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447B1 -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447B1
KR100967447B1 KR1020090102765A KR20090102765A KR100967447B1 KR 100967447 B1 KR100967447 B1 KR 100967447B1 KR 1020090102765 A KR1020090102765 A KR 1020090102765A KR 20090102765 A KR20090102765 A KR 20090102765A KR 100967447 B1 KR100967447 B1 KR 100967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touch screen
screen panel
inform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호
박경환
Original Assignee
(주)새한지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한지오텍 filed Critical (주)새한지오텍
Priority to KR1020090102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01C21/32Structuring or formatting of map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08G1/13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the indicator being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패널에 GPS센서를 매개로 현재 위치좌표정보를 포함하는 맵정보를 표시하는 맵정보표시단계와; 터치스크린패널을 매개로 시작위치 및 종료위치를 입력받아 지정하는 시작위치/종료위치 지정단계와; 터치스크린패널에 시작위치로부터 종료위치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경로표시단계와; 표시된 경로 중 하나의 경로를 터치스크린패널을 매개로 선택받는 경로선택단계와; 선택된 경로를 따라 시작위치에서 종료위치까지의 제1 차량이동거리를 주행거리측정장치를 매개로 측정하는 제1 차량이동거리측정단계와; 측정된 제1 차량이동거리를 터치스크린패널을 매개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1 차량이동거리 저장단계와; 선택된 경로에 대한 역경로를 터치스크린패널을 매개로 선택받는 역경로 선택단계와; 선택된 역경로를 따라 종료위치에서 시작위치까지의 제2 차량이동거리를 주행거리측정장치를 매개로 측정하는 제2 차량이동거리측정단계와; 측정된 제2 차량이동거리를 터치스크린패널을 매개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2 차량이동거리 저장단계와; 시작위치와 종료위치의 위치좌표정보, 선택된 경로의 경로정보, 제1 차량이동거리의 거리정보 및 제2 차량이동거리 거리정보를 단말장치의 송신부를 매개로 GIS 서버로 무선송출하는 정보전송단계와; GIS서버가 수신부를 매개로 단말장치의 송신부로부터 무선송출된 정보를 수신하여, 시작위치로부터 종료위치까지의 추정거리를 연산하고, 측정된 제1 및 제2 차량이동거리의 차량이동평균거 리를 연산하며, 추정거리에 대하여 차량이동평균거리가 허용오차범위를 초과하면 해당구간을 실측필요구간으로 지정하는 실측필요구간지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차량이동거리측정단계는 GPS센서를 매개로 선택된 경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고,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터치스크린패널에 경고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경로를 편리하게 선택하여 경로의 구간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GIS서버에 저장된 지적도 및 지형도의 맵정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선택된 경로의 추정거리와 측정된 차량이동평균거리를 비교하여, 각 경로 거리의 실측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GIS서버의 맵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차량이동거리측정시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측지방법, GIS, GPS

Description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Method to update Digital map}
본 발명은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는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에 의해 얻어진 각종 수치정보를 해석하고, 이를 수치 편집하여 디지털 형태로 제작된 지도이다.
이러한 수치지도는 각종 지적도 및 지형도로도 사용된다.
상기 지적도는 토지의 소재, 지번, 지목, 경계 등이 표시된 지도이고, 지형도는 지표면의 형태·수계·토지의 이용·취락 및 도로·철도 그 밖의 각종 공작물 등의 배치상황이 표시된 지도이다.
한편, 상기 지적도는 토지의 소재, 지번, 경계 등은 정확히 확인할 수 있지만, 어느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까지의 거리는 정확히 알 수 없었다.
상기 지형도 또한 도로, 철도 등의 배치상황은 알 수 있지만, 각각의 지점 간의 거리도 정확히 알 수 없었다.
