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227B1 -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 시공되는 매립등 및 그 매립등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 시공되는 매립등 및 그 매립등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227B1
KR100961227B1 KR1020100020557A KR20100020557A KR100961227B1 KR 100961227 B1 KR100961227 B1 KR 100961227B1 KR 1020100020557 A KR1020100020557 A KR 1020100020557A KR 20100020557 A KR20100020557 A KR 20100020557A KR 100961227 B1 KR100961227 B1 KR 100961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uried
ceiling
finishing material
fix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식
Original Assignee
박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식 filed Critical 박창식
Priority to KR102010002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3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actuated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건축물의 실내 조명등을 사용되는 매립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등을 천장 마감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타공체결판과 램프를 결합시키기 위한 램프고정링이 매설된 상태로 석고에 의해 성형된 매립등 본체를 구비하여 이를 천장 마감재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의 매립등 본체와 천장 마감재와의 틈새 및 매립등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볼트의 노출부는 별도의 석고 퍼티(Putty)를 이용하여 틈새를 메움과 동시에 은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장 마감재와 동일한 재질인 석고에 의해 만들어진 매립등 본체는 동일한 질감과 색감으로 인해 천장 마감재와 매립등의 이질감을 전혀 느낄 수 없는 것이고, 동일한 재질로 된 천장 마감재와 매립등은 석고 퍼티(Putty)를 이용하여 틈새 메움이 가능하므로 설치공과의 틈새 및 체결볼트의 노출부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은폐시킬 수 있어 천장 마감재와 매립등이 흡사 일체화 성형된 것과 같은 시각적인 연출이 가능한 것이며, 매립등을 설치하기 위한 틈새나 체결볼트 등이 전혀 드러나지 아니하여 더욱 깔끔하고 매끈한 천장 하부를 형성할 수 있어 더욱 고품질의 천장 마감 및 매립 조명을 완성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 시공되는 매립등 및 그 매립등의 시공방법 {Ceiling downlight integrally formed with finishing materials}
본 발명은 다양한 건축물의 실내 조명등을 사용되는 매립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고텍스나 석고보드로 된 천장 마감재에 고정 설치되는 매립등을 구비하여 이를 천장 마감재에 결합 시공하되, 상기 매립등은 석고를 성형하여 된 매립등 본체에 타공체결판과 램프고정링을 일체화 결합 성형시켜 천장 마감재 및 램프와의 결합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석고로 된 천장 마감재와의 일체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석고 퍼티(Putty)를 이용하여 마감재와 매립등 사이의 틈새 등을 메워 매립등의 본체가 드러나지 않는 형태로의 일체화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이 설치되어 실내를 밝게 비추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통상적으로 천장 매립등과 천장 직착등 또는 천장 매다는 등의 형태로 구분되어 실내를 조명하게 되는 것인데, 천장 매립등의 경우에는 천장 마감재에 구멍을 형성하여 이에 매립등을 결합 고정하는 것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조명등이 천장 하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돌출되지 않는 반면 램프에 의한 점등 빛의 조사 범위가 넓지 않은 국부 조명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통상적인 건축물의 실내 천장에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마감 장식과 동시에 배전 공간을 위한 천장 마감재가 시공되는 것인데, 그 천장 마감재의 경우 보편적으로 석고텍스와 석고보드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석고텍스와 석고보드의 경우 내열성과 내화성이 우수하면서도 취급성이 뛰어나고 석고 자체의 밝은 백색의 색감으로 인해 다양한 배색이나 페인팅 등이 가능하므로 천장 마감재의 가장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천장 마감재를 갖는 건축물의 실내 천장에 전기한 바와 같은 매립등을 고정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천장 마감재에 매립등과 상응하는 크기의 설치공을 천공한 상태에서 그 천장 마감재를 이용하거나 아니면 매립등 자체의 장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의 매립등을 고정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설치공으로 매립등의 상부 전체를 집어넣은 후 마감재의 저면으로부터 별도의 체결볼트를 관통하여 상기 매립등과 나사 결합되게 함에 따라 매립등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고, 근자에 들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스프링 탄력지지구를 통해 매립등의 플랜지부와 탄력지지구의 사이에 천장 마감재가 가압 위치하도록 함에 따라 매립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매립등의 경우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거나 