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580B1 -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 김치발효용 스타터 및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 김치발효용 스타터 및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580B1
KR100962580B1 KR1020080006764A KR20080006764A KR100962580B1 KR 100962580 B1 KR100962580 B1 KR 100962580B1 KR 1020080006764 A KR1020080006764 A KR 1020080006764A KR 20080006764 A KR20080006764 A KR 20080006764A KR 100962580 B1 KR100962580 B1 KR 10096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ornithine
starter
strain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797A (ko
Inventor
오석흥
박기범
석재환
김요한
이명기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0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58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36Ornith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21Brev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로부터 분리한 오르니틴 고생성 균주, 이를 포함하는 김치발효용 스타터, 상기 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스타터를 사용함으로써, 고함량의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김치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과 영양성이 증진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오르니틴, 김치 스타터, 아르기닌, 김치

Description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 김치발효용 스타터 및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Strain for high ornithine production, starter for kimchi fermentation, and method for kimchi preparation with high content of ornithine}
본 발명은 오르니틴(ornithine)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 김치발효용 스타터 및 김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로부터 분리한 오르니틴 고생성 균주, 이를 포함하는 김치발효용 스타터, 상기 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무, 배추 및 오이 등을 소금에 절여서 고추, 마늘, 파, 생강, 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린 후 젖산 생성에 의해 숙성되어 저온에서 발효된 제품으로, 한국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반찬이다. 지방에서는 대개 지(漬)라 하고, 제사 때는 침채(沈菜)라 하며, 궁중에서는 젓국지, 짠지, 싱건지 등으로 불렀다.
상고시대(上古時代)에는 오이, 가지, 마늘, 부추, 죽순, 무, 박 등으로 “소금절이”, “술과 소금절이” 또는 “술지게미와 소금절이” 등을 만들었는데, 오늘날의 김치와는 매우 달라서 김치라고 하기보다는 장아찌류에 가까웠다.
김치를 담그는 것은 채소를 오래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 될 뿐 아니라, 이는 저장중 여러 가지 미생물의 번식으로 유기산과 방향(芳香)이 만들어져 훌륭한 발효식품이 된다. 김치는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의 공급원이며, 젖산균에 의해 정장작용(淨腸作用)을 하고 식욕을 증진시켜 주기도 하는데, 최근 2001년 7월 5일 식품 분야의 국제표준인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김치가 일본의 기무치를 물리치고 국제식품 규격으로 승인받았다.
L-오르니틴은 성장호르몬을 분비시켜 근육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기초대사를 촉진시켜 비만을 예방하는 식품소재로서 미국을 중심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주름살 개선과 같은 피부미용 효과 등 새로운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L-오르니틴은 L-오르니틴과 알파케토글루타릴산이 2:1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L-오르니틴-알파케토글루타릴산염(OKG)의 형태로 근육증강, 비만예방 및 면역증강 소재로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L-오르니틴-L-아스파라긴산염의 형태로 간장장애를 개선하는 의약품으로 이용되고 있고, 일본에서는 L-오르니틴 염산염의 형태로 식품소재로서 사용가능하며, 미국에서는 식이보조제로서 사용가능하다. 국내에서는 식약청에 아직 등재되어 있지 않아 사용이 곤란한 실정이다.
이에 오르니틴 고생산성 균주를 이용하여 김치를 발효시켜 보통 김치 보다 영양기능성이 증진되면서 오르니틴을 섭취할 수 있는 김치 제조방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새로운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김치발효용 스타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김치발효용 스타터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K-3(KFCC 11330)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K-3(KFCC 11330) 균주를 포함하는 김치발효용 스타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김치발효용 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니틴 고 함유 김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스타터를 사용함으로써, 고 함량의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김치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과 영양성이 증진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은 오르니틴(ornithine) 고생성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K-3(KFCC 11330)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K-3(KFCC 11330) 균주는 기능성과 영양성이 증진된 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김치로부터 분리한 오르니틴 고생성 균주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균주는 유산균(lactic acid microbes)의 일종으로서, API 검정(API test)를 통하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Lactobacillus strain 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특성은 하기 표 1과 같은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 및 영양요구성을 지닌다.
