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145B1 - 전기 측정기 - Google Patents

전기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145B1
KR100968145B1 KR1020070069818A KR20070069818A KR100968145B1 KR 100968145 B1 KR100968145 B1 KR 100968145B1 KR 1020070069818 A KR1020070069818 A KR 1020070069818A KR 20070069818 A KR20070069818 A KR 20070069818A KR 100968145 B1 KR100968145 B1 KR 100968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oad
current
leakage curren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455A (ko
Inventor
한송엽
Original Assignee
한송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송엽 filed Critical 한송엽
Priority to KR102007006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1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6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30Structural combination of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with basic electronic circuits, e.g. with amplifi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2Circuits for multi-testers, i.e. multimeters, e.g. for measuring voltage, current, or impedance at wi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8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ing faul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전기 측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기 측정기는 피측정 부하의 제1 교류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교류 신호를 구형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형파 변환 회로, 상기 피측정 부하의 제2 교류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2 교류 신호 및 상기 제2 교류 신호를 반전한 반전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신호 검출 회로, 상기 구형파 변환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교류 신호 또는 상기 반전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회로, 상기 선택 회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 부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전기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전기 파라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간단한 회로 구성을 통해 편리하게 다수의 전기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다.
전기 측정기, 누설 전류, 부하 전력

Description

전기 측정기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ICAL PARAMETERS}
본 발명은 전기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정에서 이용되는 전기 제품들의 전력, 누설 전류 등의 측정 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의 전기 제품 이용시 가장 큰 관심 사항은 소모 전력 및 누설 전류일 것이다. 특히, 최근 전기 제품의 에너지 효율 등급 표시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 제품이 실제로 어느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는 지에 대해 보다 정확히 알고 싶은 욕구가 커져 가고 있다.
이러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이고도 편리하게 가정에서 각 전기 제품의 전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측정기의 개발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된다.
한편, 가정에서의 전기 제품 이용시 또 하나의 큰 관심 사항은 대지와의 누설 전류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교류 전선로의 대지 절연 저항 또는 해당 교류 전선로에 접속된 전기 제품의 대지 절연 저항이 열화되면, 누설 전류가 증가하여 전기 화재 또는 감전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 이용되는 전기 제품에 대한 보다 정확한 누설 전류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측정기의 개발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누설 전류의 측정은 피측정 전선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공지의 누설 저항 측정기를 이용하여 피측정 전선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 저항을 측정한다.
그러나, 이처럼 누설 저항 측정기를 이용하여 누설 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피측정 전선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해야 하므로, 누설 전류 측정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각 세대에 대한 누전 검사를 수행할 때 방문 세대가 부재 중일 경우에는 누전 검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피측정 전선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지의 클램프식 전류 측정기를 이용하여 피측정 전선로의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에 따른 누설 전류 측정값은 대지 절연성 누설 전류(저항성 누설 전류) 및 대지용량성 누설 전류의 합에 의해 형성되는 합성 누설 전류이다. 대지용량성 누설 전류는 전선로의 대지 정전 용량 또는 전기 기기의 대지 정전 용량에 의한 누설 전류로서 대지 절연성 누설 전류(부하 전압과 위상이 같다)보다 위상이 90도 빠르며, 감전, 전기 화재 등 전기 재해에는 무관한 누설 전류이다. 