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301B1 -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301B1
KR100970301B1 KR1020080062668A KR20080062668A KR100970301B1 KR 100970301 B1 KR100970301 B1 KR 100970301B1 KR 1020080062668 A KR1020080062668 A KR 1020080062668A KR 20080062668 A KR20080062668 A KR 20080062668A KR 100970301 B1 KR100970301 B1 KR 100970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phosphor
unit
fluorescen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691A (ko
Inventor
손원국
이브기니 알리에프
오스모날리에바 굴미라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2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301B1/ko
Priority to US12/487,154 priority patent/US9074751B2/en
Publication of KR20100002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6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movement of parts, e.g. by movement of reflectors 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조명기구는 반사판, 발광 다이오드부, 형광필름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반사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를 포함한다. 상기 형광필름은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광을 서로 다른 n개의 색상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발광 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기구{light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의 색의 농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조명기구는 광원으로 필라멘트와 할로겐을 이용하고 있다. 필라멘트를 광원으로 이용한 형광등의 경우 효율이 높고 연색성도 양호하여 보통 방의 전체 조명에 최적이나, 램프 치수가 크고 휘도가 낮아 집광 되지 않고 주위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할로겐을 광원으로 이용한 할로겐등의 경우 전구 자체가 작고 간편하며 에너지 효율이 높고 색온도가 높아 물체의 색을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이점이 있지만, 복사열이 많아 밀집하여 사용할 경우 주변의 온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는 기존 조명기구에 광원으로 쓰이는 필라멘트와 할로겐에 비해 발광 효율이 높고, 발광 시간이 오래가며, 낮은 전류값으로도 동작이 가능 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사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를 조명기구의 광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백색광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상기 조명기구의 발광을 백색광이 아닌 다양한 색으로 발광하기 위 해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감광제를 이용하여 간접 발광 구조를 적용하거나, 발광원을 감싸고 있는 재질을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조명기구의 경우 발광원을 감싸는 재질의 깨지기 쉬운 특성으로 인해 취급이 불편하고, 단 하나의 색으로 구성된 감광제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선택하지 못하고, 오직 한가지 색상으로만 발광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발광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조명기구는 반사판, 발광 다이오드부, 형광필름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반사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를 포함한다. 상기 형광필름은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광을 서로 다른 n개의 색상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동시킨다.
예컨대, 상기 형광체 구성부의 제 1단 내지 제 n단은 각각 적색 형광체와 녹색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적색, 녹색 또는 백색을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색 형광체는 바륨실리케이트계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녹색 형광 체는 황화스트론튬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의 발광 다이오드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필름은 형광체를 포함하지 않는 (n+1)단 형광체 구성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n+1)단 형광체 구성부가 선택되었을 때, 청색광 또는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형광체 구성부의 제 1단 내지 제 n단 중 백색을 표현하기 위한 단들은 쿨 화이트(cool white)와 웜 화이트(warm white)를 표현해 주기 위해 상기 적색 형광체와 상기 녹색 형광체의 분포도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반사판을 고정시키는 제 1지지대 및 제2 지지대와 외부에서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 조절부 및 상기 제 1 지지대 및 제 2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단 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단 조절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형광필름을 감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형광필름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와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형광필름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단면이 아치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는 제 1면이 상기 반사판의 오목한 부분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사판은 단면이 아치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는 제 2면이 상기 반사판의 오목한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명기구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를 조명기구의 광원으로 이용하여 발광효율을 높이고,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를 포함하는 형광필름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광을 서로 다른 n개의 색상으로 변환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필름을 이격시켜 형광필름의 열에 의한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 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조명기구(100)의 조립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는 반사판(110), 발광 다이오드부(120), 형광필름(film)(130) 및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판(110)은 단면이 아치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장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120)는 상기 반사판(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122)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22)는 제 1방향의 제 1열로 배열되어 인쇄회로기판(150)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발광 다이오드(122)가 제 1방향의 제 2열로 배열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5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22)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UV)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상기 