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561B1 -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 Google Patents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561B1
KR100970561B1 KR1020080052455A KR20080052455A KR100970561B1 KR 100970561 B1 KR100970561 B1 KR 100970561B1 KR 1020080052455 A KR1020080052455 A KR 1020080052455A KR 20080052455 A KR20080052455 A KR 20080052455A KR 100970561 B1 KR100970561 B1 KR 100970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longitudinal groove
tire
cent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26401A (en
Inventor
김정길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2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561B1/en
Publication of KR2009012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4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5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60C11/1315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having variable inclination angles, e.g. warped groov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5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 B60C2011/1361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with protrusions extending from the groov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6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heavy dut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호한 트랙션 성능을 구비하고 있으면서 그루브 내에 유입된 돌이나 흙의 배출하는 배토성 및 배수성이 향상되도록 한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loaded pneumatic radial tire having a good traction performance and to improve the discharge and drainage of the stone or soil introduced into the groove,

타이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GL)와 타이어 폭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GW)를 각각 구비하여, 트레드부가 종그루브(GL)와 횡그루브(GW)에 의해 다수의 블록(B)으로 구획된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있어서, 종그루브(GL)는, 폭 방향 중심 부분의 메인 종그루브(11)와 숄더부의 숄더 서브 종그루브(12) 및 둘 사이의 센터 서브 종그루브(13)로 구분되고; 횡그루브(GW)는 그 내측이 메인 종그루브(11)에 연통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각도가 커지는 경사진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센터 서브 종그루브(12)의 중심선과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 사이의 거리(H1)는 트레드 폭(TAW)의 0.1 ~ 0.2 배이고,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과 숄더 서브 종그루브(13)의 중심선까지의 거리(H2)는 트레드 폭(TAW)의 0.26 ~ 0.37 배이며; 횡그루브(GW)는 센터 블록(14)을 구획하는 부분(GW')이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좁고 깊이가 얕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ongitudinal groove GL form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groove GW formed in the tire width direction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the tread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B by the longitudinal groove GL and the horizontal groove GW. In the heavy-load pneumatic radial tire, the longitudinal groove GL is divided into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11 of the widthwise center portion, the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12 of the shoulder portion, and the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13 between the two. Become; The horizontal groove GW is formed in an inclined arc shape whose inn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11 and the angle increases toward the outer side; The distance H1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12 and the tire running direction center line is 0.1 to 0.2 times the tread width TAW,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ire running direction center line and the center line of the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13 ( H2) is 0.26 to 0.37 times the tread width (TAW); Transverse groove (GW)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GW ') partitioning the center block 14 is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narrower width and a shallower depth than other portions.

트랙션, 배수성, 배토성, 돌끼임 방지구, 트레드폭, 횡그루브, 에지 강성 Traction, Drainage, Dissipation, Anti-Collapse, Tread Width, Groove, Edge Stiffness

Description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s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본 발명은 비포장 도로 등의 주행에 적합하도록 양호한 트랙션 성능을 구비한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루브 내에 유입된 돌이나 흙의 배출하는 배토성 및 배수성이 향상되도록 한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duty pneumatic radial tire with a lug pattern having good traction performance for driving on an unpaved road, and in particular, a heavy load which improves the discharge and drainage properties of stones or soil introduced into the groove. It relates to a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일반적으로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트럭이나 버스 또는 건설과 산업용 차량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비포장 도로에서 충분한 견인력 및 제동력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트레드부가 러그 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In general, heavy-loaded pneumatic radial tires are mainly used in trucks, buses, and construction and industrial vehicles, and require sufficient traction and braking force on off-road roads, so that the tread portion is often formed in a lug pattern.

