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090B1 -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090B1
KR100968090B1 KR1020080049065A KR20080049065A KR100968090B1 KR 100968090 B1 KR100968090 B1 KR 100968090B1 KR 1020080049065 A KR1020080049065 A KR 1020080049065A KR 20080049065 A KR20080049065 A KR 20080049065A KR 100968090 B1 KR100968090 B1 KR 100968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nvelope
information
drive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135A (ko
Inventor
박인철
김태환
이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4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09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33Voice editing, e.g. manipulating the voice of the synthesis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4Details of speech synthesis systems, e.g. synthesiser structure or memor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는 구동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출력한 데이터를 피드백받는 동작 및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N(N은 자연수)번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한다. 메모리에는 N의 값을 포함한 합성 정보 및 구동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현파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가 프로그래밍된다. 프로세서는 N번의 반복 중에서 1내지 N-1번째의 동작 후 발생하는 중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합성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리드하여 구동부 및 레지스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가상의 여러 구동부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할 수 있고,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가상의 여러 구동부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해석 및 처리할 수 있으며, 단순히 메모리 용량 및 동작 속도의 증가를 통해 다양한 주파수의 소리 합성이 가능하여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80049065
소리 합성, 주파수 변조, 프로그래밍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PROGRAMABLE SOUND SYNTHESIS APPARATUS AND PROGRAMABLE SOUND SYNTHESIS METHOD}
본 발명은 소리 합성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주파수의 소리를 실시간으로 합성하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파수 변조 합성(Frequency Modulation Synthesis)은 소리 합성의 한 형태로서 주파수 변조 동작을 수행하여 음색을 변경한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변조 방식의 소리 합성 장치는, 각각 정현파 및 포락선을 발생하고, 주파수 변조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구동기들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구동기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하나의 구동기에서 발생된 신호가 다른 구동기로 입력되어 합성되고, 두 구동기들에서 발생하는 정현파들의 주파수 비에 의해 음색이 결정된다. 더 많은 수의 구동기들을 사용할수록 실제의 소리에 근접하고 더 양호한 고음질의 소리를 구현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주파수 변조 방식을 이용한 소리 합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주파수 변조 방식을 이용한 소리 합성 장치(100)는 각각 정현파 및 포락선을 발생하는 복수의 구동부들(110, 120, 130, 140, 150, 160)을 조합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주파수 변조 방식의 소리 합성 장치(100)는 하드웨어의 구조 및 사이즈 문제로 인해 구동부들(110, 120, 130, 140, 150, 160)의 개수 및 구동부들(110, 120, 130, 140, 150, 160)간의 조합이 제한적이었다. 또한, 구동부들(110, 120, 130, 140, 150, 160)간의 데이터 경로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하드웨어적으로 구동부들(110, 120, 130, 140, 150, 160)간의 라인을 재구성해야 했고, 구동부들(110, 120, 130, 140, 150, 160)이 발생하는 주파수 변경 시에도 해당 주파수를 발생하는 구동부로 변경해야 했다. 이는 고음질을 발생하고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야기시키고, 다양한 음질의 소리를 실시간으로 합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소리 합성이 가능하고, 다양한 주파수의 소리 합성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부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의 소리 합성을 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소리 합성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부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의 소리 합성을 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소리 합성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는 구동부, 레지스터,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출력한 데이터를 피드백받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N(N은 자연수)번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한다.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N의 값을 포함한 합성 정보 및 상기 구동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현파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가 프로그래밍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번의 반복 중에서 1내지 N-1번째의 동작 후 발생하는 중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리드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레지스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정현파를 발생하는 정현파 발생기, 상기 포락선을 발생하는 포락선 발생기 및 상기 정현파 및 상기 포락선을 수신하여 곱셈 연산하는 곱 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의 값은, 상기 메모리에 수행되는 프로그래밍 동작에 의해 변경 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수행되는 프로그래밍 동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정보는 복수 개일 수 있고, 상기 메모리에 수행되는 프로그래밍 동작에 의해 변경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는 구동부, 레지스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출력한 데이터를 피드백받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N(N은 자연수)번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한다.