<표 1>. Lactobacillus brevis OPK-3(KFCC 11330)의 특성
특 성 Lactobacillus brevis OPK-3
(KFCC 11330)
그람 염색 +
형태 간균
포자생성 -
포도당 배지에서의 포자생성 CO2 생성
카탈라제 생성능 +
D-(+)-글루코오즈 +
말토오즈 +
람노오즈 -
덱스트로오즈 +
D-락토오즈 +
D-(+)-트레할로오즈 +
D-(+)-만노오즈 +
수크로오즈 +
D-솔비톨 -
이뉼린 -
D-만니톨 +
D-(+)-자일로오즈 -
D-(-)-아라비노오즈 -
D-(+)-셀로비오즈 +
메틸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
D-(+)-라피노오즈 +
15℃에서의 생장능력 +
45℃에서의 생장능력 -
크기 1.0-1.5㎛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K-3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04년 5월 27일에 KFCC 11330으로 기탁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K-3(KFCC 11330)를 포함하는 김치발효용 스타터(starte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김치발효용 스타터는 발효기질로 락토바실러스 MRS 브로스(Lactobacillus MRS brot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균주의 배양에 적합한 기질이라면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김치발효용 스타터는 분말제제 또는 액상제제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으나, 상기 스타터의 보관, 유통 및 사용상의 편리성 등의 측면에서 분말(powder) 형태로 제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상기 김치발효용 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상기 스타터는 아르기닌(arginine)을 추가적으로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김치발효용 스타터를 0.1~1.0 %(v/v), 바람직하게는 0.2~0.5 %(v/v),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v/v) 첨가한다. 상기 김치발효용 스타터의 첨가량이 0.1 %(v/v) 이하인 경우 저농도의 균주로 인해 오르니틴을 고함량으로 생산할 수 없고, 1.0 %(v/v)을 초과하는 경우 김치가 너무 빨리 숙성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아르기닌을 0.05~1.0 %(w/v), 바람직하게는 0.1~0.5 %(w/v),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w/v) 첨가한다. 상기 아르기닌의 첨가량이 0.05 %(w/v) 이하인 경우 오르니틴 생성에 필요한 전구물질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 %(v/v)를 초과하는 경우 오르니틴으로 전환되지 않은 아르기닌이 남아 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 김치의 원재료의 절임단계; 상기 절인 원재료에 양념 및 상기 김치발효용 스타터 또는 상기 스타터와 아르기닌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김치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배추 등과 같은 김치 원재료를 포함하여, 무, 파, 마늘, 생강, 액젖, 설탕, 소금, 고춧가루 등과 같은 부재료가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김치의 제조방법은 배추김치, 무김치 등 통상적으로 알려진 모든 형태의 김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김치에 함유되는 오르니틴의 함량은 80 mg/100g F.W. 내지 110 mg/100g F.W.으로서, 통상의 김치보다 2~3배 이상 함유하는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김치발효용 스타터 균주의 분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김치류를 수집한 샘플을 멸균수로 희석하였다. 상기 희석액을 오르니틴 고생산 유산균의 분리 및 계수를 위해 1% 펩톤수를 사용하여 10-1~10-8 농도로 희석하고, 그 희석액 1㎖를 취하여 평판계수용 아가(PCA)로 37℃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나타난 콜로니를 총 균수로 하였다.
총균수의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MRS 브로스에 0.002% 브롬페놀블루(bromophenol blue)를 첨가한 배지에 25℃에서 72시간 상기 샘플 희석액을 배양하여 나타난 콜로니를 관찰하고, 환이 없고 짙은 청색을 띄는 것을 류코노스톡(Leuconostoc)으로 계수하였고, 환이 있거나 청색 또는 흰색을 띄는 콜로니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로 구분하여 계수하였다.
상기 선별된 균주들은 1차적으로 TLC를 이용하여 균주의 오르니틴 생산성 유무를 측정하였다. 이 때, TLC 전개 용매는 부탄올:아세트산:물을 4:1:1로 하여 준비하였으며, 닌히드린 염색법을 이용하여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표준시약은 시그마 표준품을 사용하였으며, TLC의 전개시간은 대략 30분 정도로 하였다.
