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932B1 - 광고간판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광고간판의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932B1
KR100964932B1 KR1020100002718A KR20100002718A KR100964932B1 KR 100964932 B1 KR100964932 B1 KR 100964932B1 KR 1020100002718 A KR1020100002718 A KR 1020100002718A KR 20100002718 A KR20100002718 A KR 20100002718A KR 100964932 B1 KR100964932 B1 KR 100964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ignboard
locking
fixing means
bill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리스
남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리스, 남기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리스
Priority to KR1020100002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09F15/0081Rotating 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의 구조 변경 없이 시공이 가능하고, 광고간판의 고정 및 분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광고간판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고간판에 형성되는 걸림수단과, 건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승강프레임의 전면에 설정된 높이마다 설치되어 광고간판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수단과, 광고간판이 고정수단에 걸리도록 걸림수단을 걸어서 광고간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승강프레임에 형성되는 걸림브라켓과, 상기 걸림브라켓의 일단에 형성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수단이 걸리는 걸쇠와, 상기 힌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쇠의 하부끝단을 커버하여 상기 걸림수단이 걸쇠에서 하강되도록 하강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광고간판을 이송시키는 승강수단의 직선구간에서 한 빌딩에 여러 개의 광고간판을 상하 일렬로 설치할 수 있고, 광고간판의 교체 및 보수를 위해 광고간판의 고정 및 분리작업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광고간판의 승강장치{Advertising Board Up And Down Device}
본 발명은 광고간판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의 구조 변경없이 시공이 가능하고, 광고간판의 고정 및 분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광고간판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에 설치된 광고간판(세로 간판 또는 돌출간판)의 경우 지상으로부터 수미터에서 수십미터의 높이까지 설치된다. 이같이 광고간판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고소장비가 필요하다. 또한 광고간판의 교체가 필요하거나 광고간판내에 설치된 조명등(예로, 형광등)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고소장비를 통하여 교체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고소장비를 통하여 간판 또는 조명등의 설치 및 교체가 이루어지는 경우 많은 설치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특히 조명등의 경우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조명등 이외에 들어가는 교체 작업 비용이 상당하게 된다. 또한 고소장비를 이용하는 동안 주변의 통행에 장애를 주는 문제도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 제1995-104690호(공개일:1995.04.12)의 경우 빌딩 벽에 상하 방향으로 레일을 설치하고, 광고간판에 롤러장치를 설치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광고간판을 와이어에 연결하여 모터로 승강 구동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하나의 광고간판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층수가 높은 건물의 경우 다수의 간판을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빌딩 벽의 내부에 와이어를 통과시킬 수 있는 벽체 통로를 만들어야 하므로 벽체의 구조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벽체의 구조 변경 없이 광고간판의 설치가 가능하고, 여러 대의 광고간판을 상하 일렬로 설치가 가능하여, 광고간판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광고간판의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광고간판에 형성되는 걸림수단과, 건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승강프레임의 전면에 설정된 높이마다 설치되어 광고간판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수단과, 광고간판이 고정수단에 걸리도록 걸림수단을 걸어서 광고간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승강프레임에 형성되는 걸림브라켓과, 상기 걸림브라켓의 일단에 형성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수단이 걸리는 걸쇠와, 상기 힌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쇠의 하부끝단을 커버하여 상기 걸림수단이 걸쇠에서 하강되도록 하강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걸쇠는 걸쇠몸체와, 상기 걸쇠몸체의 상부에 상기 힌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걸쇠힌지홀과, 상기 걸쇠몸체의 하부끝단에 상기 걸림수단이 걸리는 쐐기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구동부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좌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승강운동 하는 복수개의 승강유닛과, 상기 복수개의 승강유닛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기 광고간판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걸림수단의 양측을 걸어서 올리는 복수개의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수단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돌기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수단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돌기는 상기 전면돌기쪽으로 하향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간판은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고간판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광고간판후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위치를 안내하는 위치안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안내수단은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안내몸체와, 상기 고정수단의 상부를 상기 안내몸체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안내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지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수단의 상부와 상기 안내몸체를 관통하는 숫체결부재와, 상기 숫체결부재와 대응되는 암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안내몸체의 상부가 절곡되어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고정수단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장홀과, 상기 장홀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수단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등 교체를 위한 광고간판의 승강장치에 따르면, 광고간판을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간판지지용 프레임을 벽면에 고정시키는 설치 작업만 하면 되므로 벽체의 구조를 훼손하거나 변경시키는 일이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광고간판의 교체 및 보수를 위해 광고간판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간판을 이송시키는 승강수단의 직선 구간에서 한 빌딩에 여러 개의 광고간판을 상하 일렬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과간판의 넓이에 따라 고정수단의 좌우간격을 조절하여 규격이 다른 종류의 광고간판도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승강프레임에 광고간판이 승강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승강프레임상부에 광고간판이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승강프레임하부에 광고간판이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수단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에 광고간판이 고정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에서 광고간판이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안내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2)의 벽면에 승강프레임(10)이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승강프레임(10)은 함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함체의 내구성을 위해 앵글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프레임(10)에 승강되어 고정되는 광고간판(1)은 내부가 개폐될 수 있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광고이미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광고이미지에 빛을 조사하는 램프가 구비된다.
