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709B1 -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709B1
KR100966709B1 KR1020087008345A KR20087008345A KR100966709B1 KR 100966709 B1 KR100966709 B1 KR 100966709B1 KR 1020087008345 A KR1020087008345 A KR 1020087008345A KR 20087008345 A KR20087008345 A KR 20087008345A KR 100966709 B1 KR100966709 B1 KR 100966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ole
protrusion
center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3469A (ko
Inventor
야수시 고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윙 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윙 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윙 엔터프라이즈
Publication of KR2008006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8Wedged end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족압 중심의 이동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밑창 및 이 밑창을 구비하는 신발을 제공한다. 신발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밑창 본체(41)와, 이 밑창 본체(41)에 설치되며, 보행·주행에 따라 이동하는,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 중심인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을 향하는 소정의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는 족압 돌출부(43)를 구비한다.
신발, 밑창, 족압 중심

Description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SOLE AND FOOTWARE PROVIDED WITH THIS}
본 발명은 런닝 슈즈, 워킹 슈즈 등의 신발의 밑바닥을 형성하는 밑창 및 이 밑창이 사용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의 밑바닥을 형성하는 밑창으로서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중창과 이 중창의 하면의 대략 모든 영역에 접합되는 복수의 겉창을 구비하며, 각 겉창은 그 폭 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되고, 한편 그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에 걸쳐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된 밑창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밑창에 따르면, 겉창이 접지함으로써 무게 중심이 앞으로 앞으로 안내되어 전방으로의 추진 운동이 촉진되고, 이에 따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부드러운 무게 중심 이동이 가능해진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인간의 보행, 주행 동작은 발꿈치로부터 발끝에 걸쳐 차례로 착지함과 아울러 발꿈치로부터 발끝에 걸쳐 차례대로 이지(離地)하여 무게 중심을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 중심인 족압 중심도 발꿈치로부터 발끝, 특히 무지구(拇指丘)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 족압 중심의 궤적은 보행, 주행 동작의 적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밑창을 구비한 슈즈에서는 이것을 착용하여 보행, 주행 동작을 행하면, 겉창이 중창의 대략 전체 영역에 걸쳐 접합됨과 아울러 그 폭 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족압 중심은 개인의 보행, 주행 동작에 따라 그 사람마다 다른 경로를 경유하게 되어 바람직한 족압 중심의 이동 경로에 대해서는 전혀 배려되지 않았다.
한편, 최근 신발이 족요(足腰)의 골격이나 근육에 주는 영향이 중요시되게 됨과 아울러, 원활하고 신속한 보행, 주행 동작을 행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행해져 최적의 보행, 주행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슈즈 등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족압 중심의 이동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밑창 및 이 밑창을 구비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5-185306호 공보
본건 발명자도 최적의 보행 및 주행 동작에 관한 연구를 오랜 세월에 걸쳐 행하였으며, 그 결과, 신발에 있어서 발꿈치부부터 착지하여 이 발꿈치부로부터 제4 발가락을 향하여 족압 중심이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무지구로부터 빠져나오도록 보행, 주행 동작을 함으로써 족요의 골격이나 근육에 주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게다가 원활하고 신속한 동작을 할 수 있음을 깨닫기에 이르렀다. 특히, 발바닥부 전측에 있어서 무지구로 빠져나올 때까지 가능한 한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에 족압 중심을 경유시킴으로써 최적의 동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밑창의 구조를 궁리함으로써 착용하는 것만으로 상기와 같은 최적의 보행 등을 행하기 쉽게 하는 신발 및 이 신발에 사용되는 밑창에 관한 것이다. 또한, 족압 중심이란 상반력이 작용하는 평균 위치로서 상반력 벡터의 작용점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은, 신발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밑창 본체와, 이 밑창 본체에 설치되며, 보행·주행에 따라 이동하는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 중심인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을 향하는 소정의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는 족압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밑창 본체에 상기 족압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행, 주행 동작에 따라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을 향하는 소정의 바람직한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안내할 수 있다. 즉, 이 밑창을 구비한 신발의 착용자의 습성 등과 무관하게 보행, 주행 동작에 따른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으로 안내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고관절을 사용하여 대퇴를 내선(內旋)시킴과 아울러 불필요하게 근육을 긴장시키지 않고 하지, 발바닥부를 반사적으로 흔들어서 나오게 할 수 있으므로, 착용함으로써 최적의 보행, 주행 동작을 쉽게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족요의 골격이나 근육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행, 주행 동작의 습성과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원활하고 신속한 보행, 주행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슈즈의 개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슈즈의 개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밑창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동 밑창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a는 보행 동작시의 상반력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7b는 보행 동작시의 상반력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7c는 보행 동작시의 상반력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슈즈의 밑창의 하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는 이 밑창을 외측(도 8에서 좌측)에서 본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XI-XI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밑창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밑창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슈즈(신발)의 개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과 다른 시점(이면측)에서 본 경우의 슈즈의 개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의 슈즈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좌측의 슈즈에 대해서도 좌우 반전되어 있을 뿐이며 그 구체적 구성은 우측의 슈즈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 및 그 밑창은 런닝 슈즈, 워킹 슈즈, 야구화, 축구화, 골프화 등뿐만 아니라, 비지니스 슈즈, 슬리퍼, 샌들 등의 공지의 신발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이 슈즈(1)는 족부의 등 부분을 덮는 어퍼(2)와, 이 어퍼(2)의 하부에 부착되며 슈즈(1)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밑창(3)을 구비한다. 