상기 TLC를 이용한 1차 선별실험 결과로부터 콜로니에서 오르니틴을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된 샘플을 2차 선별용 샘플로서 준비하였다.
<실시예 2> (균주의 동정)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선발된 균주로부터 PCR을 위한 주형 DNA(template DNA)로 게놈 DNA(genomic DNA)를 정제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Promega사(Madison, Wisconsin, USA)의 Wizard DNA 정제 키트를 사용하였고, DNA의 정제 절차는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랐다.
또한, PCR 기기는 Biometra사제 (Tampa, Florida, USA)를 사용하였고, TA cloning Kit는 Promega제를 사용하였으며, DNA 중합효소(DNA polymerase)는 Takara사제 (Takara Biochemicals, Japan)를 사용하였고, MRS broth는 Difco사제 (Detoroit, MI, USA)를 이용하였다. 그 외의 시약들은 특급 제품을 사용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16s rDNA를 클로닝하기 위하여 사용한 프라이머(primers)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사용된 프라이머
Primer Sequence % GC
전진(forward) (20mer) AGAGTTTGATCMTGGCTCAG(서열번호 1) 45.0
역전사(reverse) (15mer) ACGGGCGGTGTGTRC(서열번호 2) 66.7
PCR 반응은 주형 DNA 100ng, 각 프라이머 200ng, dNTPs 0.2mM, MgCl2 2.0 mM, KCl 50mM, 0.1% Triton X-100를 포함하는 10 mM Tris-HCl(pH 9.0) 반응액을 이용하여 95℃ 30초, 43℃ 30초, 72℃ 1분 30초간 반응시키는 변성(denaturation), 어닐링(annealing), 신장(extension)의 30 싸이클을 수행하였다.
PCR 생성물의 생성은 1% 아가로즈 겔(agarose gel)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확인하였고, 증폭된 DNA 단편을 TA 클로닝 벡터인 pGEM T-Easy vector (Takara)에 T4 라이게이즈(T4 ligase)로 연결하였다.
클로닝된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은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synthetic oligonucleotide primers)와 dsDNA Cycle System (Perkin Elmer, USA)을 이용한 다이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 터미네이션 방법(dideoxynucleotide termination procedures)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염기서열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은 DNASIS program(Hitachi Software Engineering Co, USA) 및 Clustal W(1.81)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서열번호 3에 나타내었다.
선발된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ocus D37785 Lactobacillus brevis)와 99%의 상동성(562bp/564bp)을 보여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로 동정되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K-3( Lactobacillus brevis OPK-3)로 명명하고, 상기 균주를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04년 5월 27일에 KFCC 11330으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3> (김치발효용 스타터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K-3(KFCC 11330)를 준비된 발효기질 락토바실러스 MRS 브로스(Lactobacillus MRS broth)에 4 %( v/v)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3회 계대배양하여 김치 제조시의 스타터로 사용하였다. 배양된 스타터는 동결보존을 위해 동결건조 방식을 통하여 분말 상태로 -80℃에 보관한 후 김치제조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4> (김치발효용 스타터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김치발효용 스타터를 양념과 함께 혼합하여 김치제조에 사용하였는데, 이 때 상기 스타터의 첨가량은 0.2 %(v/v)으로 하고, 24 시간 동안 15℃에서 발효시켜 통상의 방법으로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김치발효용 스타터 및 아르기닌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김치발효용 스타터 0.2 %(v/v) 이외에 아르기닌 1 %(w/v)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균주의 오르니틴 생성량 측정)
본 발명에 의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K-3(KFCC 11330) 균주와 공지균주의 오르니틴 생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아르기닌 1.0%의 기질농도에서 오르니틴 생성능을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오르니틴 생성능 비교
Strain 오르니틴 함량(nmol/㎖)
Lactobacillus brevis OPK-3(KFCC 11330) 3469.76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3 5.09
Lactobacillus sakei KCCM 40264 3.12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50 3.15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K-3 (KFCC 11330)의 오르니틴 생성량은 3,469.76 (nmol/㎖)으로서, 공지균주에 비하여 오르니틴 생성능이 월등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김치의 오르니틴 함량 측정)
