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421B1 -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421B1
KR100967421B1 KR1020090115206A KR20090115206A KR100967421B1 KR 100967421 B1 KR100967421 B1 KR 100967421B1 KR 1020090115206 A KR1020090115206 A KR 1020090115206A KR 20090115206 A KR20090115206 A KR 20090115206A KR 100967421 B1 KR100967421 B1 KR 10096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irgel
adhesive
thermal insulation
perfor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홍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홍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홍테크
Priority to KR1020090115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being specifically extensible by reason of its structure or arrangement, e.g. by reason of the chemical na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젤이 함유된 섬유인 에어로젤 포 또는 에어로젤 분말을 구비한 에어로젤 보온소재와, 상기 에어로젤 보온소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에어로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와, 상기 적층되어 있는 상기 에어로젤 보온소재와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천공들, 및 상기 적층된 개별 층들을 상하로 견고히 접착하도록, 상기 천공들 사이에 충진되어 있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서로 적층된 상부시트와 에어로젤 보온소재 및 하부시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천공들마다 접착제 성분이 충진되어 있어서, 적층된 개별 층들을 상하로 견고히 접착시키고 에어로젤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에어로젤의 이탈의 방지를 통하여 보온시트의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온 효과를 더욱 증진시킨다. 더욱이, 상부 및 하부 시트의 재질과 접착제의 재질이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적층된 개별 층들의 접착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Heat insulation sheet using aerogel and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로젤의 이탈을 방지하여 보온 효과를 향상시키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젤(aerogel)은 열·전기·소리·충격 등에 강하고, 무게도 같은 부피의 공기보다 3배밖에 무겁지 않아 미래의 단열재·충격완충재·방음재 등으로 주목을 받는 신소재이다. 이러한 에어로젤은 규소 산화물(SiO2)이 그 재료로서 머리카락의 1만 분의 1 굵기인 SiO2 실이 극히 성글게 얽혀 이루어져 있으며, 실과 실 사이에는 공기 분자들이 들어 있고, 전체 부피의 98%를 공기가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분말 형태의 에어로젤을 섬유 조직체와 결합한 형태의 에어로젤 시트, 블랑킷 등이 단열 및 보온 용도로 제조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에어로젤 시트는 분말 형태의 에어로젤이 섬유 조직체에 완전하게 부착되어 있지 않아, 제조 과정, 운반 또는 설치 과정 중에 에어로젤 분말이 비산, 털림 등에 의해 20~30% 이 상 외부로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단열 및 보온 용도로 충분히 유지되어야 할 에어로젤 함량의 미달을 초래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산업 배관의 보온, 보냉 효율을 급격하게 저감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기존의 에어로젤 시트는 시공자가 취급함에 있어, 대단히 다루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에어로젤 분말이 섬유조직체에 완전히 밀착 고정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단순 취급시에도 에어로젤 분말의 비산이 매우 많은 문제점이 있고, 시트의 절단과 가공, 형태의 변형이 필요한 경우, 해당 작업시에 에어로젤 분말이 대량으로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에어로젤은 습기와 물에 대한 저항성, 발수성이 매우 우수하나, 이러한 에어로젤의 외부 이탈 특성은, 화학섬유 시트에 에어로젤 분말이 고르게 분포 및 유지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에어로젤 분말과 결합상태에 있는 섬유조직체가 습기와 물에 그대로 노출이 되면 결과적으로 보온, 보냉재의 노화를 촉발시키고, 외부 환경의 차단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므로, 배관의 보온, 보냉의 고유 기능을 저감 또는 상실시킨다. 상기 에어로젤의 우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낮은 작업성은 현장에서의 외면을 초래하게 되고, 산업의 전반적인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에어로젤의 이탈을 방지하여 단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에어로젤이 함유된 섬유인 에어로젤 포 또는 에어로젤 분말을 구비한 에어로젤 보온소재와, 상기 에어로젤 보온소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에어로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와, 상기 적층되어 있는 상기 에어로젤 보온소재와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천공들, 및 상기 적층된 개별 층들을 상하로 견고히 접착하도록, 상기 천공들 사이에 충진되어 있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는, 상기 상부시트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면과, 상기 접착면의 상면에 부착된 보호필름, 및 상기 하부시트의 하면에 적층된 외장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는 유기화합물 또는 무기화합물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재질 또는 케블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또는 에폭시 재질의 접착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에어로젤이 함유된 섬유인 에어로젤 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로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에어로젤 포의 상면과 하면에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각각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로젤 