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296B1 -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296B1
KR100971296B1 KR1020070110223A KR20070110223A KR100971296B1 KR 100971296 B1 KR100971296 B1 KR 100971296B1 KR 1020070110223 A KR1020070110223 A KR 1020070110223A KR 20070110223 A KR20070110223 A KR 20070110223A KR 100971296 B1 KR100971296 B1 KR 100971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selenonucleoside
organic solven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225A (ko
Inventor
정낙신
이상국
김혜옥
최원준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엠테라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엠테라퓨틱스 filed Critical (주)에프엠테라퓨틱스
Priority to KR1020070110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2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는 부작용을 갖는 제1 및 2 세대 뉴클레오시드의 산소, 황, 혹은 탄소 원자를 생체 내 이성체인 셀레늄으로 치환한 차세대 뉴클레오시드로, 생체 내에 투여시 부작용없이 사람의 위암세포, 섬유성육종암세포, 백혈암세포, 대장암세포 등의 성장 억제효과 및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생리활성이 뛰어나고, 부작용이 없는 항암제로써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78347707-pat00001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명세서상에 정의한 바와 같다.)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차세대 뉴클레오시드

Description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4'-selenonucleoside derivative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s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뉴클레오시드는 그 자체로서 항암, 항바이러스제의 개발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올리고 뉴크레오티드로 전환되어 안티센스 요법 혹은 유전자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왔다. 예를 들면, 생체 내에 존재하는 유리딘(uridine)은 강력한 B 형간염치료 효과가 있는 2'-데옥시-2'-플루오로아라보노퓨라노실 유라실(2'-deoxy-2'-fluoroarabonofuranosyl uracil; 2'-F-araU) 변형되거나, 에이즈 치료작용이 있는 3'-아지도-3'-데옥시유리딘(3'-azido-3'-deoxyuridine; AZDU)으로 변형되어 사용된다. 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세대 뉴클레오시드 유도체라 불리워지는 하기 화학식 Ⅰ의 4'-옥소뉴클레오시드는 임상에 사용되는 항암 또는 항바이러스제 의 개발에 큰 공헌을 해왔다. 그러나 내성의 출현, 독성 및 5원환 당의 분자수식의 포화로 제2 세대 뉴클레오시드의 도출이 절실하였다.
[식 Ⅰ]
Figure 112007078347707-pat00002
(상기 식에서, B는 유라실, 티민, 시토신이고,
X는 S 또는 -CH2-이다.)
새로운 템플레이트를 개발하려는 노력은 상기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제2 세대 뉴클레오시드인 4'-치오뉴클레오시드와 4'-카보뉴클레오시드의 발견을 가져왔다. 그러나, 4'-치오뉴클레오시드는 제1 세대 뉴클레오시드와 동일한 3'-엔도 컨포메이션(3'-endo conformation)을 취하지만 높은 독성 때문에 임상시험중인 물질이 극히 드문 실정이다. 4'-카보뉴클레오시드는 매우 뛰어난 화학적 및 대사적 안정성을 취하지만 제1 세대 뉴클레오시드와 매우 다른 구조를 취함으로써 생리활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생리활성이 뛰어나고 내성 등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상기 화학식 Ⅲ로 표시되는 차세대 뉴클레오시드의 도출이 전 세계적으로 시급한 과제로 당면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제3 세대의 뉴클레오시드 유도체를 합성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제1 및 2 세대 뉴클레오시드의 산소, 황, 혹은 탄소 원자를 생체 내 이성체인 셀레늄으로 치환한 차세대 뉴클레오시드인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를 합성하고, 사람암세포주의 성장 및 전이 억제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는 부작용을 갖는 제1 및 2 세대 뉴클레오시드의 산소, 황, 혹은 탄소 원자를 생체 내 이성체인 셀레늄으로 치환한 차세대 뉴클레오시드로, 생체 내에 투여시 부작용없이 사람의 위암세포, 섬유성육종암세포, 백혈암세포, 대장암세포 등의 성장 억제효과 및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생리활성이 뛰어나고, 부작용이 없는 항암제로써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7078347707-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아미노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3 및 R4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수소 또는 히드록시이다.
상기 R1이 히드록시인 경우에는 토토머 현상(tautomerization)에 의해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놀 형태 보다는 케톤 형태가 주생성물로 존재한다.
Figure 112009036048396-pat00027
바람직하게는,
R1은 히드록시 또는 아미노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이며,
R3 및 R4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수소 또는 히드록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새로운 구조의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는 하기와 같다.
1) 1-((2R,3S,4R,5R)-3,4-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4-히드록시피리미딘-2(1H)-온;
2) 1-((2R,3S,4R,5R)-3,4-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4-히드록시-5-메틸피리미딘-2(1H)-온;
3) 4-아미노-1-((2R,3S,4R,5R)-3,4-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피리미딘-2(1H)-온;
4) 4-히드록시-1-((2R,4R,5R)-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피리미딘-2(1H)-온;
5) 4-히드록시-1-((2R,4R,5R)-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5-메틸피리미딘-2(1H)-온;
6) 4-히드록시-1-((2R,4R,5R)-3,4-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1H-피리미딘-2(1H)-온; 또는
7) 4-아미노-1-((2R,3S,4R,5R)-3,4-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1H-피리미딘-2(1H)-온이다.
본 발명의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다양한 유기산 또는 무기산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적합한 유기산으로는, 예를 들면 카복시산, 포스폰산, 술폰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탄산, 데칸산, 글리콜산, 락트산, 푸마르산, 숙신산, 아디프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말레산, 벤조산, 살리실산, 프탈산, 페닐아세트산, 벤젠술폰산, 2-나프탈렌술폰산, 메틸황산, 에틸황산, 도데실황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적합한 무기산으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치환기 R1, R3 및 R4의 종류에 따라 반응식 1 내지 반응식 4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R3는 히드록시이고 R4는 수소인 경우,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발물질인 tert-부틸디페닐실릴(TBDPSO)의 보호기를 갖는 화학식 2의 셀레노뉴클레오시드를 유기용매하에서 과산화산을 이용하여 산화반응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a); 상기 단계 1a에서 얻은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실릴화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a); 및 상기 단계 2a에서 얻은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1a의 디올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7078347707-pat00005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상기 화학식 1에 정의한 바와 같고,
R1'는 수소, 히드록시 또는 벤조일로 치환된 아미노이며,
화합물 1a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상기 단계 1a, 2a 및 3a의 유기용매는 톨루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a은 출발물질인 tert-부틸디페닐실릴의 보호기를 갖는 화학식 2의 셀레노뉴클레오시드를 유기용매하에서 과산화산을 이용 하여 산화반응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로, 이때의 상기 단계 1a의 과산화산은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이 바람직하다.
디클로로메탄에 화학식 2의 셀레노뉴클레오시드를 용해시키고,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메타-클로로퍼벤조산(m-CPBA)을 점적하여 혼합한 후, 이 반응혼합물을 0.5~1 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완료 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여과·분리하여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즉시 다음 반응에 이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a는 상기 단계 1a에서 얻은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실릴화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디클로로메탄에 상기 단계 1a에서 얻은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용해시고, 여기에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실릴화된 화합물을 0 ℃에서 30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다. 이 반응혼합물에 톨루엔에 용해시킨 트리에틸아민을 0 ℃에서 점적한 후, 실온으로 가온하여 하룻밤 동안 교반한다. 반응완료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여과·분리하여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릴화된 화합물은 톨루엔에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TMSOTf) 및 트리에틸아민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0.5~2 시간 동안 교반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3a는 상기 단계 2a에서 얻은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1a의 디올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상기 단계 2a에서 얻은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0.5~2 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완료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제하여 화학식 1a의 디올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다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치환기 R3 및 R4 가 수소인 경우,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발물질인 tert-부틸디페닐실릴(TBDPSO)의 보호기를 갖는 화학식 6의 셀레노뉴클레오시드를 유기용매하에서 과산화산을 이용하여 산화반응시킨 후, 추출·여과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실릴화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b); 및 상기 단계 1b에서 얻은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단계 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7078347707-pat00006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상기 화학식 1에 정의한 바와 같고,
화합물 1b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상기 단계 1b 및 2b의 유기용매는 톨루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테트라히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b는 출발물질인 tert-부틸디페닐실릴의 보호기를 갖는 화학식 6의 셀레노뉴클레오시드를 유기용매하에서 과산화산을 이용하여 산화반응시킨 후, 추출·여과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실릴화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의 상기 단계 1b의 과산화산은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이 바람직하다.