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N의 값을 포함한 합성 정보 및 상기 구동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현파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가 프로그래밍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번의 반복 중에서 1내지 N-1번째의 동작 후 발생하는 중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리드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레지스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소리 합성 데이터를 가청 주파수의 소리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정현파를 발생하는 정현파 발생기, 상기 포락선을 발생하는 포락선 발생기 및 상기 정현파 및 상기 포락선을 수신하여 곱셈 연산하는 곱셈기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N의 값은, 상기 메모리에 수행되는 프로그래밍 동작에 의해 변경 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수행되는 프로그래밍 동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정보는 복수 개일 수 있고, 상기 메모리에 수행되는 프로그래밍 동작에 의해 변경 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는 구동부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출력한 데이터를 피드백받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N(N은 자연수)번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한다.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N의 값을 포함한 합성 정보 및 상기 구동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현파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가 프로그래밍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정현파를 발생하는 정현파 발생기, 상기 포락선을 발생하는 포락선 발생기 및 상기 정현파 및 상기 포락선을 수신하여 곱셈 연산하는 곱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은 구동부의 동작 횟수를 포함하는 합성 정보, 정현파의 주파수 정보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를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상기 합성 정보, 상기 정현파의 주파수 정보 및 상기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하고,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출력된 데이터를 피 드백받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상기 동작 횟수만큼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합성 데이터를 가청 주파수의 소리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은 구동부의 주파수 변조 동작 횟수를 포함하는 합성 정보, 정현파의 주파수 정보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를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정보, 상기 정현파의 주파수 정보 및 상기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하고,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출력된 데이터를 피드백받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상기 동작 횟수만큼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은 구동부의 소리 합성 정보 및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고,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된 소리 합성 정보 및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해석 및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메모리 용량 및 동작 속도의 증가를 통해서 다양한 주파수의 소리 합성이 가능하여 확장성이 뛰어나고, 실시간으로 소리 합성이 가능하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 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200)는 합성부(210), 레지스터(230), 메모리(240), 프로세서(250) 및 출력부(260)를 포함한다.
합성부(210)는, 출력한 데이터를 피드백받고, 주파수 변조 동작을 수행하여 소리 합성 기능을 하는 구동부(220)를 포함한다. 구동부(220)는 내부에서 발생시킨 초기 데이터(ID)를 레지스터(230)에 임시 저장하고, 초기 데이터(ID)를 피드백받아 주파수 변조 동작을 수행한 후 중간 데이터(MD)를 발생한다. 구동부(220)는 프로세서(250)의 제어에 따라 중간 데이터(MD)를 다시 피드백받아 주파수 변조 동작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다. 구동부(220)에 의해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데이터가 소리 합성 데이터(SSD)이다. 즉, 구동부(220)는 출력한 데이터를 피드백받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N(N은 자연수)번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SSD)를 발생한다.
레지스터(230)는 프로세서(250)에 포함되고, 구동부(220)의 출력인 초기 데이터(ID), 중간 데이터(MD) 및 소리 합성 데이터(SSD)를 임시 저장하고, 프로세서(250)의 제어에 따라 초기 데이터(ID) 및 중간 데이터(MD)를 구동부(220)로 전송하고, 소리 합성 데이터(SSD)를 출력부(260)로 전송한다.
메모리(240)에는 구동부(220)의 합성 정보 및 구동부(220)의 상태 정보가 프로그래밍된다. 구동부(220)의 합성 정보는, 구동부(220)의 주파수 변조 동작 횟수를 결정하는 N의 값(OPN)일 수 있고, 구동부(220)의 상태 정보는 구동부(22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현파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FI)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240)는 구동부(220)의 출력인 초기 데이터(ID), 중간 데이터(MD) 및 소리 합성 데이터(SSD)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레지스터(23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50)가 포함하는 레지스터(230)에 구동부(220)의 합성 정보 및 구동부(220)의 상태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메모리(240)에 프로그래밍된 구동부(220)의 합성 정보 및 구동부(220)의 상태 정보를 리드하여 구동부(220) 및 레지스터(2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프로세서(250)는 주파수 정보(FI)를 리드하고, 리드하여 생성된 주파수 제어 데이터(FCD)를 구동부(220)로 전송하여 구동부(220)가 주파수 제어 데이터(FCD)에 따라 초기 데이터(ID), 중간 데이터(MD) 및 소리 합성 데이터(SSD)를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레지스터(230)에 임시 저장된 초기 데이터(ID) 및 중간 데이터(MD)를 구동부(220)로 전송하고, 소리 합성 데이터(SSD)를 출력부(260)로 전송한다.
