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920B1 -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920B1
KR100960920B1 KR1020080046261A KR20080046261A KR100960920B1 KR 100960920 B1 KR100960920 B1 KR 100960920B1 KR 1020080046261 A KR1020080046261 A KR 1020080046261A KR 20080046261 A KR20080046261 A KR 20080046261A KR 100960920 B1 KR100960920 B1 KR 100960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unch
wedge
fix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301A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피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피 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피 씨
Priority to KR102008004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92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2210/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 B26F2210/02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of stacked she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펀치의 복원이 용이하고, 높이 조절이 정확한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는 장치본체 하부에 형성되며, 펀칭될 적층물이 위치하는 기초부; 장치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펀치 압축부; 상기 펀치 압축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적층물에 홀을 형성하는 다수의 펀치가 일렬로 형성된 펀치 고정부; 상기 장치본체 상부에 상하방향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펀치 고정부가 하강하는 경우,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펀치 고정부 상부에 위치하며, 양단에는 상부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쐐기 회전판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고정부; 및 상기 지지판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펀치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층물의 윗면에 맞닿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본체 상부 양단에는, 상기 쐐기 회전판이 걸리는 쐐기 고정판가 형성되어, 상기 펀치 압축부 및 펀치 고정부이 하강한 후 상승할 때, 상기 지지판 고정부 및 지지판은 상기 쐐기 회전판이 상기 쐐기 고정판에 걸림으로 상부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쐐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판 고정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판 고정부의 양단 하부에는, 상기 펀치 고정부의 상승으로, 상기 쐐기 회전판을 회전시켜, 상기 쐐기 회전판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해제바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펀치, 펀칭, 걸림, 조절링

Description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Punching machine including multiple punch}
본 발명은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펀치의 복원이 용이하고, 펀치와 기초판의 간격 조절이 정확한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서, 팜플렛, 서류 등을 일괄적으로 관리 또는 정리하게 위하여, 통상적으로, 문서 등의 일단에 구멍을 형성하여 파일에 끼우거나, 별도의 바인더로 관리한다. 특히, 링 바인더를 이용하는 경우, 문서 등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해야 하므로, 펀칭기를 이용하여 문서 등에 홀을 형성한다. 펀칭기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홀을 형성하거나, 또는 전력을 이용하여 펀칭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전력을 이용하는 펀칭장치는 두꺼운 문서에 홀을 형성하거나 다수의 홀을 형성할 때 사용된다. 상기 펀칭장치에 있어서, 두꺼운 문서에 펀칭작업을 하는 경우, 펀칭작업 후, 펀치가 문서로부터 빠져나오는 경우, 마찰에 의하여 쉽게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전동장치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고, 일정 시간으로 간격 시행되는 펀칭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 및 정확성이 떨어지게 된다. 더욱이 펀칭홀의 펀칭면이 깨끗하지 않게 되고, 특히, 전산 용지의 경우, 용지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펀칭될 문서 등의 재질이 펀칭하기 어려운 경우나 펀칭장치를 장기간 사용한 경우, 펀치가 문서를 완전히 관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 펀치의 작용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펀치의 이동 거리, 즉 펀치와 기초판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펀치의 복원이 용이하고, 펀칭면이 깨끗하게 형성하는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펀치와 기초판의 간격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치본체 하부에 형성되며, 펀칭될 적층물이 위치하는 기초부; 장치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펀치 압축부; 상기 펀치 압축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적층물에 홀을 형성하는 다수의 펀치가 일렬로 형성된 펀치 고정부; 상기 장치본체 상부에 상하방향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펀치 고정부가 하강하는 경우,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펀치 고정부 상부에 위치하며, 양단에는 상부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쐐기 회전판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고정부; 및 상기 지지판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펀치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층물의 윗면에 맞닿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본체 상부 양단에는, 상기 쐐기 회전판이 걸리는 쐐기 고정판가 형성되어, 상기 펀치 압축부 및 펀치 고정부이 하강한 후 상승할 때, 상기 지지판 고정부 및 지지판은 상기 쐐기 회전판이 상기 쐐기 고정판에 걸림으로 상부이동이 저지되는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쐐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판 고정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판 고정부의 양단 하부에는, 상기 펀치 고정부의 상승으로, 상기 쐐기 회전판을 회전시켜, 상기 쐐기 회전판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해제바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는, 지지대의 걸림구조를 통하여, 펀칭될 적층물로부터 펀치를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으므로, 연속 펀칭 공정이 가능하고, 펀칭면이 깨끗한 특징이 있으며, 펀칭될 적층물을 놓이는 공간의 높이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펀칭 공정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는 장치본체 상부 및 하부(12, 14), 펀칭될 적층물이 위치하는 기초부(70), 및 상기 적층물을 펀칭하는 펀치 압축부(52, 도 2 참조), 펀치 고정부(54) 및 지지판 고정부(60)를 포함하며, 구동수단으로 회전모터(31) 및 크랭크(35)을 포함한다. 상기 적층물은 종이더미, 비닐 등 다양한 재료의 물질일 수 있다.