이때, 상기 지적도 및 지형도의 지점간의 경로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적도 및 지형도 제작자가 각각의 지점간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제작자가 측정이 필요한 경로를 편리하게 선택하여 경로에 따른 각 지점간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선택된 경로의 거리 측정시, 경로 이탈없이 정확히 경로에 대한 거리를 측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 측정이 필요한 각 지점간의 경로를 편리하게 선택하고, 선택된 경로의 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며, 선택된 경로의 거리 측정시 경로 이탈없이 정확히 경로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여 수치지도의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은,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패널에 GPS센서를 매개로 현재 위치좌표정보를 포함하는 맵정보를 표시하는 맵정보표시단계와; 터치스크린패널을 매개로 시작위치 및 종료위치를 입력받아 지정하는 시작위치/종료위치 지정단계와; 터치스크린패널에 시작위치로부터 종료위치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경로표시단계와; 표시된 경로 중 하나의 경로를 터치스크린패널을 매개로 선택받는 경로선택단계와; 선택된 경로를 따라 시작위치에서 종료위치까지의 제1 차량이동거리를 주행거리측정장치를 매개로 측정하는 제1 차량이동거리측정단계와; 측정된 제1 차량이동거리를 터치스크린패널을 매개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1 차량이동거리 저장단계와; 선택된 경로에 대한 역경로를 터치스크린패널을 매개로 선택받는 역경로 선택단계와; 선택된 역경로를 따라 종료위치 에서 시작위치까지의 제2 차량이동거리를 주행거리측정장치를 매개로 측정하는 제2 차량이동거리측정단계와; 측정된 제2 차량이동거리를 터치스크린패널을 매개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2 차량이동거리 저장단계와; 시작위치와 종료위치의 위치좌표정보, 선택된 경로의 경로정보, 제1 차량이동거리의 거리정보 및 제2 차량이동거리 거리정보를 단말장치의 송신부를 매개로 GIS 서버로 무선송출하는 정보전송단계와; GIS서버가 수신부를 매개로 단말장치의 송신부로부터 무선송출된 정보를 수신하여, 시작위치로부터 종료위치까지의 추정거리를 연산하고, 측정된 제1 및 제2 차량이동거리의 차량이동평균거리를 연산하며, 추정거리에 대하여 차량이동평균거리가 허용오차범위를 초과하면 해당구간을 실측필요구간으로 지정하는 실측필요구간지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차량이동거리측정단계는 GPS센서를 매개로 선택된 경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고,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터치스크린패널에 경고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경로를 편리하게 선택하여 경로의 구간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GIS서버에 저장된 지적도 및 지형도의 맵정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선택된 경로의 추정거리와 측정된 차량이동평균거리를 비교하여, 각 경로 거리의 실측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GIS서버의 맵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차량이동거리측정시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를 위한 측지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거리측정장치가 부착된 차량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를 위한 측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선택 경로 간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지시스템은 크게 주행거리측정장치(100), 단말장치(200), GIS서버(300)로 구성된다.
우선, 상기 주행거리측정장치(100)는, 차량(V)에 설치되어 차량(V)이 이동한 거리를 나타내는 통상의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장치(200)는, 몸체를 이루는 바디(210)와, 바디(210)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패널(220)과, 바디(210)에 설치되는 GPS센서(GS)와, 바디(210)에 설치되는 단말제어부(230)와, 바디(210)에 설치되는 단말송신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220)은, 접촉(touch)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하는 특수한 입력장치를 장착한 화면으로서, 단말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되고, 또한 단말제어부(230)에 제어명령값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패널(220)은, 맵을 나타내는 맵표시부(221)와, 시작위치(P1), 종료위치(P2) 및 시작위치(P1)와 종료위치(P2) 간의 하나 이상의 경로 중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경로선택부(222)와, 선택된 경로의 측정된 거리를 입력하는 거리값입력부(223)와, 선택된 경로에 대한 역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역경로선택부(224)와, 측정된 정보를 GIS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전송명령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맵표시부(221)는, 터치스크린패널(220)의 우측에 표시되어, 단말장치(200)의 현재 위치좌표정보를 포함하는 맵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경로선택부(222)는 터치스크린패널(220)의 좌측에 표시되어,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통해 경로선택부(222)가 선택되면, 맵표시부(221) 상에 측정하고자 하는 경로의 시작위치(P1), 종료위치(P2) 및, 시작위치(P1)와 종료위치(P2) 간의 하나 이상의 경로 중 하나의 경로를 직접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거리값입력부(223)는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통해, 선택된 경로에 대한 차량(V)이 이동한 거리 즉, 선택된 경로를 따라 시작위치(P1)에서 종료위치(P2)까지의 제1 차량이동거리 및 선택된 역경로를 따라 종료위치(P2)에서 시작위치(P1)까지의 제2 차량이동거리를 각각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단말장치(200)의 단말제어부(230)는 주행거리측정장치(100)와 연결되어, 제1 및 제2 차량이동거리를 직접 전송받아 저장하고, 거리값입력부(223)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역경로선택부(224)는 시작위치(P1)에서 종료위치(P2)까지의 선택된 경로를 재측정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통해, 단말제어부(230)가 종료위치(P2)에서 시작위치(P1)까지의 역경로를 설정하도록 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정보전송명령부(225)는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통해, 단말제어부(230)가 측정된 정보 즉, 시작위치(P1)와 종료위치(P2)의 위치좌표정보, 선택된 경로의 경로정보, 제1 차량이동거리의 거리정보 및 제2 차량이동거리 거리정보를 단말송신부(240)를 통하여 GIS 서버(300)로 무선송출하게 한다.