도 3은 이 밑창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이 밑창(3)의 하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밑창(3)은 하면이 접지면으로서 형성된 겉창(4)과, 겉창(4)의 발꿈치부(F1)로부터 발바닥의 장심부(F2)의 상면에 접합된 중창(5)을 구비하며, 이들의 상면에 도 3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깔창(insole; 6)이 배열 설치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겉창(4)은 예컨대 고무, 합성 수지, 엘라스토머 등의 소재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소재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도 또는 혼합 내지는 적층하여 사용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소재에 대하여 비발포 또는 저발포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겉창(4)의 강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여기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으나, 겉창(4)의 하면에는 적당히 홈이 실시되어 디자인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배수성, 그립력 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겉창(4)은 하면의 소정 부위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이 돌출 부분을 따라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 중심인 족압 중심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겉창(4)은 족부에 대응하여 배열 설치된 밑창 본체(41)와, 이 밑창 본체(41)의 발꿈치부(F1)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발꿈치 돌출부(42)(광역 돌출부에 해당)와, 이 발꿈치 돌출부(42)의 전단의 폭 방향 대략 중앙부로부터 발끝부(F4)에 걸쳐 뻗어나온 족압 돌조(43)(족압 돌출부에 해당)와, 이 족압 돌조(43)의 기단부의 폭 방향 양측의 밑창 본체(41)의 바닥면에 돌출 설치된 밸런스 돌조(44)(밸런스 돌출부에 해당)를 구비하며, 발꿈치 돌출부(42)로부터 족압 돌조(43)를 따라 바람직한 족압 중심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들 밑창 본체(41), 발꿈치 돌출부(42), 족압 돌조(43) 및 밸런스 돌조(44)는 상기 소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F1∼F4로 나타낸 부분은 겉창(4)의 발꿈치부(F1), 발바닥의 장심부(F2), 무지구부(F3), 발끝부(F4)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발꿈치부(F1)라고 하는 경우에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족근골에 대략 대응하는 부위를 말하고, 발바닥의 장심부(F2)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중족골에 대략 대응하는 부위를, 그리고 무지구부(F3)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중족골의 선단부의 종자골에 대략 대응하는 부위를, 그리고 발끝부(F4)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지골(趾骨)에 대략 대응하는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밑창 본체(41)는 상기 중창(5)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발꿈치 측으로부터 발끝 측에 걸쳐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며, 그 발끝부(F4)가 약간 상방으로 제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밑창 본체(41)의 하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그 발꿈치부(F1)에는 상기 발꿈치 돌출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발꿈치 돌출부(42)가 설치되는 범위는 발꿈치부(F1)에 대응하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꿈치부(F1)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꿈치 돌출부(42)를 밑창 본체(41)의 발꿈치부(F1)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전체 영역에 설치함으로써 보행, 주행 동작시에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접지시킬 수 있고, 족압 중심을 이 발꿈치 돌출부(42)의 중앙부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족압 중심을 족압 돌조(43)로 유도하기가 쉬워져 안정된 상태에서 족압 중심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역 돌출부는 발꿈치부(F1) 및 발바닥의 장심부(F2)에 대응하는 범위이면 그 형성 위치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발꿈치부(F1)의 전체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 예컨대 발꿈치부(F1)를 포함하며, 그 선단이 발바닥의 장심부(F2)로 뻗어나와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이 발꿈치 돌출부(42)의 밑창 본체(41)에 대한 돌출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신발의 용도나 사양(잔디용, 그라운드용, 로드용 등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컨대 트레이닝 슈즈에 있어서는 3∼2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5mm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돌출량이 너무 작으면 보행, 주행 동작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면서 족압 중심을 적정하게 족압 돌조(43)로 유도하기가 어려워짐과 아울러, 이 돌출량이 너무 크면 오히려 밸런스를 무너뜨리기 쉬워져 원활한 보행, 주행 동작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족압 돌조(43)는 밑창 본체(41)의 하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족압 돌조(43)는 발꿈치 돌출부(42)의 폭 방향 대략 중앙부로부터 제4 발가락(T) 죽지 주변을 향하여 직선적이면서 연속적으로 뻗어나온 돌조로 구성되며,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시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족압 돌조(43)는 그 선단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발가락(T) 죽지에 대응하는 부분보다 약간 발꿈치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그 선단부로 유도된 족압 중심이 도 4에 화살표(P)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무지구부(F3)의 내측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족압 돌조(43)의 선단이 제4 발가락(T) 죽지 주변에 위치되어 있는 것은 무게 중심 이동을 안정시킴과 아울러 관절부에의 스트레스를 경감 내지 없애기 위함이다. 즉, 족압 돌조(43)의 선단이 제4 발가락(T) 죽지보다 더 외측, 예컨대 제5 발가락(새끼 발가락)보다 외측에 배열 설치시키도록 하면 몸을 내측으로 넘어뜨리고자 하는 힘이 조기에 과도하게 작용하여, 족관절, 무릎 관절을 외반하여 외반모지로 대표되는, 발가락, 족관절 등의 관절부에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또한 족압 돌조(43)의 선단이 제4 발가락(T) 죽지보다 내측, 예컨대 제2 손가락 주변의 발가락부에 설치시키도록 하면 몸을 외측으로 넘어뜨리고자 하는 힘이 크게 작용하여 오히려 무게 중심이 좌우로 흔들리는 등 안정되지 않게 됨과 아울러 상기 관절부에의 스트레스와 상반적인 스트레스가 관절부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족압 돌 조(43)의 선단이 제4 발가락(T) 죽지 주변의 발가락부에 위치하는 것이 무게 중심 이동을 안정시킴과 아울러 관절부에의 스트레스를 경감 내지 없애는 데 필요해진다.
특히, 족압 돌조(43)의 무지구부(F3), 발끝부(F4)에 대응하는 부분이 발꿈치 돌출부(42)의 중심부와 제4 발가락(T) 죽지를 연결하는 직선과 대략 중첩되도록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효과가 현저하게 얻어지게 된다.
