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943B1 -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943B1
KR100964943B1 KR1020100005230A KR20100005230A KR100964943B1 KR 100964943 B1 KR100964943 B1 KR 100964943B1 KR 1020100005230 A KR1020100005230 A KR 1020100005230A KR 20100005230 A KR20100005230 A KR 20100005230A KR 100964943 B1 KR100964943 B1 KR 100964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x
anchor
billboard
hanger devic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리스
남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리스, 남기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리스
Priority to KR102010000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7Brackets to grip the sign boar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91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modul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부품수가 적어 광고간판의 설치가 용이 간단하고, 앵커 작업이 필요 없어 설치 시공이 편리하며, 광고간판 이외에는 어떠한 돌출물도 없게 하여 광고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전면이 개방되고 외면에 고정용 앵커가 형성되며, 내면에 위치안내수단이 형성된 앵커박스와, 상기 앵커박스의 전면을 커버하는 앵커박스커버 또는 광고간판을 상기 위치안내수단에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광고간판에서 고정부재만 체결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벽체에 별도의 앵커 작업이 필요 없어져 작업이 간단하고 벽체의 손상이 없으며, 광고간판 설치 후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외관이 깨끗하여 미관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Hanger device for advertisement signboard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고간판을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앵커 작업이 필요 없고, 행거장치가 돌출되지 않아 벽체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한 건물에 여러 개의 광고간판들을 일렬로 정렬시킬 수 있는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사명, 상점명, 상품 또는 서비스영업 종목 따위를 표시하기 위해 상가나 회사 등의 건물에는 광고를 하기 위한 표지물로서 광고간판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간판은 지나는 행인의 주의를 끌기 위해 건물의 외벽 등에 내건 표지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광고수단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광고간판의 경우 설치 및 분리가 빈번하여도 건물이 손상되지 않아야 하며, 한 건물의 전체 간판들이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함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0879147호(명칭: 광고용 간판)가 개시되어 있다. 위 선행기술의 경우 벽체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채널을 고정 설치하고, 채널의 상면에 L자형 타공판을 설치하고, 타공판에 광고간판을 볼트로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광고간판을 벽체에 설치하기 위해 다수의 조립부품이 필요하고, 벽체에 앵커 볼트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앵커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광고간판 이외에 벽체로부터 채널이 돌출 설치되어 돌출 간판의 외관이나 광고이미지를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시공시 앵커박스와 함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시공후 간판설치를 위한 별도의 앵커작업 또는 볼팅 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는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된 건물에 광고간판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앵커박스커버만 제거하면 광고간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간판들이 일정하게 배열될 수 있으면서 광고간판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에는 앵커박스커버가 커버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도시미관이 향상될 수 있는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전면이 개방되고 외면에 고정용 앵커가 형성되며, 내면에 위치안내수단이 형성된 앵커박스와, 상기 앵커박스의 전면을 커버하는 앵커박스커버 또는 광고간판을 상기 위치안내수단에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위치안내수단에 위치가 조절되면서 지지되도록 숫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몸체, 상기 나사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는 복수개의 면을 갖는 헤드로 구성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나사몸체와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안내수단은 상기 앵커박스의 내벽에 양단은 접촉되어 고정되고 중앙부분은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방형의 안내브래킷과, 상기 안내브래킷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에서 좌우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장방형의 안내홀과, 상기 안내홀에 안내되는 상기 결속수단의 일단을 고정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안내홀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장방형의 고정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간판과 결합되어 상기 앵커박스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광고간판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걸림브래킷과, 상기 걸림브래킷의 하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의 끝단 하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박스의 