건조한 디클로로메탄에 화학식 6의 셀레노뉴클레오시드를 용해시키고,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메타-클로로퍼벤조산(m-CPBA)을 -78 ℃에서 점적하고 같은 온도에서 0.5~1 시간 동안 교반한다. 여기에,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반응완료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여과·농축하여 미정제의 셀레노옥사이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미정제의 셀레노옥사이드는 정제과정 없이 바로 다음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상기 얻은 셀레노옥사이드에 실릴화된 화합물을 실온에서 15분에 걸쳐 천천히 가한다. 여기에 톨루엔에 용해시킨 트리에틸아민을 점적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한다. 반응완료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여과·분리하여 화학식 7 화합물의 이성체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릴화된 화합물은 톨루엔에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TMSOTf) 및 트리에틸아민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0.5~2 시간 동안 교반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b는 상기 단계 1b에서 얻은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건조한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상기 단계 1b에서 얻은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TBAF)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0.5~2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얻은 잔류물을 프렙 TLC(Preparative TLC; PTLC-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 용매(16:1, v/v)를 수행하여 순수한 이성체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셀레노튜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또 다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R3가 수소이고 R4가 히드록시인 경우,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발물질인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알킬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c); 상기 단계 1c에서 얻은 화학식8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이미다졸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c); 상기 단계 2c에서 얻은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염기와 반응시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3c); 및 상기 단계 3c에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9077124565-pat00029
(상기 식에서, R2는 상기 화학식 1에 정의한 바와 같고, R5는 알킬기이며, 화합물 1a' 및 1c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상기 단계 1c, 2c, 3c 및 4c의 유기용매는 피리딘, 톨루엔, 메탄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c는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알킬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로서, 이때의 상기 단계 1c의 알킬 클로라이드는 트리틸 클로라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리딘에 화합물 1a'를 용해시킨 후, 트리틸 클로라이드를 점적하여 혼합한 후, 이 반응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환류 교반시킨다. 반응완료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여과·분리하여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c는 상기 단계 1c에서 얻은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이미다졸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c의 이미다졸 화합물은 1,1-싸이오카르보닐이미다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톨루엔에 상기 단계 1c에서 얻은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1,1-싸이오카르보닐이미다졸을 가한 후, 8시간 동안 환류 교반시킨다. 이 반응혼합물에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여과·분리하여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3c는 상기 단계 2c에서 얻은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염기와 반응시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며, 상기 단계 3c의 염기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탄올에 상기 단계 2c에서 얻은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을 가한 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반응 완료 후,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킨 후, 감압 농축시켰다. 상기 농축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여과·분리하여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4c는 상기 단계 3c에서 얻은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로서, 상기 단계 4c의 산은 아세트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트산에 화합물 10을 용해시키고, 6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그 잔류물에 대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여과·분리하고 결정화하여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결정화는 메탄올과 에테르를 가하는 것을 통해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반응식 3의 제조방법에 추가로 단계 5c 및 단계 6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4'-셀레노튜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또 다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4c에서 얻어진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5c); 유기용매하에서 상기 단계 5c에서 얻어진 화학식 11의 화합물의 카보닐기를 아민기로 치환시켜 1d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6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9077124565-pat00030
(상기 식에서, R2는 상기 화학식 1에 정의한 바와 같고, R5는 알킬기이며, 화합물 1c 및 화합물 1d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상기 단계 5c 및 6c의 유기용매는 피리딘, 톨루엔, 메탄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5c는 상기 단계 4c에서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며, 상기 단계 5c의 산은 무수 아세트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리딘에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용해시킨 후, 무수 아세트산을 가하고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반응 완료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제·추출·여과·분리하여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6c는 상기 단계 5c에서 얻어진 화학식 11의 화합물의 카보닐기를 아민기로 치환시켜 화학식 1d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6c는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이 세 단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리딘에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삼염화인산 및 1,2,4-트리아졸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시킨다(단계 6c-1). 반응 완료 후, 용매를 제거한 후 잔류물을 디옥산-수산화암모늄 수용액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킨다(단계 6c-2). 이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정제과정 없이 메타놀릭 암모니아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다시,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제하였으며, 메탄올과 디에틸 에테르를 가하여 결정화된 화학식 1d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단계 6c-3).
나아가, 본 발명은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암은 위암, 섬유성 육종암, 백혈암, 대장암 등이다.
본 발명의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의 사람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에서(실험예 1참조), 사람암세포 중 위암, 섬유성육종암, 백혈암세포 각각에 대하여 4.7 μM, 23.2 μM, 85.5 μM의 IC50 값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유도체는 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의 암전이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으로부터(실험예 2참조), 폐에 종래의 CT26을 투여한 것에 비해 약 50 %이상의 암전이 억제 활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암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발물질의 제조
1.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12의 D-굴로닉-감마-락톤을 산 촉매하에서 2,2-디메톡시프로판과 반응시켜 화학식 13의 디아세토니드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A1); 상기 단계 A1에서 얻은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환원제(DIBAL-H) 존재하에 환원반응시켜 화학식 14의 락톨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A2); 상기 단계 A2에서 얻은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아세트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15의 디올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A3); 상기 단계 A3에서 얻은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소듐아이오데이트와 반응시키고, 이를 여과·농축한 후, 소듐보로히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16의 알콜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A4); 상기 단계 A4에서 얻은 화학식 16의 화합물을 tert-부틸디페닐실릴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17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A5); 상기 단계 A5에서 얻은 화학식 17의 화합물을 환원제(NaBH4) 존재하에 개환반응시켜 화학식 18의 디올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A6); 상기 단계 A6에서 얻은 화학식 18의 화합물을 메실화하여 화학식 19의 디메실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A7); 상기 단계 A7에서 얻은 화학식 19의 화합물을 셀레늄 존재하에 고리화시켜 화학식 2의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A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7078347707-pat00009
2. 화학식 6의 화합물 제조
화학식 20의 2-데옥시 리보오스를 산 촉매하에서 아세틸클로라이드를 용해시킨 메탄올과 반응시켜 메톡시 화합물을 얻은 후, 이를 소듐히드라이드, 벤질브로마이드(BnBr) 및 테트라부틸암모늄아이오다이드(n-Bu4NI)와 반응시켜 화학식 21의 벤질옥시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B1); 상기 단계 B1에서 얻은 화학식 21의 염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22의 알콜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B2); 상기 단계 B2에서 얻은 화학식 22의 화합물을 환원제(NaBH4) 존재하에 개환반응시켜 화학식 23의 디올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B3); 상기 단계 B3에서 얻은 화학식 23의 화합물을 소듐히드라이드, 벤조일클로라이드(BzCl) 및 테트라부틸암모늄아이오다이드(n-Bu4NI)와 반응시켜 화학식 24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B4); 상기 단계 B4에서 얻은 화학식 24의 화합물을 벤조산, 트리페닐포스핀 및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DIAD)와 반응시켜 화학식 25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B5); 상기 단계 B5에서 얻은 화학식 25의 화합물을 메실화하여 화학식 26의 디메실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B6); 상기 단계 B6에서 얻은 화학식 26의 화합물을 셀레늄 존재하에 고리화시켜 화학식 27의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B7); 상기 단계 B7에서 얻은 화학식 27의 화합물을 루이스산(BCl3) 존재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28의 알콜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B8); 상기 단계 B8에서 얻은 화학식 28의 화합물을 tert-부틸디페닐실릴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B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7078347707-pat00010
<제조예 1> 화학식 2의 tert-부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1,3-디옥사-5-셀레나-펜타렌-4-일메톡시)-디페닐-실란의 제조
단계 A 1 . 6-(2,2-디메틸-[1,3] 디옥소란 -4-일)-2,2-디메틸- 디히드로 - 퓨로[3,4- d ][1,3]디옥솔 -4-온의 제조
D-굴로닉-감마-락톤(15 g, 84.20 mmol)과 디메톡시프로판(31 ml, 252.61 mmol)을 아세톤(200 ml)에 용해시키고, 캄포술폰산(3.91 g, 16. 84 mmol)를 0 ℃에 서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하고, 감압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그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다시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하얀 고체 결정의 목적 화합물(13 g, 60%)을 얻었다.
1H-NMR (CDCl3) σ 1.36 (s, 6H); 1.45 (s, 6H); 3.79-3.84 (m, 1H); 4.18-4.23 (m, 1H); 4.39-4.45 (m, 2H); 4.73-4.75 (m, 1H); 4.82 (d, J = 5.6 Hz, 1H).
단계 A 2 . 6-(2,2-디메틸-[1,3] 디옥소란 -4-일)-2,2-디메틸- 테트라히드로 - 퓨로[3,4- d ][1,3]디옥솔 -4-올의 제조
단계 A1에서 얻은 6-(2,2-디메틸-[1,3]디옥소란-4-일)-2,2-디메틸-디히드로-퓨로[3,4-d][1,3]디옥솔-4-온(5 g, 19.4 mmol)을 THF(80 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DIBAL-H(19.3 ml, 1.0 M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액)을 -78 ℃에서 첨가한 후, 같은 온도에서 0.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메탄올을 천천히 가하여 반응성을 종결시키고, 그 콜로이드 현탁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여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2:1, v/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이성체 혼합물인 하얀 고체의 목적 화합물(4.14 g, 82.3%) 를 얻었다.