이 족압 돌조(43)의 폭은 발꿈치 돌출부(42)의 폭보다 좁으며,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일정하게 형성되고, 구체적으로는 제4 발가락(T)의 폭과 대략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족압 돌조(43)는 그 밑창 본체(41)로부터의 돌출량이 기단부측(발꿈치부측)에서 상기 발꿈치 돌출부(42)의 돌출량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그 하면이 발꿈치 돌출부(42)의 하면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이 족압 돌조(43)의 돌출량은 그 선단측에 걸쳐 점차 작아지도록 설정되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선단에 있어서 기단부의 절반 정도의 돌출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말할 필요도 없지만, 족압 돌조(43)의 폭 및 돌출량은 신발의 용도나 사양에 따라 적당히 변경할 수 있으며, 그 선단측에 걸쳐 점차 작아지는 경우의 감소율도 용도 등에 따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족압 돌조(43)가 발꿈치 돌출부(42)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이 이 발꿈치 돌출부(42)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꿈치 돌출부(42)에 있는 족압 중심은 이 족압 돌조(43)로 정확하게 유도되어 이 족압 돌조(4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이 발꿈치 돌출부(42) 및 족압 돌조(43)가 바람직한 족압 중심 경로를 구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족압 중심의 이동을 간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밸런스 돌조(4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족압 돌조(43)의 기단부의 좌우 양측으로서, 밑창 본체(41)의 하면의 폭 방향 양단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밸런스 돌조(44)는 족압 중심의 이동 과정의 초기, 특히 발꿈치 돌출부(42)로부터 족압 돌조(43)로 족압 중심이 이행할 때, 이 족압 중심이 족압 돌조(43)로부터 좌우로 벗어난 경우에 족압 중심을 족압 돌조(43) 측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설치된 돌조이며, 그 돌출량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족압 돌조(43)보다 다소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밸런스 돌조(44)도 그 돌출량이 발꿈치부(F1) 측으로부터 발바닥의 장심부(F2)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설정되며, 이 돌출량의 감소율은 족압 돌조(43)의 감소율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밸런스 돌조(44)와 족압 돌조(43)의 돌출량의 차이는 발끝측을 향하여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돌조(43, 44)의 돌출량의 차이를 발끝측을 향하여 점차 확대시킴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족압 중심을 족압 돌조(43)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 한 쌍의 밸런스 돌조(44)는 좌우 모두 발꿈치 돌출부(42)에 연속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밑창 본체(41)의 좌우 각 옆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그 선단이 모두 발바닥의 장심부(F2)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밸런스 돌조(44)의 폭은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며 족압 돌조(43)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내외의 밸런스 돌조(44)의 선단의 위치는 좌우에서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내측의 밸런스 돌조(44)가 외측의 밸런스 돌조(44)보다 슈즈 길이 방향에 대하여 길게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슈즈(1)를 착용하여 보행한 경우의 X, Y, Z방향(발폭 방향, 발 길이 방향, 연직 방향)의 상반력을 상반력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도 7A 내지 7C에 도시하였다. 또한, 도 7A는 발폭 방향(외측을 양)의 상반력을 나타내고, 도 7B는 발 길이 방향(전방이 양)의 상반력을 나타내고, 도 7C는 연직 방향(상방이 양)의 반력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는 각각 본 실시 형태의 슈즈(1)를 착용하여 보행한 경우의 상반력의 측정 결과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슈즈를 착용하여 보행한 경우, 발꿈치부에 공기 완충 부재가 내장된 소위 에어 쿠션 타입의 슈즈를 착용하여 보행한 경우, 나아가 맨발로 보행한 경우의 측정 결과도 아울러 게재하였다.
이 도 7A의 상반력의 측정 결과에 따르면, 맨발의 경우 및 어느 슈즈를 착용한 경우에도, 족압 중심이 일단 외측으로 흔들리고나서 급격하게 내측으로 흔들려 되돌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본 실시 형태의 슈즈(1)에 따르면, 그 흔들림 폭(Sx)이 다른 경우에 비하여 가장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이 측정 결과로부터 미루어 보면, 본 실시 형태의 슈즈(1)를 착용하여 보행 동작 등 함으로써 족압 중심의 좌우의 흔들림이 작아, 보다 직선적으로 족압 중심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원활하고 신속한 보행 동작 등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흔들림 폭(Sx)이 크면 이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족요의 근육이나 골격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고, 이것이 축적되면 요통 등의 원인이 되며, 나아가 이 흔들림 폭(Sx)이 너무 커지면 염좌나 근육 파열 등을 일으킬 우려도 있으나, 본 실시 형태의 슈즈(1)에 따르면, 흔들림 폭(Sx)을 비교적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족요에 부필요한 힘을 넣어 흔들림을 억제할 필요도 없고, 나아가서는 보행, 주행 동작시의 근육의 움직임이 유연하고 원활하게 행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족요의 골격이나 근육에 주는 부담을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B의 상반력의 측정 결과에 따르면, 어느 경우에도 착지시에 순간적으로 큰 반력이 작용하고, 이지(離地) 시에 반대 방향으로 반력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이지 시의 상반력은 추진력으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이며, 이 반력이 크면 클수록 큰 추진력이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측정 결과로부터 미루어 보면, 본 실시 형태의 슈즈(1)를 착용한 경우의 이지시의 최대 상반력(Sy2)은 맨발과 동일하게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슈즈(1)를 착용한 경우에는 뛰어난 추진력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주목할 것은 착지시의 상반력이다. 즉, 착지시의 상반력은 이지시의 상반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음과 아울러,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그 힘이 크면 상하 이동 동작에 소비되는 힘을 증가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착지시의 상반력은 추진력에 대한 브레이크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착지시의 반력이 크면 클수록 추진력이 감쇄됨과 아울러 이 브레이크력에 기초하여 족요의 골격이나 근육에 과잉한 부담을 주게 된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의 슈즈(1)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최대 상반력(Sy1)은 다른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도 7B의 측정 결과에 따르면, 본 실시 형태의 슈즈(1)를 착용한 경우에는 제동 동작을 가급적 억제하여 추진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켜 원활하고 신속한 보행, 주행 동작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과잉한 브레이크력(제동력)에 기초한 족요의 골격이나 근육에 주는 부담을 매우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장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도 7C의 상반력의 측정 결과에 따르면, 본 실시 형태의 슈즈(1)를 착용한 경우의 최대 상반력(Sz)은 다른 경우와 대략 동일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도 7C의 결과를 도 7A 및 7B의 결과와 아울러 생각하면, 같은 정도의 힘으로 가장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게다가 이 추진력의 발생에 따라 쓸데없는 힘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즉 족요의 골격이나 근육에 주는 영향을 가급적 억제하여 족압 중심의 이동을 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겉창(4) 및 슈즈(1)에 따르면, 밑창 본체(41)의 발꿈치부(F1)의 바닥면에 발꿈치 돌출부(42)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행, 주행 동작에 있어서 먼저 이 발꿈치 돌출부(42)의 착지가 재촉된다. 이 발꿈치 돌출부(42)는 발꿈치부(F1)의 하면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에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꿈치부(F1)의 중앙부에 우선 족압 중심을 작용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족압 돌조(43)가 접지함으로써 족압 중심을 이 족압 돌조(43)에 집중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고, 족압 중심 경로 상에 족압 중심을 모을 수 있다.