장치본체 상부(12) 및 장치본체 하부(14)는 분리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 하부(14)에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모터(31), 상기 회전모터(31)의 회전력을 상하방향 이동으로 유도하는 크랭크(35)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터(31)는 모터축(32)과 연결되며, 상기 크랭크(35)의 하단 및 상단에는 각각 제1 크랭크축(36) 및 제2 크랭크축(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크랭크축(36)은 상기 모터축(32)과 회전벨트(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모터(31)의 회전력은 상기 크랭크(35)에 의하여 상하방향 운동으로 변환되며, 상기 상하방향 운동에 의하여 펀칭 작업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모터(31)의 1회 회전은 상기 제2 크랭크축(37)의 1회 상승 및 하강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에 있어서, 지지판의 걸림 및 해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 상부(12)에는 펀치 압축부(5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 압축부(52)의 양단에는 상기 제2 크랭크축(37)이 연결되어, 상기 펀치 압축부(52)는 상하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상기 펀치 압축부(52)의 하단에는 펀치 고정부(54)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 고정부(54)의 하단에는 다수의 펀치(56)가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펀칭(56)의 수는 펀칭 용도, 펀칭홀 간격에 따라 달라지며, 통상적으로 5 내지 45 개다. 상기 펀치(56)는 상기 펀치 고정부(54)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펀치 고정부(54)와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의 펀치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의 펀치(56)는 내부에 홀(57d)이 형성된 실린더 모양이다. 즉, 상기 펀치(56)는 끝단에는 둥근 컷팅날(57a)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57b)의 내부는 홀(57d)이 형성되어, 펀칭될 적층물을 컷팅에 의하여 펀칭홀을 형성하고, 펀칭 후 종이부스러기는 상기 홀(57d)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펀치(56)는, 제작이 용이하고 펀칭 고정부(54)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끝단부에는 몸체부(57b)와 층을 달리하는 결속부(57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의 펀치 고정부 및 펀치 압축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칭 고정부(54)는, 하단에는 상기 펀치(56)가 결합되도록 결합부(5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55a)의 상부에는 상기 펀치(56)의 내부에 형성된 홀(57d, 도 3 참조)과 중심축이 동일한 칩 배출부(55b)가 형성되어, 상기 홀(57d)을 통하여 배출되는 종이 부스러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펀치 압축부(52)는, 내부에 상기 칩 배출부(55b)에서 배출되는 종이 부스러기가 배출되도록 제2 칩 배출부(5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칩 배출부(53a)의 일측에는 종이 부스러기가 본 발명의 펀칭장치 외부에 배출되도록, 칩 수용부(5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칩 수용부(53b)는 상기 제2 칩 배출부(53a)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펀치(56) 내부에 형성된 홀(57d), 펀치 고정부(54)의 칩 배출부(55b), 및 펀치 압축부(52)의 제2 칩배출부(53a)를 통하여 배출되는 종이 부스러기는 일정 높이에 이르면, 칩 수용부(53b)로 떨어지게 되어, 본 발명의 펀칭장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펀치 고정부(54) 상부에는 지지판 고정부(60)가 위치하며, 상기 펀치 고정부(54)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지지판 고정부(60)는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 고정부(60)는 상기 장치본체 상부(12)에 상하방향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본체 상부(12)에 형성된 가이드 바(13)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 고정부(60)의 하단에는 지지판(68)이 연결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68)은 연결바(67)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 고정부(60)의 하단을 받치고 있다. 상기 지지판(68)은 상기 다수의 펀치(56)가 관통되도록 내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56)와 동일하게 하강한다. 상기 펀치(56)가 적층물에 펀칭홀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지지판(68)은 상기 적층물 윗면에 맞닿게 되며, 자중 또는 일정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적층물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 고정부(60)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판 고정부(60)의 상부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쐐기 회전판(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본체 상부(12)에는 상기 쐐기 회전판(62)과 결속되는 쐐기 고정판(64)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에 있어서, 쐐기 회전판 및 쐐기 고정판의 쐐기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쐐기 회전판(62)은 상기 지지판(68) 및 지지판 고정부(60)의 상부이동을 저지하는 수단으로, "ㄴ"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 고정부(60) 양단에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상기 쐐기 고정판(64)을 향하도록 톱날 모양의 제1 쐐기부(6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쐐기 고정판(64)에는 상기 제1 쐐기부(63a)와 맞물리는 제2 쐐기부(6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쐐기부(63a, 63b)는 상기 쐐기 회전판(62)이 하강하는 경우 걸리지 않으나, 상기 쐐기 회전판(62)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쐐기 고정판(64)에 걸리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68) 및 지지판 고정부(60)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쐐기부(63a, 63b)에는 걸림이 발생하지 않으나, 상기 지지판(68) 및 지지판 고정부(60)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쐐기 회전판(62)의 제1 쐐기부(63a)는 상기 쐐기 고정판(64)의 제2 쐐기부(63b)에 걸려서, 상승이 저지된다. 상기 지지판 고정부(60) 양단 하부에는 상기 쐐기 회전판(62)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해제바(6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해제바(65)는 상기 지지판 고정부(6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 고정부(60)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펀치 고정부(54)가 상승하여, 상기 돌출된 걸림해제바(65)에 맞닿게 되면, 상기 걸림해제바(65)는 상승하며, 이에 따라, 상기 쐐기 회전판(62) 일단을 밀어 올려, 상기 쐐기 회전판(62)이 회전하게 되어, 상기 쐐기 회전판(62)의 걸림이 해제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 고정부(60) 양단에는 고정스프링(66)이 설치되어, 상기 쐐기 회전판(62)의 원위치의 복귀를 유도한다.