입구바닥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입구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설치방법은 전면이 개방되고, 외측면에 고정용 앵커가 형성되며, 내벽에 위치안내수단이 형성된 앵커박스를 준비하는 단계와, 건물의 시공을 위해 철근의 배근 및 결속시 상기 앵커박스를 상기 철근들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건물이 시공된 후 상기 앵커박스에 결속수단으로 앵커박스커버를 상기 위치안내수단에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박스커버를 제거하고 상기 앵커박스에 상기 결속수단으로 광고간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건물의 시공시 앵커박스와 함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시공후 간판설치를 위한 별도의 앵커작업 또는 볼팅 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된 건물에 광고간판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앵커박스커버만 제거하면 광고간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간판들이 일정하게 배열될 수 있으면서 광고간판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에는 앵커박스커버가 커버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도시미관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건물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건물에 광고간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광고간판이 배열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광고간판이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기 전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보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앵커박스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앵커박스에 앵커박스커버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앵커박스에 광고간판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건물(1)의 전면에서 층과 층 사이에 본 발명의 앵커박스(10)가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건물(1)의 전면에 앵커박스(10)를 이용하여 서로 크기가 다른 광고간판(3)들이 적절하게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는 전면이 개방되고 외면에 고정용 앵커(13)가 형성되며, 내면에 위치안내수단(80)이 형성된 앵커박스(10)와, 상기 앵커박스(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앵커박스커버(15) 또는 광고간판(3)을 상기 위치안내수단(8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6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본체(11)의 전면에 앵커박스커버(15)가 결속수단(60)에 의해 커버된 상태이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광고간판(3)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일 때 박스본체(11)의 내부를 커버하여 이물질 등이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되면 구조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결속수단(60)은 나사결합 되는 볼트부재(61)와 너트부재(6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본체(11)의 내부에 위치안내수단(80)을 설치한 상태에서 볼트부재(61)와 너트부재(63)를 이용하여 걸림부재(90)와 앵커박스커버(15)를 박스본체(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걸림부재(90)는 박스본체(11)의 내부에 수용되고, 앵커박스커버(15)는 박스본체(11)의 전면에 커버된다. 따라서, 광고간판(3)이 설치되지 않는 때는 걸림부재(90)가 앵커박스커버(15)의 내부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박스본체(11)는 철재로 제작될 수 있고, 앵커박스커버(15)는 철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앵커박스커버(15)의 외측에 위치되는 너트부재(63)에 캡(16)이 씌워질 수 있다. 그러면, 너트부재(63)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공기 및 습기에 의해 부식되지 않으면서 보호될 수 있다. 이때, 캡(16)은 동물, 식물 등의 특정형상이 형성되어 미관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박스본체(11)의 하부에는 걸림부재(90)가 걸리도록 입구턱(97)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앵커(13)는 박스본체(11)의 외측에 형성되되, 박스본체(11)에서 전면을 제외한 상하좌우측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되어 거푸집의 내측에 배근되는 철근(B)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용 앵커(13)는 철근(B)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박스본체(11)는 고정용 앵커(13)들에 의해 철근(B)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앵커박스(10)는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제작된다. 이때 고정용 앵커(13)의 형태는 도면에 예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돌출 또는 함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박스본체(11)의 내측에는 광고간판(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콘센트(C)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기콘센트(C)는 박스본체(11)의 어느 한 벽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박스본체(11)의 내측에는 광고간판(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콘센트(C)가 박스본체(11)의 어느 한 벽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안내수단(80)은 상기 앵커박스(10)의 내벽에 양단(81a)은 접촉되어 고정되고 중앙부분(81b)은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방형의 안내브래킷(81)이 마련되고, 상기 안내브래킷(81)의 중앙부분(81b)에서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결속수단(60)이 삽입되는 삽입홀(8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83)에서 좌우로 길게 연장되게 장방형의 안내홀(85)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홀(85)에 