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816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816B1
KR100961816B1 KR1020030042483A KR20030042483A KR100961816B1 KR 100961816 B1 KR100961816 B1 KR 100961816B1 KR 1020030042483 A KR1020030042483 A KR 1020030042483A KR 20030042483 A KR20030042483 A KR 20030042483A KR 100961816 B1 KR100961816 B1 KR 100961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etwork managemen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567A (ko
Inventor
임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4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816B1/ko
Publication of KR2005000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77Localisation of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트비트 메시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구성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망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구성 정보와 이동접속점(Vehicle AP)의 장애 정보를 바탕으로 장애가 발생한 위치를 추적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각 구성 요소가 자신의 구성 정보를 망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핸드오버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의 각 구성 요소가 자신의 구성 상태 변경 정보를 상기 망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이동장비에서 장애가 발생함에 따라, 장애가 발생한 상기 이동장비의 IP 정보와 장애 정보를 상기 망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망관리 시스템이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구성 정보 및 장애가 발생한 상기 이동장비의 IP 정보와 장애 정보에 따라 장애가 발생한 상기 이동장비의 위치를 추적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통신, 이동접속점(VAP : Vehicle Access Point), 하트비트 메시지 프로토콜(HMP : Heartbeat Message Protocol)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Method for Tracking Location of Err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인터넷 102 : 기가비트 스위칭 라우터(GSR)
103 : 관문 라우터 (GGR) 104 : 망관리 시스템(Central EMS Server)
105 : 제어 스위치 106 : 레이어 2 스위치(L2 Switch)
107 : 제 1 고정중계장치(FAS) 108 : 제 2 고정중계장치
109 : 이동중계장치(MAR) 110 : 이동접속점(Vehicle AP)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트비트 메시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구성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망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구성 정보와 이동접속점(Vehicle AP)의 장애 정보를 바탕으로 장애가 발생한 위치를 추적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일예에서는 무선랜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랜 서비스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은 전국에 분산된 무선 인터넷의 접속 장치인 AP(Access Point)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관리하기 위한 계층적 망 관리 구조를 갖는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때, 무선랜 서비스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 이용 계층이 밀집하는 핫스팟(Hot Spot)이나 가정 및 소호(Soho)에서 유선망과 근거리 무선망을 이용하여 노트북,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 사용 고객에게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유무선 통합 서비스에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네트워크 장애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부하나, 장애 정보 수집, 시스템의 성능 정보 수집 및 상태 감시 등의 역할을 수행하여 장애 정보가 발생 시 장애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향후 발생 가능한 시스템 장애에 대처할 수 있도록 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기존의 무선랜 서비스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장애 관리 기능은 단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트랩(Trap) 기능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으나, 각 관리 요소, 특히 고정중계장치와 이동중계장치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나 양이 소규모이기 때문에 단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에이전트(SNMP Agent)를 통한 관리 기능은 안정성 측면에서 취약점을 갖고 있고, 각 관리 요소에서 SNMP를 지원해야 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낭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장비들의 장애 시에는 장비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위치 파악이 용이하고 신속한 수리가 가능했지만, 이동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장비의 장애 시에는 신속히 장애를 발견하고 장애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트비트 메시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구성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망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구성 정보와 이동접속점(Vehicle AP)의 장애 정보를 바탕으로 장애가 발생한 위치를 추적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각 구성 요소가 자신의 구성 정보를 망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핸드오버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의 각 구성 요소가 자신의 구성 상태 변경 정보를 상기 망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이동장비에서 장애가 발생함에 따라, 장애가 발생한 상기 이동장비의 IP 정보와 장애 정보를 상기 망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망관리 시스템이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구성 정보 및 장애가 발생한 상기 이동장비의 IP 정보와 장애 정보에 따라 장애가 발생한 상기 이동장비의 위치를 추적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랜 시스템은, 인터넷(101)과 연결되는 기가비트 스위칭 라우터(102), 관문 라우터(103), 망관리 시스템(104), 제어 스위치(105), 레이어 2 스위치(106), 고정중계장치(107, 108), 이동중계장치(109), 및 이동접속점(110) 등을 포함하며, 그 각각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가비트 스위칭 라우터(GSR : Gigabit Switching Router)(102)는 고속의 아이피(IP : 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한다.) 처리 및 서비스 품질(QoS : Quality of Service)의 보장 등을 위하여, 고속이면서도 유연한 패킷 처리가 가능하도록 무선망과 인터넷 망의 최적 경로를 지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문 라우터(GGR : Gigabit Gate Router)(103)는 하위의 제어 스위치(BSR)(105) 및 상위의 기가비트 스위칭 라우터(102)와 정합하며, IP 패킷의 트래픽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L2 스위치(L2 Switch)(106) 간의 핸드오버 시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버퍼링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망관리 시스템(CES : Central EMS Server)(104)은 관문 라우터(103)와 연동하며, 이동중계장치(109)에 대한 유지 관리 기능으로서 구성 관리, 장애 관리, 성능 통계 관리, 시스템 및 운용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스위치(Base station Switching Router)(105)는 하위의 L2 스위치(106) 및 상위의 관문 라우터(GGR)(103)와 연동하여 트래픽을 수용 처리하며, L2 스위치(106) 간에 발생하는 핸드오버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한 흐름 제어 및 버퍼링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L2 스위치(106)는 물리적 링크의 신뢰도를 높여주며, 링크의 활성화, 유지 및 비활성화 기능을 제공하며, 하위 레이어의 에러를 감지하고 제어하여 그 결과를 상위 레이어에 제공한다.