이때, 광고간판(1)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수단(30)은 좌우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샤프트브래킷(31)과, 복수개의 샤프트브래킷(31)의 사이에 양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샤프트(33)로 구성된다.
그리고, 광고간판(1)의 후면 하부에는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40)가 형성되어, 광고간판(1)은 후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수단(30)과 후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40)에 의해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서 수직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0)에는 바퀴(4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광고간판(1)이 승강수단(70)에 의해 승강될 때, 바퀴(41)가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서 구르게 되므로, 광고간판(1)은 수직된 상태가 유지됨과 동시에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 마찰되지 않으면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고정수단(50)이 좌우로 나란히 고정 설치된다. 이때, 복수개의 고정수단(50)은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서 상하로 이격되게 층층이 배열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수단(70)은 복수개의 승강유닛(73)이 승강프레임(10)의 좌우측에 배치된다. 이때, 복수개의 승강유닛(73)은 구동부(71)에 의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승강유닛(73)에는 걸림수단(30)의 양측을 걸어서 올리는 복수개의 걸림부재(75)가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부(71)는 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승강유닛(73)은 구동기어(73a)와 피동기어(73b)와 구동기어(73a) 및 피동기어(73b)에 개재되는 체인(73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동기어(73a)와 피동기어(73b) 및 체인(73c)로 구성되는 승강유닛(73)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승강프레임(10)의 좌우측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배치된다. 이때, 복수개의 구동기어(73a)는 구동부(7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71a)이 연결되고, 복수개의 피동기어(73b)에는 피동축(71b)이 연결된다. 또한, 복수개의 체인(73c)에는 복수개의 걸림부재(75)가 대칭되게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승강유닛(73)이 승강운동하면 복수개의 걸림부재(75)가 걸림수단(30)의 양측을 동시에 걸어서 광고간판(1)을 승강시키게 된다. 그러면, 광고간판(1)은 복수개의 걸림부재(75)에 의해 좌우측이 지지되므로 수평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승강프레임(10)에 상하로 길게 장방형의 가이드홀(11)이 형성되어, 걸림부재(75)가 가이드홀(11)을 통해 승강프레임(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50)은 가이드홀(11)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부재(75)가 가이드홀(11)을 따라 승강될 때, 고정수단(50)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승강될 수 있다.(도 1 및 도 3참조)
한편, 상기 걸림부재(75)는 베이스부재(75a)와, 상기 베이스부재(75a)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수단(30)의 샤프트(33)전면을 지지하는 전면돌기(75b)와, 상기 베이스부재(75a)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수단(30)의 샤프트(33)후면을 지지하는 후면돌기(75c)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걸림부재(75)는 걸림수단(30)의 샤프트(33)전면 및 후면을 지지하면서 승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면돌기(77c)는 상기 전면돌기(77b)쪽으로 하향되는 경사면(77d)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면돌기(77b)와 후면돌기(77c)모두 서로 마주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샤프트(33)는 전면돌기(77b)와 후면돌기(77c)의 사이에 용이하게 안내되면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50)은 상기 승강프레임(10)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브라켓(51)과, 상기 걸림브라켓(51)의 일단에 형성되는 힌지(53)와, 상기 힌지(53)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수단(30)의 샤프트(33)가 걸리는 걸쇠(55)와, 상기 힌지(53)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쇠(55)의 하부끝단을 커버하여 상기 걸림수단(30)이 걸쇠(53)에서 하강되도록 하강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재(5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브라켓(51)은 일단에 힌지(53)가 형성되고, 타단에 결속부재인 볼트 등에 의해 승강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걸쇠(55)와 커버부재(57)는 힌지(53)를 축으로 좌우로 회전되어 서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다.