따라서, 밑창 본체(41)의 하면에 족압 돌조(43)를 돌출 설치시킨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을 향하는 소정의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안내할 수 있다. 즉, 이 슈즈(1)의 착용자의 습성 등과 무관하게 보행, 주행 동작에 따른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으로 항상 안내할 수 있고, 중심을 내측에 유지시키고자 하는 힘이 적정하게 작용하여 중심의 좌우의 흔들림을 가급적 억제하여 추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시킴과 아울러 자연스럽게 고관절을 사용하여 대퇴를 내선시키고, 또한 불필요하게 근육을 긴장시키지 않고 하지, 발바닥부를 반사적으로 흔들어 나오게 할 수 있으므로 착용함으로써 최적의 보행, 주행 동작을 쉽게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족요의 골격이나 근육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행, 주행 동작의 방법과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원활하고 신속한 보행, 주행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족압 중심을 도 4의 화살표(P)와 같이 이동시킴으로써 발의 양호한 근 활동을 촉구하고, 이 근 활동에 의해 뇌를 자극하여 마비 개선 효과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 도 8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슈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슈즈의 밑창의 하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9는 이 밑창을 외측(도 8에 있어서 좌측)에서 본 경우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 도 11은 도 8의 X-X선, XI-XI선 단면도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슈즈의 밑창(53)은 겉창(54)과 중창(55)을 구비하며, 그 상면에 깔창이 배열 설치되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데, 트레이닝 슈즈로는 밑창(53)이 전체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등 밑창의 구체적 구성에 있 어서 제1 실시 형태의 슈즈와 다르다. 이하, 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슈즈의 밑창(53)을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밑창(3)과 다른 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밑창에 대하여 특기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내지는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밑창(53)은, 발꿈치부(F3)에 있어서, 후술하는 발꿈치 돌출부(92)도 포함하여 13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로 형성됨으로써 트레이닝 슈즈로는 얇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바닥 감각을 보다 맨발에 가까운 상태가 되도록 고안되어 있다.
겉창(54)은 밑창 본체(91)와, 발꿈치 돌출부(92)와, 족압 돌조(93)와, 밸런스 돌조(94)를 구비하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족압 중심을 발꿈치 돌출부(92) 및 족압 돌조(93)를 따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밑창 본체(91)는 발꿈치부(F1)로부터 발바닥의 장심부(F2) 부근에 걸쳐 그 하면이 대략 평평하게 형성되며, 무지구부(F3)로부터 발끝부(F4)에 걸쳐 약간 뒤로 제쳐지도록 형성되어 전방으로 내딛기가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의 밑창(53)도 밑창 본체(91), 발꿈치 돌출부(92), 족압 돌조(93) 및 밸런스 돌조(94)는 일체 형성되어 있는데, 슈즈의 종류나 사양 등에 따라 각부의 색이나 경도 등을 적당히 변경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발꿈치 돌출부(92)는 밑창(53)의 폭 방향 대략 중앙부로 연장되는 족압 돌조(93)에 의해 좌우로 분단되어 있는데, 실질적으로는 족압 돌조(93)의 후단부와 아울러 완충, 족압 중심의 가이드 기능을 발휘한다. 이 발꿈치 돌출부(92)의 밑창 본체(91)로부터의 돌출량은 밑창 본체(91)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되며, 여기서는 밑창 본체(91)의 두께의 1.5∼2.0배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족압 돌조(93)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창(53)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발가락 죽지 주변부에서 밑창 본체(91)로부터의 돌출량이 0이 되도록 형성되며, 그보다 선단측은 디자인 상의 이유에서 밑창 본체(91) 내에 홈을 사이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족압 돌조(93)의 밑창 본체(91)로부터의 돌출량은 상기 돌조(93)의 후단부에 있어서는 발꿈치 돌출부(92)와 동등하게 형성되며, 발바닥의 장심부(F2)의 중앙으로부터 다소 선단 근방의 위치부터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에서 0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족압 돌조(93)의 밑창 본체(91)로부터의 돌출량을 그 선단측에 있어서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족압 돌조(93)에 의한 위화감을 경감하고, 신었을 때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족압 돌조(93)의 선단측의 중심선이 그 후단측의 중심선에 대하여 외측(구두 폭 방향 외측)으로 편심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족압 돌조(93)가 발바닥의 장심부(F)에서 굴곡하는 크랭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이 크랭크 부분에서 족압 돌조(93)의 폭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굵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족압 돌조(93)의 하면에는 소정의 디자인의 홈이 새겨져서 그립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고안이 실시되어 있다.
한편, 밸런스 돌조(94)는 상기 족압 돌조(93)의 좌우 양측에 배열 설치되며, 좌우(슈즈의 외내)에서 길이나 저면시의 기울기 등이 다른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외측의 밸런스 돌조(94a)는 족압 돌조(93)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며, 선단이 발바닥의 장심부(F2)의 중앙부 다소 선단 근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측의 밸런스 돌조(94b)는 선단측을 향하여 밑창 폭 방향 외측(도면에서는 우측)으로 경사져서 뻗어나오며, 선단이 무지구부(F3)의 다소 바로 앞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의 밸런스 돌조(94b)는 외측의 밸런스 돌조(94a)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측의 밸런스 돌조(94a)와 달리 족압 돌조(93)에 대하여 저면시에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내의 밸런스 돌조(94)는 족압 돌조(93)와 마찬가지로라 모두 선단부가 밑창 본체(91)에 대한 돌출량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돌출량의 감소율은 족압 돌조(93)의 감소율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특히 주목할 것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밸런스 돌조(44)의 돌출량이 족압 돌조(93)의 돌출량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밸런스 돌조(44)의 하면이 족압 돌조(43)의 하면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약간 상측으로 퇴입한 위치에 배치되는 데 반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창 본체(91)에 대한 밸런스 돌조(94)의 돌출량이 족압 돌조(93)의 돌출량과 대략 동등하게 형성됨으로써 밸런스 돌조(94)의 하면이 족압 돌조의 하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이와 같이 밸런스 돌조(94)의 하면이 족압 돌조(93)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불안정하여 밸런스를 잃기 쉬운 보행, 주행 동작의 접지 초기에서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접지시킬 수 있고, 밸런스를 조기에 안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어 신었을 때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밸런스 돌조(94) 및 상기 족압 돌조(93)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단면시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슈즈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슈즈를 착용한 경우와 다른 슈즈를 착용한 경우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더니, 다음 표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Figure 112008024926960-pct00001
이 비교 실험에서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신 모두 건강한 남성 7명(평균 신장: 175.4cm, 평균 체중: 72kg, 평균 연령 29.1세)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슈즈(실시품)와 신어 길들어져 있는 슈즈(비교품)의 각각에 대하여 착용하게 하고, 각각 30분간 보행한 경우의 이동 거리를 비교한 것이다. 또한, 이 실험에서는 각 슈즈의 착용 순서, 즉 실시품을 먼저 착용할 것인지 나중에 착용할 것인지는 피험자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피로나 실험 동작의 익숙해짐 등으로 인한 실험 결과의 영향을 최대한 작게 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Figure 112008024926960-pct00002
상기 표 1에 따르면, 모두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슈즈(실시품)를 착용한 경우의 이동 거리가 신어 길들어져 있는 슈즈(비교품)를 착용한 경우의 이동 거리보다 길어진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시품을 착용하여 보행한 경우의 이동 거리의 평균이 2993.3m이었던 데 반해, 비교품을 착용하여 보행한 경우의 이동 거리의 평균이 2761.0m로서, 실시품을 착용하여 보행한 경우의 이동 거리가 평균 232.3m 길어진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와 같이 실시품을 착용한 경우가 비교품을 착용한 경우보다 이동 거리가 길어진 것은, 실시품에 따르면 보행 동작에 따라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을 향하는 소정의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안내받고, 착용자의 습성 등과 무관하게, 착용함으로써 최적의 보행 동작이 촉진되고, 그 결과 안정적으로 원활하고 신속한 보행이 행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다른 실시 형태)