안내되는 상기 결속수단(60)의 일단을 고정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안내홀(85)의 후면에서 상하부에 각각 장방형의 고정스토퍼(87)가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홀(83)은 볼트부재(61)의 헤드가 통과될 수 있는 직경으로 제작되고, 안내홀(85)은 볼트부재(61)의 헤드보다 작고 볼트부재(61)의 나사몸체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스토퍼(87)는 육각형상의 헤드(61b)의 대칭되는 면의 직경보다는 넓고, 육각형상의 헤드(61b)의 대칭되는 모서리의 직경보다는 좁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육각형상의 헤드(61b)가 고정스토퍼(87)들의 사이에 회진되지 않으면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볼트부재(61)와 너트부재(63)를 최소한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볼트부재(61)의 헤드(61b)를 삽입시킨다. 이어서, 볼트부재(61)를 안내홀(85)을 따라 이동시켜 적정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때, 볼트부재(61)인 나사몸체(61a)를 광고간판(3)의 관통홀(3a)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너트부재(63)를 결합시키면 광고간판(3)은 적정위치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재(90)가 앵커박스(10)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앵커박스(10)에 걸리게 되므로, 광고간판(3)과 앵커박스(10)의 결합은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고간판(3)과 결합되어 상기 박스본체(11)에 걸리는 걸림부재(9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90)는 광고간판(3)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걸림브래킷(91)과, 상기 걸림브래킷(91)의 하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9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브래킷(91)을 광고간판(3)의 후면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걸림턱(93)을 박스본체(11)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걸림턱(93)이 박스본체(11)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즉, 광고간판(3)의 후면에 걸림부재(90)가 설치된 상태에서 광고간판(3)이 앵커박스(10)에 결합되면, 광고간판(3)의 하중이 걸림부재(90)를 통해 앵커박스(10)의 저부에 전달되면서 건물(1)에 전달되므로, 광고간판(3)은 건물(1)에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걸림브래킷(91)과 광고간판(3)의 후면에는 고정부재(30)가 삽입되는 관통홀(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93)의 끝단 하부에는 걸림돌기(95)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본체(11)의 입구바닥에 상기 걸림돌기(95)와 대응되는 입구턱(9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걸림돌기(95)와 입구턱(97)은 서로 같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걸림턱(93)이 박스본체(11)의 내측에 걸리게 될 때, 걸림돌기(95)와 입구턱(97)이 교차되어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걸림턱(93)은 수평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재(90)가 결합된 광고간판(3)은 수직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걸림턱(93)을 박스본체(1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걸림돌기(95)가 입구턱(97)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95)가 입구턱(97)에 걸린 상태에서 작업자는 광고간판(3)의 하중을 지지하는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방법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설치방법은 도 7에서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고, 외측면에 고정용 앵커(13)가 형성되며, 내벽에 위치안내수단(80)이 형성된 앵커박스(10)를 준비한다(S1). 이와 같이, 준비된 앵커박스(10)를 건물(1)의 시공을 위해 철근(B)의 배근 및 결속시 상기 철근(B)들 사이에 설치한다(S2), 그리고,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상기 건물(1)이 시공된 후 상기 앵커박스(10)에 결속수단(60)으로 앵커박스커버(15)를 상기 위치안내수단(80)에 결속한다. 그러면, 앵커박스(10)는 앵커박스커버(15)에 의해 내부는 보호될 수 있다(S3). 이때, 상기 앵커박스커버(15)를 제거하고 상기 앵커박스(10)에 상기 결속수단(60)으로 광고간판(3)을 설치한다(S4). 이와 같이, 앵커박스(10)에 광고간판(3)을 설치할 수 있고, 광고간판(3)을 설치하지 않을 때는 앵커박스커버(15)로 앵커박스(10)를 커버하여 앵커박스(10)의 내부를 보호할 수도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와 같은 설치방법에 의해 고정용 앵커(13)가 철근(B)과 고정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1)을 시공하면 고정용 앵커(13)가 건물(1)에 설치되되, 건물(1)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된다.
도 9에서와 같이, 건물(1)의 전면에 광고간판(3)이 설치되지 않는 때는 앵커박스(10)의 전면에 앵커박스커버(15)가 커버되어 앵커박스(10)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앵커박스커버(15)에 의해 앵커박스(10)에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앵커박스커버(15)를 제거한 상태에서 광고간판(3)을 앵커박스(10)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간판(3)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광고간판(3)을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앵커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광고간판(3)의 설치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건물(1)에 앵커작업 및 볼팅작업을 하지 않으므로 건물(1) 벽체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앵커박스
60 : 결속수단
80 : 위치안내수단
90 : 걸림부재

Claims (7)

  1. 전면이 개방되고 외면에 고정용 앵커(13)가 형성되며, 내면에 위치안내수단(80)이 형성된 앵커박스(10)와,
    상기 앵커박스(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앵커박스커버(15) 또는 광고간판(3)을 상기 위치안내수단(8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60)은