상기 고정중계장치(FAS : Fixed Access Switch)(107, 108)는 2.4 GHz 또는 5 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4 Mbps 이상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최대 120 Km/h의 이동 속도에서도 핸드오버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중계장치(MAR : Mobile Access Router)(109)의 무선 접속 기능은 고정중계장치(107)와 같으며, 로밍 기능, L3 스위칭 기능, 전력 제어 기능 및 자동 주파수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동접속점(VAP : Vehicle Access Point)(110)은 이동중인 이동체(예 : 지하철 등) 내에 장착되어 2.4 GHz 또는 5 GHz의 무선랜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랜 단말기를 접속하게 한다.
한편, SNMP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트비트 메시지 프로토콜(Heartbeat Message Protocol, 이하 HMP라 한다.)은 기존의 중계기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확장한 것으로, 네트워크의 구성/장애 데이터 메시지를 주기적 으로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서버에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상기 HMP는 SNMP와 마찬가지로 UDP/IP(User Datagram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사용하지만 컨펌(Confirm) 모드로 동작하므로 안정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에이전트(Agent) 사이에서 사용하는 간단한 기능만을 스트럭쳐 형태로 정의하여 PDU(Protocol Data Unit)의 페이로드(Payload)에 전송하기 때문에 HMP 에이전트를 간소하게 개발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각 구성 요소가 EMS로 전송하는 PDU의 스트럭쳐 내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 정보가 표현된다.
고정중계장치의 스트럭쳐 내에는 제어 스위치의 아이디, 고정중계장치의 아이디, 설치 지역명이 표시되고, 이동중계장치의 스트럭쳐 내에는 현재 핸드오버된 고정중계장치의 아이디, 이동중계장치의 아이디, 열차 번호가 표시되고, 이동접속점의 스트럭쳐 내에는 고정중계장치의 아이디, 이동중계장치의 아이디, 이동접속점의 아이디, 열차 번호, 객차 번호가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망관리 시스템(104)에서는 장애 정보를 전송받아 시스템 내의 구성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장애가 발생한 이동접속점의 위치를 신속하게 추적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우선, 이동접속점(110), 이동중계장치(109), 제 1 고정중계장치(107), 제 2 고정중계장치(108)는 구성 정보를 초기화한다(201). 상기 이동접속점(110)은 객차 번호와 IP 정보 등의 구성 정보를 이동중계장치(109)로 전송하고(202),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7)와 제 2 고정중계장치(108)도 구성 정보를 망관리 시스템(104)으로 전송한다(203). 상기 이동중계장치(109)는 각 이동접속점(110)의 IP 정보, 자신의 IP 정보 등의 구성 정보를 상기 망관리 시스템(104)으로 전송한다(204). 고속이동체가 이동하면서 상기 1 고정중계장치(107)에서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08)로 핸드오버가 발생하면(205), 상기 이동중계장치(109), 제 1 고정중계장치(107) 및 제 2 고정중계장치(108)는 구성 상태 변경 정보를 상기 망관리 시스템(104)으로 전송한다(206). 상기 망관리 시스템(104)은 전송된 구성 상태 변경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 정보를 갱신한다(207). 고속이동체가 이동하는 도중에 이동접속점(110)에서 장애가 발생되면(208), 상기 장애가 발생한 이동접속점(110)은 장애 정보를 상기 이동중계장치(109)로 전송한다(209). 상기 이동중계장치(109)는 장애가 발생한 이동접속점의 IP 정보와 장애 정보를 상기 망관리 시스템(104)으로 전송한다(210). 그러면, 상기 망관리 시스템(104)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현재 상태의 구성 정보 및 상기 전달받은 이동접속점의 IP 정보와 장애 정보를 바탕으로 장애가 발생한 상기 이동접속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211).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네트워크의 각 구성 요소(이동접속점(110), 이동중계장치(109), 제 1 고정중계장치(107), 제 2 고정중계장치(108))는 자신의 구성 정보를 초기화하고(301), 상기 네트워크의 각 구성 요소가 자신의 구성 정보를 하트비트 메시지 프로토콜(HMP)에 의해 주기적으로 망관리 시스템(104)에 전송한다(302). 그리고 고속이동체가 이동함에 따라, 제 1 고정중계장치(107)에서 제 2 고정중계장치(108)로 핸드오버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303).