상기 쐐기 회전판(62)의 걸림 및 해제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펀치 압축부(52) 및 펀치 고정부(54)의 하강함에 따라, 상기 펀치(56)는 하강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펀치 고정부(54) 상부에 위치한 지지판 고정부(60)도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상기 펀치(56)가 펀칭하는 동안, 상기 지지판 고정부(60)에 연결된 지지판(68)은 적층물 윗면에 맞닿게 되고, 상기 적층물 윗면에 일정 압력을 가하게 된다. 펀칭이 완료되면, 도 2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펀치 압축부(52) 및 펀치 고정부(54)의 상승함에 따라, 상기 펀치(56)가 상승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판(68) 및 지지판 고정부(60)도 상승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지지판 고정부(60) 양단에 형성된 쐐기 회전판(62)의 제1 쐐기부(63a)가 상기 장치본체 상부(12)에 형성된 쐐기 고정판(64)의 제2 쐐기부(63b)에 걸리게 되어, 상기 지지판(68)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상기 지지판(68)은 적층물에 일정 압력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펀치(56)가 적층물의 펀칭홀로부터 이탈되는 동안, 상기 적층물은 그대로 유지되어, 상기 펀칭홀의 펀칭면이 깨끗하게 형성되고, 상기 펀치(56)가 상기 적층물로부터 신속하게 이탈된다. 또한, 상기 펀치 압축부(52) 및 펀치 고정부(54)가 상승함에 따라, 도 2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펀치 고정부(54)의 윗면은 상기 지지판 고정부(60)의 걸림해제바(65)와 맞닿게 되고, 상기 펀치 고정부(54)의 계속적 상승에 따라, 도 2의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해제바(65)는 상기 펀치 고정부(54)와 더불어 상승하여, 상기 쐐기 회전판(62)을 밀어 올려, 상기 쐐기부(63a, 63)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지지판 고정부(60) 및 지지판(68)은 상기 펀치 고정부(54)와 더불어 상승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의 기초판 높이조절부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부(70)는 장치본체 하부(14, 도 1 참조)에 형성되어 있으며, 펀칭될 적층물이 위치하는 기초판(71), 상기 기초판(71)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초판 높이조절부(73, 75) 및 하부지지판(81)을 포함한다. 상기 기초판(71)은 펀칭될 적층물이 위치하며, 상기 펀치(56)를 통하여 전달되는 압력을 지지하는 곳이며, 상기 기초판 높이조절부(73, 75) 및 기초판 지지부(88, 도 1 참조)에 의하여 지지 또는 고정된다. 상기 기초판(71)의 상면에는 펀치(56) 컷팅날(57a, 도 3 참조)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보완판(7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 비된 펀칭장치의 보완판의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완판(72)은, 상기 펀치(56)가 맞닿는 부분에 돌출부(72a)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72a)는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펀치(56)에 의하여 전달되는 압력을 보완판(72) 전체에 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완판(72) 및 기초판(71)의 응력 분포를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장치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72a)의 돌출 각도(θ)는 20 내지 70도이며, 상기 돌출부(72a)는 전후 2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완판(72)의 일단에는, 상기 보완판(72)을 지지하는 보완판 지지장치(8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완판 지지장치(86)는 기초판(71)에 결합되어, 상기 보완판(72)에 펀치(56)의 컷팅날(57a)이 꽂혀, 펀치(56)의 상승에 따라 상기 보완판(72)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보완판(72)의 상승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보완판 지지장치(86)는 하단 일측에 자석부(87a)가 형성되어 있어, 자력에 의하여 기초판(7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보완판(72)의 상승에 따라 상승력이 상기 자석부(87a)가 지니는 자력을 압도하는 경우, 상기 보완판 지지장치(86)는 상기 기초판(71)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상승력으로 인한 무리한 힘이 장치본체에 가해지는 것이 차단되므로, 장치본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보완판(72)은 상기 펀치(56)의 경도보다 낮은 재료를 사용한다. 상기 기초판(71)의 크기는 장치본체의 크기, 펀칭될 적층물 등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기초판(71)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2 mm 내지 7 mm이다.