1H-NMR (CD3OD) σ 1.03 (s, 3H), 1.05 (s, 3H), 1.08 (s, 3H), 1.1 (s, 3H), 3.46 (dd, 1H, J=7.0, 8.4 Hz), 3.83-3.88 (m, 1H), 3.94-3.98 (m, 1H), 4.22 (d, J = 6 Hz, 1H), 4.44-4.46 (m, 1H), 4.52-4.62 (m, 2H);
MS (FAB) m/z 261 (M+ H+);
[α]20 D -51.80 (CH3OH).
단계 A 3 . 1-(6-히드록시-2,2-디메틸- 테트라히드로 - 퓨로[3,4- d ][1,3]디옥솔 -4-일)-에탄-1,2- 디올의 제조
상기 단계 A2에서 얻은 6-(2,2-디메틸-[1,3]디옥소란-4-일)-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퓨로[3,4-d][1,3]디옥솔-4-올(4.14g, 18.79 mmol)을 80% 아세트산 수용액에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감압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그 잔류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 용매(10: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하얀 고체의 목적 화합물 (2.81 g, 81%)을 얻었다.
1H-NMR (CD3OD) σ 1.29 (s, 3H), 1.41 (s, 3H), 3.61-3.65 (m, 1H), 3.72-3.76 (m, 1H), 3.88-3.93 (bm, 1H), 4.07-4.10 (m, 1H), 4.5 (d, 1H, J = 5.6 Hz), 4.76-4.78 (m, 1H), 5.24 (s, 1H);
MS (FAB) m/z 221 (M+H+);
[α]20 D -63.04 (CH3OH);
mp 140-145 ℃.
단계 A 4 . 6- 히드록시메틸 -2,2-디메틸- 테트라히드로 - 퓨로[3,4- d ][1,3]디옥솔 -4-올의 제조
에탄올(80 ml)에 상기 단계 A3에서 제조한 1-(6-히드록시-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퓨로[3,4-d][1,3]디옥솔-4-일)-에탄-1,2-디올(2.81g, 12.76 mmol)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소듐아이오데이트 수용액(4.09g, 19.11 mmol)을 0 ℃에서 점적하였다. 반응완료 후, 셀라이트로 여과한 다음 감압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그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다시 감압 농축하여 미정제의 알데하이드 화합물(2.46 g)을 얻었다. 이 반응물을 에탄올(30 ml)에 용해시키고 소듐보로히드라이드(0.35 g, 9.25 mmol)를 0 ℃에서 조금씩 첨가하여 10 분 동안 교반 후, 아세트산으로 반응 혼합물을 중화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그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다시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 용매(20: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하얀 고체의 목적 화합물(1.42 g, 66.5%)을 얻었다.
1H-NMR (CD3OD) σ 1.29 (s, 3H), 1.40 (s, 3H), 3.72 (dd, 1H, J = 7.0, 11.2 Hz), 3.82 (dd, 1H, J = 7.0, 11.2 Hz), 4.15-4.19 (m, 1H), 4.53 (d, 1H, J = 5.6 Hz), 4.76-4.79 (m, 1H), 5.2 (s with structure, 1H);
MS (FAB) m/z 191 (M+H+);
[α]20 D -17.7 (c 0.02, CH3OH);
mp 77-79 ℃.
단계 A 5 . 6-( tert -부틸- 디페닐 - 실라닐옥시메틸 )-2,2-디메틸- 테트라히드로 - 퓨로[3,4- d ][1,3]디옥솔 -4-올의 제조
디클로로메탄(100 ml)에 상기 단계 A4에서 얻은 6-히드록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퓨로[3,4-d][1,3]디옥솔-4-올(4.05, 21.29 mmol)을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5.92 ml, 42.49 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0.52 g, 4.25 mmol), TBDPSCl(8.77 ml, 31.9 mmol)을 가하여 3.5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감압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그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다시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10:1, v/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무색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8.4 g, 92.3%)을 얻었다.
1H-NMR (CDCl3) σ 1.06 (s, 9H), 1.28 (s, 3H), 1.35 (s, 3H), 3.88-3.93 (m, 1H), 3.96-4.01 (m, 1H), 4.31-4.35 (m, 1H), 4.58 (d, 1H, J = 6.0 Hz), 4.72-4.76 (m, 1H), 5.37 (s with structure 1H), 7.35-7.44 (m, 6H), 7.67-7.73 (m, 4H);
MS (FAB) m/z 429 (M+H+);
[α]20 D 2.52 (c 0.02, CH3OH).
단계 A 6 . 2-( tert -부틸- 디페닐 - 실라닐옥시 )-1-(5- 히드록시메틸 -2,2-디메틸-[1,3]디옥소란-4-일)-에탄올의 제조
메탄올(350 ml)에 상기 단계 A6에서 얻은 6-(tert-부틸-디페닐-실라닐옥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퓨로[3,4-d][1,3]디옥솔-4-올(6. 1 g, 37.56 mmol)을 용해시키고 소듐보로히드라이드(4.26 g, 112.6 mmol)을 0 ℃에서 조금씩 첨가한 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감압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그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다시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2: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무색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15.8 g, 97.7%)을 얻었다.
1H-NMR (CDCl3) σ 1.08 (s, 9H), 1.28 (s, 3H), 1.56 (s, 3H), 3.93-4.04 (m, 3H), 4.68 (dd, 1H, J = 3.6, 4.0 Hz), 4.74 (dd, 1H, J = 3.6, 4.0 Hz), 5.57 (dd, 1H, J = 2.0, 8.0 Hz), 6.35 (d, 1H, J = 4 Hz), 7.37-7.47 (m, 6H), 7.51 (d, 1H, J = 8.0 Hz), 7.64-7.69 (m, 4H), 8.77 (bs, 1H);
MS (FAB) m/z 453 (M+Na+);
[α]20 D 6.66 (c 0.02, CH3OH).
단계 A 7 . 메탄설포닉에시드 -2-( tert -부틸- 디페닐 - 실라닐옥시 )-1-(5- 메탄설포닐옥시메틸 -2,2-디메틸-[1,3] 디옥소란 -4-일)- 에틸에스테르의 제조
디클로로메탄(32 ml)에 상기 단계 A6에서 얻은 2-(tert-부틸-디페닐-실라닐옥시)-1-(5-히드록시메틸-2,2-디메틸-[1,3]디옥소란-4-일)-에탄올(1.05 g, 2.43 mmol)을 용해시키고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0.006 g, 0.049 mmol)을 첨가하고, 여기에 트리에틸아민(2.72 ml, 19.46 mmol), 메실클로라이드(MsCl, 0.75 ml, 9.7 mmol)를 0 ℃에서 점적한 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용액을 가하고, 수 층을 디클로로메탄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2: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무색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 (1.39 g, 97.2%)을 얻었다.
1H-NMR (CDCl3) σ 1.09 (s, 9H), 1.37 (s, 3H), 1.49 (s, 3H), 3.00 (s, 3H), 3.07 (s, 3H), 3.92 (dd, 1H, J = 5.2, 11.0 Hz), 3.95 (dd, 1H, J = 5.2, 11.0 Hz), 4.27-4.33 (m, 2H), 4.36-4.39 (m, 1H), 4.53 (t, 1H, J = 6.2 Hz), 4.82 (q, 1H, J = 5.2 Hz), 7.40-7.46 (m, 6H), 7.66-7.70 (m, 4H);
MS (FAB) m/z 609 (M+Na+);
[α]20 D -3.30 (c 0.02, CH3OH).
단계 A 8 . tert -부틸-(2,2-디메틸- 테트라히드로 -1,3- 디옥사 -5- 셀레나 - 펜타렌 -4-일 메톡 시)- 디페닐 - 실란의 제조
에탄올(90 ml)에 셀레늄(1.08 g, 13.67 mmol)을 용해시키고, 검정색에서 무색으로 바뀔 때까지 소듐보로히드라이드를 실온에서 조금씩 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에, 상기 단계 A7에서 얻은 메탄설포닉에시드-2-(tert-부틸-디페닐-실라닐옥시)-1-(5-메탄설포닐옥시메틸-2,2-디메틸-[1,3]디옥소란-4-일)-에틸에스테르(3.93 g, 6.69 mmol)을 THF(50 ml)에 용해시켜 가한 후, 60 ℃로 가열하여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감압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그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 트(50 ml)에 용해시켜, 물(3 × 30 ml)과 염화나트륨 포화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10: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연한 노란색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3.0 g, 96%)을 얻었다.