따라서, 대지용량성 누설 전류가 큰 경우에는 대지 절연성 누설 전류가 작더라도 합성 누설 전류가 커져서 실제로는 누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누전으로 판별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측정 전선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대지 절연성 누설 전류 만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전기 측정기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잡한 곱셈 및 나눗셈 회로를 포함하지 않고도 간단한 회로 구성에 의하여 부하 전력 또는 저항성 누설 전류를 계산할 수 있는 전기 측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수의 전기 파라미터(전압, 전류, 전력, 전력량 등) 중에서 표시될 전기 파라미터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기 측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하 전류 또는 누설 전류의 크기에 따른 경보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측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 형태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기 제품 등의 전력, 전력량 및 누설 전류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전기 측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 측정기는 피측정 부하의 제1 교류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교류 신호를 구형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형파 변환 회로, 상기 피측정 부하의 제2 교류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2 교류 신호 및 상기 제2 교류 신호를 반전한 반전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신호 검출 회로, 상기 구형파 변환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교 류 신호 또는 상기 반전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회로, 상기 선택 회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 부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전기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전기 파라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곱셈 및 나눗셈 회로를 포함하지 않고도 간단한 회로 구성에 의하여 부하 전력 또는 저항성 누설 전류를 계산할 수 있는 전기 측정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수의 전기 파라미터(전압, 전류, 전력, 전력량 등) 중에서 표시될 전기 파라미터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기 측정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하 전류 또는 누설 전류의 크기에 따른 경보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측정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댑터 형태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기 제품 등의 전력, 전력량 및 누설 전류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전기 측정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측정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측정기는 구형파 변환 회로(110), 제2 신호 검출 회로(120), 선택 회로(130), 계산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구형파 변환 회로(110)는 피측정 부하의 제1 교류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교류 신호를 구형파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2 신호 검출 회로(120)는 상기 피측정 부하의 제2 교류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2 교류 신호 및 상기 제2 교류 신호를 반전한 반전 신호를 출력한다.
선택 회로(130)는 상기 구형파 변환 회로(1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교류 신호 또는 상기 반전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계산부(140)는 상기 선택 회로(13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 부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전기 파라미터를 계산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계산된 전기 파라미터를 표시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기 파라미터는 부하 전압, 부하 전류, 부하 전력, 부하 전력량, 및 저항성 누설 전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기 측정기는 상기 전기 파라미터의 값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넘으면 경보등 및 경보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초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기 측정기는 상기 전기 파라미터 중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어느 하나의 전기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교류 신호는 부하 전압이고, 상기 제2 교류 신호는 부하 전류이고, 상기 전기 파라미터는 부하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부하 전압을 측정하는 데에는 피측정 부하의 전선로에 접속되어 상기 전선로의 전압을 분압하여 측정하는 전압 검출 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부하 전류를 측정하는 데에는 피측정 부하의 전선로를 감싸면서 부하 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 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부하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과정에는 전류를 측정하여 전압으로 출력하는 전류 전압 변환 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측정기에서 전기 파라미터가 계산되기까지의 전기 측정 및 계산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측정 및 계산 과정은 피측정 부하의 부하 전압 V1을 검출한다.
검출된 부하 전압 V1은 구형파 변환 회로에 의하여 V1과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구형파 신호 V2로 변환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그래프의 가로축은 ωt, 세로축은 전압이다.
검출된 부하 전류는 전류 전압 변환 회로에 의하여 전압 신호로 변환될 수 있고, 상기 변환된 전압 신호를 V3이라 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 전압 신호 V1 및 부하 전류의 변환 신호 V3 사이에는 위상차 θ가 존재한다.
제2 신호 검출 회로는 부하 전류의 변환 신호 V3 및 V3의 반전 신호(이하, -V3으로 표시한다)를 출력한다.
선택 회로는 구형파 신호 V2를 입력 받아 제어 신호로 이용하여 V2가 양의 값이면 V3를 출력하고, V2가 음의 값이면 -V3를 출력한다. 선택 회로의 출력 신호를 p라 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ωt = [0, π]의 구간에서는 p = V3, ωt = [π, 2π]의 구간에서는 p = -V3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선택 회로의 출력 신호 p에 대한 한 주기 평균 값을 구하면 유효 부하 전류를 구할 수 있다.
이하, 수학식에 의하여 p의 한 주기 평균 값이 유효 부하 전류가 됨을 상세히 설명한다.
검출된 부하 전압 V1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50638485-pat00001
여기서, V는 부하 전압의 실효치를 나타낸다.