상기 판단 결과(303), 핸드오버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이동접속점에서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306).
상기 판단 결과(303), 핸드오버가 발생되었으면 상기 네트워크의 각 구성 요소가 자신의 구성 상태 변경 정보를 상기 망관리 시스템(104)에 전송한다(304). 그러면, 상기 망관리 시스템(104)은 상기 네트워크의 각 구성 요소의 구성 정보를 갱신하고(305), 이동접속점에서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306).
상기 판단 결과(306), 장애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302" 과정으로 진행하고, 장애가 발생되었으면 장애가 발생한 이동접속점의 IP 정보와 장애 정보를 망관리 시스템(104)에 전송한다(307). 그러면, 상기 망관리 시스템(104)은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구성 정보 및 상기 전송받은 장애가 발생한 이동접속점의 IP 정보와 장애 정보를 바탕으로 장애가 발생한 이동접속점의 위치를 추적한다(308).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고속이동체의 이동접속점(Vehicle AP)에서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장애 발생 위치를 파악하여 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양질의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각 구성 요소가 자신의 구성 정보를 망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핸드오버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의 각 구성 요소가 자신의 구성 상태 변경 정보를 상기 망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이동장비에서 장애가 발생함에 따라, 장애가 발생한 상기 이동장비의 IP 정보와 장애 정보를 상기 망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망관리 시스템이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구성 정보 및 장애가 발생한 상기 이동장비의 IP 정보와 장애 정보에 따라 장애가 발생한 상기 이동장비의 위치를 추적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또는 장애 정보 전송 과정은,
    하트비트 메시지 프로토콜(HMP)을 사용하여 구성 정보 또는 장애 정보를 상기 망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
  3. 삭제
KR1020030042483A 2003-06-27 2003-06-2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 KR100961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483A KR100961816B1 (ko) 2003-06-27 2003-06-2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483A KR100961816B1 (ko) 2003-06-27 2003-06-2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567A KR20050003567A (ko) 2005-01-12
KR100961816B1 true KR100961816B1 (ko) 2010-06-08

Family

ID=3721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483A KR100961816B1 (ko) 2003-06-27 2003-06-2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591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케이티 지하철 통신 품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823B1 (ko) * 2017-08-10 2018-08-17 (주)네오아이에스 버스 내의 무선ap고장진단방법
KR101943573B1 (ko) * 2018-07-09 2019-04-17 이진호 버스 내의 무선ap고장진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591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케이티 지하철 통신 품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10327B1 (ko) * 2018-07-19 2021-10-06 주식회사 케이티 지하철 통신 품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567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kliński et al. Handover management in SDN-based mobile networks
US20070211664A1 (en)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07013839A1 (en) Mea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handover characteristics of radio access networks
EP1983795B1 (en) Method of performing vertical handover between different wireless networks
CN104067575A (zh) 重新路由技术
EP4033851B1 (en) Method for uniqu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user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intelligent controller
KR100921818B1 (ko) 지하철 무선 영상 전송 장치에서 고속 로밍 및 이중화 시스템
US11570705B2 (en) Method of securing wireless backhaul, a child base station, a parent base station and methods in the child and parent base stations
CN111162985A (zh) 轨道交通终端备份系统及方法
JP444335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096181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위치 추적 방법
CN114189273A (zh) 一种基于ip的民机无线链路管理方法
JP4854437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CN108924901B (zh) 通信链路切换方法及装置
KR20200111042A (ko) 철도 차량용 무선통신 시스템
Jose et al. PMIPV6-HC-MIH: An approach for improving handover performance in NGWN
Awad et al. Novel system architecture for railway wireless communications
Yang et al. A handover framework for seamless service support between wired and wireless networks
US1161191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ing on moving platform
KR20060028314A (ko) 이동체의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망 관리 방법
KR101049657B1 (ko) 이동체의 운행 패턴에 기반한 무선랜 접속 방법
Oh et al. Handover impact on E2E delay of multimedia service in high-speed railway system
KR20060029031A (ko) 이동체 무선랜 시스템의 장애 탐지 방법
Jooris et al. Access network controlled fast handoff for streaming multimedia in WLAN
Tiwari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TCP variants us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in heterogeneou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