금속 판재를 절곡 형성한 상태에서 천장 마감재와 동일한 색감인 흰색으로 도색하여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은 백색의 합성수지 또는 도색된 금속판재로 된 매립등 본체의 경우 석고로 이루어진 천장 마감재와의 재질 차이로 인해 상호 간의 색감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매립등을 고정 설치하기 위해 천공되는 설치공은 매립등의 테두리와 정확히 일치하는 수치로의 가공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설치공과 매립등의 테두리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로 인해 고품질의 시공 상태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고,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시공하는 경우에는 천장 마감재의 하부면으로부터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그대로 드러나 보이므로 천장 하부면을 지저분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스프링 탄력지지구에 의해 결합 설치되는 매립등의 경우에는 스프링 탄력지지구의 하향 가압력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립등의 하부 즉, 천장 마감재의 저면에 해당하는 위치의 플랜지부를 돌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의 플랜지부로 인해 실내로 노출되는 매립등의 하부가 지나치게 커져 실제의 광량에 비하여 불필요하게 큰 형태의 매립등이 노출 설치될 수 밖에 없는 것이고, 아주 작은 형태로 된 매립등은 효과적인 고정력을 유지할 수 없어 매립등의 크기에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매립등을 천장 마감재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타공체결판과 램프를 결합시키기 위한 램프고정링이 매설된 상태로 석고에 의해 성형된 매립등 본체를 구비하여 이를 천장 마감재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의 매립등 본체는 석고에 의해 성형되어 있어 석고텍스와 석고보드와의 동질성으로 인한 일체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고, 석고 퍼티(Putty)를 이용하여 설치공과 본체 간의 틈새를 메움과 동시에 체결볼트가 은폐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의 매립등 본체가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된 상태로 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매립등이 갖는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한 특징을 갖는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 시공되는 매립등 및 그 매립등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석고로 이루어진 천장 마감재에 매립등 본체와 일치하는 크기의 설치공을 관통하여 형성하는 단계와; 그 설치공을 통해 양측으로 타공체결판이 돌출 형성되고 내측 선단으로 램프고정링이 매설된 별도의 매립등 본체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타공체결판이 천장 마감재의 상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천장 마감재의 하부로부터 별도의 체결볼트를 결합하여 그 체결볼트가 타공체결판과 나사 체결되게 하는 단계와; 석고로 된 퍼티(Putty)를 이용하여 설치공과 매립등 본체 사이의 틈새 메움 및 체결볼트의 노출 단부를 은폐시키기 위한 퍼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매립등 본체의 램프고정링을 이용하여 램프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 마감재와 동일한 재질인 석고에 의해 만들어진 매립등 본체는 동일한 질감과 색감으로 인해 천장 마감재와 매립등의 이질감을 전혀 느낄 수 없는 것이고, 동일한 재질로 된 천장 마감재와 매립등은 석고 퍼티(Putty)를 이용하여 틈새 메움이 가능하므로 설치공과의 틈새 및 체결볼트의 노출부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은폐시킬 수 있어 천장 마감재와 매립등이 흡사 일체화 성형된 것과 같은 시각적인 연출이 가능한 것이며, 매립등을 설치하기 위한 틈새나 체결볼트 등이 전혀 드러나지 아니하여 더욱 깔끔하고 매끈한 천장 하부를 형성할 수 있어 더욱 고품질의 천장 마감 및 매립 조명을 완성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등 본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등 본체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등 본체를 천장 마감재에 삽입하는 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등 본체가 천장 마감재에 고정된 상태도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틈새 메움 작업이 수행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등 본체에 램프를 결합하는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등이 천장 마감재에 일체화 시공된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등 본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등 본체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등 본체(10)는 석고를 이용하여 평면상 원형이나 사각 또는 타원형 등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매립등 본체(10)에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램프홀(11)이 형성되어 있고, 매립등 본체(10)의 양측으로는 별도의 타공체결판(20)(20')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립등 본체(10)의 상부에는 전기한 램프홀(11)과 연통된 상태로 된 별도의 램프고정링(30)이 단독 또는 장방형의 매립등 본체(10)에 대하여 다수 매설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매립등 본체(10)는 