1H-NMR (CDCl3) 1.07 (s, 9H), 1.31 (s, 3H), 1.52 (s, 3H), 2.96 (dd, 1H, J = 2.0, 11.4 Hz), 3.14 (dd, 1H, J = 5.2, 11.4 Hz), 3.63-3.67 (m, 1H), 3.70-3.74 (m, 1H), 3.84-3.88 (m, 1H), 4.78 (dd, 1H, J = 1.8, 5.2 Hz), 4.82-4.85 (m, 1H), 7.26-7.46 (m, 6H), 7.65-7.70 (m, 4H);
MS (FAB) m/z 475 (M-H+);
[α]20 D 54.30 (c 0.02, CH3OH).
<제조예 2> 화학식 6의 3-(tert-부틸-다이페닐-실라닐옥시)-2-(tert-부틸-다이페닐-실라닐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의 제조
단계 B 1 . 3- 벤질옥시 -2- 벤질옥시메틸 -5- 메톡시 - 테트라히드로 - 퓨란의 제조
2-데옥시 리보오스(36.92 g, 275 mmol)에 메탄올에 아세틸클로라이드를 녹여 만든 1% 염산 용액(500 ml)을 가하고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트리에틸아민(8 ml)로 중화하고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대략적인 정제과정을 거쳐 메톡시화된 결과물(49.20 g)을 얻었으며 이것은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다음 반응을 하였다.
THF(1.0 l)에 미정제의 상기 메톡시화된 화합물(49.2 g, 332 mmol)을 용해시키고, 소듐히드라이드(39.84 g, 1660 mmol)를 0 ℃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어 테트라부틸암모늄아이오다이드(24.53, 66.41 mmol)을 첨가하고 벤질브로마이드 (118.7 mL, 995 mmol)를 점적한 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200 ml)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아세트산으로 중화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5: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노란 시럽 형태의 이성체 혼합물인 목적 화합물(82.2 g, 75%)을 얻었다.
1H-NMR (CDCl3) 2.03-2.07 (m, 1H); 2.12-2.18 (m, 1H); 2.21-2.28 (m, 2H); 3.33 (s, 3H); 3.43 (s, 3H); 3.50-3.60 (m, 4H); 3.98-4.02 (m, 1H); 4.15-4.19 (m, 1H); 4.26-4.32 (m, 2H); 4.49-4.60 (m, 8H); 5.08-5.13 (m, 2H); 7.26-7.37 (m, 20H).
단계 B 2 . 4- 벤질옥시 -5-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 퓨란 -2-올의 제조
THF (240 ml)에 단계 B1에서 얻은 3-벤질옥시-2-벤질옥시메틸-5-메톡시-테트라히드로-퓨란(42.8 g, 130.48 mmol)을 용해시키고 1 N의 염산 (240 ml)을 THF와 1:1의 비율로 가하고 8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중화하고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2: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노란 시럽 형태의 이성체 혼합물인 목넉 화합물(40.9 g, 99.8 %)을 얻었다.
1H-NMR (DMSO) 1.72-1.77 (m, 1H); 1.92-2.04 (m, 2H); 2.21-2.28 (m, 1H); 3.43-3.51 (m, 4H); 3.88-3.92 (m, 1H); 3.98-4.07 (m, 2H); 4.12 (dd, J = 5.0, 9.2 Hz, 1H); 4.41-4.52 (m, 8H); 5.33-5.36 (m, 1H); 5.38-5.42 (m, 1H); 6.07 (d, J = 4.8 Hz, 1H); 6.26 (d, J = 5.2 Hz, 1H); 7.25-7.37 (m, 20H).
단계 B 3 . 3,5- 비스 - 벤질옥시 -펜탄-1,4- 디올의 제조
메탄올(500 ml)에 상기 단계 B2에서 얻은 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올(55.66 g, 177 mmol)를 용해시키고, 소듐보로히드라이드(13.39, 354 mmol)를 0 ℃에서 서서히 가한 후 실온에서 1 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아세트산(15 ml)으로 중화하고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얻은 잔류물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1: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를 수행하여 연한 노란색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50.17 g, 90%)을 얻었다.
1H-NMR (DMSO) 1.59-1.75 (m, 2H); 3.41-3.57 (m, 5H); 3.69-3.75 (m, 1H); 4.40 (t, J = 5.2 Hz, 1H); 4.45-4.55 (m, 4H); 4.86 (d, J = 5.2 Hz, 1H); 7.25-7.34 (m, 10H).
단계 B 4 . 벤조익엑시드 -3,5- 비스 - 벤질옥시 -4-히드록시- 펜틸 에스테르의 제조
톨루엔(200 ml)에 상기 단계 B3에서 얻은 3,5-비스-벤질옥시-펜탄-1,4-디올(24.40 g, 77.34 mmol)를 용해시키고, 디부틸틴옥사이드(28.88 g, 116.01 mmol)를 가하고 160 ℃에서 2 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식히고 테트라부틸암모늄아이오다이드(14.2 g, 38.671 mmol)를 첨가하고 벤조일클로라이드(9.8 ml, 87.07 mmol)를 점적한 후, 실온에서 2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 수 방울을 점적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7: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연한 노란색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25.35, 78%)을 얻었다.
1H-NMR (DMSO) 1.89-2.04 (m, 2H); 3.46-3.52 (m, 2H); 3.62-3.66 (m, 1H); 3.81-3.86 (m, 1H); 4.31-4.40 (m, 2H); 4.46-4.49 (m, 3H); 4.57 (d, J = 11.6 Hz, 1H); 5.0 (d, J = 5.2 Hz, 1H); 7.22-7.32 (m, 10H); 7.46-7.50 (m, 2H); 7.62-7.66 (m, 1H); 7.90-7.93 (m, 2H).
단계 B 5 . 3,5- 비스 - 벤질옥시 -펜탄-1,4- 디올의 제조
THF(100 ml)에 상기 단계 B4에서 얻은 벤조익엑시드-3,5-비스-벤질옥시-4-히드록시-펜틸 에스테르(16.77 g, 39.88 mmol)을 용해시키고, 트라이페닐포스핀, 벤조산을 가한 후 DIAD를 0 ℃에서 점적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결과물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9: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대략의 정제를 하여 미정제의 화합물(25.74 g)을 얻었다.
메탄올(300 ml)에 상기 미정제 화합물(25.74 g, 49 mmol)을 용해시키고, 소듐메톡사이드(6.63 g, 122.8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결과물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1: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연한 노란색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8.31 g, 66%)을 얻었다.
1H-NMR (DMSO) σ 1.67-1.73 (m, 1H); 1.84-1.89 (m, 1H); 3.37-3.43 (m, 1H); 3.52-3.55 (m, 2H); 3.73-3.77 (m, 1H); 4.02-4.07 (m, 2H); 4.45-4.55 (m, 4H); 4.86 (d, J = 5.6 Hz, 1H); 7.25-7.34 (m, 11H).
단계 B 6 . 메탈설포닉엑시드 -2- 벤질옥시 -1- 벤질옥시메틸 -4- 메틸설포닐옥시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메틸렌클로라이드(100 ml)에 상기 단계 B5에서 얻은 3,5-비스-벤질옥시-펜탄-1,4-디올(8.31 g, 26.3 mmol)을 용해시키고, 0 ℃에서 DMAP(0.643 g, 5.26 mmol), 트리에틸아민(29.3 ml, 210.4 mmol),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8.1 ml, 105.2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용액을 가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1: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노란색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9.47 g, 76%)을 얻었다.
1H-NMR (CDCl3) σ 1.86-1.93 (m, 1H); 2.05-2.14 (m, 1H); 2.94 (s, 3H); 3.01 (s, 3H); 3.72 (d, J = 5.2 Hz, 2H); 3.86-3.90 (m, 1H); 4.24-4.35 (2H); 4.49-4.64 (m, 4H); 4.87 (dd, J = 4.8, 10.0 Hz, 1H); 7.26-7.38 (m, 10H).
단계 B 7 . 3- 벤질옥시 -2-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 셀레노펜의 제조
에탄올(60 ml)에 셀레늄(3.0 g, 38.0 mmol)을 용해시키고, 검정색에서 무색 으로 바뀔 때까지 소듐보로히드라이드를 실온에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에, 상기 단계 B6에서 얻은 메탈설포닉엑시드-2-벤질옥시-1-벤질옥시메틸-4-메틸설포닐옥시-부틸 에스테르(9.0 g, 19.0 mmol)를 THF(40 ml)에 용해시켜 첨가한 후, 60 ℃로 가열하여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감압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그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100 ml)에 용해시켜, 물과 염화나트륨 포화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50: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연한 노란색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5.93 g, 86%)을 얻었다.