또한, 이상 설명한 겉창 및 이것이 사용된 슈즈는 본 발명에 따른 밑창 및 슈즈의 일 실시 형태로서, 동 밑창 및 슈즈의 구체적 구성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 가능하며, 변형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1)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족압 돌출부가 발꿈치 돌출부(42)로부터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조(43)로서 구성되어 있으나, 이 족압 돌출부는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T) 죽지 주변을 향하여 가이드하는 것이면 그 구체적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밑창의 제3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족압 돌출부 및 밸런스 돌출부의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족압 돌출부가 발꿈치부로부터 제4 발가락(T)을 향하여 연장되는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소정의 간극을 사이에 두고 일렬로 나열된 복수 개의 단위 족압 돌출부(14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위 족압 돌출부(14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저면시 스트립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단위 족압 돌출부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크기가 불균일한 것일 수도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더욱이, 단위 족압 돌출부(143) 사이의 간극은 그 크기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족압 중심을 원활하게 가이드하기 위해서는 단위 족압 돌출부(143)의 길이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밸런스 돌출부(144)가 발꿈치 돌출부(42)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밸런스 돌출부(144)는 밑창 본체(41)의 발바닥의 장심부(F2)의 후단 근방에 소정의 길이에 걸쳐 형성된 길이가 짧은 돌조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밸런스 돌출부(144)는 그 구체적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밑창 본체(41)의 각 옆가장자리에 산재적으로 설치된 저면시 원형상의 단위 돌출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런데, 보행, 주행 동작에 따른 족부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밑창 본체(41)가 만곡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밑창 본체(41)의 변형이 어느 정도 억제되는 데 반해, 이 제3 실시 형태의 밑창에 따르면 족압 돌출부가 그 길이 방향으로 분단되어 있어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 개의 단위 족압 돌출부(143)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족압 돌출부가 밑창 본체(41)의 만곡 변형을 억제하는 정도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원활한 보행, 주행 동작이 가능해지고, 이 슈즈(1)의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의 제4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족압 돌출부의 구체적 형상에 있어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발꿈치부로부터 제4 발가락(T)에까지 연장되는 족압 중심 경로(L)를 따라 다수의 편평한 원주형 단위 족압 돌출부(243)가 산재적으로 설치되며, 이들 단위 족압 돌출부(244)에 의해 족압 돌출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2)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족압 돌조(43)가 동일 폭의 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발꿈치 돌출부(42)로부터 제4 발가락(T)에 걸쳐 점차 폭이 좁아지는 것일 수도 있고, 또한 이 족압 돌조(43)의 폭이 길이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축소되는 것일 수도 있다. 더욱이, 이 족압 돌조(43)의 하면폭이 가급적 좁게 형성됨으로써 폭 방향의 단면시에 있어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3)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족압 돌조(43)의 하면에 스파이크용 핀이 부착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이 스파이크용 핀은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일 수도 있으나,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핀의 마모, 파손에 따라 상기 핀을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발꿈치 돌출부(42), 족압 돌조(43) 및 밸런스 돌조(44)가 밑창 본체(41)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각 돌출부(42, 43, 44)는 밑창 본체(4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각 돌출부(42, 43, 44)가 마모한 경우에 이것을 간단히 교체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족압 돌조(43)의 선단이 제4 발가락(T) 죽지보다 약간 발꿈치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그 선단은 이 제4 발가락(T) 죽지 및 이 족압 돌조(43)의 폭이 제4 발가락에 걸쳐지는 정도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족압 돌조(43)에 대하여 그 선단이 제4 발가락 죽지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제4 발가락의 선단에 이르도록 더 뻗어나오게 할 수도 있다. 허리는 족압 돌조가 적어도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에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단,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족압 돌조(43)의 선단이 제4 발가락(T) 죽지 주변에 위치함으로써 족압 중심을 제4 발가락(T) 측으로부터 무지구 측으로 이동시키기가 쉬워져 보다 원활하고 신속한 보행, 주행 동작이 가능해진다.
(6)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밸런스 돌조(44)는 발꿈치 돌출부(42)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그 선단이 발바닥의 장심부(F2)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밸런스 돌조는 발꿈치 돌출부(42)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또한 그 선단이 발바닥의 장심부(F2)의 선단 또는 무지구부(F3)의 소정 위치에 이른 것일 수도 있다.
(7)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족압 안내부로서 족압 돌출부(족압 돌조(43))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족압 안내부는 반드시 밑창 본체(41)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즉, 겉창에 있어서 족압 중심 경로를 따른 부분을 그 이외의 부분보다 경질로 형성된 경질 경로부를 구성함으로써 이 경질 경로부를 따라 족압 중심을 가이드시킬 수 있다.
단, 상기 각 실시 형태와 같이 족압 안내부를 족압 돌출부로서 구성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고 원활하게 족압 중심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겉창(4, 54)이 슈즈(1)의 바닥면 형상과 동등하게 형성되고, 이 겉창(4, 54)에 족압 돌조(43, 93)나 발꿈치 돌출부(42, 92) 등이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겉창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겉창이 발꿈치 돌출부, 족압 돌조 및 밸런스 돌조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겉창이 중창의 하면에 서로 중첩됨으로써 중창의 하면에 대하여 발꿈치 돌출부, 족압 돌조 및 밸런스 돌조가 돌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이들 각 돌출부가 밑창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밑창 본체는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겉창에 한정되지 않으며, 겉창과 중창을 조합하여 밑창 본체를 구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안창을 밑창 본체로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안창에 족압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족압이 상기 족압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집중하므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밑창 본체는 겉창(4, 54)에 구비된 밑창 본체(41, 91)로서 설명하였으나, 겉창(4, 54)에 구비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중창 또는 깔창에 구비된 밑창 본체일 수도 있다. 즉, 족압 돌조 등의 족압 안내부는 겉창에만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이 구성 대신 중창 또는 깔창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특히, 족압 돌조가 깔창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족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밑창 본체와, 이 밑창 본체의 하면에 형성된 광역 돌출부, 족압 돌조 및 밸런스 돌조를 구비한 깔창을 형성하고, 이 깔창을 중창 상에 적층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9)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밑창 본체(41, 91)의 선단부가 약간 상방으로 제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밑창 본체는 전체 길이에 걸쳐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10) 또한, 상기하였으나, 광역 돌출부는 발꿈치 돌출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발바닥의 장심부(F2)에까지 넓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단,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구성하면, 두께를 얇게 하는 효과에 의해 슈즈를 가볍게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변형되기 쉽고 신었을 때의 착용감이 뛰어난 것이 된다.
