서버가 수행하는 검색은 수진자의 요청에 따른 검색이 아니라 웹 서버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검색이다. 웹 서버가 해당 수진자의 호출 메시지 영역에서 호출 메시지를 판독한다(730). 웹 서버가 판독한 호출 메시지를 수진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한다(740). 휴대용 단 말기는 웹 서버로부터 전송된 호출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좌측 도면에는 사용자 로그인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우측 도면에는 사용자 로그 아웃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화면은 수진자에게 배부된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 화면이다.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환자 번호와 비밀 번호가 필요하고, 로그 아웃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비밀번호가 필요하다. 로그인 과정과 로그 아웃 과정은 모두 휴대용 단말기를 수진자에게 배부하는 관리자에 의해 수행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좌측 도면에는 검사실 안내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우측 도면에는 검사 안내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검사실 안내는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소를 알리기 위해 사용되며, 검사 안내는 진단을 받게 될 검사를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검사실 안내와 검사 안내는 수진자의 요청에 관계없이 수행된다. 검사실 안내 메시지와 검사 안내 메시지는 의료진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면 운영 서버가 이를 스캔하여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좌측에서 첫 번째 도면에는 종합 판정치를 나타내는 인터 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두 번째 도면에는 과거 검사 기록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세 번째 도면에는 검사 안내 정보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네 번째 도면에는 질환별 정보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는 모두 수진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이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 예를 들면,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 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0)

  1. 개별 수진자의 진료 기록 정보와 개별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개별 수진자에 대한 검사의 시작 및/또는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개별 수진자를 해당 검사실로 호출하기 위한 호출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검사실 컴퓨터;
    특정 수진자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특정 수진자의 진료 기록 정보를 검색하고, 일정 주기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특정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검색하며, 상기 호출 메세지가 검색된 경우 이를 전송하는 운영 서버; 및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수진자의 진료 기록 정보와 상기 특정 수진자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전송받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개별 수진자마다 독립적으로 할당되며, 각각의 수진자의 개인 정보 및 검사 이력 등을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영역;
    일반 의료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통된 메모리 영역으로서, 검사 코드 및 명칭을 포함하는 검사 정보와 질환 코드 및 질환 명칭을 포함하는 질환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영역; 및
    상기 호출 메세지를 전송한 검사실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운영 서버에 의해 상기 일정 주기마다 주기적으로 검색되는 제3 메모리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검사실 컴퓨터 및 상기 운영 서버와 근거리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운영 서버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검사 안내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특정 수진자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검사 안내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검사 안내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전체 수진자에 대한 검사 현황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검사실 컴퓨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검사 현황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송받아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진자가 건강 검진을 시작하는 시점에 관리자에 의해 배부되고 수진자가 건강 검진을 종료하는 시점에 관리자에 의해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의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20080038745A 2008-04-25 2008-04-25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적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KR100971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8745A KR100971507B1 (ko) 2008-04-25 2008-04-25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적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8745A KR100971507B1 (ko) 2008-04-25 2008-04-25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적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44A KR20090112944A (ko) 2009-10-29
KR100971507B1 true KR100971507B1 (ko) 2010-07-21

Family

ID=4155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38745A KR100971507B1 (ko) 2008-04-25 2008-04-25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적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3228A2 (en) * 2010-05-11 2011-11-17 Adil Akhta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4474A (ja) * 2001-04-04 2002-10-18 Medicare Kumamoto:Kk 検査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2003178138A (ja) * 2001-12-07 2003-06-27 Olympus Optical Co Ltd データ受渡し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2004145595A (ja) * 2002-10-24 2004-05-20 Toshiba Corp 病院内メッセージサービス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4474A (ja) * 2001-04-04 2002-10-18 Medicare Kumamoto:Kk 検査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2003178138A (ja) * 2001-12-07 2003-06-27 Olympus Optical Co Ltd データ受渡し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2004145595A (ja) * 2002-10-24 2004-05-20 Toshiba Corp 病院内メッセージサービス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44A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8789B2 (ja) サイトスタートアップ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JP3926778B2 (ja) 医療情報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657175B2 (en) Patient medical data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n external device
KR100996721B1 (ko) 알 에프 아이디 태그와 휴대용 정보 수신장치를 이용한건강 검진 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US200600471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iage of emergency patients
US10446274B2 (en) Open healthcare apparatus and method
JP2007535979A (ja) 医療過誤監視システムおよび医療過誤監視装置
JP2003067506A (ja) 医療・健康情報共有利用システム、データ管理センタ、端末、医療・健康情報共有利用方法、医療・健康情報共有利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医療・健康情報検索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CN104718550A (zh) 用于管理具有远程医疗和健康监测设备特征的个人健康记录的方法和系统
JP2002092235A (ja) 医療機関紹介システムと方法
JP2007094943A (ja) 特定疾患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10087220A (ko)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JP2003167960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CN111192674A (zh) 用于交换健康数据的方法和设备
US11545261B2 (en) Hospital healthcare provider monitoring and verifying device and system for patient care condition
KR100971507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적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KR20110128492A (ko) 진료 대기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진료 대기 관련 서비스 방법
JP6530896B2 (ja) 診療記録転送システム及び診療記録転送方法
CN113192587A (zh) 一种基于人员流动实现区域数据共享的方法、存储介质及系统
JP2007304661A (ja) 電子カルテサーバ、複数施設記録表示方法、及び複数施設記録表示プログラム
CN114450756A (zh) 医疗装置、系统以及方法
KR100614033B1 (ko) 온라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092175A (ja) 健康相談システム、端末装置、健康相談システムの記録媒体、及び健康相談方法
JP5783544B1 (ja) 医療会計システム及び医療会計方法
US20230352190A1 (en) Personal medical record system and method related to noncontact screening treatment for large-scale infectious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