포와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천공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한 개별 층들을 상하로 견고히 접착하도록, 상기 천공들에 접착제를 통과시켜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하부시트의 상부에 에어로젤 분말을 얹어서 에어로젤 분말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로젤 분말층의 상부에 상부시트용 액상재료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액상재료를 굳혀서 상기 상부시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로젤 분말층과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천공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한 개별 층들을 상하로 견고히 접착하도록, 상기 천공들에 접착제를 통과시켜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의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제조방법은, 상기 상부시트의 상면에 접착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면의 상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시트의 하면에 외장재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서로 적층된 상부시트와 에어로젤 보온소재 및 하부시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천공들마다 접착제 성분이 충진되어 있어서, 적층된 개별 층들을 상하로 견고히 접착시키고 에어로젤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에어로젤의 이탈의 방지를 통하여 보온시트의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온 효과를 더욱 증진시킨다. 더욱이, 상부 및 하부 시트의 재질과 접착제의 재질이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적층된 개별 층들의 접착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보온시트의 일부를 잘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을 고려하면, 작업자가 보온시트의 일부를 자르더라도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구조가 유지되어, 에어로젤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작업자가 보온 대상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보온시트를 보온 대상물로부터 벗겨낸 후, 다시 보온 대상물에 설치하는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에 의하여 에어로젤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100)는, 에어로젤 보온소재(110), 상부시트(120), 하부시트(130), 복수 개의 천공들(140), 접착제(15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로젤 보온소재(110)는 에어로젤이 함유된 섬유인 에어로젤 포 또는 에어로젤 분말을 구비한 소재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로젤 포는 에어로젤이 함유된 섬유이다. 이러한 에어로젤 포는 에어로젤을 섬유 조직체에 결합시킨 형태로서, 기존의 에어로젤 시트, 에어로젤 블랑킷(Blanket) 등의 형태를 의미한다. 이 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에어로젤 보온소재(110)를 에어로젤 포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부시트(120) 및 하부시트(130)는, 상기 에어로젤 포(1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에어로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시트(120)와 하부시트(130)는 유기화합물 또는 무기화합물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예로서, 상기 상부시트(120)와 하부시트(130)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재질 또는 케블러(Kevlar, 듀퐁(Du Pont)사의 상표명) 섬유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시트(120) 및 하부시트(130)는 상술한 재질 이외에도 고온에 강인한 다른 화학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복수 개의 천공들(140)은 상기 적층되어 있는 에어로젤 포(110)와 상기 상부시트(120) 및 상기 하부시트(13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제(150)는 상기 적층된 개별 층들 즉, 상부시트(120), 에어로젤 포(110), 하부시트(130)를 상하로 견고히 접착하도록, 상기 천공들(140) 사이에 충진되어 있다.
여기서, 분말 형태를 갖는 에어로젤의 외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천공들(140)은 미세한 직경을 가지고 상호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천공의 직경은 0.2 ~ 12 mm 범위이고, 그 간격은 0.2 ~ 12 mm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들(140)은 서로 일정간격 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용도나 목적에 따라 불규칙적인 배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접착제(150)는 접착 성질을 갖는 다양한 액상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온시트의 다른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 3의 경우는 상기 상부시트(120)와 하부시트(130)가 폴리우레탄 또는 에폭시 재질로 형성되고, 접착제(150a) 또한 상기 각 시트(120,130)와 동종 재질의 폴리우레탄 또는 에폭시 재질의 접착제로 형성된 경우이다. 이러한 동종 재질에 의하면, 시트(110,120)와 접착제(150) 사이에 대해 천공(140)에 따른 경계면이 사라져도 무방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천공(140)에 따른 경계면을 점선으로 도시하여 구분하였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150a)가 각 시트(120,13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타종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보온시트(100)를 형성하는 개별 층들(110,120,130)의 접착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어, 에어로젤의 외부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도 4는 천공을 형성하지 않고 보온시트를 제조하는 경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즉, 도 4의 경우는, 상기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에어로젤 포(10), 상부시트(20) 및 하부시트(30)가 단순 적층되어 있는 