1H-NMR (CDCl3) σ 1.88-1.93 (m, 1H); 2.37-2.42 (m, 1H); 2.90-2.95 (m, 1H); 2.98-3.03 (m, 1H); 3.47 (d, J = 7.6 Hz, 2H); 3.91 (dt, J = 2.0, 7.4 Hz, 1H); 4.24 (m, 1H); 4.46-4.59 (m, 4H); 7.26-7.34 (m, 10).
단계 B 8 . 2-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 셀레노펜 -3-올의 제조
메틸렌클로라이드(30 ml)에 상기 단계 B7에서 얻은 3-벤질옥시-2-벤질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37, 6.5 mmol)를 용해시킨 후, BCl3 (26 mL of 1M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 26 mmol)를 -70 ℃에서 첨가하고 -65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20 ml)를 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피리딘으로 중화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 용매(20: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연한 노란색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0.471 g, 40%)을 얻었다.
1H-NMR (CDCl3) σ 2.07 (bs, 2H); 2.16-2.26 (m, 2H); 2.92-2.98 (m, 2H); 3.63-3.66 (m, 1H); 3.68-3.71 (m, 2H); 4.39 (dd, J = 4.0, 9.6 Hz, 1H).
단계 B 9 . 3-( tert -부틸- 다이페닐 - 실라닐옥시 )-2-( tert -부틸- 다이페닐 - 실라닐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 셀레노펜의 제조
DMF (15 ml)에 상기 단계 B8에서 얻은 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3-올(1,036 g, 5.72 mmol)을 용해시키고, 이미다졸(3.115 g, 45.77 mmol) 및 TBDPSCl(3.66 ml, 14.29 mmol)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30: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흰색 고체 형태의 목적 화합물(3.2 g, 85%)을 얻었다.
1H-NMR (CDCl3) σ 0.95 (s, 9H); 1.07 (s, 9H); 1.50-1.59 (m, 1H); 2.01-2.08 (m, 1H); 2.78-2.82 (m, 1H); 3.03-3.09 (m, 1H); 3.04-3.50 (m, 2H); 3.80- 3.86 (m, 1H); 4.60 (d, J = 2.4 Hz, 1H); 7.26-7.44 (m, 12H); 7.51-7.71 (m, 8H).
<실시예 1> 1-((2R,3S,4R,5R)-3,4-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4-히드록시피리미딘-2(1H)-온의 제조
단계 1a. tert -부틸-(2,2-디메틸- 테트라히드로 -1,3- 디옥사 -5- 셀레나 - 펜타렌 -4-일 메톡 시)- 디페닐 - 실란 - 옥사이드의 제조
메틸렌 클로라이드(60 ml)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tert-부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1,3-디옥사-5-셀레나-펜타렌-4-일메톡시)-디페닐-실란(3.50 g, 7.36 mmol)를 용해시키고, 메틸렌 클로라이드(25 ml)에 m-CPBA(1.81 g, 7.35 mmol, 70%)를 용해시켜 -78 ℃에서 점적한 후, 혼합물을 4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용액을 가하여 종결시키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화나트륨 포화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 용매(30: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무색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3.0 g, 85%)을 얻었다. 얻은 tert-부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1,3-디옥사-5-셀레나-펜타렌-4-일메톡시)-디페닐-실란-옥사이드는 불안정하기 때문에, 즉시 다음 반응에 이용되었다.
단계 2a. 2',3'- 이소프로필이덴 -5'- tert - 부틸디페닐실릴 -4'- 셀레노유리딘의 제조
톨루엔(48 ml)에 유라실(1.35 g, 12.05 mmol)을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3.4 ml, 24.39 mmol) 및 TMSOTf(9.0 mL, 50.06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24 ml)를 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24 ml)에 상기 단계 1a에서 얻은 화합물(3.0 g, 6.10 mmol)을 용해시킨 용액에, 0 ℃에서 30분에 걸쳐 천천히 가하였다. 여기에 트리에틸아민(3.4 ml, 24.39 mmol)을 톨루엔에 용해시켜 0 ℃에서 점적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물(40 ml)을 가하고 물 층을 메틸렌 클로라이드(3 × 40 ml)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용액(30 ml), 염화나트륨 포화용액(30 ml)으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2: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밝은 노랑색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1.65 g, 53%)을 얻었다.
UV (MeOH) λmax 265 nm;
1H-NMR (CDCl3) σ 1.08 (s, 9H), 1.28 (s, 3H), 1.56 (s, 3H), 3.95-4.02 (m, 3H), 4.67 (dd, 1H, J = 4.2, 5.2 Hz), 4.73 (dd, 1H. J = 4.2, 5.2 Hz), 5.56 (dd, 1H, J = 2.0, 8.0 Hz), 6.35 (d, 1H, J = 4.0 Hz), 7.37-7.45 (m, 6H), 7.52 (d, 1H, J = 8.4 Hz), 7.63-7.69 (m, 4H), 8.45 (br s, 1H);
MS (FAB) m/z 587 (M+H+);
[α]20 D -47.74 (c 0.02, CH3OH);
mp 71-73 ℃.
단계 3a. 1-((2R,3S,4R,5R)-3,4-디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 -2-일)-4- 히드록시피리미딘 -2(1H)-온의 제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5 ml)에 상기 단계 2a에서 얻은 2',3'-이소프로필이덴-5'-tert -부틸디페닐실릴-4'-셀레노유리딘(0.650 g, 1.10 mmol)을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톨루엔을 이용하여 감압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고, 이렇게 얻은 하얀 고체를 메탄올-물(1:1)로 재결정하여 무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1, 0.276 g, 81%)을 얻었다.
UV (MeOH) λmax 267 nm;
1H-NMR (CD3OD) 3.40-3.44 (m 1H), 3.63 (dd, J = 7.8, 11.4 Hz, 1H), 3.75 (dd, J = 7.8, 11.4 Hz, 1H), 4.19 (t with structure, J = 2.5 Hz, 1H), 4.26 (dd, J = 3.6, 8.4 Hz,1H), 5.77 (d, J = 8 Hz, 1H), 6.11 (d, J = 8.8 Hz, 1H), 8.0 (d, J = 8 Hz, 1H);
MS (FAB) m/z 307 (M+);
[α]20 D -113.93; (c 0.02, CH3OH);
mp 198-200 ℃.
<실시예 2> 1-((2R,3S,4R,5R)-3,4-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4-히드록시-5-메틸피리미딘-2(1H)-온의 제조
단계 1a. tert -부틸-(2,2-디메틸- 테트라히드로 -1,3- 디옥사 -5- 셀레나 - 펜타렌 -4-일 메톡 시)- 디페닐 - 실란 - 옥사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a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2a. 2',3'- 이소프로필이덴 -5'- tert - 부틸디페닐실릴 -4'- 셀레노티민의 제조
유라실 대신에 티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a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98 g, 45%)을 얻었다.
1H-NMR (CD3OD) 1.05 (s, 9H), 1.27 (s, 3H), 1.50 (s, 3H), 1.79 (d, J = 1.2 Hz, 3H), 3.94-3.95 (m, 2H), 4.12 (d, J = 4.0 Hz, 1H), 4.91-4.93 (m, 2H), 6.21 (d, J = 3.6 Hz), 7.37-7.50 (m, 6H), 7.49 (t with structure, J = 1.2 Hz, 1H), 7.67-7.70 (m, 4H).
단계 3a. 1-((2R,3S,4R,5R)-3,4-디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 -2-일)-4-히드록시-5- 메틸피리미딘 -2(1H)-온의 제조
상기 단계 2a에서 얻은 2',3'-이소프로필이덴-5'-tert -부틸디페닐실릴-4'-셀레노티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a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2, 0.278 g, 80%)을 얻었다.
1H-NMR (CD3OD) 1.91 (s, 3H); 3.53-3.56 (m, 1H); 3.82 (dd, J = 5.4, 11.8 Hz, 1H); 3.87 (dd, J = 6.4, 11.6 Hz, 1H); 4.26 (t, J = 3.0 Hz, 1H); 4.38 (dd, J = 3.4, 8.2 Hz, 1H); 6.29 (d, J = 8.4 Hz, 1H); 7.91 (d, J = 1.2 Hz, 1H).
<실시예 3> 4-아미노-1-((2R,3S,4R,5R)-3,4-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피리미딘-2(1H)-온의 제조
단계 1a. tert -부틸-(2,2-디메틸- 테트라히드로 -1,3- 디옥사 -5- 셀레나 - 펜타렌 -4-일 메톡 시)- 디페닐 - 실란 - 옥사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a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2a. N 4 - 벤조일 -2',3'- 이소프로필이덴 -5'- tert - 부틸디페닐실릴 -4'- 셀레노시티딘의 제조
유라실 대신에 시토신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a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 1.77 g, 35%)을 얻었다.
