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054B1 - Car Cup Holder - Google Patents
Car Cup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9054B1 KR100969054B1 KR1020040078502A KR20040078502A KR100969054B1 KR 100969054 B1 KR100969054 B1 KR 100969054B1 KR 1020040078502 A KR1020040078502 A KR 1020040078502A KR 20040078502 A KR20040078502 A KR 20040078502A KR 100969054 B1 KR100969054 B1 KR 1009690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case
- beverage container
- cup holder
- leaf sp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ix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및 음료용기 등의 크기 및 및 형상에 관계없이 수납시킬 수 있고, 특히 수납된 상태의 음료용기를 어떠한 걸림없이 부드럽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utomobiles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accommodated regardless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cup and the beverage container, and in particular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stored state can be separated smoothly without any jam.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수납구 및 이 수납구의 사방 위치에 장착구가 형성된 홀더 플레이트가 자동차용 플로워 콘솔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컵홀더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부로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 위치에 슬롯이 관통 형성된 중공형 구조로서,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장착구에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와; 일면이 개방되고, 양쪽 외측면에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핀이 일체로 형성된 중공형 구조로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를 통해 삽입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내표면을 따라 일체로 부착되며, 그 상단은 위쪽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에 고정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p holder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ports into which a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and a holder plate having mounting holes formed at four positions of the storage port are installed in a floor console for an automobile, the front surface of which is formed as an open portion, the center of both sides A hollow structure in which a slot is formed at a position, the case being fixedly mounted to a mounting hole of the holder plate; A hollow structure in which one surface is opened and pins inserted into the slots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outer surfaces, the support member being inserted and coupl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case; It is integrally attach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he upper end is further provided upwards to provide a cup holder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af spring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컵홀더, 음료용기 분리, 케이스, 지지부재, 판스프링, 홀더 플레이트Cup holder, beverage container separation, case, support member, leaf spring, holder plate
Description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지지부재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1a and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and a spring of the automobil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of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케이스에 지지부재 및 판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3a는 지지부재가 본래의 위치에 놓인 상태를, 도 3b는 지지부재가 판스프링과 함께 후방으로 밀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and the leaf spring are coupled to the case of FIG. 2, and FIG. 3A shows the support member in its original position, and FIG. 3B shows the support member rear with the leaf spring.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pushed i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홀더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 holder plate of the cup holder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5b는 도 5의 홀더 플레이트에 지지부재가 결합된 케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5A and 5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case in which a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a holder plate of FIG. 5 is mount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cup holder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up holder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종래의 컵홀더를 나타내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up hold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음료용기 12 : 지지부재 10: beverage container 12: support member
14 : 지지면 16 : 핀14
18 : 판스프링 20 : 탄성발휘단18: leaf spring 20: elastic tip
22 : 고정단 24 : 케이스22: fixed stage 24: case
26 : 슬롯 28 : 고정홀26: slot 28: fixing hole
30 : 홀더 플레이트 32 : 장착구30: holder plate 32: mounting holes
34 : 끼움단 36 : 수납구34: fitting 36: storage
38 : 플로워 콘솔 40 : 슬라이드홈
38: floor console 40: slide groov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스프링의 탄지력을 이용하여 음료용기 등을 그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수납시킬 수 있고, 특히 수납된 상태의 음료용기를 어떠한 간섭 내지 걸림없이 부드럽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 beverage container or the like regardless of its size and shape by using the spring force of the leaf spring, and in particular,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stored state may have any interference 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utomobiles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separated smoothly without jamming.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컵홀더는 오디오, 에어컨 조절판 등이 설치되는 센터 페시아 패널에 수납 또는 인출되는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되거나, 기어 변속레버와 콘솔박스 사이의 플로워 콘솔 트레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있다.Typically, a cup holder for a car is installed in a slide type that is stored or drawn out in a center fascia panel where audio, an air conditioner control panel, etc. are installed, or is exposed to a floor console tray between a gear shift lever and a console box.
대개, 상기 컵홀더의 수납구는 일정한 크기로 구성되지만, 최근에는 어떤한 직경의 음료용기라도 모두 수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채택되고 있고, 또한 차량의 진동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음료용기의 외경면을 견고하게 지지해줄 수 있는 구조로 적용되고 있다.Usually, the cup holder is configured to have a certain size, but in recent years it has been adopted as a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all the beverage container of any diameter, and also firmly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not to be shaken by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It is appli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done.