보온시트(40)의 구조로서, 보온시트(40)의 외곽 둘레 부분만이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보온시트(40)의 둘레 부분을 제외한 가운데 부분이 들뜨게 되어, 에어로젤 분말이 내부에서 쉽게 이동하게 되어, 에어로젤 분말의 밀도가 불균일하게 되고, 전체 시트 면적에 대하여 보온 효과 또한 불균일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보온시트(40)의 둘레 부분 중 어느 일부분의 접착력이 약해지면 에어로젤 분말이 그대로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원하는 크기나 용도로 보온시트(40)를 잘라서 사용할 경우에는, 잘라지는 가운데 부분의 층 들이 쉽게 분리되면서 에어로젤 분말이 다량 손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4의 경우는 작업, 운송, 설치, 절단 과정 등에서의 작업성이 떨어지고 에어로젤 분말의 손실이 많은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도 1 내지 도 3의 보온시트(100)에 따르면, 보온시트(100)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천공들(140)이 형성되고, 이 천공들(140) 마다 접착제(150) 성분이 충진되어 있어서, 원하는 크기나 용도 대로 보온시트(100)의 일부분을 잘라서 사용하는 절단 가공의 경우에도 에어로젤 분말이 이탈되는 현상을 절감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향상되며, 보온 효율 또한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즉, 보온시트(100)의 일부를 잘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을 고려하면, 작업자가 보온시트(100)의 일부를 자르더라도 상부시트(120)와 하부시트(130)의 구조가 유지되어, 에어로젤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작업자가 보온 대상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보온시트(100)를 보온 대상물로부터 벗겨낸 후, 다시 보온 대상물에 설치하는데, 설치 과정에서 상부시트(120)와 하부시트(130)에 의하여 에어로젤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보온시트(100)는, 상기 천공들(140)에 채워진 접착제(150) 성분에 의하여 각 시트(120,130)와 에어로젤 포(110)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그 제조 과정, 운반 과정, 절단 가공, 형태 변형, 설치 과정 중에 에어로젤 분말이 손실되는 문제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보온시트의 상하면에 접착면, 보호필름, 외장재가 적층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온시트(100)에는 접착면(160), 보호필름(170) 및 외장재(180)가 적층되어 있다.
상기 접착면(160)은 상기 상부시트(1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면(160)은 초고온 또는 초저온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를 상부시트(120)의 상면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필름(170)은 상기 접착면(160)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착면(160)을 보호한다. 즉, 접착면(160)을 제거할 경우, 상기 접착면(160) 부분을 통해 상기 보온시트(100)를 원하는 부위(ex, 배관)에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부착된 보온시트(100)의 외부를 밴드 또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한번 더 고정하면 그 부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외장재(180)는 상기 하부시트(130)의 하면에 적층되어, 상기 보온시트(100)의 외부면을 형성한다. 상기 접착면(160)에 의해 보온시트(100)를 목적 부위에 붙이고 나면, 그 반대 면인 외장재(180) 쪽이 상기 보온시트(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외장재(180)는 실리콘계 혹은 온도와 습도 및 광분해에 저항할 수 있는 화섬유 등으로 구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자기 보호에 충실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접착면(160), 보호필름(170) 및 외장재(180)에 따르면, 보온시트(100)의 상부면은 접착면이 되고, 하부면은 외부면이 됨으로써, 기타 구성 부품 없이도 보온시트(100)의 시공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온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방법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상기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100)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로젤이 함유된 섬유인 에어로젤 포(110)를 준비한다(S110). 그리고, 상기 에어로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에어로젤 포(110)의 상면과 하면에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각각 적층한다(S120).
그리고, 상기 에어로젤 포(110)와 상기 상부시트(120) 및 상기 하부시트(130)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천공들(140)을 형성한다(S130). 여기서, 상기 적층한 개별 층(110,120,130)들을 상하로 견고히 접착하도록, 상기 천공들(140)에 접착제(150)를 통과시켜 충진하여 보온시트(100)의 형태를 만든다(S140).
상기의 도 6은 에어로젤 보온소재(110)로서 에어로졸 포(110)를 이용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에어로젤 보온소재(110)로서 에어로졸 분말이 사용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하부시트의 상부에 에어로젤 분말을 얹어서 에어로젤 분말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로젤 분말층의 상부에 상부시트용 액상재료를 도포한다. 이후, 상기 액상재료를 굳혀서 상기 상부시트를 형성한다(상기 S110~S120단계에 대응). 이러한 S110~S120단계에 대응되는 내용은 아래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즉,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하부시트 위에 에어로젤 분말을 얹어서 에어로젤 분말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시트용 액상재료를 에어로젤 분말층 위에 동시에 도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에어로젤 분말층과 액상재료의 공급은 순차적으로 될 수도 있고, 동시에 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에어로젤 분말층과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천공들을 형성한다(상기 S130단계에 대응). 이후에는, 이렇 게 적층한 개별 층들을 상하로 견고히 접착하도록, 상기 천공들에 접착제를 통과시켜 충진한다(상기 S140단계에 대응).