N의 값(OPN) 및 주파수 정보(FI)는 외부 시스템이 메모리(240)에 수행하는 프로그래밍 동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정보(FI)는 순차적으로 주파수 변조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220)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해 복수 개 일 수 있다.
구동부(220)에 의해 최종 출력된 소리 합성 데이터(SSD)가 레지스터(230)에 저장되면, 프로세서(250)는 소리 합성 데이터(SSD)를 출력부(260)로 전송한다. 출력부(260)는 소리 합성 데이터를 가청 주파수의 소리로 변경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출력부(260)는 스피커일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구동부(300)는 정현파 발생기(310), 포락선 발생기(320) 및 곱셈기(330)를 포함한다.
정현파 발생기(310)는 정현파(SS)를 발생하고, 포락선 발생기(320)는 포락 선(ES)을 발생하고, 곱셈기(330)는 정현파(SS) 및 포락선(ES)을 수신하고, 곱셈 연산하여 초기 데이터(ID), 중간 데이터(MD) 및 소리 합성 데이터(SSD)를 발생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N의 값이 2이고, 주파수 정보(FI)가 3개인 경우의 예를 들면, 구동부(220, 300)는 프로세서(250)의 제어에 따라 제1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초기 데이터(ID)를 발생한 후 초기 데이터(ID)를 레지스터(230)에 저장하고, 초기 데이터(ID)를 피드백받아 제2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주파수 변조 동작을 수행하여 중간 데이터(MD)를 발생하고, 중간 데이터(MD)를 피드백받아 제3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주파수 변조 동작을 수행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SSD)를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 데이터(ID), 중간 데이터(MD) 및 소리 합성 데이터(SSD)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ID = Asinw1t
MD = Bsin(w2t + Asinw1t)
SSD = Csin(w3t + Bsin(w2t + Asinw1t)
따라서,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200)는 가상의 여러 구동부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메모리(240)에 프로그래밍할 수 있고, 프로세서(250)를 이용하여 가상의 여러 구동부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해석 및 처리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은 구동부의 합성 정보 및 구동부의 상태 정보를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한다(S410). 구동부의 합성 정보는, 구동부가 주파수 변조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횟수일 수 있고, 구동부의 상태 정보는 구동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현파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일 수 있다. 구동부의 합성 정보 및 구동부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고, 구동부를 이용하여 출력된 데이터를 피드백받는 동작 및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메모리에 프로그래밍된 동작 횟수만큼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한다(S420). 소리 합성 데이터를 가청 주파수의 소리로 변경하여 외부로 출력한다(S430).
따라서,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은 가상의 여러 구동부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할 수 있고,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가상의 여러 구동부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해석 및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소리 합성이 가능하고, 단순히 메모리 용량 및 동작 속도의 증가를 통해서 다양한 주파수의 소리 합성이 가능하여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은 주파수 변조 동작을 하는 구동부의 합성 정보 및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프로그래밍하고,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된 정보를 해석 및 처리함으로써, 단순히 메모리 용량 및 동작 속도의 증가를 통해서 다양한 주파수의 소리 합성이 가능하여 확장성이 뛰어나고, 실시간으로 소리 합성이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구동기만 포함하므로 소리 합성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고, 저비용으로 소리 합성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주파수 변조 방식을 이용한 소리 합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120, 130, 140, 150, 160, 220, 300: 구동부
210: 합성부
230: 레지스터
240: 메모리
250: 프로세서
260: 출력부
310: 정현파 발생기
320: 포락선 발생기
330: 곱셈기

Claims (15)

  1. 출력한 데이터를 피드백받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N(N은 자연수)번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N번의 반복 중에서 1내지 N-1번째의 동작 후 발생하는 중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N의 값을 포함한 합성 정보 및 상기 구동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현파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가 프로그래밍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합성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리드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레지스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정현파를 발생하는 정현파 발생기, 상기 포락선을 발생하는 포락선 발생기 및 상기 정현파 및 상기 포락선을 수신하여 곱셈 연산하는 곱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의 값은, 상기 메모리에 수행되는 프로그래밍 동작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수행되는 프로그래밍 동작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정보는 복수 개이고, 상기 메모리에 수행되는 프로그래밍 동작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6. 출력한 데이터를 피드백받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N(N은 자연수)번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N번의 반복 중에서 1내지 N-1번의 동작 후 발생하는 중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상기 N의 값을 포함한 합성 정보 및 상기 구동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현파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가 프로그래밍된 메모리; 및