형광필름(130)은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135)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122)로부터 발생된 광을 서로 다른 n개의 색상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형광필름(130)은 예를 들어,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 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 PC)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광필름(130)은 상기 반사판(110)의 하부에 상기 반사판(11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광필름(13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120)와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120)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형광필름(130)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 구성부(135)의 제 1단 내지 제 n단은 각각 적색 형광체(도시되지 않음)와 녹색 형광체(도시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적색, 녹색 또는 백색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적색 형광체는 바륨실리케이트계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녹색 형광체는 황화스트론튬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형광필름(130)을 감아서 상기 제 1단 내지 제 n단 의 형광체 구성부(13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단 조절부(146)를 가진다. 또한,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단 조절부(146)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110)을 고정시키는 제 1지지대(142) 및 제 2지지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0)의 상기 제 1지지대(142) 및 상기 제 2지지대(144)는 각각 상기 반사판(110)의 제 1단부 및 제 2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조명기구(100)는 광원으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120)에서 발생하는 광을 이용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120)에서 발생한 제 1광은 상기 형광필름(130)을 통과하면 제 2광으로 변하게 된다. 상기 형광필름(130)의 상기 형광체 구성부(135)는 각 단의 형광체의 비율이 달리 구성되어, 상기 제 2광이 정형화된 하나의 색이 아니라 다양한 색을 가질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백색 조명을 사용하려 하는 경우,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적색 및 녹색 형광체를 이용해야 한다. 상기 조명기구(100)의 광원으로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제 1광은 상기 형광필름(130)을 통과하면 백색광으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 형광필름(130)은 적색 형광체와 녹색 형광체의 분포비율을 달리하여 구성된 제 1단 내지 제 n단의 상기 형광체 구성부(135)를 가질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의 상기 형광체 구성부(135)는 상기 적색 형광체의 비율을 5%, 상기 녹색 형광체의 구성을 95%로 구성하고, 제 2단의 상기 형광체 구성부(135)는 상기 적색 형광체의 비율을 10%, 상기 녹색 형광체의 구성을 90%로 구성 하여 제 n단의 상기 형광체 구성부(135)까지 형성한다.
인접한 단의 상기 형광체 구성부(135)간의 상기 적색 형광체 및 상기 녹색 형광체의 분포 비율을 달리함으로써, 쿨 화이트(cool white) 내지 웜 화이트(warm white) 의 다양한 백색광의 농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단 조절부(146)를 제 1방향 및 제 2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 1단 내지 제 n단의 상기 형광체 구성부(135)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광필름(130)은 형광체를 포함하지 않는 (n+1)단 형광체 구성부(133)를 더 포함하여 상기 (n+1)단 형광체 구성부(133)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120)에서 발생되는 본래의 청색광 또는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조명기구(100)의 상기 구동부(140)를 확대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상기 반사판(110) 및 제2 지지대는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반사판(110)을 고정시키는 제 1지지대(142) 및 제 2지지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대(142) 및 상기 제 2지지대(144)는 각각 상기 반사판(110)의 제 1단부 및 제 2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대(142) 및 상기 제 2지지대(144)는 표면을 따라 상기 반사판(11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홈(143)이 장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대(142) 및 상기 제 2지지대(144) 내부에 장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 조절 부(146)와 연결되는 회전축(14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대(142) 및 상기 제 2지지대(144) 표면을 따라 상기 제 1홈(143)과 위치를 달리하여 제 2홈(145)이 형성된다. 상기 제 2홈(145)을 통해 들어온 상기 형광필름(130)은 상기 회전축(147)에 감겨지게 된다. 그래서 상기 단 조절부(146)를 회전 시키면, 상기 회전축(147)에 감겨진 상기 형광필름(130)만 상기 단 조절부(146)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지지대(142) 및 상기 제 2지지대(144)는 상기 단 조절부(146)를 회전 시켜도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 상기 반사판(110)은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제 1지지대(142)가 도시된 바와 같이 짧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2홈(145)은 형성할 필요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2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조명기구(200)는 발광 다이오드부(220)와 인쇄회로기판(250) 및 형광필름(230)의 위치를 제외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명기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200)는 반사판(210), 발광 다이오드부(220), 형광필름(230) 및 구동부(24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기구(200)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220)는 제 2면이 상기 반사판(210)의 오목한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210)은 단면이 아치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장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220)는 상기 반사판(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제 1방향의 제 1열로 배열되어 인쇄회로기판(250)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제 1방향의 제 2열로 배열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UV)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상기 형광필름(230)은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235)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220)로부터 발생된 광을 서로 다른 n개의 색상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상기 형광필름(23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220)의 제 2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지지대(242) 및 상기 제 2지지대(244) 사이에 장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형광필름(230)을 감아서 상기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23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단 조절부(246)를 가진다. 