상기 걸쇠(55)는 걸쇠몸체(55a)와, 상기 걸쇠몸체(55a)의 상부에 상기 힌지(5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걸쇠힌지홀(55b)과, 상기 걸쇠몸체(55a)의 하부끝단에 상기 걸림수단(30)의 샤프트(33)가 걸리는 쐐기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턱(55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57)의 상부 양측에는 힌지(53)가 삽입되는 커버힌지홀(57a)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로 광고간판(1)을 고정수단(50)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75)가 광고간판(1)에 형성된 걸림수단(30)인 샤프트(33)를 아래에서 위로 건 상태로 들어 올리면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75)가 계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샤프트(33)가 걸쇠(55)와 커버부재(57)의 사이로 삽입되게 된다. 즉, 샤프트(33)는 쐐기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턱(55c)을 상부로 밀면서 걸림턱(55c)을 커버하도록 경사지게 위치된 커버부재(57)의 끝단도 함께 밀게 되므로, 걸쇠(55)와 커버부재(57)는 힌지(53)를 축으로 좌우로 회전되어 서로 벌려지게 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3)가 걸쇠(55)와 커버부재(57)의 사이에 삽입되면서 샤프트(33)가 걸쇠(55)의 걸림턱(55c)을 지나게 되면, 샤프트(33)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되었던 걸쇠(55)가 회전되기 전의 위치로 위치되면서 걸림턱(55c)이 샤프트(33)의 하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75)를 다시 하강시키면 샤프트(33)가 걸림턱(55c)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샤프트(33)에 의해 상부로 회전되었던 커버부재(57)는 다시 하부로 회전되어 걸림턱(55c)의 끝단을 커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고간판(1)은 걸쇠(55)에 걸린 상태로 안정되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로 고정수단(50)에 고정된 광고간판(1)을 고정수단(50)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75)를 상승시켜 걸쇠(55)에 걸린 상태로 고정된 샤프트(33)의 하부를 들어 올리게 되면, 걸림부재(75)에 형성된 후면돌기(75c)의 경사면(75d)에 의해 안내되어 샤프트(33)가 전면돌기(75b)와 후면돌기(75c)의 사이에 안착되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해서 걸림부재(75)가 샤프트(33)를 들어 올리게 되면, 샤프트(33)는 커버부재(57)를 밀어 올리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57)가 상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샤프트(33)가 계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회전되었던 커버부재(57)가 다시 하부로 회전되어 걸쇠(55)의 걸림턱(55c)을 커버하게 된다.
이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켰던 걸림부재(75)를 다시 하강시키면 샤프트(33)가 커버부재(57)를 누르게 되고, 이에 의해 눌려지는 커버부재(57)는 걸쇠(55)와 함께 하부로 회전되어 샤프트(33)가 하강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즉, 걸림부재(75)의 하강에 의해 하강되는 샤프트(33)가 커버부재(57)를 누르게 되면, 커버부재(57)는 걸쇠(55)와 함께 회전되므로, 샤프트(33)는 용이하게 하강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33)는 광고간판(1)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이므로, 샤프트(33)가 커버부재(57)를 누르면 광고간판(1)의 하중에 의해 커버부재(57)는 쉽게 눌려지면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55)에서 분리된 샤프트(33)는 걸림부재(75)에 지지된 상태로 하강하게 되므로, 광고간판(1)은 승강프레임(10)의 하부로 하강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로 승강프레임(10)에 층층이 설치된 고정수단(50)들 중 승강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수단(50)에 광고간판(1)이 고정되기 위해 승강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수단(50)을 지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즉,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간판(1)이 고정수단(50)을 지나도록 하는 과정은 광고간판(1)을 고정수단(50)에서 분리시키는 과정까지 동일하다.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75)의 상승에 의해 샤프트(33)가 커버부재(57)를 상부로 올리면서 걸쇠(55)에서 분리되면, 사용자는 걸림부재(75)를 계속적으로 상승시켜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걸쇠(55)에 샤프트(33)를 걸어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까지 층층이 설치된 걸쇠(55)들에 광고간판(1)을 순차적으로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광고간판(1)을 보수 및 교체하고자 할 때는 광고간판(1)들을 순차적으로 하강시켜 보수 및 교체하여 다시 순차적으로 광고간판(1)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50)은 위치안내수단(90)에 의해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 위치가 조절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즉, 안내몸체(91)가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안내수단(95)에 의해 고정수단(50)의 위치가 안내된 후에, 고정수단(50)은 체결부재(9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93)는 숫체결부재(93a)와 암체결부재(93b)로 구성되며, 숫체결부재(93a)와 암체결부재(93b)는 육각볼트와 너트일 수 있다.