그 중 하나는 일본특개2004-82887(2004.03.18)에 공개된 바와 같고, 그 구성을 도 8을 참조로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e of them is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82887 (2004.03.18),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is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음료용기(10)가 삽입 안착되는 홀더본체(100)와,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해주는 지지부재(102)와, 이 지지부재(10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평축선이 되는 지지축(104)에 끼워져 일끝단은 지지부재(102)의 후면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홀더본체(10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106)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특히, 상기 지지부재(102)는 안쪽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형상으로서, 그 중간부분은 실질적으로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부(108)로 형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따라서, 음료용기(10)를 컵홀더에 삽입시키게 되면, 음료용기(10)의 둘레면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102)는 스프링(106)을 압축시키면서 뒤로 밀리게 되고, 이어서 음료용기(10)가 홀더본체(100)내에 안착되는 동시에 지지부재(102)는 스프링(106)의 탄성 복원력을 받으면서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이때, 상기 지지부재(102)의 하단부가 각운동을 하며 뒤로 밀리거나, 또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힌지점은 상기 스프링(106)이 끼워진 지지축(104)이며, 이 지지축(104)을 중심으로 지지부재(102)의 하단부는 도 8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hinge point that the lower end of the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부재(102)의 힌지 회전점이 되는 지지축(104)보다 음료용기를 실질적으로 지지해주는 상기 지지부재(102)의 가이드부(108)가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항상 지지부재(102)는 지지축(104)을 중심으로 도 9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상향(바깥쪽 방향을 향하여)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이러한 구성 및 작동 관계를 갖는 일본특개2004-82887의 컵홀더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The cup holder of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82887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ng relationship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즉, 음료용기(10)가 홀더본체(108)에 안착되어 지지부재(102)가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밀착 지지해주는 상태에서 음료용기(10)를 컵홀더로부터 빼내는 순간, 오히려 음료용기(10)의 하단 둘레면이 지지부재(102)의 가이드부(108)의 저부에 걸리게 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지지부재 및 스프링 등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10)가 분리되면서 음료용기의 하단 둘레면이 지지부재(102)의 최고 둘출점인 가이드부(108)에 걸리게 되어, 음료용기의 원할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결국 지지부재 및 스프링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More specifically, as the
더욱이, 음료용기의 중간 부분이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예를들어, 콜라병, 캔 하단부에 절곡부을 갖는 맥주캔)인 경우에는 음료용기의 오목한 부위 또는 절곡부로 지지부재(102)의 가이드부(108)가 밀착 위치하게 되는 바, 음료용기의 분리시 음료용기의 오목한 부위 또는 절곡부에 지지부재(102)의 가이드부(108)가 더욱 잘 걸리게 되어, 마찬가지로 지지부재 및 스프링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middle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has a concave curved shape (for example, a cola bottle, a beer can having a bent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can), the guide portion of the
이렇게 음료용기가 지지부재에 걸리게 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의 후면 상단부가 상기 스프링이 끼워진 수평 지지축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 지지축을 힌지점으로 하여, 도 9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각운동을 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beverage container is caught by the support member is as described above with the support shaft as the hinge point in the state where the rear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fixed to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fitted with the spring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y always angular movement in the same direction.
이와 같이, 일본특개2004-82887에 공개된 컵홀더는 음료용기의 안정적인 수납은 가능하지만, 음료용기의 분리 동작은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음료용기의 분리시 지지부재 및 스프링이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up holde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82887 has a problem that stable storag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possible, but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not made smoothl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dismissed.
한편, 일본특개2002-144941(2002.05.22)와, 일본실개평6-78066(1994.11.01)에도 음료용기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해주는 컵홀더가 공개되어 있는 바, 마찬가지로 음료용기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재의 회전점이 위쪽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용기의 원할한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Meanwhil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2-144941 (2002.05.22) an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6-78066 (1994.11.01) also disclose cup holders that support beverage containers using elastic force. Since the rotation point of the member is located above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smooth sepa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not made properly.
이에, 음료용기의 안정적인 수납 및 원할한 분리가 모두 가능한 컵홀더가 요구된다.