또한,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반사판(210)을 고정시키는 상기 제 1지지대(242) 및 상기 제 2지지대(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40)의 상기 제 1지지대(242) 및 상기 제 2지지대(244)는 각각 상기 반사판(210)의 제 1단부 및 제 2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220)에서 발생한 제 1광은 상기 형광필름(230)을 통과하여 제 2광으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 조명기구(200)는 상기 단 조절부(246)를 회 전시켜 상기 형광필름(230)을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형광필름(2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광필름(130)과 달리 장축으로 곧게 형성되어, 각 단의 형광체 구성부(235)간의 거리가 짧아 상기 단 조절부(246)의 조작시간이 단축되어 상기 조명기구(200)의 발광색이 빠르게 전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3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조명기구(300)는 전동부(360)을 제외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명기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300)는 반사판(310), 발광 다이오드부(320), 형광필름(330) 및 구동부(34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기구(300)는 상기 단 조절부(346)와 연결되어 전동으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형광필름(33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전동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310)은 단면이 아치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장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320)는 상기 반사판(3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제 1방향의 제 1열로 배열되어 인쇄회로기판(350)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제 1방향의 제 2열로 배열되어 상기 인쇄회로기 판(35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UV)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상기 형광필름(330)은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335)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320)로부터 발생된 광을 서로 다른 n개의 색상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상기 형광필름(330)은 상기 반사판(310)의 하부에 상기 반사판(31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광필름(33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320)와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320)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형광필름(330)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40)는 상기 형광필름(330)을 감아서 상기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33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단 조절부(346)를 가진다. 또한, 상기 구동부(340)는 상기 반사판(310)을 고정시키는 제 1지지대(342) 및 제 2지지대(3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40)의 상기 제 1지지대(342) 및 상기 제 2지지대(344)는 각각 상기 반사판(310)의 제 1단부 및 제 2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동부(360)는 예를 들어,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나 누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부(360)를 제 1상태로 놓게 되면, 상기 단 조절부(346)가 제 1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전동부(360)를 제 2상태로 놓게 되면, 상기 단 조절부(346)가 제 2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형광필름(330)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동부(360)는 예컨대, 두 개의 모터를 각각 상기 제 1지지대(342) 내 부의 회전축(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제 2지지대(344) 내부의 회전축(도시되지 않음)과 각각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형광 필름(330)의 어느 하나의 형광체 구성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동부(3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형광필름(330)이 이동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상기 조명기구(300)는 위치가 높은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 내부의 천장에 상기 조명기구(300)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부(360)의 스위치를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곳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350)에 부착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320)의 발광색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4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조명기구(400)는 확산판(470)을 제외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명기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400)는 반사판(410), 발광 다이오드부(420), 형광필름(430) 및 구동부(44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기구(400)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420)의 제 2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420)에서 발생된 광을 확산하여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상기 확산판(4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410)은 단면이 아치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장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420)는 상기 반사판(4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제 1방향의 제 1열로 배열되어 인쇄회로기판(450)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제 1방향의 제 2열로 배열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5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UV)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상기 형광필름(430)은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435)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420)로부터 발생된 광을 서로 다른 n개의 색상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상기 형광필름(430)은 상기 반사판(410)의 하부에 상기 반사판(41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광필름(43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420)와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420)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형광필름(430)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40)는 상기 형광필름(430)을 감아서 상기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43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단 조절부(446)를 가진다. 