석고텍스 또는 석고보드로 된 천장 마감재(100)와 동일한 재질인 석고를 사용하여 제작된 것이므로 천장 마감재(100)와의 동질성으로 인한 일체감이 뛰어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매립등 본체(10)를 응고 성형하는 과정에서 함께 매설되는 타공체결판(20)(20')은 반복의 체결공(21)(21')이 연속하여 나열 천공된 상태의 금속 판재이므로 매립등 본체(10)로 매설되는 부분의 체결공(21)(21')으로 석고액이 연결 성형되면서 그 매립등 본체(10)와 타공체결판(20)(20')은 서로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램프고정링(30)은 내면에 계지부(31)와 끼움홈(32)(32')이 상,하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외면에는 고정돌부(33)(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계지부(31)는 램프(40)의 하측 플랜지부(41)와 간섭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고 상기의 끼움홈(32)(32')은 금속와이어를 절곡 형성하여 된 원형스프링(50)의 양측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램프고정링(30)의 내면으로부터 양측으로 대향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의 고정돌부(33)(33')는 매립등 본체(10)에 매설되는 경우 매립등 본체(10)와 램프고정링(30)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석고에 의해 성형되는 매립등 본체(10)를 이용하여 석고로 된 천장 마감재(100)에 매립 조명등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천장 마감재(100)에 대하여 상기 매립등 본체(10)의 크기에 상응하는 설치공(101)을 관통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설치공(101)으로 매립등 본체(10)를 삽입하게 되는데, 매립등 본체(10)의 일측 타공체결판(20)(20')을 먼저 집어넣은 상태에서 매립등 본체(10)와 타측의 타공체결판(20)(20')이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의 매립등 본체(10)를 필요한 만큼 기울여 삽입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매립등 본체(10)가 설치공(101)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매립등 본체(10)의 하부 및 램프홀(11) 만이 설치공(101)을 통해 노출되도록 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 타공체결판(20)(20')의 높이는 천장 마감재(100)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매립등 본체(10)의 저면으로부터 상승시켜 매설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와 같은 천장 마감재(100)의 저면과 매립등 본체(10)의 저면은 서로 수평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나사못과 같은 별도의 체결볼트(110)를 천장 마감재(100)의 저면으로부터 회전시켜 상향 관통시키면 천장 마감재(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타공체결판(20)(20')의 체결공(21)(21')으로 체결볼트(110)의 끝단이 유도 삽입되면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호 간의 견고한 나사 체결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체결공(21)(21')은 타공체결판(20)(20')의 전체면에 나열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볼트(110)를 천장 마감재(100)의 저면으로부터 대강의 위치에 삽입시키더라도 많은 수의 체결공(21)(21') 중 해당하는 위치의 체결공(21)(21')으로 체결볼트(110)가 유도되면서 상호 간의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매립등 본체(10)에 대한 고정 설치 작업이 매우 빠르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의 매립등 본체(10)에 대한 체결 고정 작업이 완료되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천장 마감재(100)의 하부면과 매립등 본체(10)의 하부면에 대한 석고 퍼티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인데, 석고 퍼티는 역시 천장 마감재(100)와 매립등 본체(10)의 재료인 석고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석고 퍼티를 물에 풀어 이를 천장 마감재(100)와 매립등 본체(10) 간의 틈새 및 상기 체결볼트(110)의 노출부에 매끈하게 발라 얇은 막 형태로 된 퍼티층(120)이 형성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의 퍼티층(120)은 매립등 본체(10)의 외곽과 설치공(101)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메우는 역할과 동시에 노출 상태인 체결볼트(110)의 하단부를 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와 같은 퍼티층(120)이 형성된 상태에서는 천정 마감재(100)와 매립등 본체(10)은 상호 간의 경계나 색감 차이를 전혀 느낄 수 없어 흡사 서로 일체로 형성된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매립등이 천장 하부면으로부터 확연하게 드러나던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더욱 매끄럽고 고급스러운 천장 하부면을 연출하여 마치 별도의 매립등이 설치된 것이 아니라 천장 마감재 자체를 일체로 가공하여 제작 설치한 것과 같은 설치 상태와 심미감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천장 마감재(100)의 상부 배선 공간 내에 위치하는 전원선(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을 램프고정링(30)을 통해 실내로 인출한 상태에서 전원선과 램프(40)를 서로 접속시키고, 그 램프(40)는 램프홀(11)을 통해 매립등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램프(40)의 하부 플랜지부(41)가 램프고정링(30)의 계지부(31)와 맞닿을 때까지 밀어 삽입하게 된다.