1H-NMR (CDCl3) σ 1.09 (s, 9H), 1.28 (s, 3H), 1.57 (s, 3H), 3.96-4.05 (m, 3H), 4.78 (dd, J = 3.4, 5.4 Hz, 1H), 4.83 (dd, J = 2.8, 5.4 Hz, 1H), 6.40 (d, J = 3.6 Hz, 1H) 7.36-7.46 (m, 7H), 7.48 (m, 2H), 7.59-7.67 (m, 5H), 7.90 (d, J = 7.2 Hz, 2H), 7.96 (d, J = 7.2 Hz, 1H), 8.73 (bs, 1H);
13C-NMR (CDCl3) σ 19.5, 25.4, 27.1, 27.9, 51.8, 66.1 85.9, 90.8, 112.1, 127.7, 128.10, 128.11, 129.2, 130.26, 130.24, 133.0, 133.2, 133.5, 135.7, 135.8;
MS (FAB) m/z 690 (M+H+);
[α]20 D -44.12 (c 0.02, CH3OH);
mp 91-93 ℃.
단계 3a. 4-아미노-1-((2R,3S,4R,5R)-3,4-디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 -2-일)피리미딘-2(1H)-온의 제조
상기 단계 2a에서 얻은 N4-벤조일-2',3'-이소프로필이덴-5'-tert -부틸디페닐실릴-4'-셀레노시티딘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a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을 수행한 다음, 실란기를 제거하고 이 화합물에 메타놀릭 암모니아를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감압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그 잔류물에 대하여 DOWEX50 레진(시그마 알드리치)으로 암모니아-물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하얀 고체의 목적 화합물(3, 0.053 g, 82%)을 얻었다.
1H-NMR (CD3OD) σ 3.56-3.63 (m, 1H), 3.80 (dd, J = 5.6, 11.6 Hz, 1H), 3.90 (dd, J = 6.4, 11.6 Hz, 1H), 4.21 (t, J = 3.6 Hz, 1H); 4.32 (dd, J = 3.0, 6.8 Hz, 1H); 5.95 (d, J = 7.6 Hz, 1H); 6.27 (d, J = 7.2 Hz, 1H); 8.13 (d, J = 7.6 Hz, 1H).
<실시예 4> 4-히드록시-1-((2R,4R,5R)-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피리미딘-2(1H)-온의 제조
단계 1b. 1-[4-( tert -부틸- 디페닐 - 실라닐옥시 )-5-( tert -부틸- 디페닐 - 실라닐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 셀레노펜 -2-일]-1 H -피리미딘-2,4- 디온의 제조
건조한 메틸렌클로라이드(30 ml)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3-(tert-부틸-다이페닐-실라닐옥시)-2-(tert-부틸-다이페닐-실라닐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1.477 g, 2.14 mmol)을 용해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15 ml)에 m-CPBA(0.608 g, 2.46 mmol, 70% pure)을 용해시켜 만든 용액을 -78 ℃에서 점적하고 같은 온도에서 4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용액으로 반응을 종결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화나트륨 포화 용액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미정제의 셀레노옥사이드 화합물(1.3 g)을 얻었으며, 이 물질을 정제과정 없이 바로 다음 과정에 사용하였다.
톨루엔(20 ml)에 유라실(0.486 g, 3.85 mmol)을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1.0 ml, 7.70 mmol) 및 TMSOTf(2.8 ml, 15.42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10 ml)를 가하였다. 여기서 얻은 실릴화된 싸이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10 ml)에 상기 얻은 셀레노옥사이드(1.3 g, 1.92 mmol)을 용해시킨 용액에 실온에서 15 분에 걸쳐 천천히 가하였다. 여기에 트리에틸아민(1.0 ml, 7.70 mmol)을 톨루엔에 용해시켜 점적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물(20 ml)을 가하고 물층을 메틸렌 클로라이드(3 × 20 ml)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용액(20 ml), 염화나트륨 포화용액(20 ml)으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매(3: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이성체 혼합물인 목적 화합물(0.172 g, 10%)을 얻었다.
단계 2b. 4-히드록시-1-((2R,4R,5R)-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 -2-일)피리미딘-2(1H)-온의 제조
건조한 THF(10 ml)에 상기 단계 1b에서 얻은 1-[4-(tert-부틸-디페닐-실라닐옥시)-5-(tert-부틸-디페닐-실라닐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1H-피리 미딘-2,4-디온(0.114 g, 0.145 mmol)을 용해시킨 용액에 TBAF(0.36 mL 1M THF 용액, 0.363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목적 화합물(4)을 얻었고, PTLC(전개용매 등 조건)를 수행하여 순수한 하기 화학식 4α의 이성체 화합물(0.010 g, 26%)와 하기 화학식 4β의 이성체 화합물(0.015 g, 39%)를 얻었다.
Figure 112007078347707-pat00011
4α: 1H-NMR (CD3OD) σ 2.26-2.36 (m, 1H); 2.53-2.59 (m, 1H); 3.60 (dd; J = 7.0, 11.4, 1H); 3.78 (dd, J = 6.8, 11.0 Hz, 1H); 3.90-3.95 (m, 1H); 4.44 (dd, J = 4.2, 8.4 Hz, 1H); 5.70 (d, J = 8.0 Hz, 1H); 6.48 (dd, J = 4.6, 7.8 Hz, 1H); 8.39 (d, J = 8.0 Hz, 1H);
4β: 1H-NMR (CD3OD) σ 2.28-2.36; (m, 1H); 2.39-2.45 (m, 1H); 3.68-3.72 (m, 1H); 3.73-3.87 (m, 2H); 4.49-4.51 (dd, J = 3.4, 7.0 Hz, 1H); 5.76 (d, J = 8.0 Hz, 1H); 6.56 (dd, J = 6.4; 8.8 Hz, 1H); 8.08 (d, J = 8.0, 1H).
<실시예 5> 4-히드록시-1-((2R,4R,5R)-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 히드로셀레노펜-2-일)-5-메틸피리미딘-2(1H)-온의 제조
단계 1b. 1-[4-( tert -부틸- 디페닐 - 실라닐옥시 )-5-( tert -부틸- 디페닐 - 실라닐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 셀레노펜 -2-일]-5- 메틸 -1 H -피리미딘-2,4- 디온의 제조
유라실 대신에 티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4의 단계 1b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2b. 4-히드록시-1-((2R,4R,5R)-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 -2-일)-5- 메틸피리미딘 -2(1H)-온의 제조
상기 단계 1b에서 얻은 1-[4-(tert-부틸-디페닐-실라닐옥시)-5-(tert-부틸-디페닐-실라닐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5-메틸-1H-피리미딘-2,4-디온을 사용하여 실시예 4의 단계 2b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5)을 얻었고, PTLC(전개용매 등 조건)를 수행하여 순수한 하기 화학식 5α의 이성체 화합물(0.015 g, 34%)와 하기 화학식 5β의 이성체 화합물(0.012 g, 27%)를 얻었다.
Figure 112007078347707-pat00012
5α: 1H-NMR (CD3OD) σ 1.88 (s, 3H); 2.25-2.31 (m, 1H); 2.54-2.60 (m, 1H); 3.61 (dd, J = 7.0, 11.2 Hz, 1H); 3.75 (dd, J = 7.2, 11.2 Hz, 1H); 3.91-3.96 (m, 1H); 4.42 (dd, J = 4.4; 9.4 Hz, 1H); 6.49 (dd, J = 4.8, 8.0 Hz, 1H), 8.22 (s, 1H);
5β: 1H-NMR (CD3OD) σ 1.90 (s, 3H); 2.35-2.40 (m, 2H); 3.69-3.73 (m, 1H); 3.76-3.87 (m, 2H); 4.50 (dd, J = 3.6, 9.2 Hz, 1H); 6.59 (dd, J = 6.6, 8.6 Hz, 1H); 7.89 (m, 1H).
< 실시예 6> 4-히드록시-1-((2R,4R,5R)-3,4-디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 -2-일)-1H-피리미딘-2(1H)-온
단계 1c. 1-(3,4-디히드록시-5- 트리틸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 셀레노펜 -2-일)-1 H -피리미딘-2,4- 디온의 제조
피리딘(10 mL)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1a'를 용해시킨 후, 트리틸 클로라이드(0.281 g, 1.00 mmol)을 가하여 하룻밤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에 대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 용매(30: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0.166 g, 60%)을 얻고,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 용매(2: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화합물 1a'(0.05g)를 회수하였다.