오르니틴 함유량 측정은 Park and Oh (2007) (Bioresource Technology 98:312-319)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김치발효용 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김치 중의 오르니틴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저온보관된 샘플로부터 유기용매 혼합액(메탄올 : 클로로포름 : 3차 증류수 = 12 : 5 : 3)을 가하여 혼합한 다음, 오르니틴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원심분리(12,000rpm, 15min, 4℃ )하여 얻었고, 상기에서 얻어진 수용액을 다시 한번 원심분리(12,000rpm, 15min, 4℃ )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의 과정에서 얻어진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소량의 물로 용해시킨 후, 0.45㎛ PVDF 필터로 여과하여 오르니틴 함량 측정에 사용하였는데, 오르니틴의 형광 유도체화를 위하여 AccQ Tag Reagent를 사용하였으며, 이들 유도체 분리를 위해 3.9×150 mm AccQTag TM(Nova-PakTM C18,Waters) 컬럼을 사용하였다. 표준 오르니틴의 결과와 비교하여 산출한 오르니틴 함량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김치발효용 스타터 첨가군의 오르니틴 함량은 107mg/100g F.W 으로서, 이러한 결과는 김치발효용 스타터 무첨가군의 오르니틴 함량이 50mg/100g F.W 인 점을 감안하면 2배 이상 많은 오르니틴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스타터를 사용함으로써, 고 함량의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김치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과 영양성이 증진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김치의 오르니틴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1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20> Strain for high ornithine production, starter for kimchi fermentation, and method for kimchi preparation with high content of ornithine <160> 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 agagtttgat cmtggctcag 20 <210> 2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 acgggcggtg tgtrc 15 <210> 3 <211> 1503 <212> DNA <213> Lactobacillus brevis <220> <221> gene <222> (1)..(1503) <223> 16s rDNA <400> 3 ggcatgccta atacatgcaa gtcgaacgag cttccgttga atgacgtgct tgcactgatt 60 tcaccaatga agcgagtggc gaactggtga gtaacacgtg ggaaatctgc ccagaagcag 120 gggataacac ttggaaacag gtgctaatac cgtataacaa caaaatccgc atggattttg 180 tttgaaaggt ggcttcggct atcacttctg gatgatcccg cggcgtatta gttagttggt 240 gaggtaaagg cccaccaaga cgatgatacg tagccgacct gagagggtaa tcggccacat 300 tgggactgag acacggccca aactcctacg ggaggcagca gtagggaatc ttccacaatg 360 gacgaaagtc tgatggagca atgccgcgtg agtgaagaag ggtttcggct cgtaaaactc 420 tgttgttaaa gaagaacacc tttgagagta actgttcaag ggttgacggt atttaaccag 480 aaagccacgg ctaactacgt gccagcagcc gcggtaatac gtaggtggca agcgttgtcc 540 ggatttattg ggcgtaaagc gagcgcaggc ggttttttaa gtctgatgtg aaagccttcg 600 gcttaaccgg agaagtgcat cggaaactgg gagacttgag tgcagaagag gacagtggaa 660 ctccatgtgt agcggtggaa tgcgtagata tatggaagaa caccagtggc gaaggcggct 720 gtctagtctg taactgacgc tgaggctcga aagcatgggt agcgaacagg attagatacc 780 ctggtagtcc atgccgtaaa cgatgagtgc taagtgttgg agggtttccg cccttcagtg 840 ctgcagctaa cgcattaagc actccgcctg gggagtacga ccgcaaggtt gaaactcaaa 900 ggaattgacg ggggcccgca caagcggtgg agcatgtggt ttaattcgaa gctacgcgaa 960 gaaccttacc aggtcttgac atcttctgcc aatcttagag ataagacgtt cccttcgggg 1020 acagaatgac aggtggtgca tggttgtcgt cagctcgtgt cgtgagatgt tgggttaagt 1080 cccgcaacga gcgcaaccct tattatcagt tgccagcatt cagttgggca ctctggtgag 1140 actgccggtg acaaaccgga ggaaggtggg gatgacgtca aatcatcatg ccccttatga 1200 cctgggctac acacgtgcta caatggacgg tacaacgagt cgcgaagtcg tgaggctaag 1260 ctaatctctt aaagccgttc tcagttcgga ttgtaggctg caactcgcct acatgaagtt 1320 ggaatcgcta gtaatcgcgg atcagcatgc cgcggtgaat acgttcccgg gccttgtaca 1380 caccgcccgt cacaccatga gagtttgtaa cacccaaagc cggtgagata accttcggga 1440 gtcagccgtc taaggtggga cagatgatta gggtgaagtc gtaacaaggt agccgtagga 1500 gaa 1503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락토바실러스 MRS 브로스(Lactobacillus MRS broth)를 발효기질로 포함하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K-3(KFCC 11330)를 포함하는 김치발효용 스타터를 0.1~1.0 %(v/v) 첨가하고, 상기 김치발효용 스타터에 아르기닌을 0.05~1.0 %(w/v)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에 함유되는 오르니틴의 함량이 80 mg/100g F.W. 내지 110 mg/100g F.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니틴 고함유 김치.