Accordingly, a cup holder capable of both stable storage and smooth sepa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판스프링의 탄지력을 이용하여 음료용기 등을 그 크기 및 및 형상에 관계없이 수납시킬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하되, 음료용기의 수납시 지지부재가 판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뒤로 밀리게 되는 동시에 음료용기의 둘레면을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견고하 게 잡아줄 수 있고, 음료용기의 분리시에는 지지부재의 하단부가 뒤로 각회전을 하여 음료용기가 지지부재에 걸리지 않고 원할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cup holder that can accommodate a beverage container regardless of its size and shape by using the force of the leaf spring, when storing the beverage container The support member is pushed backward while compressing the leaf spring, and at the same tim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firmly gripp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structure such that the container can be smoothly separate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support memb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수납구 및 이 수납구의 사방 위치에 장착구가 형성된 홀더 플레이트가 자동차용 플로워 콘솔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컵홀더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부로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 위치에 후방으로 상경사진 형태의 슬롯이 관통 형성된 중공형 구조로서,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장착구에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와; 일면이 개방되고, 양쪽 외측면에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핀이 일체로 형성된 중공형 구조로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를 통해 삽입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내표면을 따라 일체로 부착되며, 그 상단은 위쪽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에 고정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up holder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ports into which a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and a holder plate having a mounting hole formed at four positions of the storage port are installed in an automotive floor console, wherein the front surface is formed as an open portion. A hollow structure in which a slot having a shape inclined to the rear in a central position on both sides thereof is formed, the case being fixedly mounted to a mounting hole of the holder plate; A hollow structure in which one surface is opened and pins inserted into the slots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outer surfaces, the support member being inserted and coupl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case; It is integrally attach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he upper end is further provided upwards to provide a cup holder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af spring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 모서리부에는 끼움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장착구의 측벽에는 상기 끼움단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ront edge portion of the cas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tting en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mounting hole of the holder plate is fitted in the slide manner.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판스프링은 위쪽으로 연장된 상단부를 제외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내후면에 밀착되거나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leaf spring is in close contact or integrally injection molded to the inner and rear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except for the upper end extending upward.
특히, 상기 판스프링의 상단부는 직각으로 절곡된 부위로서, 이 직각 절곡된 부위중 수직단은 탄성발휘단으로 형성되고, 수평단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upper end of the leaf spring is bent at a right angle, the vertical end of the right angled bent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tip,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end is formed of a fixed end fixed to the case.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수평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hole is formed so that the horizontal end of the leaf spring is fitted and fix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음료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전후 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음료용기의 안정적인 수납은 물론 음료용기의 분리가 어떠한 간섭 내지 걸림없이 매우 원할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point in that th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beverage container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so that the storage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made very smoothly and smoothly without any interference or jam.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지지부재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 member and a spring of an automobil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음료용기(10)를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부재(12)는 후면이 개방된 반원형 또는 타원형의 중공 성형물로서, 그 양쪽면의 중앙 위치에 핀(1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부재(12)의 전(前)면은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지지해줄 수 있는 부분으로서, 반원 또는 타원 형태로 볼록한 지지면(14)으로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front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지지부재(12)의 내후면을 따라 판스프링(18)이 밀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부착되거나, 또는 지지부재(12)의 내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바, 판스프 링(18)의 상단부는 일체로 부착되지 않고 지지부재(12)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더 연장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지지부재(12)을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판스프링(18)의 상단부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판스프링(18)의 상단부는 직각으로 절곡된 부위로서, 이 직각 절곡된 부위중 수직단은 실질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발휘단(20)으로 형성되고, 수평단은 후술하는 케이스(24)의 고정홀(28)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단(22)으로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이렇게 판스프링(18)이 일체로 된 지지부재(12)를 케이스(24)에 장착하게 되는 바, 첨부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4)는 전(前)면이 개방부로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 위치에 슬롯(26)이 관통 형성된 중공의 성형 구조물이다.Thus, the
이때, 상기 슬롯(26)은 후방을 향하여 약간 상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첨부한 도 3은 도 2의 케이스에 지지부재 및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and the spring are coupled to the case of FIG. 2.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의 핀(16)을 상기 케이스(24)의 슬롯(26)에 삽입 체결하고, 상기 판스프링(18)의 고정단(22)을 케이스(24)의 고정홀(28)에 끼워서 체결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18)이 일체로 된 지지부재(12)와 케이스(24)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A, the
이에,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는 판스프링(18)과 함께 뒤로 밀리게 된다.