또한, 상기 구동부(440)는 상기 반사판(410)을 고정시키는 제 1지지대(442) 및 제 2지지대(4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40)의 상기 제 1지지대(442) 및 제 2지지대(444)는 각각 상기 반사판(410)의 제 1단부 및 제 2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에 따르면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광을 서로 다른 n개의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형광필름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형광필름을 감아서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단 조절부를 회전시켜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색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단 조절부와 연결된 전동부를 더 포함하여 위치가 높은 곳에 설치된 조명기구도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색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서 도시된 조명기구의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서 도시된 조명기구에서 구동부만 확대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분의 설명>
100,200,300,400,500; 조명기구
110: 반사판 120: 발광 다이오드부
130: 형광필름 140: 구동부
150: 인쇄회로기판

Claims (9)

  1.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부;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광을 서로 다른 n개의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형광필름; 및
    상기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 구성부의 제 1단 내지 제 n단은 각각 적색 형광체와 녹색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적색, 녹색 또는 백색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의 발광 다이오드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필름은 형광체를 포함하지 않는 (n+1)단 형광체 구성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n+1)단 형광체 구성부가 선택되었을 때, 청색광 또는 자외선을 발광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 구성부의 제 1단 내지 제 n단 중 백색을 표현하기 위한 단들은 쿨 화이트(cool white)와 웜 화이트(warm white)를 표현해 주기 위해 상기 적색 형광체와 상기 녹색 형광체의 분포도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반사판을 고정시키는 지지대;
    외부에서 제 1단 내지 제 n단의 형광체 구성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 조절부; 및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단 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단 조절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형광필름을 감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필름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와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형광필름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단면이 아치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는 제 1면이 상기 반사판의 오목한 부분을 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단면이 아치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는 제 2면이 상기 반사판의 오목한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KR1020080062668A 2008-06-20 2008-06-30 조명기구 KR100970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68A KR100970301B1 (ko) 2008-06-30 2008-06-30 조명기구
US12/487,154 US9074751B2 (en) 2008-06-20 2009-06-18 Ligh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68A KR100970301B1 (ko) 2008-06-30 2008-06-30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691A KR20100002691A (ko) 2010-01-07
KR100970301B1 true KR100970301B1 (ko) 2010-07-15

Family

ID=4181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668A KR100970301B1 (ko) 2008-06-20 2008-06-30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3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5835A (ja) 1999-07-21 2003-02-12 テレダイン ライティング アンド ディスプレイ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照明装置
JP2003132708A (ja) 2001-10-25 2003-05-09 Tanabe Take Shoten:Kk Led照明装置
KR20080021899A (ko) * 2006-09-05 2008-03-10 김남호 Led 등기구
KR20080026191A (ko) * 2005-06-23 2008-03-24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조명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5835A (ja) 1999-07-21 2003-02-12 テレダイン ライティング アンド ディスプレイ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照明装置
JP2003132708A (ja) 2001-10-25 2003-05-09 Tanabe Take Shoten:Kk Led照明装置
KR20080026191A (ko) * 2005-06-23 2008-03-24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조명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21899A (ko) * 2006-09-05 2008-03-10 김남호 Led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691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4751B2 (en) Lighting apparatus
JP4653120B2 (ja) 照明装置
JP4931819B2 (ja) 照明装置
JP5734204B2 (ja) 光学要素及び当該光学要素を有する光源
CN111954781A (zh) 烛光外观的led灯丝灯
JP2007059260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KR20100100986A (ko) 대형 구조물 조명용 led 기반 조명 기구
JP6045506B2 (ja) 光散乱光学構造部を備えたled電球
JP2009016058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TW201009237A (en) Lamp unit and luminaire
JP2014533876A (ja) 光出力を均一に混合するled直視型照明器具
JP2014508387A (ja) 調整可能な光出力を有する点灯アセンブリ
KR20110017648A (ko) 조명 장치
JP2011108396A (ja) 口金付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2010517217A (ja) 照明デバイス及び斯様な照明デバイスを有する照明器具
KR20120136169A (ko) Led 전구
KR200455985Y1 (ko) Led용 조명등
KR100970301B1 (ko) 조명기구
KR20080049347A (ko)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등
WO2013175356A1 (en) Illumination device
JP2013143250A (ja) 照明装置
WO2012107863A1 (en) Method for color mixing
CN113330245A (zh) Led灯丝装置
WO2012128013A1 (ja) 照明装置
KR101071970B1 (ko) 엘이디 형광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