부하 전압과 부하 전류의 위상차를 θ라고 하면, 부하 전류 IL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2]
Figure 112007050638485-pat00002
여기서, I는 부하 전류의 실효치를 나타낸다.
부하 전류 IL의 변환 신호 V3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3]
여기서, A는 변환 과정에서의 이득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50638485-pat00003
선택 신호의 출력 신호 p에 대하여는 V2가 양의 값을 가지는 구간인 ωt = [0, π]에서는 p = V3이고, V2가 음의 값을 가지는 구간인 ωt = [π, 2π]에서는 p = -V3의 관계식이 성립하므로 p의 한 주기 평균 S는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07050638485-pat00004
Figure 112007050638485-pat00005
일반적으로, 부하 전력 PP = VI cos θ의 계산식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이득 A를 적절히 조절하면, 상기 수학식 4로부터 I cos θ를 얻을 수 있고, V1의 반 주기 평균 값으로부터 V를 얻을 수 있으므로, VI cos θ를 서로 곱하여 부하 전력 P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교류 신호는 부하 전압이고, 상기 제2 교류 신호는 합성 누설 전류이고, 상기 전기 파라미터는 저항성 누설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데에는, 피측정 부하의 전선로를 감싸는 영상 변류기 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합성 누설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과정에는 전류를 측정하여 전압으로 출력하는 전류 전압 변환 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합성 누설 전류 및 저항성 누설 전류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영상 변류기 회로 등을 통하여 검출되는 것은 합성 누설 전류이다. 그러나, 실제로 유효 누설 전력을 발생시켜 전력 손실을 초래하는 것은 합성 누설 전류가 아닌 저항성 누설 전류이다. 저항성 누설 전류는 피측정 부하의 전선로와 대지 사이에 흐르며, 피측정 부하의 전선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 저항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저항성 누설 전류는, 상기 절연 저항으로 모델링될 수 있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피측정 부하의 부하 전압과 동상이다.
저항성 누설 전류 이외에 합성 누설 전류를 형성하는 또다른 원인으로는 대지용량성 누설 전류가 있다. 대지용량성 누설 전류는 피측정 부하의 전선로와 대지 사이의 정전 용량(이하 "대지용량"이라 하기로 한다.)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서, 피측정 부하의 부하 전압보다
Figure 112007050638485-pat00006
앞선 위상을 가진다.
합성 누설 전류는 저항성 누설 전류 및 대지용량성 누설 전류의 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피측정 부하의 부하 전압보다 φ 앞선 위상을 가지게 된다.
검출된 합성 누설 전류의 반 주기 평균 값을 구하면, 합성 누설 전류의 실효값 Ig를 구할 수 있다. 저항성 누설 전류의 실효값 Ir은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5]
Ir = Ig cos φ
상기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서, I 대신 Ig를, θ 대신φ를 대입하면, 이득 A를 적절히 조절하여 Ig cos φ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2 교류 신호가 합성 누설 전류이고, 선택 신호의 출력의 한 주기 당 평균 값을 구하면 저항성 누설 전류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측정기는 종래와 같이 곱셈 회로로부터의 출력 값으로부터 피측정 부하의 전선로 전압 또는 전류의 실효치를 곱하거나 나누어서 부하 전력 또는 저항성 누설 전류를 구하는 복잡한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전혀 없고, 단순한 회로 구성을 통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교류 신호와 제2 교류 신호를 적절히 선택하여, 일정한 위상차가 발생하는 두 신호 간의 관계에서 적절한 전기 파라미터를 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측정기의 계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계산부(300)는 전압 실효치 연산부(310), 부하 전류 실효치 연산부(320), 부하 전류 유효분 연산부(330), 전력 연산부(340), 전력량 연산부(350) 및 저항성 누설 전류 연산부(360)를 포함한다.
전압 실효치 연산부(310)는 분압기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 신호의 반 주기 당 평균 값을 구한 다음, 적절한 계수를 곱하여, 전압 실효치를 구한다.