    상기 소리 합성 데이터를 가청 주파수의 소리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합성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리드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레지스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정현파를 발생하는 정현파 발생기, 상기 포락선을 발생하는 포락선 발생기 및 상기 정현파 및 상기 포락선을 수신하여 곱셈 연산하는 곱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의 값은, 상기 메모리에 수행되는 프로그래밍 동작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수행되는 프로그래밍 동작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정보는 복수 개이고, 상기 메모리에 수행되는 프로그래밍 동작 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12. 출력한 데이터를 피드백받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N(N은 자연수)번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하는 구동부; 및
    상기 N의 값을 포함한 합성 정보 및 상기 구동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현파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가 프로그래밍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정현파를 발생하는 정현파 발생기, 상기 포락선을 발생하는 포락선 발생기 및 상기 정현파 및 상기 포락선을 수신하여 곱셈 연산하는 곱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13. 삭제
  14. 구동부의 동작 횟수를 포함하는 합성 정보, 정현파의 주파수 정보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를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상기 합성 정보, 상기 정현파의 주파수 정보 및 상기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하고,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출력된 데이터를 피드백받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상기 동작 횟수만큼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합성 데이터를 가청 주파수의 소리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정현파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포락선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정현파 및 상기 포락선을 수신하여 곱셈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
  15. 구동부의 주파수 변조 동작 횟수를 포함하는 합성 정보, 정현파의 주파수 정보 및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를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정보, 상기 정현파의 주파수 정보 및 상기 포락선의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하고,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출력된 데이터를 피드백받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받은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상기 동작 횟수만큼 반복하여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합성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정현파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포락선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정현파 및 상기 포락선을 수신하여 곱셈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방법.
KR1020080049065A 2008-05-27 2008-05-27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방법 KR100968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065A KR100968090B1 (ko) 2008-05-27 2008-05-27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065A KR100968090B1 (ko) 2008-05-27 2008-05-27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135A KR20090123135A (ko) 2009-12-02
KR100968090B1 true KR100968090B1 (ko) 2010-07-05

Family

ID=4168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065A KR100968090B1 (ko) 2008-05-27 2008-05-27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0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484B1 (ko) * 2003-03-06 2006-09-13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484B1 (ko) * 2003-03-06 2006-09-13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135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10380A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CN103380454A (zh) 用于钹振动的电子处理的系统及方法
CN107402596B (zh) 一种基于指令架构的任意波形发生器
KR20210009194A (ko) 다중 디코더를 이용한 심화 신경망 기반의 비-자동회귀 음성 합성 방법 및 시스템
JPS61205997A (ja) オートリズム装置
JP2009265470A (ja) 共鳴音発生装置および電子楽器
US11893968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generating musical sound
US9336763B1 (en)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music
KR100968090B1 (ko)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소리 합성방법
CN1378199A (zh) 语音合成方法、语音合成装置及记录媒体
US8779272B2 (en) Musical sound 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musical sound producing method
CN1059748C (zh) 声源装置
CN103295569B (zh) 声音合成设备、声音处理设备和声音合成方法
JPH1078791A (ja) ピッチ変換器
JPS6139680B2 (ko)
JP5169584B2 (ja) インパルス応答加工装置、残響付与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716921B2 (ja) 信号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CN1460990A (zh) 乐音信号生成装置
JP4238807B2 (ja) 音源用波形データの決定装置
JPH11184471A (ja) 波形発生装置
JP6524742B2 (ja) 楽音発生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888844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
Heckroth et al. A Multiprocessing Digital Sound Generator for High-Polyphony Wavetable Music Synthesis
Fabbri et al. Applications of group theory on granular synthesis
JPH10247084A (ja) 音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