그리고, 두 가지 실시예 모두, 이하의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조된 보온시트(100)를 목적 부위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시트(120)의 상면에 접착면(160)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초고온 또는 초저온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를 상부시트(120)의 상면에 도포하여 접착면(160)을 형성한다. 이후에는, 상기 접착면(160)의 상면에 보호필름(170)을 부착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면(160)이 보호필름(170) 상에 일체형으로 붙어있는 형태인 경우, 보호필름(170) 상의 접착면(160)을 상부시트(120)에 부착하면 상기의 과정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시트(130)의 하면에 외장재(180)를 적층하여 완성한다. 물론, 상기 하부시트(130)의 하면에 외장재(180)를 먼저 적층한 다음, 상기 상부시트(120)의 상면에 접착면(160)과 보호필름(170)의 적층을 수행하여도 무관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한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온시트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천공을 형성하지 않고 보온시트를 제조하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보온시트의 상하면에 접착면, 보호필름, 외장재가 적층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온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방법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110: 에어로젤 포
120: 상부시트 130: 하부시트
140: 천공 150: 접착제
160: 접착면 170: 보호필름
180: 외장재

Claims (8)

  1. 에어로젤이 함유된 섬유인 에어로젤 포 또는 에어로젤 분말을 구비한 에어로젤 보온소재;
    상기 에어로젤 보온소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에어로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상기 적층되어 있는 상기 에어로젤 보온소재와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천공들; 및
    상기 적층된 상기 에어로젤 보온소재와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를 상하로 견고히 접착하도록, 상기 천공들 사이에 충진되어 있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면;
    상기 접착면의 상면에 부착된 보호필름; 및
    상기 하부시트의 하면에 적층된 외장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는 유기화합물 또는 무기화합물 재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재질 또는 케블러 섬유를 포함하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또는 에폭시 재질의 접착제인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6. 에어로젤이 함유된 섬유인 에어로젤 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에어로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에어로젤 포의 상면과 하면에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각각 적층하는 단계;
    상기 에어로젤 포와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천공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로젤 포와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를 상하로 견고히 접착하도록, 상기 천공들에 접착제를 통과시켜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제조방법.
  7. 하부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하부시트의 상부에 에어로젤 분말을 얹어서 에어로젤 분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어로젤 분말층의 상부에 상부시트용 액상재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액상재료를 굳혀서 상기 상부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어로젤 분말층과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천공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로젤 분말층과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를 상하로 견고히 접착하도록, 상기 천공들에 접착제를 통과시켜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제조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의 상면에 접착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면의 상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시트의 하면에 외장재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제조방법.
KR1020090115206A 2009-11-26 2009-11-26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6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206A KR100967421B1 (ko) 2009-11-26 2009-11-26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206A KR100967421B1 (ko) 2009-11-26 2009-11-26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421B1 true KR100967421B1 (ko) 2010-07-01

Family

ID=4264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206A KR100967421B1 (ko) 2009-11-26 2009-11-26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42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2783A1 (en) * 2011-07-18 2013-01-24 Rilco Manufacturing Company, Inc. Method and System for Reinforced Pipe Insulation
KR101237013B1 (ko) * 2012-07-02 2013-02-25 에어로젤테크날로지 주식회사 에어로젤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0433B1 (ko) * 2015-06-03 2016-07-18 주식회사 관평기술 단열 피복
CN106626676A (zh) * 2017-01-23 2017-05-10 江苏泛亚微透科技股份有限公司 绝热隔音气凝胶层复合透气膜的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CN108312658A (zh) * 2018-04-01 2018-07-24 中鸿纳米纤维技术丹阳有限公司 一种复合型耐热硅气凝胶保温毡
CN108685236A (zh) * 2018-07-03 2018-10-23 李宁(中国)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保暖服装及其制作方法
WO2021256879A1 (ko) * 2020-06-19 2021-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수성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5872B1 (ko) * 2023-01-18 2023-05-26 하민우 보온 성능이 우수한 기능성 시트 제조방법