이에 따라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러그패턴을 살펴보면, 타이어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GM)와, 타이어의 원주방향(C)으로 형성되고 트레드의 센터 부근에 형성된 센터 종그루브(LS1) 및 트레드의 숄더부위에 형성된 숄더 종그루브(LS2)가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GW)(LS1)(LS2)들에 의해 블록들이 구획된다. 상기 블록은 트레드부의 센 터부위에 형성된 센터 블록(CB)과, 트레드부의 숄더부위에 형성된 숄더 블록(SB)과, 상기 센터 블록과 숄더 블록 사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센터-숄더 블록(CS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터 블록(CB)은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C)상에 위치한 블록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횡그루브(GM)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센터 블록(CB), 숄더 블록(SB) 및 센터-숄더 블록(CSB)들도 상기 횡그루브(GW)의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된다.Accordingly, referring to the lug pattern of a conventional heavy-duty pneumatic radial tire, referring to FIG. 1, the lateral groove GM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of the tire are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tread. A shoulder longitudinal groove LS2 formed at the center longitudinal groove LS1 and a shoulder portion of the tread is respectively formed at the tread portion of the tire, and blocks are partitioned by the grooves GW LS1 and LS2. The block includes a center block CB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tread portion, a shoulder block SB formed at the shoulder portion of the tread portion, and at least one center-shoulder block CSB formed between the center block and the shoulder block. Here, the center block CB refers to a block located on the center line C of the tire driv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horizontal groove GM is formed in a zigzag shape, and the center block CB, the shoulder block SB, and the center-shoulder block CSB ar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horizontal groove GW. Is form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패턴의 가지는 종래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포장도로나 비포장 도로를 주행할 때 타이어의 그루브 사이에 돌이 유입되는 경우가 많고, 이들 유입된 돌로 인하여 타이어 세퍼레이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eavy-loaded pneumatic radial tire having the pattern as described above often causes stones to flow between grooves of the tire when traveling on pavement or unpaved roads, and tire separation occurs due to these inflow stones. There is this.

즉, 타이어의 그루브에 유입된 돌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으면, 이들 돌들이 그루브의 베이스면까지 진입하여 타이어의 스틸 코드까지 침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틸 코드가 외부로 노출되고 스틸 코드에 녹 등이 발생하게 되어 스틸 코드와 고무 사이의 결합력이 저하되며, 그 결과 스틸 코드와 고무층이 분리되는 타이어 세퍼레이션이 야기된다.That is, when the stones introduced into the grooves of the tire are not smoothly discharged, the stones may enter the base surface of the groove and penetrate into the steel cord of the tire. As a result, the steel cor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rust occurs in the steel cord, thereby degrad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teel cord and the rubber, which results in a tire separation in which the steel cord and the rubber layer are separat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타이어의 주행방향 센터 부분에 종그루브를 형성함과 아울러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횡그루브에 방향성을 부여함으로써 배토성과 배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by forming a longitudinal groove in the running direction center portion of the tire and to give directionality to the lateral groov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to improve the soil uptake and drainage performanc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또, 본 발명은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 내에 방향성이 있는 돌 끼임 방지구를 형성함으로써 횡그루브의 내부로 유입된 돌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vy-load pneumatic radial tire that can effectively discharge the stones introduced into the lateral groove by forming a directional stone pinch in the lateral groov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의 접지면에 형성되는 종그루브와 횡그루브 및 돌 끼임 방지구의 최적 설치 위치를 한정하여 그루브에 삽입된 돌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타이어 세퍼레이션을 예방함과 아울러 배토성 및 배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limiting the optimal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ngitudinal groove and the horizontal groove and the stone pinch formed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tire effectively discharge the stone inserted in the groove to prevent tire separation, and also the soiling and drainage The object is to provide a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that is to be improved.