또한, 위치안내수단(90)의 구성 중 하나인 안내몸체(91)는 육각볼트 등에 의해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안내몸체(91)는 상부가 절곡되어 돌출부(95a)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돌출부(95a)는 숫체결부재(93a)인 육각볼트의 헤드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돌출부(95a)의 일측에는 육각볼트의 헤드가 삽입되는 관통홀(95b)이 형성되고, 관통홀(95b)에 연통되며 돌출부(95a)의 길이방향으로 장홀(95c)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95b)은 장홀(95c)의 좌우측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장홀(95c)의 후방에서 상하에 각각 스토퍼(95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95d)들은 육각볼트 헤드의 대칭되는 면의 직경보다는 넓고, 육각볼트 헤드의 대칭되는 모서리의 직경보다는 좁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내몸체(91)의 하부에는 돌출부(95a)의 길이만큼 하부지지턱(97)이 형성되어 고정수단(5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하, 고정수단(50)이 위치안내수단(90)에 설치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먼저, 고정수단(50)인 걸림브라켓(51)의 상부에 육각볼트를 관통시켜서 너트와 최소부분만 결합시킨다. 이때, 육각볼트의 헤드가 걸림브라켓(51)의 후면에 위치되도록 관통시켜야 한다. 이어서, 걸림브라켓(51)의 하부를 하부지지턱(97)에 지지시킨다. 계속해서, 걸림브라켓(51)의 상부를 관통홀(95b)에 일치시켜서 육각볼트의 헤드를 관통홀(95b)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걸림브라켓(5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육각볼트의 헤드가 스토퍼(95d)에 의해 지지되면서 육각볼트가 장홀(95c)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걸림브라켓(51)이 적정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육각볼트와 너트를 조이면 걸림브라켓(51)과 장홀(95c)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안내수단(90)에 의해 고정수단(50)의 위치가 좌우로 조절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고정수단(50)은 광고간판(1)의 좌우 넓이 등에 용이하게 대처하면서 광고간판(1)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광고간판 2 : 건물
10 : 승강프레임 30 : 걸림수단
50 : 고정수단 70 : 승강수단

Claims (11)

  1. 광고간판(1)에 형성되는 걸림수단(30)과, 건물(2)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 설정된 높이마다 설치되어 광고간판(1)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수단(50)과, 광고간판(1)이 고정수단(50)에 걸리도록 걸림수단(30)을 걸어서 광고간판(1)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50)은
    상기 승강프레임(10)에 형성되는 걸림브라켓(51)과,
    상기 걸림브라켓(51)의 일단에 형성되는 힌지(53)와,
    상기 힌지(53)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걸림수단(30)이 걸리는 걸쇠(55)와,
    상기 힌지(53)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걸쇠(55)의 하부끝단을 커버하여 걸림수단(30)이 걸쇠(53)에서 하강되도록 하강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재(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승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55)는
    걸쇠몸체(55a)와,
    상기 걸쇠몸체(55a)의 상부에 상기 힌지(5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걸쇠힌지홀(55b)과,
    상기 걸쇠몸체(55a)의 하부끝단에 상기 걸림수단(30)이 걸리는 쐐기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턱(55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승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70)은
    구동부(71)와,
    상기 승강프레임(10)의 좌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71)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승강운동 하는 복수개의 승강유닛(73)과,
    상기 복수개의 승강유닛(73)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기 광고간판(1)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걸림수단(30)의 양측을 걸어서 올리는 복수개의 걸림부재(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승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75)는
    베이스부재(75a)와,
    상기 베이스부재(75a)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수단(3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돌기(75b)와,
    상기 베이스부재(75a)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수단(30)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돌기(75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승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돌기(75c)는
    상기 전면돌기(75b)쪽으로 하향되는 경사면(75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승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간판(1)은