CN114401925B (zh) * 2020-06-19 2024-05-24 株式会社Lg化学 疏水性二氧化硅气凝胶毡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991A (ko) * 2003-11-26 2005-06-01 이현태 온열 매트 또는 방석용 카본 면상발열매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52269A (ko) * 2004-06-29 2007-05-21 아스펜 에어로겔, 인코포레이티드 에너지 효율적이고 절연된 건물 외피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991A (ko) * 2003-11-26 2005-06-01 이현태 온열 매트 또는 방석용 카본 면상발열매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52269A (ko) * 2004-06-29 2007-05-21 아스펜 에어로겔, 인코포레이티드 에너지 효율적이고 절연된 건물 외피들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357B1 (ko) * 2011-07-18 2020-11-30 릴코 매뉴팩쳐링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보강 파이프 단열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2734770A1 (en) * 2011-07-18 2014-05-28 Rilco Manufacturing Company, Inc. Method and system for reinforced pipe insulation
KR20140073486A (ko) * 2011-07-18 2014-06-16 릴코 매뉴팩쳐링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보강 파이프 단열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4522951A (ja) * 2011-07-18 2014-09-08 リルコ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補強パイプ断熱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734770A4 (en) * 2011-07-18 2014-11-26 Rilco Mfg Company Inc METHOD AND SYSTEM FOR REINFORCED PIPE INSULATION
US20130022783A1 (en) * 2011-07-18 2013-01-24 Rilco Manufacturing Company, Inc. Method and System for Reinforced Pipe Insulation
US10252490B2 (en) * 2011-07-18 2019-04-09 Rilco Manufacturing Company, Inc. Method and system for reinforced pipe insulation
KR101237013B1 (ko) * 2012-07-02 2013-02-25 에어로젤테크날로지 주식회사 에어로젤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9097377B2 (en) 2012-07-02 2015-08-04 Aerogel Technologies Corporation Insulating material containing aeroge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640433B1 (ko) * 2015-06-03 2016-07-18 주식회사 관평기술 단열 피복
CN106626676A (zh) * 2017-01-23 2017-05-10 江苏泛亚微透科技股份有限公司 绝热隔音气凝胶层复合透气膜的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CN108312658A (zh) * 2018-04-01 2018-07-24 中鸿纳米纤维技术丹阳有限公司 一种复合型耐热硅气凝胶保温毡
CN108685236A (zh) * 2018-07-03 2018-10-23 李宁(中国)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保暖服装及其制作方法
WO2021256879A1 (ko) * 2020-06-19 2021-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수성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57353A (ko) * 2020-06-19 2021-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수성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401925A (zh) * 2020-06-19 2022-04-26 株式会社Lg化学 疏水性二氧化硅气凝胶毡及其制备方法
JP2022551448A (ja) * 2020-06-19 2022-12-0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疎水性のシリカ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22333B1 (ko) * 2020-06-19 2024-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수성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JP7448643B2 (ja) 2020-06-19 2024-03-1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疎水性のシリカ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401925B (zh) * 2020-06-19 2024-05-24 株式会社Lg化学 疏水性二氧化硅气凝胶毡及其制备方法
KR102535872B1 (ko) * 2023-01-18 2023-05-26 하민우 보온 성능이 우수한 기능성 시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421B1 (ko) 에어로젤을 이용한 보온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04239B1 (ko) 다층 박막 진공단열재
JP5596794B2 (ja) 真空断熱パネル用芯材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KR101436927B1 (ko) 복합 단열 재료
CA2459885A1 (en) Jet blast resistant vehicle arresting blocks, beds and methods
JP2013508652A (ja)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JP2007531238A5 (ko)
KR101353647B1 (ko) 진공단열재용 심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CA2748746C (en) Pipe insulation product with charge dissipater
KR20170128804A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A3061404A1 (en) Insulation material for thermal and/or acoustic insulation
KR101755277B1 (ko) 에어포켓을 구성한 압축 세라믹 소프트 시트의 단열보온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87040B1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KR100593562B1 (ko) 층간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CN110418867B (zh) 真空隔绝板
JP4673012B2 (ja) 防水施工用シート状物および防水施工法
KR102417250B1 (ko) 난연 및 내화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KR20160089060A (ko) 단열성이 향상된 반사형 단열재
US20050249910A1 (en) Mineral wool covered with complexes formed of organic polymer laminates
TWM635777U (zh) 隔音墊多層次結構
TWI694200B (zh) 多層樓地板
JP7443009B2 (ja) 断熱材
JP7253690B2 (ja) 断熱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859853B2 (en) Self-adhesive flexible mineral-wool laminates for insulation of metallic sheet ducts or cavities
CN218804552U (zh) 一种绝缘阻燃离型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