상기 단말제어부(230)는 터치스크린패널(220), GPS센서(GS) 및 단말 송신부(240)와 접속되어 각 구성을 제어하며, 터치스크린패널(220)의 맵표시부(221), 경로선택부(222), 거리값입력부(223), 역경로선택부(224) 및 정보전송명령부(22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단말제어부(230)는 GIS 서버(300)에 저장된 맵정보와 동일한 수치지도 정보인 맵정보를 저장하고, GPS센서(GS)를 작동제어하여 GPS인공위성(S)으로부터 단말장치(200)의 현재위치인 위치정보(M)를 입력받아 맵정보와 함께 위치정보(M)를 터치스크린패널(220)에 출력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제어부(230)는 저장부를 구비하여 측정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제어부(230)는, 경로선택부(222)가 선택되면,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시작위치(P1) 및 종료위치(P2)를 순서대로 입력받고, 시작위치(P1)로부터 종료위치(P2)까지의 경로를 검색하여, 시작위치(P1)로부터 종료위치(P2)까지의 다양한 경로를 맵표시부(221) 상에 나타내고, 하나의 경로를 선택받도록 작동 한다.
또한, 상기 단말제어부(230)는 선택된 경로 및 역경로 측정시, GPS센서(GS)를 매개로 경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고,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터치스크린패널(220)의 맵표시부(221)에 붉은 색 또는 느낌표 등의 경고표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위성항법장치)센서(GS)는, 바디(210)에 설치되어, 단말제어부(23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GPS인공위성(S)으로부터 위치정보(M)를 수신하는 통상의 것이다.
상기 단말송신부(240)는, 단말제어부(22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정보전송명령부(225)의 명령신호에 따라 측정된 정보 즉, 시작위치(P1)와 종료위치(P2)의 위치좌표정보, 선택된 경로의 경로정보, 제1 차량이동거리의 거리정보 및 제2 차량이동거리 거리정보를 GIS서버(300)로 무선송출한다.
상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지리정보시스템) 서버(300)는, 단말장치(200)의 단말송신부(240)로부터 측정된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GIS수신부(310)와, GIS수신부(310)를 작동제어하는 GIS제어부(3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GIS제어부(320)는, GIS수신부(310)로부터 수신한 측정된 정보 즉, 시작위치(P1)와 종료위치(P2)의 위치좌표정보, 선택된 경로의 경로정보, 제1 차량이동거리의 거리정보 및 제2 차량이동거리 거리정보와 자체 저장된 맵정보를 비교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GIS제어부(320)는, 시작위치정보 및 종료위치정보에 대한 평면위치 및 고도 등의 맵정보를 확인하고, 경로정보를 매개로 시작위치로부 터 종료위치까지의 하나 이상의 경로 중 선택된 경로를 인식한다.
이때, GIS제어부(320)는 시작위치와 종료위치의 평면위치 및 고도 등의 맵정보를 통해 시작위치로부터 종료위치까지의 선택된 경로의 추정거리를 연산한다. 한편, 추정거리는 수치지도 정보인 맵정보를 이용한 연산을 통해 얻어진 거리정보로써, 실측에 의한 정확한 실제거리가 아니므로, 시작위치(P1)으로부터 종료위치(P2)까지의 실제 거리와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GIS제어부(320)는 제1 차량이동거리와 제2 차량이동거리의 차량이동평균거리를 연산한다.