    상기 걸림수단(30)이 상기 고정수단(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고간판(1)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광고간판(1)후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10)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승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는 바퀴(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승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0)의 고정위치를 안내하는 위치안내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안내수단(90)은
    상기 승강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안내몸체(91)와,
    상기 고정수단(50)의 상부를 상기 안내몸체(91)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93)와,
    상기 체결부재(93)의 체결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수단(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승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93)는
    상기 고정수단(50)의 상부와 상기 안내몸체(91)를 관통하는 숫체결부재(93a)와,
    상기 숫체결부재(93a)와 대응되는 암체결부재(9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승강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95)은
    상기 안내몸체(91)의 상부가 절곡되어 돌출되는 돌출부(95a)와,
    상기 돌출부(95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50)이 삽입되는 관통홀(95b)과,
    상기 관통홀(95b)에 삽입된 상기 고정수단(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관통홀(95b)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장홀(95c)과,
    상기 장홀(95c)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수단(50)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95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간판 승강장치.
KR1020100002718A 2010-01-12 2010-01-12 광고간판의 승강장치 KR10096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718A KR100964932B1 (ko) 2010-01-12 2010-01-12 광고간판의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718A KR100964932B1 (ko) 2010-01-12 2010-01-12 광고간판의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932B1 true KR100964932B1 (ko) 2010-06-23

Family

ID=4237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718A KR100964932B1 (ko) 2010-01-12 2010-01-12 광고간판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632A (ko) 2018-05-02 2019-11-12 심병섭 상부 돌출형 광고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005A (ja) 1999-12-24 2001-07-06 Koyo:Kk 屋外広告取付装置
KR200242388Y1 (ko) * 2001-05-10 2001-10-15 권용수 슬라이드식 광고장치
JP2009204830A (ja) 2008-02-27 2009-09-10 Kyosei Rentemu:Kk 枠状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005A (ja) 1999-12-24 2001-07-06 Koyo:Kk 屋外広告取付装置
KR200242388Y1 (ko) * 2001-05-10 2001-10-15 권용수 슬라이드식 광고장치
JP2009204830A (ja) 2008-02-27 2009-09-10 Kyosei Rentemu:Kk 枠状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632A (ko) 2018-05-02 2019-11-12 심병섭 상부 돌출형 광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9898A (en) Vertically adjustable sign
US8539714B2 (en) Advertising barrier complementing vehicle access control bars
US7000344B2 (en) Up-and-down display sign
KR1018708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100896200B1 (ko)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100964932B1 (ko) 광고간판의 승강장치
CN205466005U (zh) 用于托辊更换的皮带顶升装置
CN103582735B (zh) 玻璃升降器
CN102031735B (zh) 用于更换滚轮组的方法和装置
KR100924175B1 (ko) 자동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CN110513575A (zh) 一种移动式思想政治教育户外宣传设备
JP2012241381A (ja) 二多段式駐車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101237818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0404597Y1 (ko) 전광판과 현수막을 이용한 지주형 간판
KR100397826B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KR20130102695A (ko) 현수막 게시대
KR100971656B1 (ko) 현수막 게시대
US3426868A (en) Elevator for sign
KR101512910B1 (ko) 견인줄을 이용한 현수막 게시시스템 및 게시방법
KR20160008831A (ko) 견인줄을 이용한 현수막 게시시스템과 게시방법
KR200231546Y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KR100864191B1 (ko) 광고탑 및 광고물 지지용 띠
KR101163190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0244041Y1 (ko) 유압식 현수막 자동 게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