부하 전류 실효치 연산부(320)는 변류기에 의하여 검출된 부하 전류 신호의 반 주기 당 평균 값을 구한 다음, 적절한 계수를 곱하여 부하 전류 실효치를 구한다.
부하 전류 유효분 연산부(330)는 변류기에 의하여 검출된 부하 전류 신호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이용하여 부하 전류 유효분을 구한다.
전력 연산부(340)는 상기 부하 전류 유효분 연산부(330)에 의하여 구해진 부하 전류 유효분 및 상기 전압 실효치 연산부(310)에 의하여 구해진 전압 실효치를 곱하여 전력을 계산한다.
전력량 연산부(350)는 상기 전력 연산부(340)에 의하여 계산된 전력을 누적하여 전력량을 계산한다.
저항성 누설 전류 연산부(360)는 영상 변류기에 의하여 검출된 합성 누설 전류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저항성 누설 전류를 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측정기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30)는 전기 측정기의 위 측면에 위치한 다.
전기 측정기의 전면에는 피측정 부하가 연결되는 콘센트(420)가 위치한다.
전기 측정기의 배면에는,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다른 콘센트와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410)가 위치한다.
전기 측정기의 전면 상단에는, 평균 부하 전류 또는 저항성 누설 전류의 크기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넘으면, 경보등 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450)가 위치한다.
전기 측정기의 전면 하단에는, 디스플레이부(430)에 표시될 전기 파라미터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부(440)가 위치한다.
도 4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측정기의 전면도(front view), 측면도(side view), 평면도(top view)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경보부(45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경보부(450)는 비교기 1(510), 비교기 2(520), 경보등 1(530), 경보등 2(540), 및 경보음 발생 장치(550)를 포함한다.
비교기 1(510)는 한 주기 당 평균 부하 전류를 입력 받아 기설정된 부하 전류 기준값(또는 임계값 1)과 비교하여, 한 주기 당 평균 부하 전류가 임계값 1을 넘으면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기 2(520)는 한 주기 당 저항성 누설 전류를 입력 받아 기설정된 누설 전류 기준값(또는 임계값 2)과 비교하여, 한 주기 당 저항성 누설 전류가 임계값 2를 넘으면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경보등 1(530)은 상기 비교기 1(510)으로부터 출력된 경보 신호에 따라 경보등을 점멸한다.
경보등 2(540)는 상기 비교기 2(520)으로부터 출력된 경보 신호에 따라 경보등을 점멸한다.
경보음 발생 장치(550)는 상기 비교기 1(510) 또는 상기 비교기 2(520)으로부터 출력된 경보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측정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측정기에서 전기 파라미터가 계산되기까지의 전기 측정 및 계산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측정기의 계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측정기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구형파 변환 회로 120: 제2 신호 검출 회로
130: 선택 회로 140: 계산부
150: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피측정 부하의 부하 전압(V1)을 검출하고 상기 부하 전압(V1)을 구형파 신호(V2)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형파 변환 회로;
    상기 피측정 부하의 부하 전류(I)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부하 전류(I)를 전류 전압 변환 회로에 의하여 변환한 변환 신호(V3)와, 상기 변환 신호(V3)의 반전 신호(-V3)를 출력하는 제2 신호 검출 회로;
    상기 구형파 신호(V2)가 양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변환 신호(V3)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구형파 신호(V2)가 음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반전 신호(-V3)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회로;
    상기 선택 회로의 출력 신호(p)의 한 주기 당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 부하에 대한 유효 부하 전류(I cos θ)를 구하고, 상기 유효 부하 전류(I cos θ)와 상기 부하 전압(V1)를 곱하여 부하 전력 P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전면 또는 위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계산된 부하 전력 P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상기 평균값 S에 관한,
    Figure 112009039428111-pat00012
    Figure 112009039428111-pat00013
    에서,
    이득 A를 조정하여 상기 유효 부하 전류(I cos θ)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측정기.