그 후에, 상기 GIS제어부(320)는 선택된 경로의 연산을 통한 추정거리에 대하여 차량이동평균거리가 미리 설정된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면, 해당구간을 실측필요구간으로 지정한다. 이때, GIS제어부(320)는 별도의 출력장치(미도시)를 통해 해당구간이 실측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외부로 나타내며, 출력장치로는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스피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GIS제어부(32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추정거리를 연산하기 위한 추정거리연산부, 차량이동평균거리를 연산하기 위한 차량이동평균거리연산부 및, 추정거리와 차량이동평균거리를 비교 및 판단하는 실측필요구간지정부를 포함한다.
이하,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 데이터의 업데이트 즉, 수치지도 업데이트를 위한 측지방법을 설명한다.
(1) 맵정보 표시단계
우선, 작업자는 주행거리측정장치(100)와 단말장치(200)가 구비된 차량을 운전하여 작업구간으로 이동한다. 이 때, 도 4와 같이, 작업자가 단말장치(200)의 전원장치를 ON 작동시키면, 단말장치(200)의 터치스크린패널(220)에 GPS센서(GS)를 매개로 현재 위치좌표정보를 포함하는 맵정보가 표시된다.
(2) 시작위치/종료위치 지정단계
이후, 상기 작업자가 측정할 작업구간의 시작위치(P1)에서 경로선택부(222)를 터치하면, 단말장치(200)의 단말제어부(230)는 시작위치(P1) 및 종료위치(P2)를 인식할 준비를 한다. 계속해서 도 5과 같이 작업자가 맵표시부(221) 상에 시작위치(P1) 및 종료위치(P2)를 지정하면, 단말제어부(230)는 시작위치(P1) 및 종료위치(P2)를 인식한다. 만일, 단말장치(200)가 시작위치(P1)에 위치하였으나, GPS센서(GS)의 오차로 인해 맵표시부(221) 상에 현재위치(M)와 시작위치(P1)가 다를 경우에는, 단말제어부(230)는 터치스크린패널(220)을 통해 시작위치(P1)가 입력될 때, 현재위치(M)와 시작위치(P1)를 일치시킬 수 있다.
(3) 경로표시단계
상기와 같이 측정할 경로의 시작위치(P1)와 종료위치(P2)가 설정되면, 단말제어부(230)는 맵표시부(221)에 시작위치(P1)로부터 종료위치(P2)까지 갈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도 6과 같이 나타낸다.
(4) 경로선택단계
이때, 상기 작업자는 맵표시부(221)에 표시된 경로 중 측정할 하나의 경로표 시를 터치하여, 측정할 경로를 선택하면, 선택된 경로가 도 7과 같이 굵게 표시되면서 진행해야할 방향이 화살표로 나타내진다.
(5) 제1 차량이동거리 측정단계
상기와 같이 경로가 선택되면 작업자는 차량(V)을 운전하여 선택된 경로를 따라 시작위치(P1)에서 종료위치(P2)로 이동한다. 이때, 차량(V)에 구비된 주행거리측정장치(100)를 통해 제1 차량이동거리가 측정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230)는 경로측정시 GPS센서(GS)를 매개로 선택된 경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고,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터치스크린패널(220)에 경고표시를 할 수 있다.
(6) 제1 차량이동거리 저장단계
이후, 도 8과 같이, 상기 단말제어부(230)는 거리값입력부(223)를 통해 측정된 제1 차량이동거리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장치(200)의 단말제어부(230)는 주행거리측정장치(100)와 연결되어, 제1 차량이동거리를 직접 전송받아 저장하고, 거리값입력부(223)에 표시할 수도 있다.
(7) 역경로선택단계
이어서, 역경로선택부(224)가 터치되면 선택된 경로에 대한 역경로가 굵게 표시되면서, 진행해야할 방향이 화살표로 나타내진다.
(8) 제2 차량이동거리 측정단계
상기와 같이, 선택된 경로에 대한 역경로가 선택되면 작업자는 차량(V)을 운전하여 선택된 역경로를 따라 종료위치(P2)에서 시작위치(P1)로 이동한다. 이때, 차량(V)에 구비된 주행거리측정장치(100)를 통해 제2 차량이동거리가 측정된다. 여 기서, 단말제어부(230)는 경로측정시 GPS센서(GS)를 매개로 선택된 경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고,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터치스크린패널(220)에 경고표시를 할 수 있다.