또, 본 발명은 타이어의 주행방향 센터 부분에 형성되는 센터 블록의 에지 강성을 향상시켜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vy-load pneumatic radial tire which improves the edge rigidity of the center block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tire in the direction of travel so that durability is improv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이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와 타이어 폭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를 각각 구비하여, 트레드부가 상기 종 그루브와 횡그루브에 의해 다수의 블록으로 구획되고, 상기 블록은 트레드 센터 부위에 형성된 센터 블록과 트레드 숄더 부위에 형성된 숄더 블록 및 상기 센터 블록과 숄더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터-숄더 블록을 포함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종그루브는,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 부분에 형성된 메인 종그루브와, 타이어의 숄더부에 형성된 숄더 서브 종그루브와, 상기 메인 종그루브와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 사이에 형성되는 센터 서브 종그루브로 구분되고; 상기 횡그루브는 그 내측 끝단이 상기 메인 종그루브에 연통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타어어 폭 방향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경사진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센터 서브 종그루브의 중심선과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 사이의 거리는 트레드 폭의 0.1 ~ 0.2 배이고,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과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는 트레드 폭의 0.26 ~ 0.37 배이며; 상기 횡그루브는 상기 센터 블록을 구획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좁고 깊이가 얕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groove form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groove formed in the tir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the tread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by the longitudinal groove and the horizontal groove, the block In the heavy-duty pneumatic radial tire comprising a center block formed in the tread center portion and a shoulder block formed in the tread shoulder portion and at least one center-shoulder block formed between the center block and the shoulder block, the longitudinal groove, A main longitudinal groove formed in the widthwise center portion of the tire, a shoulder subordinate groove formed in a shoulder portion of the tire, and a center subordinate groove formed between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and the shoulder subordinate groove; The lateral groove is formed in an inclined arc shape in which the inner end thereof communicates with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and the angle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the burner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and the tire running direction center line is 0.1 to 0.2 times the tread wid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ire running direction center line and the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is 0.26 to 0.37 times the tread width; The lateral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partitioning the center block is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narrower width and a shallower depth than other portions.

또,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상기 센터-숄더 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횡그루브 내에 그루브 방향으로 형성된 돌 끼임 방지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 끼임 방지구는 상기 횡그루브의 바닥면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vy-load pneumatic radial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tone pinch prevention tool formed in the groove direction in the horizontal groove positioned between the center-shoulder block, the stone pinch prevention tool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shape as the shape.

또한,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따르면, 상기 돌 끼임 방지구의 내측 단부와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까지의 거리는 트레드 폭의 0.12 ~ 0.18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eavy-load pneumatic radial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anti-jamming tool and the center line of the tire driving direction is 0.12 to 0.18 times the tread width.

또,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따르면, 상기 돌 끼임 방지구의 폭은 횡그루브 폭의 0.14 ~ 0.2 배이고, 상기 돌 끼임 방지구의 높이는 횡그루브 깊이의 0.11 ~ 0.21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eavy-load pneumatic radial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stone jam prevention tool is 0.14 ~ 0.2 times the width of the horizontal groove, the height of the stone jam prevention fea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0.11 ~ 0.21 times the depth of the horizontal groove.

또한,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따르면,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는, 중간 일부가 단절되어 2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eavy-load pneumatic radial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ne pinch prevention tool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dle part is cut off and divided into two.

또,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따르면, 상기 횡그루브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의 좌우측이 비대칭이 되도록 상기 메인 종그루브에 연통하는 부분이 타이어 원주 방향으로 일정 정도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heavy-loaded pneumatic radial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ral grooves are formed such that portions communicating with the main longitudinal grooves are deviated to some extent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such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longitudinal grooves are asymmetric. do.

또한,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따르면, 상기 센터 서브 종그루브는 상기 횡그루브의 폭 보다는 작고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의 폭 보다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인 종그루브는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heavy-load pneumatic radial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is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ateral groove and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and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is the shoulder sub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ongitudinal groove.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타이어의 주행 방향 중심 부분에 종그루브가 형성되고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횡그루브에 방향성이 부여됨에 따라 배토성 및 배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heavy-load pneumatic radial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oil discharging property and drainage property as longitudinal grooves are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tire i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directionality is given to the horizontal groove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또,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따르면, 횡그루브에 각각 방향성 있는 돌 끼임 방지구가 형성되어 그루브에 유입된 돌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eavy-load pneumatic radial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al stone pinch prevention holes are formed in the lateral groove, respectively, there is an effect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stones introduced into the groove.