1H NMR (CD3OD) d 3.47 (m, 1H); 3.47 (dd, J = 9.8, 6.6 Hz, 1H); 3.54 (dd, J = 9.8, 6.2 Hz, 1H); 3.66 (m, 1H); 4.14 (dd, J = 6.6, 3.6 Hz, 1H); 4.21 (t, J = 3.6 Hz, 1H); 5.61 (d, J = 8.4 Hz, 1H); 6.20 (d, J = 7.2 Hz, 1H); 7.24-7.35 (m, 9H); 7.44-7.47 (m, 6H); 7.80 (d, J = 8.4 Hz, 1H).
단계 2c. 1-히드록시-2- 트리틸옥시메틸 -1,2,3a,8a- 테트라히드로 -8-옥사-3- 셀레나 -3b,7- 디아자 - 시클로펜타[a]인덴 -6-온의 제조
톨루엔(10 ml)에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1-(3,4-디히드록시-5-트리틸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1H-피리미딘-2,4-디온(0.102g, 0.185 mmol)을 용해시키고, 1,1-싸이오카르보닐이미다졸을 가한 후, 8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 용매(15: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0.081 g, 85%)을 얻었다.
1H NMR (CD3OD) d 3.14 (m, 1H); 3.95 (m, 1H); 4.78 (t, J = 2.8 Hz, 1H); 5.39-5.42 (m, 1H); 6.05 (d, J = 7.6 Hz, 1H); 6.33 (d, J = 7.2 Hz, 1H); 7.20-7.39 (m, 15H); 7.73 (d, J = 7.6 Hz, 1H)
단계 3c. 1-(3,4-디히드록시-5- 트리틸옥시메칠 - 테트라히드로 - 셀레로펜 -2-일)-1 H -피리미딘-2,4- 디온의 제조
메탄올(5 ml)에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1-히드록시-2-트리틸옥시메틸-1,2,3a,8a-테트라히드로-8-옥사-3-셀레나-3b,7-디아자-시클로펜타[a]인덴-6-온(0.057 g, 0.109 mmol)을 용해시키고 1N 수산화나트륨 용액(2 mL)을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아세트산으로 중화 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 용매(15: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0.048 g, 80%) 을 얻었다.
단계 4c. 1-(3,4-디히드록시-5- 히드로메칠 - 테트라히드로 - 셀레노펜 -2-일)-1 H -피리미딘-2,4- 디온의 제조
아세트산(8 mL)에 1-(3,4-디히드록시-5-트리틸옥시메칠-테트라히드로-셀레로펜-2-일)-1H-피리미딘-2,4-디온(0.050 g, 0.09 mmol)을 용해시키고 60 oC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그 잔류물에 대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 용매(5: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 메탄올과 에테르로 결정화한 무색 고체 형태의 목적 화합물(0.027 g, 100 %)을 얻었다.
1H NMR (CD3OD) d 3.56 (m, 1H); 3.86 (dd, J = 11.0, 6.8 Hz, 1H); 4.03-4.10 (m, 2H), 4.14 (t, J = 6.0 Hz, 1H); 5.68 (d, J = 8.0 Hz, 1H); 6.51 (d, J = 5.6 Hz, 1H); 8.27 (d, J = 8.4 Hz, 1H).
< 실시예 7> 4-아미노-1-((2R,3S,4R,5R)-3,4-디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 -2-일)-1H-피리미딘-2(1H)-온
단계 5c. 화학식 11 화합물의 제조
피리딘(5 mL)에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1c(0.027 g, 0.087 mmol)를 녹인 후, 무수 아세트산(0.05 mL, 0.51 m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하룻 밤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그 잔류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녹였다. 그 용액을 1N 염산,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여 차례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얻은 잔류물에 대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 용매(15:1, v / v)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시럽 형태의 목적 화합물(0.032 g, 85%)을 얻었다.
단계 6c. 4-아미노-1-3,4- 디하이드록시 -5- 하이드록시메틸 - 테트라하이드로 - 셀레노펜 -2일)-1H-피리미딘-2-온의 제조
피리딘(5 mL)에 화학식 11(0.032 g, 0.073 mmol)을 녹이고, 1,2,4-트리아졸 (0.040 g, 0.58 mmol)과 삼염화인산(0.03 mL,0.29 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얻은 잔류물을 디옥산-수산화암모늄(4 mL:2 mL) 처리 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얻은 잔류물을 정제 과정 없이 다음 과정에 이용하였다. 반응 잔류물을 메타놀릭 암모니아(5 mL)에 녹이고 실온에서 하룻 밤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그 잔류물을 산성의 레진 DOWEX50 (암모니아-물)을 이용하여 정제했다. 이를 메탄올과 디에틸 에테르를 이용하여 결정화해서 무색 고체 형태의 목적화합물(0.012g, 54% 3단계 수득률)을 얻었다.
1H NMR (CD3OD) d 3.58 (m, 1H); 3.85 (dd, J = 11.4, 6.6 Hz, 1H); 4.05 (dd, J = 11.2, 5.4 Hz, 1H); 4.10-4.17 (m, 2H); 5.87 (d, J = 7.6 Hz, 1H); 6.66 (d, J = 5.2 Hz, 1H); 8.26 (d, J = 7.2 Hz, 1H).
상기의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얻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조식, R1, R2, R3 및 R4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조식 R1 R2 R3 R4
1
Figure 112007078347707-pat00013
히드록시 수소 히드록시 수소
2
Figure 112007078347707-pat00014
히드록시 메틸 히드록시 수소
3
Figure 112007078347707-pat00015
아미노 수소 히드록시 수소
4
Figure 112007078347707-pat00016
히드록시 수소 수소 수소
5
Figure 112007078347707-pat00017

히드록시 메틸 수소 수소
6
Figure 112007078347707-pat00018
히드록시 메틸 수소 히드록시
7
Figure 112007078347707-pat00019

아미노
수소 수소 히드록시
<실험예 1> 시험관 내에서 사람암세포 성장 저해 효능 측정(in vitro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6의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술포호다민 B (sulforhodamine B: SRB법)으로 측정하였다 (Lee et al, Chemico-Biol. Interact., 115, 215-228 (1998)).  사람암세포주 (SNU638, 사람위암세포; skHT1080, 사람섬유성육종암세포; K562, 사람백혈암세포)를 10% 소 태아 혈청(FBS), 1% 폴리술폰(POLYSULFONE, PSF) 등을 함유한 MEME(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배지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 DMSO에 녹아있는 시료 10 ㎕와 상기 세포현탁액 190 ㎕ (5 x 104 cells/ml)(MEME 배지)를 넣고 3일간 배양하였다.  적어도 16 웰에 상기 세포현탁액 190 ㎕를 넣고 30분간 배양하여 실험 전의 음성대조 (zero-day control)로 사용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10% 트리클로로 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TCA)로 고정시킨 후 SRB 용액으로 염색하고, 10 mM 트리스 베이스 (Tris-base)로 염색액을 용해시킨 다음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0% DMSO에서 배양한 경우를 대조군으로하여 각 시험 물질처리에 따른 세포 성장율을 아래의 식에 따라 환산하였다.
                     
Figure 112007078347707-pat00020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100%로 하였을 때 시료 처치군의 값을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각 실시예 6은 5가지 농도(200 μM, 40 μM, 8 μM, 1.6 μM, 0.32 μM)에서 삼중 시험의 평균값 ± 표준편차로 구하였다.  IC50 값은 50% 성장율에 대한 시험 물질의 농도이다.  실시예 6이 사람암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사람암세포주 위암세포 섬유성육종암세포 백혈암세포
IC50 (μM) 4.7 23.2 86.5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6은 농도의존적으로 사람 암세포에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사람 위암세포에 대한 IC50는 4.7 uM, 사람 섬유성육종암세포에 대한 IC50는 23.2 uM, 사람백혈암세포에 대한 IC50는 86.5 uM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6은 사람암세포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암전이 억제 활성 평가(in-vivo 실험)
전이능이 높은 마우스 대장암 세포주인 CT26(mouse colon cancer cell인 CT26) 세포를 군당 10마리의 마우스(balb/c mouse, 6 주령, 수컷)의 꼬리 정맥에 투여하여 폐 조직에 암 결절 (tumor nodules)의 생성을 유발하였다.