이어, 별도의 원형스프링(50)을 램프(40) 하부로부터 램프고정링(30)에 체결하면 도 7의 도시와 같이 천장 매립등에 대한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원형스프링(50)은 금속 와이어를 절곡 형성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원형의 테두리를 갖는 원형스프링(50)을 램프고정링(30)의 내측으로 밀어 상승시키면 그 원형스프링(50)의 양측부가 램프고정링(30)의 끼움홈(32)(32')으로 확장 삽입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램프(40)는 상측 방향으로는 계지부(31)에 의해 유동할 수 없고 하측 방향으로는 원형스프링(50)에 의해 유동할 수 없는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램프(4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형스프링(50)을 축소 변형시켜 램프고정링(30)으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의 램프(40)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탈 및 분리될 것이므로 새로운 램프로 교환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램프고정링(30)의 내측에 유동없이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매립 조명등은 틈새나 체결부 등이 전혀 드러나지 아니하고 천장 마감재(100)와 동일한 색상과 재질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천장 마감재(100)와 일체화된 상태의 느낌을 받는 동시에 점등된 램프(40)로부터 램프홀(11)을 통해서 실내를 밝게 조명할 수 있어 매우 환상적인 심미감과 조명 상태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매립등 본체 11 : 램프홀
20,20' : 타공체결판 21,21' : 체결공
30 : 램프고정링 31 : 계지부
32,32' : 끼움홈 33,33' : 고정돌부
40 : 램프 41 : 플랜지부
50 : 원형스프링
100 : 천장 마감재 101 : 설치공
110 : 체결볼트
120 : 퍼티층

Claims (3)

  1. 하부가 개방된 램프홀(11)을 갖는 매립등 본체(10)를 석고에 의해 성형하여 구성하고, 그 본체(10)의 양측에는 일측이 매립등 본체(10)에 매설된 상태로 고정된 반복의 체결공(21)(21')을 갖는 타공체결판(20)(20')을 형성하며, 상기 매립등 본체(10)의 상부 중앙에는 별도의 램프(40)가 삽입 고정되게 한 램프고정링(30)을 램프홀(11)과 연통되도록 매설하여 구성하되,
    상기 램프고정링(30)의 내측에는 램프(40)의 플랜지부(41)와 간섭되게 한 계지부(31)를 형성하고, 상기 계지부(31)의 하측으로는 별도 원형스프링(50)의 측부가 삽입되기 위한 끼움홈(32)(32')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 시공되는 매립등.
  2. 제 1항에 있어서,
    램프고정링(30)은 외면으로 고정돌부(33)(33')를 돌출 형성하여, 그 고정돌부(33)(33')에 의해 석고에 의한 매립등 본체(10)에 매설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 시공되는 매립등.