또한,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따르면, 복수개의 종그루브와 횡그루브 및 돌 끼임 방지구의 형상이나 위치 등을 한정하여 트랙션 성능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배토성과 배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eavy-loaded pneumatic radial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limiting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the lateral grooves and the pinch prevention tool, there is an effect to improve the soil uptake and drainage without compromising traction performance.

또,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따르면, 돌 끼임 방지구가 다수의 조각으로 분할되지 않고 하나 또는 2개의 큰 조각으로 분할 형성되어 강성이 약화되지 않으므로 그루브 내로 유입된 돌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heavy-loaded pneumatic radial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ne pinch prevention opening is no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but is formed into one or two large pieces so that the rigidity is not weakened, so that the stone introduced into the groove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It can be effecti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neumatic radial tire for a heavy loa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러그 패턴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돌 끼임 방지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ug pattern of a heavy-duty pneumatic radial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ne jam prevention device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타이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GL)와 타이어 폭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GW)를 각각 구비하여, 트레드부가 상기 종그루브(GL)와 횡그루브(GW)에 의해 다수의 블록(B)으로 구획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횡그루브(GW)의 내부에는 돌 끼임 방지구(20)가 형성된다.The heavy-load pneumatic radial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ngitudinal groove (GL) form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groove (GW) formed in the tir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tread portion includes the longitudinal groove (GL) and the horizontal groove ( GW)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B, and a stone jam prevention tool 20 is formed inside the horizontal groove GW.

여기서, 상기 종그루브(GL)는,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 부분에 형성된 메인 종그루브(11)와, 타이어의 숄더부에 형성된 숄더 서브 종그루브(12)와, 상기 메인 종그루브(11)와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12) 사이에 형성되는 센터 서브 종그루브(13)로 구분되고; 상기 횡그루브(GW)는 그 내측 끝단이 상기 메인 종그루브(11)에 연통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타어어 폭 방향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경사진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Here, the longitudinal groove GL includes a main longitudinal groove 11 formed at a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12 formed at a shoulder portion of the tire,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11, and the Divided into a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13 formed between the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s 12; The horizontal groove (GW) is formed in an inclined arc shape in which the inner end thereof communicates with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11), and the angle toward the width direction is increased toward the outside.

이와 같이 상기 종그루브(GL)가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됨에 따라 직진 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횡그루브(GW)가 방향성을 가짐에 따라 배토성과 배수성능이 향상된다. As the longitudinal groove GL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the straight performance is improved. As the lateral groove GW has a directionality, the soil spreading and drainage performance are improved.

한편, 상기 블록(B)은 상기 종그루브(GL)에 의해 구획되며, 트레드 센터 부위에 형성되는 센터 블록(14)과, 타이어의 트레드 숄더 부위에 형성는 숄더 블록(15) 및 상기 센터 블록(14)과 숄더 블록(15)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터-숄더 블록(16)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터 서브 종그루브(12)에 의해 상기 센터 블록(14)과 센터 숄더 블록(16)이 구획되고,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13)에 의해 상기 센터 숄더 블록(16)과 숄더 블록(15)이 구획된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 (B) is partitioned by the longitudinal groove (GL), the center block 14 formed in the tread center portion, and the shoulder block 15 and the center block 14 formed in the tread shoulder portion of the tire ) And one or more center-shoulder blocks 16 formed between the shoulder block 15. In detail, the center block 14 and the center shoulder block 16 are partitioned by the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12, and the center shoulder block 16 and the shoulder block are defined by the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13. 15) is partitioned.

그리고, 상기 센터 서브 종그루브(12)의 중심선과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 사이의 거리(H1)는 트레드 폭(TAW)의 0.1 ~ 0.2 배가 되도록 하고,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과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13)의 중심선까지의 거리(H2)는 트레드 폭(TAW)의 0.26 ~ 0.37 배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트레드 폭(TAW)은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에서 타이어 숄더 라인까지의 거리의 두 배, 즉 타이어의 접지 전폭을 의미한다.The distance H1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12 and the tire running direction center line is 0.1 to 0.2 times the tread width TAW, and the tire running direction center line and the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 The distance (H2) to the center line of 13) is 0.26 to 0.37 times the tread width (TAW). In this case, the tread width TAW means twice the distance from the tire driving direction center line to the tire shoulder line, that is, the full width of the tire.