Thus, as shown in Figure 3b, the
한편, 상기 케이스(24)의 전면 모서리 부위에는 후술하는 홀더 플레이트(30)의 장착구(32)에 케이스(24)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끼움단(3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ront corner portion of the
여기서, 상기 케이스(24) 및 이 케이스(24)에 결합된 지지부재(12)를 첨부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더 플레이트(30)에 장착하게 된다.Here, the
상기 홀더 플레이트(30)는 음료용기(10)가 삽입되는 복수개(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납구(36)를 갖는 성형 구조물로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플로워 콘솔(38)에 장착된다.The
또한, 상기 홀더 플레이트(30)의 수납구(36)의 사방 위치에는 상기 케이스 (24)의 장착을 위한 장착구(32)가 형성되고, 이 장착구(32)의 양쪽 변에는 슬라이드홈(40)이 더 형성된다.Further, mounting
따라서, 첨부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가 결합된 케이스(24)의 끼움단(34)을 상기 슬라이드홈(4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줌으로써, 홀더 플레이트(30)의 장착구(32)에 대한 케이스(24)의 장착이 이루어진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5A, the
이어서, 상기 홀더 플레이트(30)를 플로워 콘솔(38)의 저부로부터 장착시키게 되면, 첨부한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만이 홀더 플레이트(30)의 수납구(36)의 사방 위치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Subsequently, when the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the cup holder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4)는 홀더 플레이트(30)의 장착구 (32)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단지 상기 지지부재(12)의 전(前)면 즉, 음료용기(10)를 지지해줄 수 있는 반원 또는 타원 형태의 볼록한 지지면(14)만이 돌출된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6,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차용 컵홀더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up holder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음료용기(10)의 수납 전 상태는 상기 지지부재(12)의 핀(16)이 상기 케이스(24)의 슬롯(26)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된 상태이다.The pre-storage state of the
이러한 음료용기(10)의 수납 전 상태에서, 음료용기(10)를 홀더 플레이트(30)의 수납구(36)를 통하여 삽입시키게 되면,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료용기(10)의 저부가 상기 지지부재(12)의 상단면을 눌러주게 되는 동시에 지지부재(12)는 뒤로 밀리게 되고, 음료용기(10)가 수납구(36)에 안착되는 순간 지지부재(12)의 지지면(14)은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판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착 지지해주게 된다.When the
즉, 상기 음료용기(10)의 저부가 상기 지지부재(12)의 상단면을 눌러주게 되면, 지지부재(12)는 판스프링(18)의 압축(뒤로 휘어짐)과 함께 뒤로 밀리게 되고, 결국 지지부재(12)의 지지면(14)이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판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착 지지해주게 된다(도 7(b) 참조).That is, when the bottom of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부재(12)가 뒤로 밀림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 (18)의 고정단(22)을 중심으로 탄성발휘단(20)이 뒤로 휘어지게 됨으로써, 결국 원위치로 복원되려는 판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12)의 지지면(14)이 음료용기(10)의 둘레면을 밀착 지지해주게 된다.In more detail, as the
여기서, 음료용기의 분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will be described.
상기와 같이 음료용기(10)가 수납된 상태(도 7(b) 참조)에서, 음료용기(10)를 빼내는 동작시 즉, 분리하는 순간, 음료용기(10)의 저부가 상기 지지부재(12)의 저면을 쳐올리게 되는 바, 이때 상기 지지부재(12)는 도 7(c)에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핀(16)이 슬롯(26)을 따라 이동하면서 뒤로 밀리게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이때, 음료용기(10)의 저부가 상기 지지부재(12)의 저부를 쳐올리는 순간적인 타격에 의하여 지지부재(12)의 하단부가 판스프링(18)의 탄성발휘단(20)을 중심으로 약간의 각운동을 하며 뒤쪽으로 밀리게 되어, 음료용기(10)는 지지부재(12)의 지지면(14)에 걸림없이 부드럽게 분리되어진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즉, 상기 음료용기(10)의 저부가 상기 지지부재(12)의 저부를 쳐올리게 되면, 그 순간적인 타격력에 의하여 판스프링(18)의 탄성발휘단(20)이 뒤쪽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에 지지부재(12)는 그 하단부가 후방을 향하여 약간의 각운동을 하면서 뒤쪽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bottom of the
결국, 음료용기(10) 분리 동작시, 음료용기(10)의 저부가 지지부재(12)의 저부를 쳐올리더라도 지지부재(12)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음료용기(10)의 원할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As a result, during the separating operation of the
특히, 밑단이 넓고 중간 부분이 오목하게 만곡된 콜라병 또는 밑단에 절곡단 을 갖는 맥주캔과 같은 음료용기(10)의 분리시, 이 음료용기(10)의 밑단이 지지부재(12)의 저부를 더 큰 타격력으로 쳐올리게 되는 바, 이러한 큰 타격력에도 불구하고 판스프링(18)이 그 타격력을 흡수하면서 후방으로 휘어지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12)가 뒤로 밀리게 됨으로써, 밑단이 넓은 종류의 음료용기(10)라 할지라도 지지부재(12)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분리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의하면, 음료용기의 수납시 지지부재가 뒤로 밀리게 되는 동시에 음료용기의 둘레면을 탄성력을 받으면서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고, 음료용기의 분리시에는 음료용기의 저부가 지지부재의 저부를 쳐올리는 순간, 판스프링이 휘어지면서 지지부재가 뒤로 밀리게 되어 음료용기의 저부가 지지부재에 걸리지 않고 원할하고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As seen from the above, according to the cup holder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s pushed back during storag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can securely hol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while being subjected to elastic force, sepa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When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lifts the bottom of the support member, the support spring is pushed back as the leaf spring is bent to provide the advantage that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smooth and separate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support member.