(9) 제2 차량이동거리 저장단계
이후, 상기 단말제어부(230)는 거리값입력부(223)를 통해 측정된 제2 차량이동거리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장치(200)의 단말제어부(230)는 주행거리측정장치(100)와 연결되어, 제2 차량이동거리를 직접 전송받아 저장하고, 거리값입력부(223)에 표시할 수도 있다.
(10) 정보전송단계
이어서, 정보송신명령부(225)가 터치되면, 단말제어부(230)는 시작위치(P1)와 종료위치(P2)의 위치좌표정보, 선택된 경로의 경로정보, 제1 차량이동거리의 거리정보 및 제2 차량이동거리 거리정보를 단말장치(200)의 단말송신부(240)를 매개로 GIS 서버(300)로 무선송출한다.
(11) 실측필요구간 지정단계
이어서, GIS서버(300)의 GIS제어부(320)는 GIS 수신부(310)를 매개로 단말장치(200)의 단말송신부(240)로부터 무선송출된 정보를 수신하고, 시작위치(P1)로부터 종료위치(P2)까지의 추정거리를 연산하고, 측정된 제1 및 제2 차량이동거리의 차량이동평균거리를 연산하며, 추정거리에 대하여 차량이동평균거리가 허용오차범위를 초과하면 해당구간을 실측필요구간으로 지정한다. 이때, GIS제어부(320)는, 별도의 출력장치를 통해, 시작위치(P1)로부터 종료위치(P2)까지의 거리를 실측할 필요가 있다는 알림 메세지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GIS서버(300)의 관리자는 알림 메세지를 통해, 시작위치(P1)로부터 종료위치(P2)까지의 거리를 실측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별도의 실측측정기구를 통해 시작위치(P1)로부터 종료위치(P2)까지의 거리를 실측하여, 수치지도를 보다 정확하게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 데이터의 업데이트 즉, 수치지도 업데이트를 위한 측지방법은, 작업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경로를 편리하게 선택하여 경로의 구간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GIS서버에 저장된 지적도 및 지형도의 맵정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선택된 경로의 추정거리와 측정된 차량이동평균거리를 비교하여, 각 경로 거리의 실측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GIS서버의 맵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차량이동거리측정시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를 위한 측지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거리측정장치가 부착된 차량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를 위한 측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선택 경로 간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S; GPS인공위성 V; 차량
100; 주행거리측정장치 200; 단말장치
210; 바디(210) 220; 터치스크린패널
230; 단말제어부 240; 단말송신부
GS; GPS센서
300; GIS서버 310; GIS수신부
320; GIS제어부 P1; 시작위치
P2; 종료위치 M : 현재위치

Claims (1)

  1. 단말장치(200)의 터치스크린패널(220)에 GPS센서(GS)를 매개로 현재 위치좌표정보를 포함하는 맵정보를 표시하는 맵정보표시단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220)을 매개로 시작위치(P1) 및 종료위치(P2)를 입력받아 지정하는 시작위치/종료위치 지정단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220)에 시작위치(P1)로부터 종료위치(P2)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경로표시단계;
    표시된 경로 중 하나의 경로를 터치스크린패널(220)을 매개로 선택받는 경로선택단계;
    선택된 경로를 따라 시작위치(P1)에서 종료위치(P2)까지의 제1 차량이동거리를 주행거리측정장치(100)를 매개로 측정하는 제1 차량이동거리측정단계;
    측정된 제1 차량이동거리를 터치스크린패널(220)을 매개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1 차량이동거리 저장단계;
    상기 선택된 경로에 대한 역경로를 터치스크린패널(220)을 매개로 선택받는 역경로 선택단계;
    선택된 역경로를 따라 종료위치(P2)에서 시작위치(P1)까지의 제2 차량이동거리를 주행거리측정장치(100)를 매개로 측정하는 제2 차량이동거리측정단계;
    측정된 제2 차량이동거리를 터치스크린패널(220)을 매개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2 차량이동거리 저장단계;
    상기 시작위치(P1)와 종료위치(P2)의 위치좌표정보, 선택된 경로의 경로정보, 제1 차량이동거리의 거리정보 및 제2 차량이동거리 거리정보를 단말장치(200)의 송신부(240)를 매개로 GIS 서버(300)로 무선송출하는 정보전송단계;
    상기 GIS서버(300)가 수신부(310)를 매개로 단말장치(200)의 송신부(240)로부터 무선송출된 정보를 수신하여, 시작위치(P1)로부터 종료위치(P2)까지의 선택된 경로의 추정거리를 연산하고, 측정된 제1 및 제2 차량이동거리의 차량이동평균거리를 연산하며, 추정거리에 대하여 차량이동평균거리가 허용오차범위를 초과하면 해당구간을 실측필요구간으로 지정하는 실측필요구간지정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차량이동거리측정단계는 GPS센서(GS)를 매개로 선택된 경로를 이탈하는지 판단하고,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터치스크린패널(220)에 경고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