만약, 상기 센터 서브 종그루브(12)의 중심선과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 선 사이의 거리(H1)가, 트레드 폭(TAW)의 0.1 배 미만이면 상기 센터 블록(14)의 크기가 너무 작아 직진 성능이 저하되고, 트레드 폭(TAW)의 0.2 배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센터 블록(14)의 크기가 너무 커져 러그 패턴에서 가장 크게 요구되는 트랙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 서브 종그루브(12)의 중심선과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 사이의 거리(H1)는 트레드 폭(TAW)의 0.1 ~ 0.2 배로 한정된다.If the distance H1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12 and the center line of the tire driving direction is less than 0.1 times the tread width TAW, the size of the center block 14 is too small, so that the straight performance If this decreases and exceeds 0.2 times the tread width TAW, the size of the center block 14 becomes too large, which lowers the traction performance most demanded in the lug pattern. Accordingly, the distance H1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12 and the center direction of the tire traveling direction is limited to 0.1 to 0.2 times the tread width TAW.

또,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과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13)의 중심선까지의 거리(H2)가, 트레드 폭(TAW)의 0.26 배 미만이면 포장도로 또는 비포장 도로를 주행할 때 노면에 산재된 돌이 상기 숄더 블록(15) 부분에 형성된 횡그루브(GW)의 베이스면으로 침투하여 종래와 동일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고, 트레드 폭(TAW)의 0.37 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역시 트랙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과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13)의 중심선까지의 거리(H2)는 트레드 폭(TAW)의 0.26 ~ 0.37 배로 한정된다.Further, when the distance H2 between the tire running direction centerline and the center line of the shoulder sub-groove 13 is less than 0.26 times the tread width TAW, stones scattered on the road surface when traveling on the pavement or unpaved road are Penetrating into the base surface of the lateral groove (GW) formed in the shoulder block 15 portion causes the same problem as in the prior art, when the traction performance exceeds 0.37 times the tread width (TAW) is also reduced. Therefore, the distance H2 between the tire driving direction center line and the center line of the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13 is limited to 0.26 to 0.37 times the tread width TAW.

또, 상기 횡그루브(GW)는 상기 센터 블록(14)을 구획하는 부분(GW')이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좁고 깊이가 얕은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횡그루브(GW)의 중앙 부분의 폭을 측면 부분의 폭보다 좁게 하면, 트레드 센터 부분에서의 돌 끼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그루브(GW)의 중앙 부분의 깊이를 다른 부분에 비해 얕게 하면, 상기 센터 블록(14)의 에지부 강성이 향상되어 블록 유동이 억제되고 마모성능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groove GW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ortion GW 'partitioning the center block 14 is narrower in width and shallower in depth than other portions. Thus, when the width | variety of the center part of the said horizontal groove | channel GW is made narrow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a side part, the pinching phenomenon in the tread center part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when the depth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lateral groove GW is made shallower than other portions, the edge portion rigidity of the center block 14 is improved, block flow is suppressed, and wear performance is improved.