CT26 세포 투여 30분전에 검색 시료(물질62-, 0.5 mg/kg 및 2.0 mg/kg 몸무게)를 2주간 복강으로 매일 투여한 다음, 암 결절 생성을 조사하였다. 2주 후에 마우스(mouse)를 희생시켜 암이 생성된 장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암 결절의 생성 정도를 bouin 용액으로 조직을 고정하여 계수하였다. 상기 실시예 6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CT26무처치) 대조군(CT26투여) 실시예6
(0.5mg/kg)
실시예 6
(2.0 mg/kg)
결절 수 0 652 ± 30 391 ± 25 364 ± 28
폐 무게(g) 0.18±0.05 0.76±0.06 0.41±0.02 0.31±0.02
몸 무게(g) 26.3±2.0 22.3±1.5 23.6±1.5 24.7±1.2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T26처리군에서 폐로의 전이된 결절의 생성수가 652개/마우스이고, 실시예 6을 투여한 군이 각각(0.5mg/kg 및 2.0 mg/kg)에서 각각391 및 364/마우스의 결절 생성수를 보여 시험물질은 암세포전이 억제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정제(직접 가압)
본 발명의 유도체 화합물 5.0 ㎎
락토오스 14.1 ㎎
크로스포비돈 USNF 0.8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1 ㎎
본 발명의 유도체 화합물을 체로 친 후, 락토오스, 크로스포비돈 USNF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습식 조립)
본 발명의 유도체 화합물 5.0 ㎎
락토오스 16.0 ㎎
녹말 4.0 ㎎
폴리솔베이트 80 0.3 ㎎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0 ㎎
증류수 적량
본 발명의 유도체 화합물을 체로 친 후, 락오토스와 녹말을 혼합하였다. 폴리솔베이트 80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과 혼합하였다. 그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3> 분말과 캡슐제
본 발명의 유도체 화합물 5.0 ㎎
락토오스 14.8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2 ㎎
본 발명의 유도체 화합물을 체로 친 후에, 락토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과 함께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젤라틴 캡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
본 발명의 유도체 화합물 100 ㎎
만니톨 180 ㎎
Na2HPO4·12H2O 26 ㎎
증류수 2974 ㎎
본 발명의 유도체 화합물을 만니톨 및 Na2HPO4·12H2O와 함께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pH를 약 7.5로 조절하여 멸균시킨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2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09036048396-pat0002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아미노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며,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히드록시이지만,
    다만, R1이 히드록시이고, R2가 수소 또는 메틸인 경우 및 R1이 아미노이고, R2가 수소인 경우는 R4가 히드록시기이어야 하며,
    R1이 히드록시일 경우는 하기와 같은 케톤 형태가 주생성물로 존재한다.)
    Figure 112009036048396-pat00028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히드록시 또는 아미노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이며,
    R3는 수소 또는 히드록시이며, 그리고
    R4는 히드록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는
    4-히드록시-1-((2R,4R,5R)-3,4-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1H-피리미딘-2(1H)-온, 또는 4-아미노-1-((2R,3S,4R,5R)-3,4-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셀레노펜-2-일)-1H-피리미딘-2(1H)-온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tert-부틸디페닐실릴(TBDPSO) 보호기를 갖는 화학식 2의 셀레노당을 유기용매하에서 과산화산을 이용하여 산화반응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a);
    상기 단계 1a에서 얻은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실릴화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a), 상기 실릴화된 화합물은 유기용매하에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TMSOTf) 및 트리에틸아민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임; 및
    상기 단계 2a에서 얻은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1a의 트리올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a의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09077124565-pat0002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고, R1'는 수소, 히드록시 또는 벤조일로 치환된 아미노기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a, 2a 및 3a의 유기용매는 톨루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및 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a의 과산화산은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7. 삭제
  8. tert-부틸디페닐실릴(TBDPSO) 보호기를 갖는 화학식 6의 셀레노뉴클레오시드를 유기용매하에서 과산화산을 이용하여 산화반응시킨 후 추출·여과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실릴화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b), 상기 실릴화된 화합물은 유기용매하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을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TMSOTf) 및 트리에틸아민과 반응시켜 얻는 것임; 및
    상기 단계 1b에서 얻은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단계 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b의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반응식 2]
    Figure 112009077124565-pat00024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b 및 2b의 유기용매는 톨루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테트라히드로퓨란, 및 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b의 산화반응에서 과산화산은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알킬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c);
    상기 단계 1c에서 얻은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이미다졸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c);
    상기 단계 2c에서 얻은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염기와 반응시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3c); 및
    상기 단계 3c에서 얻은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c의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반응식 3]
    Figure 112009077124565-pat00031
    (상기 식에서, R2는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고, R5는 알킬기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c, 2c, 3c 및 4c의 유기용매는 피리딘, 톨루엔 및 메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c의 알킬 클로라이드는 트리틸 클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c의 이미다졸 화합물은 1,1-싸이오카르보닐이미다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c의 염기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c의 산은 아세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c는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산과 반응시킨 다음 메탄올과 에테르를 가하여 결정화시키는 공정을 추가하여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19.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알킬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1c);
    상기 단계 1c에서 얻은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이미다졸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c);
    상기 단계 2c에서 얻은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염기와 반응시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3c);
    상기 단계 3c에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4c);
    상기 단계 4c에서 얻어진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5c); 및
    유기용매하에서 상기 단계 5c에서 얻어진 화학식 11의 화합물의 카보닐기를 아민기로 치환시켜 화학식 1d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6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d의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반응식 4]
    Figure 112009077124565-pat00032
    (상기 식에서, R2는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고, R5는 알킬기이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c 및 6c의 유기용매는 피리딘, 톨루엔 및 메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c의 산은 무수 아세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c는 유기용매에 화학식 11의 화합물, 삼염화인산 및 트리아졸을 첨가한 후 교반시키는 단계(단계 6c-1);
    상기 단계 6c-1에서 얻은 반응물의 용매를 제거하고 디옥산-수산화암모늄 수용액 중에서 교반시키는 단계(단계 6c-2); 및
    상기 단계 6c-2에서 얻은 반응물의 용매를 제거하고 암모니아화합물에 용해시켜 교반시키는 단계(6c-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위암, 섬유성 육종암, 백혈암,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70110223A 2007-10-31 2007-10-31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71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223A KR100971296B1 (ko) 2007-10-31 2007-10-31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223A KR100971296B1 (ko) 2007-10-31 2007-10-31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225A KR20090044225A (ko) 2009-05-07
KR100971296B1 true KR100971296B1 (ko) 2010-08-03

Family

ID=4085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223A KR100971296B1 (ko) 2007-10-31 2007-10-31 4'-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2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3237A (en) 1991-08-05 1999-03-16 Polish Academy Of Science Oligonucleotides having Rp and Sp linkages at predetermined locations
KR20000008131A (ko) * 1998-07-10 2000-02-07 정낙신 치오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및 그들의 제조방법
US20030055016A1 (en) * 2001-03-22 2003-03-20 Zhen Huang Synthesis of selenium-derivatized nucleosides, nucleotides, phosphoramidites, triphosphates and nucleic aci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3237A (en) 1991-08-05 1999-03-16 Polish Academy Of Science Oligonucleotides having Rp and Sp linkages at predetermined locations
KR20000008131A (ko) * 1998-07-10 2000-02-07 정낙신 치오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및 그들의 제조방법
US20030055016A1 (en) * 2001-03-22 2003-03-20 Zhen Huang Synthesis of selenium-derivatized nucleosides, nucleotides, phosphoramidites, triphosphates and nucleic acid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 Pharm. res., Vol. 3, No. 1, 2007, 1205-12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225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99117C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EP3262057B1 (en) Substituted nucleoside derivatives useful as anticancer agents
JP4514242B2 (ja) 抗ウイルスピリミジンヌクレオシド類似体
JP4253342B2 (ja) 4’−c−置換−2−ハロアデノシン誘導体
US7019135B2 (en) Anti-viral pyrimidine nucleoside analogues
JP2001097973A (ja) 鏡像異性的に純粋なβ−D−(−)−ジオキソラン−ヌクレオシド
JPH0542438B2 (ko)
HU203363B (en) Process for producing 2&#39;,3&#39;-dideoxy-2&#39;,2&#39;-difluoronucleosid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JP2008069182A (ja) 4’−c−置換−2−ハロアデノシン誘導体
CZ20022655A3 (cs) Sloučeniny s protinádorovým účinkem, způsob jejich přípravy a farmaceutické kompozice s jejich obsahem
CN113164506B (zh) 二核苷酸化合物及其前体药物
Li et al. Anti-norovirus activity of C7-modified 4-amino-pyrrolo [2, 1-f][1, 2, 4] triazine C-nucleosides
KR100971296B1 (ko) 4&#39;-셀레노뉴클레오시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RU2347786C2 (ru) Производные сложноэфирных липидов нуклеотидов
JP5185823B2 (ja) がん治療用ジオキソラン誘導体
Jeong et al. Synthesis and antiviral activity of apio dideoxy nucleosides with azido or amino substituent
EP1534255B1 (en) Processes for preparing 1,3-dioxolane nucleosides
US6436948B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psoriasis and genital warts
Amin Synthesis of 3′-azido-4′-ethynyl-3′, 5′-dideoxy-5′-norarabinouridine: a new anti-HIV nucleoside analogue
WO1995018138A1 (fr) Derive de 2&#39;-desoxy-5-fluorouridine, sel pharmaceutiquement acceptable de ce dernier, son procede de production et medicament anti-tumo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