  3. 피측정 부하의 부하 전압(V1)을 검출하고 상기 부하 전압(V1)을 구형파 신호(V2)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형파 변환 회로;
    상기 피측정 부하의 합성 누설 전류(Ig)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합성 누설 전류(Ig)를 전류 전압 변환 회로에 의하여 변환한 변환 신호(V3)와, 상기 변환 신호(V3)의 반전 신호(-V3)를 출력하는 제2 신호 검출 회로;
    상기 구형파 신호(V2)가 양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변환 신호(V3)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구형파 신호(V2)가 음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반전 신호(-V3)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회로;
    상기 선택 회로의 출력 신호(p)의 한 주기 당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 부하의 합성 누설 전류(Ig)에 대한 유효 누설 전류 (Ig cos θ)인, 저항성 누설 전류 Ir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전면 또는 위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계산된 저항성 누설 전류 Ir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측정기.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값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넘으면 경보등 및 경보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초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측정기.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피측정 부하가 연결되는 콘센트; 및
    배면에 위치하고, 전력을 공급받는, 다른 콘센트와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측정기.
KR1020070069818A 2007-07-11 2007-07-11 전기 측정기 KR100968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818A KR100968145B1 (ko) 2007-07-11 2007-07-11 전기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818A KR100968145B1 (ko) 2007-07-11 2007-07-11 전기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55A KR20090006455A (ko) 2009-01-15
KR100968145B1 true KR100968145B1 (ko) 2010-07-06

Family

ID=4048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818A KR100968145B1 (ko) 2007-07-11 2007-07-11 전기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1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036A (ko) * 2001-10-04 2003-04-1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누설 전류 또는 저항 계측 방법 및 그 감시 장치와 그감시 시스템
KR100451480B1 (ko) 2002-06-28 2004-10-08 주식회사 서미트 직류 및 교류의 측정이 가능한 클램프형 전류측정기
KR20070066739A (ko) * 2005-12-22 2007-06-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소비 전력 측정 장치
KR20070107453A (ko) * 2006-05-03 2007-11-07 주식회사 대호테크 절연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036A (ko) * 2001-10-04 2003-04-1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누설 전류 또는 저항 계측 방법 및 그 감시 장치와 그감시 시스템
KR100451480B1 (ko) 2002-06-28 2004-10-08 주식회사 서미트 직류 및 교류의 측정이 가능한 클램프형 전류측정기
KR20070066739A (ko) * 2005-12-22 2007-06-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소비 전력 측정 장치
KR20070107453A (ko) * 2006-05-03 2007-11-07 주식회사 대호테크 절연감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55A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ralidhara et al. An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energy meter for monitoring device-level consumption of energy
JP6209951B2 (ja) トランス接続相判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073533A1 (ja) 検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Gill et al. Smart Power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WO2010007369A3 (en) Utility metering
JP5225891B2 (ja) 電力計
CN103033667B (zh) 电流测量装置和方法
CN103454479B (zh) 信号生成装置、测定装置、漏电检测装置及信号生成方法
JP6059751B2 (ja) 位相較正装置
KR101254846B1 (ko)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 장치
KR20100135509A (ko) 누설 전류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검침용 전력량계
KR100968145B1 (ko) 전기 측정기
US20140035760A1 (en) Watt-hour meter and method of detection of abnormal status thereof
CN105699740A (zh) 一种测量全量程范围电流的方法
KR20090009591A (ko) 저항성 누전전류 경보장치
KR100771939B1 (ko) 대지저항성 누전전류 측정기
Ren et al. A development of capacitive voltage sensor for non-intrusive energy meter
Sabalza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power meter to optimize usage of the electric power
JP3448735B2 (ja) マルチ電力計測器
CN210604777U (zh) 单火线电能计量装置
JP7033918B2 (ja) キュービクル管理システム
RU26283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го тока
KR100771583B1 (ko) 대지저항성 누전전류 측정기
US20160216298A1 (en) Electrical power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JP5985420B2 (ja) 接地抵抗計および接地抵抗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