한편,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는 상기 센터-숄더 블록(16)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횡그루브(GW) 내에 그루브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횡그루브(GW)의 바닥면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의 내측 단부와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까지의 거리(E)는 트레드 폭(TAW)의 0.12 ~ 0.18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tone jam prevention tool 20 is formed in the groove direction in the horizontal groove (GW) located between the center-shoulder block 16, in the same shap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groove (GW). Is forme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E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pinch preventing opening 20 and the center line in the tire traveling direction is 0.12 to 0.18 times the tread width TAW.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 내측 단부와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까지 최단거리(E)가, 트레드 폭(TAW)의 0.12 배 미만이면 상기 센터 블록(14)의 크기가 작아지고 강성이 약화되어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트레드 폭(TAW)의 0.18 배를 초과하면 상기 센터 블록(14)의 크기가 커져 트랙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의 내측 단부와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까지의 거리(E)는 트레드 폭(TAW)의 0.12 ~ 0.18 배로 한정된다.When the shortest distance E between the inner edge of the anti-sticking tool 20 and the center line of the tire traveling direction is less than 0.12 times the tread width TAW, the center block 14 is reduced in size and stiffness is weakened and wear resistance is reduced. A problem of deterioration occurs, and when the thickness exceeds 0.18 times the width of the tread, the center block 14 becomes large, resulting in a decrease in traction performance. Therefore, the distance E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pinch preventing opening 20 and the center line in the tire traveling direction is limited to 0.12 to 0.18 times the tread width TAW.

또,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의 폭(t)은 횡그루브 폭(T)의 0.14 ~ 0.2 배이고,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의 높이(h)는 횡그루브 깊이(D)의 0.11 ~ 0.21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의 폭(t)이 횡그루브 폭(T)의 0.14 배 미만이면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와 상기 횡그루브(GW)의 경사면 사이의 간격이 커져 상기 횡그루브(GW)의 베이스면에 돌이 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의 폭(t)이 횡그루브 폭(T)의 0.2 배를 초과하면,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와 상기 횡그루브(GW)의 경사면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In addition, the width t of the anti-jamming tool 20 is 0.14 to 0.2 times the width of the horizontal groove, and the height h of the anti-stick 20 is 0.11 of the horizontal groove depth 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21 times. If the width t of the anti-jamming tool 20 is less than 0.14 times the width of the lateral groove T, the distanc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anti-sticking tool 20 and the horizontal groove GW is increased to thereby increase the width 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one is pinched on the base surface of the horizontal groove (GW). And, if the width t of the anti-jamming tool 20 exceeds 0.2 times the width of the horizontal groov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anti-sticking tool 2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rizontal groove GW is reduced. This is undesirable because it can occur.

그리고,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의 높이(h)가, 횡그루브 깊이(D)의 0.11 배 미만이면 상기 횡그루브(GW) 내로 유입된 돌을 배출할 수 있는 탄성력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횡그루브 깊이(D)의 0.21 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로 인하여 트랙션 성능이 저하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And, if the height h of the pinch prevention tool 20 is less than 0.11 times the lateral groove depth D, the elastic force capable of discharging the stones introduced into the lateral groove GW is lowered, which is not preferable. In the case of exceeding 0.21 times the lateral groove depth D, the traction performance is lowered due to the pinch prevention tool 20, which is also undesirable.

또,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는, 상기 횡그루브(GW) 내에 하나씩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 일부가 단절되어 2개의 큰 조각으로 분할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의 강성이 향상되어 상기 횡그루브(GW)의 내부로 유입된 돌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inching prevention tool 20 is formed in the horizontal groove (GW) one by one, in some cases, the middle part is cut off may be divided into two large pieces. As a result, the stiffness of the anti-jamming tool 20 is improved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stone introduced into the horizontal groove GW.

그러나, 기존의 돌 끼임 방지구는 대부분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할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돌 끼임 방지구의 강성이 약해 그루브의 내부로 유입된 돌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the existing stone pinch prevention tool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rigidity of the stone pinch prevention tool is weak, and does not effectively discharge the stone introduced into the groove.

또, 상기 횡그루브(GW)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11)의 좌우측이 비대칭이 되도록 상기 메인 종그루브(11)에 연통하는 부분이 타이어 원주 방향으로 일정 정도 어긋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횡그루브(GW)의 위치가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면 각 블록(B)의 원주방향 위치가 달라지므로 타이어의 접지력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트랙션 성능이 좋아진다.Further, in the lateral groove GW, a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11 is formed to be shifted to a certain extent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such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11 are asymmetrical. Thus, when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groove (GW) is formed asymmetrically, the circumferential position of each block (B) is different, so that the traction performance of the tire is improved and accordingly the traction performance is improved.