(11)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모두 발꿈치 돌출부 등의 광역 돌출부가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광역 돌출부는 적당히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족압 돌출부에 의해 족압 중심이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으로 유도된다.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의 정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은, 신발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밑창 본체와, 이 밑창 본체에 설치되며, 보행·주행에 따라 이동하는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 중심인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을 향하는 소정의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는 족압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밑창 본체에 상기 족압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행, 주행 동작에 따라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을 향하는 소정의 바람직한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안내할 수 있다. 즉, 이 밑창을 구비한 신발의 착용자의 습성 등과 무관하게 보행, 주행 동작에 따른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으로 안내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고관절을 사용하여 대퇴를 내선시킴과 아울러 불필요하게 근육을 긴장시키지 않고 하지, 발바닥부를 반사적으로 흔들어 나오게 할 수 있으므로 착용함으로써 최적의 보행, 주행 동작을 쉽게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족요의 골격이나 근육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행, 주행 동작의 습성과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원활하고 신속한 보행, 주행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족압 중심을 도 4의 화살표(P)와 같이 이동시킴으로써 발의 양호한 근 활동을 촉구하고, 이 근 활동에 의해 뇌를 자극하여 마비 개선 효과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족압 안내부는 이 밑창을 구비한 신발의 착용자의 발바닥과 지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면 그 구체적 배열 설치 부위를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대 상기 밑창 본체의 상면측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으나, 상기 족압 안내부를 접지면 측에 배열 설치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밑창 본체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 범위 2).
상기 족압 안내부는 족압이 상기 족압 중심 경로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것, 예컨대 족압 중심 경로를 구성하는 소재가 그 주위를 구성하는 소재보다 상대적으로 경질로 형성됨으로써 족압 중심 경로 상에 족압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족압 안내부는 상기 밑창 본체의 적어도 발꿈치부의 하면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에 돌출 설치된 광역 돌출부와, 이 광역 돌출부로부터 상기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상기 밑창 본체에 돌출 설치된 족압 돌출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 범위 3).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밑창 본체의 발꿈치부의 바닥면에 광역 돌출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행, 주행 동작에 있어서 우선 이 광역 돌출부가 착지하는 것이 촉진된다. 이 광역 돌출부는 발꿈치부의 하면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에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꿈치부에 우선 족압 중심을 작용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족압 돌출부가 접지함으로써 족압을 이 족압 돌출부에 집중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고, 족압 중심 경로 상에 족압을 모을 수 있다. 따라서, 밑창 본체의 하면에 족압 돌출부를 돌출 설치시킨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족압 안내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족압 돌출부는 광역 돌출부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을 향하는 족압 중심 경로 상에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을 향하여 족압 중심이 이동한 후, 무지구 및 제1 발가락(엄지 손가락)으로 빠져나오는 보행, 주행 동작이 가능해지고, 상기 보행, 주행 동작을 하면, 골반과 고관절의 합리적 골 구조를 사용하여 대퇴 및 하지를 내선시키고, 족요의 골격이나 근육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으며, 족요의 고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발가락 죽지 주변부는 밑창 폭 방향보다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퍼짐을 가지며, 발꿈치측은 제4 발가락 죽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약간 발꿈치 근방의 위치(예컨대 무지구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도 있고, 한편 발끝측은 제4 발가락의 선단부 부근에 대응하는 위치도 포함된다.
여기서, 이 족압 돌출부(족압 안내부)의 선단이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의 발가락부에 위치되어 있는 것은 무게 중심 이동을 안정시키기 위함이다. 즉, 족압 돌출부의 선단이 제4 발가락 죽지 주변보다 더 외측(예컨대 제5 발가락보다 외측)에 배열 설치시키도록 하면 몸을 내측으로 넘어뜨리고자 하는 힘이 조기에 과도하게 작용하여, 족관절, 무릎 관절을 외반하여 외반력으로 대표되는, 발가락, 족관절 등의 관절부에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또한 족압 돌출부의 선단이 제4 발가락 죽지 주변보다 내측(예컨대 제2 손가락 주변의 발가락부)에 배열 설치되도록 하면, 몸을 외측으로 넘어뜨리고자 하는 힘이 크게 작용하여, 오히려 무게 중심이 좌우로 흔들리게 되어 안정되지 않게 됨과 아울러 상기 관절부에의 스트레스와는 상반적인 스트레스가 관절부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족압 돌출부의 선단을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의 발가락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무게 중심 이동을 안정시킴과 아울러 관절부에의 스트레스를 경감 또는 없애는 데 필요해진다.
이 경우, 상기 족압 돌출부는 광역 돌출부로부터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일 수도 있고(청구 범위 4), 상기 족압 돌출부는 족압 중심 경로 내에 배열 설치된 복수 개의 단위 돌출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청구 범위 7).
전자와 같이 구성하면, 족압 돌출부의 변형을 가급적 억제하여 해당 족압 돌출부를 따라 족압 중심을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고, 족압 중심의 이동 궤적을 보다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후자와 같이 구성하면 보행, 주행 동작에 따라 밑창 본체를 비교적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고, 이 밑창을 구비한 신발의 장착감이 양호해진다.
이 경우, 상기 족압 돌출부는 그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에 걸쳐 점차 폭이 축소되도록 형성하거나, 단계적으로 폭을 축소하여 형성하는 것일 수도 있는데, 상기 족압 돌출부의 폭은 광역 돌출부의 폭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청구 범위 5), 또한 상기 족압 돌출부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동일 폭의 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 범위 6).
이와 같이 구성하면, 족압 중심을 이 족압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확실하고 적정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좌우의 중심의 흔들림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밑창 본체, 광역 돌출부 및 족압 돌출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청구 범위 8), 상기 광역 돌출부 및 족압 돌출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밑창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청구 범위 9).