  3. 석고로 이루어진 천장 마감재(100)에 매립등 본체(10)와 일치하는 크기의 설치공(101)을 관통하여 형성하는 단계와; 그 설치공(101)을 통해 양측으로 타공체결판(20)(20')이 돌출 형성되고 내측 선단으로 램프고정링(30)이 매설된 별도의 매립등 본체(10)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타공체결판(20)(20')이 천장 마감재(100)의 상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천장 마감재(100)의 하부로부터 별도의 체결볼트(110)를 결합하여 그 체결볼트(110)가 타공체결판(20)(20')과 나사 체결되게 하는 단계와; 석고로 된 퍼티(Putty)를 이용하여 설치공(101)과 매립등 본체(10) 사이의 틈새 메움 및 체결볼트(110)의 노출 단부를 은폐시키기 위한 퍼티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와; 매립등 본체(10)의 램프고정링(30)을 이용하여 램프(4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 시공되는 매립등의 시공방법.
KR1020100020557A 2010-03-08 2010-03-08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 시공되는 매립등 및 그 매립등의 시공방법 KR100961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557A KR100961227B1 (ko) 2010-03-08 2010-03-08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 시공되는 매립등 및 그 매립등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557A KR100961227B1 (ko) 2010-03-08 2010-03-08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 시공되는 매립등 및 그 매립등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227B1 true KR100961227B1 (ko) 2010-06-03

Family

ID=4236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557A KR100961227B1 (ko) 2010-03-08 2010-03-08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 시공되는 매립등 및 그 매립등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2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694B1 (ko) 2011-03-10 2012-10-10 주식회사 알토 매립등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립등
KR20160027363A (ko) 2014-08-29 2016-03-10 (주)파트너 매립등 커버
EP3208524A1 (en) * 2016-02-22 2017-08-23 Frank Sinnaeve Interieur Architectuur bvba A profile for seamlessly mounting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720A (ja) 2006-01-12 2007-07-26 Ushio Spex Inc 埋込型照明器具の留具及び取付方法
US20100020551A1 (en) 2008-07-23 2010-01-28 Lightology, Inc. Recessed lighting fix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720A (ja) 2006-01-12 2007-07-26 Ushio Spex Inc 埋込型照明器具の留具及び取付方法
US20100020551A1 (en) 2008-07-23 2010-01-28 Lightology, Inc. Recessed lighting fix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694B1 (ko) 2011-03-10 2012-10-10 주식회사 알토 매립등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립등
KR20160027363A (ko) 2014-08-29 2016-03-10 (주)파트너 매립등 커버
EP3208524A1 (en) * 2016-02-22 2017-08-23 Frank Sinnaeve Interieur Architectuur bvba A profile for seamlessly mounting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423B1 (ko) 매입형 등기구
US9222651B1 (en) Modular LED light Fixture
KR101262232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주차장용 등기구 본체
CN203742034U (zh) 灯光装饰条及幕墙系统
KR100961227B1 (ko) 천장 마감재와 일체화 시공되는 매립등 및 그 매립등의 시공방법
US20230200595A1 (en) Wall Niche Kit and Related Methods
KR20200030300A (ko) 실내 조명등
CN209484409U (zh) 一种不占空间的筒灯安装结构
KR20110008362U (ko) 천장 간접조명
KR200421969Y1 (ko) 램프케이스
KR100810081B1 (ko) 매립형 조명등의 커버하우징
KR101138451B1 (ko) 천장 간접조명 모듈
KR101553523B1 (ko) 장식성이 우수한 천정 인테리어 조명등
CN106320664A (zh) 一种木塑室内灯槽板
KR101302656B1 (ko) 다단 출몰구조를 갖는 조명등 커버
KR101337433B1 (ko)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200405952Y1 (ko) 전등용 덕트의 플랜지 구조
US20180209601A1 (en) Ledgeline Lighting Assembly
CN219300549U (zh) 一种预涂吊顶板无边框嵌入式灯具结构
ITFO980031A1 (it) Scatola da incasso universale per faretti d'illuminazione e relativoattrezzo per la posa in opera.
CN210622227U (zh) 一种多功能石膏线条
KR102296224B1 (ko) 개선된 조립구조의 주차장용 엘이디 등기구
CN213682989U (zh) 一种带装饰线的可拆卸嵌入式墙板用龙骨结构
KR101562231B1 (ko) 이중 장식광이 연출되게 한 천정등
KR100867326B1 (ko)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