    상기 위치안내수단(80)에 위치가 조절되면서 지지되도록 숫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몸체(61a), 상기 나사몸체(61a)의 일단에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는 복수개의 면을 갖는 헤드(61b)로 구성되는 볼트부재(61)와,
    상기 나사몸체(61a)와 결합되는 너트부재(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안내수단(80)은
    상기 앵커박스(10)의 내벽에 양단(81a)은 접촉되어 고정되고 중앙부분(81b)은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방형의 안내브래킷(81)과,
    상기 안내브래킷(81)의 중앙부분(81b)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수단(60)이 삽입되는 삽입홀(83)과,
    상기 삽입홀(83)에서 좌우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장방형의 안내홀(85)과,
    상기 안내홀(85)에 안내되는 상기 결속수단(60)의 일단을 고정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안내홀(85)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장방형의 고정스토퍼(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간판(3)과 결합되어 상기 앵커박스(10)의 내측에 걸리는 걸림부재(9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90)는
    상기 광고간판(3)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걸림브래킷(91)과,
    상기 걸림브래킷(91)의 하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9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93)의 끝단 하부에는 걸림돌기(95)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박스(10)의 입구바닥에는 상기 걸림돌기(95)와 대응되는 입구턱(9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6. 전면이 개방되고, 외측면에 고정용 앵커(13)가 형성되며, 내벽에 위치안내수단(80)이 형성된 앵커박스(10)를 준비하는 단계(S1)와,
    건물(1)의 시공을 위해 철근(B)의 배근 및 결속시 상기 앵커박스(10)를 상기 철근(B)들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S2)와,
    상기 건물(1)이 시공된 후 상기 앵커박스(10)에 결속수단(60)으로 앵커박스커버(15)를 상기 위치안내수단(80)에 결속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의 설치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박스커버(15)를 제거하고 상기 앵커박스(10)에 상기 결속수단(60)으로 광고간판(3)을 설치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의 설치방법.
KR1020100005230A 2010-01-20 2010-01-20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0964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230A KR100964943B1 (ko) 2010-01-20 2010-01-20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230A KR100964943B1 (ko) 2010-01-20 2010-01-20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943B1 true KR100964943B1 (ko) 2010-06-21

Family

ID=4237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230A KR100964943B1 (ko) 2010-01-20 2010-01-20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5670A (zh) * 2014-11-07 2015-06-10 上海欧墅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水泥装饰板金属挂件的设置及安装上墙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331Y1 (ko) 2004-11-01 2005-01-29 김재월 광고용 간판의 벽체고정을 위한 설치부재
KR100649663B1 (ko) 2005-03-28 2006-11-27 (주)설이기획 옥외 광고물 설치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331Y1 (ko) 2004-11-01 2005-01-29 김재월 광고용 간판의 벽체고정을 위한 설치부재
KR100649663B1 (ko) 2005-03-28 2006-11-27 (주)설이기획 옥외 광고물 설치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5670A (zh) * 2014-11-07 2015-06-10 上海欧墅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水泥装饰板金属挂件的设置及安装上墙的方法
CN104695670B (zh) * 2014-11-07 2017-04-19 上海欧墅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水泥装饰板金属挂件的设置及安装上墙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663B1 (ko) 옥외 광고물 설치 구조체
KR100751226B1 (ko) 엘이디 전광판
KR100964943B1 (ko) 광고간판 거치용 행거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066168B1 (ko) 간판설치용 브래킷
KR20090003854U (ko) 천장 구조
KR200445051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2259672B1 (ko) 철망 고정프레임
KR200440902Y1 (ko) 슬라이드 착탈식 배너 지지구
US20100050490A1 (en) Sign attachment device
US20210383726A1 (en) Carrier for use in generally vertical surface placement of communications and/or advertisements
US20090265970A1 (en) Sign attachment device
KR200438286Y1 (ko) 간판 부착장치
KR200473629Y1 (ko) 광고물 교체형 입간판
JP2019015160A (ja)
KR20090007981U (ko) 에이치빔 안전난간용 지주받침대
KR100948379B1 (ko) 트러스 조명 지지장치
KR200374331Y1 (ko) 광고용 간판의 벽체고정을 위한 설치부재
KR101007189B1 (ko) 반영구적 간판고정장치
JP5264552B2 (ja)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パネル用カバー材
KR20170006404A (ko) 간판 설치용 브래킷
JP2015232264A (ja) フェンス
KR200430425Y1 (ko) 끼움식 설치구조를 가지는 지주 구조물
KR200475808Y1 (ko) 고정이 용이한 광고간판을 적용하는 광고간판 시스템
KR102048143B1 (ko) 광고물 교체가 용이한 돌출형 간판
JP4743774B2 (ja) 挟み込み式ケーブル引留工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