전자의 구성에 따르면, 밑창 본체로부터의 광역 돌출부 및 족압 돌출부의 예기치 않은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후자의 구성에 따르면, 사용에 따라 마모한 광역 돌출부나 족압 돌출부를 교체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족압 돌출부는 광역 돌출부의 폭 방향 단부로부터 뻗어나와 있는 것일 수도 있는데, 상기 족압 돌출부는 광역 돌출부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뻗어나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 범위 10).
이와 같이 구성하면, 광역 돌출부로부터 족압 돌출부에의 족압 중심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족압 돌출부는 밑창 본체로부터의 돌출량이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는데, 밑창 본체로부터의 돌출량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에 걸쳐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 범위 11).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후 방향으로 무게 중심을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보행, 주행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역 돌출부는 밑창 본체의 발꿈치부에 대응하여 돌출 설치된 발꿈치 돌출부와, 상기 족압 돌출부의 폭 방향 양측의 밑창 본체의 바닥면에 돌출 설치되어, 접지함으로써 폭 방향의 기울기를 억제하는 밸런스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 범위 12).
즉, 어떤 일정한 속도로 보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이 돌출부 및 족압 돌출부를 따라 족압 중심을 원활하고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는데, 정지시 및 소정의 속도 이하의 보행시 등에는 밸런스를 잃기 쉽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족압 중심을 해당 족압 중심 경로로 되돌리기 위한 밸런스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저속 보행시 등에 있어서도 최적의 보행 동작 등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 밸런스 돌출부는 비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으나, 상기 밸런스 돌출부는 발꿈치 돌출부로부터 소정의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 범위 13).
이와 같이 구성하면, 비교적 밸런스를 잃기 쉬운 접지 초기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족압 중심의 이동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밸런스 돌출부의 하면이 상기 족압 돌출부의 하면과 대략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 범위 14).
즉, 보행, 주행 동작에서의 접지 초기에서는 비교적 불안정하여 밸런스를 잃기 쉬우므로, 밸런스 돌출부와 족압 돌출부의 두 하면이 모두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으면, 밑창의 접지 초기에 있어서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접지시킬 수 있고, 밸런스를 조기에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족압 돌출부가 먼저 접지하여 상기 족압 돌출부에 적극적으로 족압을 집중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밸런스 돌출부는 밑창 본체로부터의 돌출량이 상기 족압 돌출부의 돌출량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청구 범위 1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청구 범위 1 내지 청구 범위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밑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밑창 및 신발에 따르면, 보행, 주행 동작에 따라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을 향하는 소정의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안내할 수 있다. 즉, 이 밑창을 구비한 신발의 착용자의 습성 등과 무관하게 보행, 주행 동작에 따른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으로 안내할 수 있고, 착용하는 것만으로 최적의 보행, 주행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족요의 골격이나 근육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행, 주행 동작의 방법과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원활하고 신속한 보행, 주행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을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최적의 보행, 주행을 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족요의 골격, 근육에 작용하는 부담을 가급적 경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원활하고 신속한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6)

  1. 신발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밑창 본체와,
    상기 밑창 본체에 설치되며, 보행·주행에 따라 이동하는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 중심인 족압 중심을 발꿈치로부터 제4 발가락 죽지 주변을 향하는 소정의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는 족압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족압 안내부는 상기 밑창 본체의 하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족압 안내부는 상기 밑창 본체의 적어도 발꿈치부의 하면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에 돌출 설치된 광역 돌출부와, 상기 광역 돌출부로부터 상기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상기 밑창 본체에 돌출 설치된 족압 돌출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족압 돌출부는 상기 광역 돌출부로부터 족압 중심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족압 돌출부의 폭은 상기 광역 돌출부의 폭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족압 돌출부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동일 폭의 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족압 돌출부는 족압 중심 경로 내에 배열 설치된 복수 개의 단위 돌출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본체, 광역 돌출부 및 족압 돌출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역 돌출부 및 족압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밑창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족압 돌출부는 광역 돌출부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뻗어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족압 돌출부는 밑창 본체로부터의 돌출량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에 걸쳐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역 돌출부는 밑창 본체의 발꿈치부에 대응하여 돌출 설치된 발꿈치 돌출부와, 상기 족압 돌출부의 폭 방향 양측의 밑창 본체의 바닥면에 돌출 설치되어 접지됨으로써 폭 방향의 기울기를 억제하는 밸런스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돌출부는 발꿈치 돌출부로부터 소정의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족압 돌출부의 하면과 대략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돌출부는 밑창 본체로부터의 돌출량이 상기 족압 돌출부의 돌출량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밑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087008345A 2006-01-26 2007-01-10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0966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17396 2006-01-26
JP2006017396 2006-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469A KR20080063469A (ko) 2008-07-04
KR100966709B1 true KR100966709B1 (ko) 2010-06-29

Family

ID=3830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345A KR100966709B1 (ko) 2006-01-26 2007-01-10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27467B2 (ko)
EP (1) EP1941808B1 (ko)
JP (1) JP4590455B2 (ko)
KR (1) KR100966709B1 (ko)
CN (1) CN101351132B (ko)
WO (1) WO20070862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994B1 (ko) * 2022-03-21 2023-01-12 주식회사 엑스바디 충격흡수 층 구조가 형성된 신발 밑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16038U1 (de) * 2006-10-19 2007-01-04 Orthotech Beratungs- und Vertriebsgesellschaft mbH für orthopädietechnischen Bedarf Balancierschuh
DE102009010360B4 (de) * 2009-02-25 2017-11-09 Universität Duisburg-Essen Sohle für einen Schuh und Schuh
WO2010111262A1 (en) * 2009-03-23 2010-09-30 New Balance Athletic Shoe, Inc. Shoe sole for increasing instability
KR101226345B1 (ko) * 2009-12-10 2013-01-24 권경애 기능성 신발창
EP2547226B1 (de) * 2010-03-19 2017-05-24 Universität Duisburg-Essen Sohle für einen schuh und schuh
JP5743517B2 (ja) * 2010-12-10 2015-07-01 有限会社Opti バランス訓練用履物
US8707586B2 (en) * 2011-03-08 2014-04-29 Admark Athletic Ventures Athletic shoe with athletic positioning cleat pattern
US8938893B2 (en) * 2011-03-08 2015-01-27 Athalonz, Llc Athletic positioning apparatus and applications thereof
DK2768336T3 (da) * 2011-10-20 2019-05-27 Gvb Shoetech Ag Skosål til gang korrektion eller forebyggelse
ITPD20120079A1 (it) * 2012-03-13 2013-09-14 Alberto Del Biondi S P A Struttura di suola per calzature e calzatura comprendente tale struttura di suola
JP5993016B2 (ja) * 2012-07-04 2016-09-14 トビアス・シューマッハSCHUMACHER, Tobias 歩行修正または歩行保存のための靴底
CN106579651B (zh) * 2012-07-26 2018-06-26 内田贩卖系统有限会社 鞋片和鞋
EP2916676A1 (en) * 2012-11-08 2015-09-16 GVB Shoetech AG Sole for pronation control
GB2524840B (en) * 2014-04-04 2017-05-24 Richard Parker Andrew Sole of an item of footwear
TWI650085B (zh) * 2018-04-11 2019-02-11 涂旭東 鞋底
JP7082402B2 (ja) * 2018-06-08 2022-06-08 学校法人加計学園 足裏装着具及びそ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方法
JP7466241B1 (ja) 2023-03-14 2024-04-12 株式会社Atn1 中敷き及び履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1295A1 (en) * 1995-06-26 1997-01-16 Frampton Erroll Ellis, Iii Shoe sole structures
US20020157279A1 (en) 2001-04-27 2002-10-31 Yoshikazu Matsuura Walking shoes for the aged
JP2003093108A (ja) 2001-09-20 2003-04-02 Please:Kk 既製靴における中底部用のベースパット部片と、中底部の改造構造及び該中底部構造の改造方法
US6920707B1 (en) 2002-05-14 2005-07-26 Nike, Inc. System for modifying properties of an article of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4989A (en) * 1934-12-18 Pedal attachment for dancing
US1253639A (en) * 1916-06-19 1918-01-15 William N Dorsett Combined molded arch-support and shoe-sole.