그리고, 상기 센터 서브 종그루브(13)는 상기 횡그루브(GW)의 폭 보다는 작고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12)의 폭 보다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인 종그루브(11)는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12)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배수 성능이 향상되어 빗길 주행시 수막에 의한 미끄러짐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13 is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horizontal groove GW and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12, and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11 is the shoulder sub groove. It is formed with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ongitudinal groove 12. As a result,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tire may be improved, thereby reducing the sliding phenomenon caused by the water film during rain driv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re appropriately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will be possible.

도 1은 종래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러그 패턴이 도시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ug pattern of a conventional heavy-load pneumatic radial tir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러그 패턴이 도시된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ug pattern of a pneumatic radial tire for heavy loa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돌 끼임 방지구가 도시된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ne jam prevention tool of the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GL: 종그루브 11: 메인 종그루브GL: Bell Groove 11: Main Bell Groove

12: 센터 서브 종그루브 13: 숄더 서브 종그루브12: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13: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B: 블록 14: 센터 블록B: block 14: center block

15: 숄더 블록 16: 센터-숄더 블록15: shoulder block 16: center-shoulder block

GW: 횡그루브 20: 돌 끼임 방지구GW: Cross groove 20: Stone jammer

TAW: 트레드 폭TAW: tread width

Claims (7)

타이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GL)와 타이어 폭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GW)를 각각 구비하여, 트레드부가 상기 종그루브(GL)와 횡그루브(GW)에 의해 다수의 블록(B)으로 구획되고, 상기 블록(B)은 트레드 센터 부위에 형성된 센터 블록(14)과 트레드 숄더 부위에 형성된 숄더 블록(15) 및 상기 센터 블록(14)과 숄더 블록(15)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터-숄더 블록(16)을 포함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있어서,A longitudinal groove GL form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groove GW formed in the tire width direction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the tread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B by the longitudinal groove GL and the horizontal groove GW. Block (B) is a center block (14) formed at the tread center portion and a shoulder block (15) formed at the tread shoulder portion and at least one center formed between the center block (14) and the shoulder block (15). In the heavy-duty pneumatic radial tire containing the shoulder block 16, 상기 종그루브(GL)는,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 부분에 형성된 메인 종그루브(11)와, 타이어의 숄더부에 형성된 숄더 서브 종그루브(12)와, 상기 메인 종그루브(11)와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12) 사이에 형성되는 센터 서브 종그루브(13)로 구분되고;The longitudinal groove GL includes a main longitudinal groove 11 formed in a widthwise center portion of the tire, a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12 formed in a shoulder portion of the tire,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11, and the shoulder subfolder. Divided into a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13 formed between the longitudinal grooves 12; 상기 횡그루브(GW)는 그 내측 끝단이 상기 메인 종그루브(11)에 연통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타어어 폭 방향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경사진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The horizontal groove (GW) is formed in an inclined arc shape in which the inner end thereof communicates with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11), and the angle toward the width direction is increased toward the outer side thereof; 상기 센터 서브 종그루브(12)의 중심선과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 사이의 거리(H1)는 트레드 폭(TAW)의 0.1 ~ 0.2 배이고,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과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13)의 중심선까지의 거리(H2)는 트레드 폭(TAW)의 0.26 ~ 0.37 배이며;The distance H1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12 and the tire running direction center line is 0.1 to 0.2 times the tread width TAW, and the center line of the tire running direction center line and the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13. Distance H2 is 0.26 to 0.37 times the tread width TAW; 상기 횡그루브(GW)는 상기 센터 블록(14)을 구획하는 부분(GW')이 다른 부분 에 비해 폭이 좁고 깊이가 얕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The horizontal groove (GW) is a pneumatic radial tire for heavy load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GW ') partitioning the center block 14 is formed in a narrower width and a shallower depth than other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터-숄더 블록(16)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횡그루브(GW) 내에 그루브 방향으로 형성된 돌 끼임 방지구(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는 상기 횡그루브(GW)의 바닥면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In the horizontal groove (GW) located between the center-shoulder block (16) further comprises a stone jam prevention tool 20 formed in the groove direction, the stone jam prevention device 20 is the horizontal groove (GW) Pneumatic radial tire for a heavy loa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ottom surface shap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의 내측 단부와 상기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까지의 거리(E)는 트레드 폭(TAW)의 0.12 ~ 0.18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The heavy-duty pneumatic radial tire of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E between the inner end portion of the anti-jamming tool 20 and the center line in the tire traveling direction is 0.12 to 0.18 times the tread width TAW.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의 폭(t)은 횡그루브 폭(T)의 0.14 ~ 0.2 배이고,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의 높이(h)는 횡그루브 깊이(D)의 0.11 ~ 0.21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The width t of the anti-sticking tool 20 is 0.14 to 0.2 times the width of the horizontal grooves T, and the height h of the anti-sticking tool 20 is 0.11 to 0.21 of the horizontal groove depth D. Pneumatic radial tire for heavy loa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p.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돌 끼임 방지구(20)는, 중간 일부가 단절되어 2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The stone jam prevention tool 20 is a pneumatic radial tire for a heavy load,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dle portion is cut off and divided into two.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횡그루브(GW)는, 상기 메인 종그루브(11)의 좌우측이 비대칭이 되도록 상기 메인 종그루브(11)에 연통하는 부분이 타이어 원주 방향으로 일정 정도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The horizontal groove (GW) is a heavy load pneumatic,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11 is formed to be shifted to a certain extent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such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11) are asymmetrical. Radial tir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센터 서브 종그루브(13)는 상기 횡그루브(GW)의 폭 보다는 작고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12)의 폭 보다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인 종그루브(11)는 상기 숄더 서브 종그루브(12)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The center sub longitudinal groove 13 is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ateral groove GW and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12, and the main longitudinal groove 11 is the shoulder sub longitudinal groove. A heavy-duty pneumatic radial tire, which is formed with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12).
KR1020080052455A 2008-06-04 2008-06-04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KR1009705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455A KR100970561B1 (en) 2008-06-04 2008-06-04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455A KR100970561B1 (en) 2008-06-04 2008-06-04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401A KR20090126401A (en) 2009-12-09
KR100970561B1 true KR100970561B1 (en) 2010-07-16