KR1020080006764A 2008-01-22 2008-01-22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 김치발효용 스타터 및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 KR10096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764A KR100962580B1 (ko) 2008-01-22 2008-01-22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 김치발효용 스타터 및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764A KR100962580B1 (ko) 2008-01-22 2008-01-22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 김치발효용 스타터 및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797A KR20090080797A (ko) 2009-07-27
KR100962580B1 true KR100962580B1 (ko) 2010-06-11

Family

ID=4129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764A KR100962580B1 (ko) 2008-01-22 2008-01-22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 김치발효용 스타터 및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95B1 (ko) 2010-01-08 2012-04-0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ok1-6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김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092B1 (ko) * 2019-10-18 2021-01-12 한국엔디랩 주식회사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083B1 (ko) * 2005-05-31 2005-10-05 진효상 김치 발효용 스타터 및 이를 사용한 김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083B1 (ko) * 2005-05-31 2005-10-05 진효상 김치 발효용 스타터 및 이를 사용한 김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Vol.72(10), pp.6483-6492(200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95B1 (ko) 2010-01-08 2012-04-0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ok1-6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김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797A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ia et al. Characterization and selection of Lactobacillus brevis starter for nitrite degradation of Chinese pickle
Barla et al. The γ-aminobutyric acid-producing ability under low pH condi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of Ishikawa Prefecture, Japan, with a strong ability to produce ACE-inhibitory peptides
Ramos et al. Diversity of bacteria and yeast in the naturally fermented cotton seed and rice beverage produced by Brazilian Amerindians
Park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ABA rice yogurt
JPWO2007097374A1 (ja) γ−アミノ酪酸生産能を有する乳酸菌
Huys et al. The lesser LAB gods: Pediococcus, Leuconostoc, Weissella, Carnobacterium, and affiliated genera
Manovina et al.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millet porridge or ragi koozh and jalebi batter
JP2013201936A (ja) 乳酸発酵におけるアミン生成制御方法
Yu et al. Phenotypic and genotypic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our congee in Inner Mongolia of China
KR101647631B1 (ko)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wikim18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용 조성물
KR101733967B1 (ko)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맥강 발효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맥강 발효소재
Danial et al. Enhancement of novel extracellular bacteriocin production by media optimization using LAB isolate from meat
KR100871398B1 (ko)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 opυ-2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발효유
Yerlikaya et al. The metagenomic composition of water kefir microbiota
KR101130695B1 (ko)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ok1-6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김치
KR100962580B1 (ko)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 김치발효용 스타터 및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
CN103874428B (zh) 解木聚糖拟杆菌物种微生物
KR20140087518A (ko)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배양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481791B1 (ko) 오르니틴 생산력이 우수한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dm-9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청국장의 제조방법
JP6374656B2 (ja) 乳酸菌のカロテノイド生産促進および酸化ストレス耐性向上技術
Ogunremi et al. Occurrence of amylolytic and/or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n Ogi and Fufu
KR101757223B1 (ko) 생리활성 기능성이 향상된 감귤 발효물 제조방법
Munch-Andersen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stability of sourdough microbiota from spontaneously fermented Norwegian legumes
KR102189031B1 (ko) 신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l2 균주를 이용한 굴비 액젓의 제조방법
KR102243418B1 (ko) 신규한 초산발효균주 및 이를 이용한 콤부차 음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