GB234632A (en) * 1924-05-23 1925-06-04 George Arthur Cummings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the treads of boots and shoes
US2139263A (en) * 1938-02-26 1938-12-06 Carl F Fay Foot-treatment device
US2650438A (en) * 1951-01-31 1953-09-01 Goodrich Co B F Corrective footwear
US3100354A (en) * 1962-12-13 1963-08-13 Lombard Herman Resilient shoe sole
US3958578A (en) * 1971-07-23 1976-05-25 Tennant Ross A Anti-pronating device
US4111414A (en) * 1976-10-12 1978-09-05 Roberts Edward A Exercising device for assisting a person to perform pullups
US4846458A (en) * 1987-08-06 1989-07-11 Tri-Tech, Inc. Upper body exercise apparatus
US5011139A (en) * 1990-03-09 1991-04-30 Lumex, Inc. Assisted dip/chin exercise device
US5372556A (en) * 1993-06-23 1994-12-13 Ropp; John D. Pull-up and dip exercise device
US5554083A (en) * 1995-03-22 1996-09-10 Chen; James Multipurpose exercise machine having an arm drilling device
WO2002058498A1 (en) 2001-01-24 2002-08-01 Gordon Graham Hay Shoe sole with foot guidance
US6578290B1 (en) * 2001-10-17 2003-06-17 Meynard Designs, Inc. Shoe sole
US20030154628A1 (en) * 2002-02-15 2003-08-21 Kaj Gyr Dynamic canting and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DE10212862C1 (de) * 2002-03-22 2003-10-30 Adidas Int Marketing Bv Schuhsohle und Schuh
JP2005185306A (ja) 2003-12-24 2005-07-14 Mizuno Corp シューズのシャンク構造
US20070062065A1 (en) * 2005-09-21 2007-03-22 Sunrise Shoes And Pedorthic Service Shoe sole with energy return plate
CA2579236A1 (en) * 2006-02-17 2007-08-17 Andre Gilmore First metatarsal head lift orthotic
DE202006016038U1 (de) * 2006-10-19 2007-01-04 Orthotech Beratungs- und Vertriebsgesellschaft mbH für orthopädietechnischen Bedarf Balancierschu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1295A1 (en) * 1995-06-26 1997-01-16 Frampton Erroll Ellis, Iii Shoe sole structures
US20020157279A1 (en) 2001-04-27 2002-10-31 Yoshikazu Matsuura Walking shoes for the aged
JP2003093108A (ja) 2001-09-20 2003-04-02 Please:Kk 既製靴における中底部用のベースパット部片と、中底部の改造構造及び該中底部構造の改造方法
US6920707B1 (en) 2002-05-14 2005-07-26 Nike, Inc. System for modifying properties of an article of footwe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994B1 (ko) * 2022-03-21 2023-01-12 주식회사 엑스바디 충격흡수 층 구조가 형성된 신발 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1808B1 (en) 2012-09-12
JP4590455B2 (ja) 2010-12-01
CN101351132A (zh) 2009-01-21
CN101351132B (zh) 2012-02-29
EP1941808A1 (en) 2008-07-09
WO2007086251A1 (ja) 2007-08-02
JPWO2007086251A1 (ja) 2009-06-18
KR20080063469A (ko) 2008-07-04
US20090293307A1 (en) 2009-12-03
EP1941808A4 (en) 2008-09-10
US8127467B2 (en)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709B1 (ko)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US20110252665A1 (en) Soft and elastic shoe pad
US20160219970A1 (en) Triathlon Insole
WO2004100693A1 (en) Cantilevered shoe construction
US20120124860A1 (en) Training sandal and method of use
JP5374765B2 (ja) 靴底
US20040221487A1 (en) Shoe construction
KR101898076B1 (ko) 신발 아웃솔
KR100798868B1 (ko) 건강 신발
JP5815172B2 (ja) 履物用中底又はインソ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る歩行用履物又はスニーカー
JP4933150B2 (ja) 高さのあるヒールを備えた婦人靴の中底体
JP4592429B2 (ja) 履物の本底及び履物
KR101032640B1 (ko) 편심중량 밑창을 갖는 하지정렬교정 및 다이어트 겸용 신발
JP6721995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KR102120136B1 (ko) 앞굽이 높은 신발 밑창 및 신발
JP7062234B1 (ja) 靴底
JP2005081030A (ja) 歩行矯正用履物、および該歩行矯正用履物を構成する装着底部材セット
JP4486069B2 (ja)
JP7217846B2 (ja) 靴用インソール
KR100984270B1 (ko) 전방이나 내측 또는 외측이 무거운 셀프워킹형 다이어트신발
JP6868513B2 (ja) 靴底、及び該靴底を備える靴
KR20240021556A (ko)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JP2024070529A (ja) 歩行矯正姿勢改善具
JPH0898701A (ja) 変形性膝関節症患者用の履物
JP202000612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