즉,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음료용기의 분리 동작시, 음료용기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재의 간섭없이 원할하고 부드러운 분리 작동감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mooth and smooth separation operation without interference of the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beverage container during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8502A KR100969054B1 (en) | 2004-10-02 | 2004-10-02 | Car Cup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8502A KR100969054B1 (en) | 2004-10-02 | 2004-10-02 | Car Cup Hol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9519A KR20060029519A (en) | 2006-04-06 |
KR100969054B1 true KR100969054B1 (en) | 2010-07-09 |
Family
ID=3713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85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9054B1 (en) | 2004-10-02 | 2004-10-02 | Car Cup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905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93733B2 (en) | 2016-07-04 | 2019-05-21 | Hyundai Motor Company | Cup hol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WO2025118779A1 (en) * | 2023-12-06 | 2025-06-12 |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 Cup holder assembly and vehicle with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1047B1 (en) * | 2005-07-18 | 2007-0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Cup Holder |
KR100643800B1 (en) * | 2005-09-29 | 2006-1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Cup Holder |
DE102009030576B4 (en) * | 2009-06-26 | 2019-07-18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 Device for the lateral positioning of an object in a container |
JP2011185301A (en) * | 2010-03-04 | 2011-09-22 | Nifco Inc | Shaft support structure |
KR102506774B1 (en) * | 2018-03-29 | 2023-03-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Guide type Cup Holder Device |
EP3560754B1 (en) * | 2018-04-26 | 2025-02-19 | Volvo Car Corporation | Cup holder for vehic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5281A (en) * | 1993-07-09 | 1995-01-27 | Toyota Motor Corp | Cup holder for vehicle |
-
2004
- 2004-10-02 KR KR1020040078502A patent/KR1009690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5281A (en) * | 1993-07-09 | 1995-01-27 | Toyota Motor Corp | Cup holder for vehic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93733B2 (en) | 2016-07-04 | 2019-05-21 | Hyundai Motor Company | Cup hol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WO2025118779A1 (en) * | 2023-12-06 | 2025-06-12 |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 Cup holder assembly and vehicle with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9519A (en) | 2006-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0130B1 (en) | Car Cup Holder | |
EP1627770B1 (en) | Cup holder for vehicle | |
US20070278372A1 (en) | Cup holder | |
US20100090079A1 (en) | Cupholder for an automobile | |
US7520482B2 (en) | Cup holder for vehicles | |
KR100969054B1 (en) | Car Cup Holder | |
KR20040014149A (en) | Cup holder device | |
CN114502422A (en) | Cup holder | |
KR100747356B1 (en) | Car Cup Holder | |
JP2003095002A (en) | Article housing device | |
KR100600131B1 (en) | Car Cup Holder | |
JP4364988B2 (en) | Cup holder | |
JP2002193019A (en) | Vehicular cup holder | |
KR102177003B1 (en) | Cup Holder for car | |
JP3625740B2 (en) | Vehicle storage | |
KR100197231B1 (en) | Cup holder mounted in console box | |
JP2003072447A (en) | Cup holder | |
KR100387657B1 (en) | Console box for automobiles | |
JP2819095B2 (en) | Automotive cup holder | |
KR100427214B1 (en) | Center console for vehicles | |
JP4222002B2 (en) | Vehicle cup holder | |
KR100756952B1 (en) | Car Cup Holder | |
JP4467420B2 (en) | Vehicle interior parts | |
JP2005349959A (en) | Container holder | |
KR0133546Y1 (en) | Car console box with a cup hol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9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0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