Family

ID=4168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455A KR100970561B1 (en) 2008-06-04 2008-06-04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56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714A (en) 1998-04-10 1999-10-26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KR100593012B1 (en) 2004-06-08 2006-06-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of RUG Pattern
KR100754351B1 (en) 2005-10-21 2007-08-3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714A (en) 1998-04-10 1999-10-26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KR100593012B1 (en) 2004-06-08 2006-06-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of RUG Pattern
KR100754351B1 (en) 2005-10-21 2007-08-3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401A (en)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038B1 (en) Heavy duty tire
JP4899650B2 (en) Pneumatic tire
AU2010207199B2 (en) Tire
JP6438768B2 (en) Pneumatic tire
CN105564160A (en) Pneumatic tire
WO2012043036A1 (en) Pneumatic tire
KR20120122921A (en) Pneumatic tire
US20080271827A1 (en) Pnuematic tire
US20080271826A1 (en) Pnuematic tire
US10155418B2 (en) Heavy duty pneumatic tire
AU2011228471B2 (en) Pneumatic tire
US9358843B2 (en) Tire
KR100604077B1 (en) Tread pattern structure for off road tire
JP2008207659A (en) Pneumatic tire
WO2013018890A1 (en) Tire
KR100749399B1 (en)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KR101878324B1 (en) Medium long distance guide wheel tyre pattern
KR100970561B1 (en)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KR101878323B1 (en) High wear resistant long distance all wheel pattern
KR101027585B1 (en)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KR100831869B1 (en) Tread pattern for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JP5011684B2 (en) Pneumatic tire
KR100593011B1 (en)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of RUG Pattern
KR100593012B1 (en)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of RUG Pattern
KR20070097828A (en)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