KR1020090102765A 2009-10-28 2009-10-28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 KR100967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765A KR100967447B1 (ko) 2009-10-28 2009-10-28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765A KR100967447B1 (ko) 2009-10-28 2009-10-28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447B1 true KR100967447B1 (ko) 2010-07-01

Family

ID=4264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765A KR100967447B1 (ko) 2009-10-28 2009-10-28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4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045B1 (ko) * 1996-04-03 1999-03-30 최성규 차량을 이용한 지도검수 장치
JP2004325777A (ja) 2003-04-24 2004-11-18 Masahiro Abe 車載ナビゲーションにおける道路情報システムとその道路情報測定方法、並びに道路面標高値測定システムと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ナビゲーション
KR100576175B1 (ko) 2002-11-22 2006-05-03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도로구배정보를 포함한 지도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지도데이터 생성시스템
KR100921497B1 (ko) 2009-06-09 2009-10-13 (유)대산이앤씨 지형 지물에 대한 좌표가 적용된 수치정보 보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045B1 (ko) * 1996-04-03 1999-03-30 최성규 차량을 이용한 지도검수 장치
KR100576175B1 (ko) 2002-11-22 2006-05-03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도로구배정보를 포함한 지도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지도데이터 생성시스템
JP2004325777A (ja) 2003-04-24 2004-11-18 Masahiro Abe 車載ナビゲーションにおける道路情報システムとその道路情報測定方法、並びに道路面標高値測定システムと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ナビゲーション
KR100921497B1 (ko) 2009-06-09 2009-10-13 (유)대산이앤씨 지형 지물에 대한 좌표가 적용된 수치정보 보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0677B2 (en) Geographical data collecting device
JP4661439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道路地図配信システム
US8910010B2 (en) Method of detecting transportation network database errors and devices thereof
KR102009021B1 (ko) 개인 항법 디바이스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디바이스
US8717432B2 (en) Geographical data collecting device
CN101451852B (zh) 导航设备和导航方法
KR100777921B1 (ko) 지하매설관로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104379B1 (ko) Gps 수신불량에 따른 차량용 위치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예측 방법
JPWO2011135660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4340689A (ja) 経路案内装置
KR101606029B1 (ko)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도로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995104B1 (ko) 지피에스 정보를 이용한 두 지점간 경로의 변동여부 확인용 측지데이터 처리방법
KR100967447B1 (ko) 위치좌표정보 대비 지형구조의 측지 데이터 비교를 통한 측량 결과데이터의 업데이트용 측지방법
KR100955107B1 (ko) 지피에스 좌표 및 도화이미지의 지리정보 기반 지역별 수치지도 제작방법
KR101131871B1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의 고속도로 휴게소 도달 안내정보 출력방법
JP2012098077A (ja) 位置情報提供装置、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提供方法
KR200303737Y1 (ko) 이동식 gps 지형 측량 시스템
KR100952402B1 (ko) 측지정보 감지를 통해 수치지도를 갱신하기 위한 실측필요구간 지정 및 시설물의 임시정보를 기록한 지아이에스 측량방법
JP6667939B2 (ja) 転圧機械
JP4809105B2 (ja) 自車位置/方位修正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209285B1 (ko) 기준점 및 수준점 확인을 통한 지표면의 지리정보 측지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120067228A (ko) 차선인식수단을 이용한 차량용 항법지도의 갱신장치
KR100581235B1 (ko) Gps 수신기와 레이저 계측기 장착 차량 및 항공 사진을이용한 도로 주변 시설물 측량정보의 gis 수치지도업데이트 방법
KR20120000321A (ko) 차량 고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0952403B1 (ko) 지리정보의 실시간 갱신을 위한 지형정보 및 고도정보 데이터 기반 수치지도 제작용 측지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