상기 기초판 높이조절부(73, 75)는 상기 기초판(71)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판(81)의 조정홈(82) 내부에 위치하며, 한 쌍의 상부경사판(73) 및 하부경사판(75)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경사판(73)은 상기 기초판(71)의 하면에 위치하며, 상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면은 일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경사판(75)은, 상면은 상기 상부경사판(73)의 하면과 접하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은 평면을 이루어 상기 조정홈(82)과 맞닿게 된다. 상기 상부경사판(73)은 상기 하부경사판(75)의 경사면 위에 위치하여, 중력에 의하여 서로 맞닿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경사판(75)이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상부경사판(73)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경사판(73) 및 하부경사판(75)의 너비는 상기 기초판(71)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경사면의 각도는 상기 상부경사판(73) 및 하부경사판(75)의 너비, 상기 상부경사판(73)의 요구되는 변화 높이에 따라 달라지며, 통상적으로 2 내지 10°이며, 3 내지 7°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경사면의 각도가 너무다 작으면, 상기 하부경사판(75)의 좌우이동에 따른 상부경사판(73)의 높이조절의 정도가 미비하여 높이 조절효과가 발휘되지 않으며, 상기 경사면의 각도가 너무 크면, 상기 상부경사판(73)의 높이 조절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하부경사판(75)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경사판(75)의 좌우방향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하부경사판(75)을 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하부경사판(75)의 좌우 양측에 이동 버튼을 설치하여, 상기 이동버튼을 왼쪽 또는 오른쪽에서 밀어, 상기 하부경사판(75)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로서 조절링(77)을 사용하여, 상기 조절링(77)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하부경사판(75)의 좌우방향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경사판(75)의 내부에는 상기 조절링(77)이 회전할 수 있도록 조절나사선(76)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지지판(81)에 결합된 조절고정판(78)을 통하여 상기 하부지지판(81)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링(77)의 회전에 따른 상기 하부경사판(75)의 좌우 이동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조절링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링자는 상기 하부경사판(75)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지지판(81)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판(81)은 장치본체 하부(14, 도 1 참조)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상부경사판(73) 및 하부경사판(75)이 위치할 수 있는 조정홈(8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경사판(73)의 상부 중심부 및 상기 하부지지판(81)의 중심부에는 각각 제1 가이드 홈(74) 및 제2 가이드홈(8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74, 84)에는 가이드 키(89)가 끼워져서, 상기 상부경사판(73)의 상하방향 이동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키(89)의 높이는 상기 상부경사판(73)의 높이변화에 따라 달라지며, 통상적으로 7 mm 내지 15 mm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판(71) 위에 펀칭될 적층물을 위치하고, 상기 펀치(56)가 상기 적층물을 완전히 관통하여 펀칭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절링(77)을 통하여, 상기 하부경사판(75)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기초판(7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 상기 기초판(71)과 펀치(5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조작부(미도시)를 통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모터(31)를 작동시키고, 상기 회전모터(31)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이 크랭크(35) 및 제2 크랭크축(37)을 통하여, 펀치 압축부(52, 도 6 참조)에 상하방향 운동을 전달시킨다. 상기 회전모터(31)의 1/2회전하면, 상기 펀치 압축부(52)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회전모터(31)의 1/2 회전하면, 상기 펀치 압축부(52)는 상승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펀치 압축부(52)의 하강으로, 상기 펀치 고정부(54) 및 펀치(56)는 하강하여, 적층물에 펀칭홀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펀치 고정부(54)의 하강으로 지지판 고정부(60) 및 지지판(68)도 하강하게 되며, 상기 지지판(68)은 적층물의 윗면에 맞닿게 되어, 상기 펀치(56)가 펀칭하는 동안, 적층물을 누르게 된다. 상기 펀치(56)가 상기 적층물을 관통하여, 상기 기초판(71)의 보완판(72)에 맞닿게 되면, 상기 펀치 압축부(52) 및 펀치 고정부(54)는 상승하게 되고, 상기 펀치(56)는 적층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이 때, 적층물은 마찰로 인하여 상승하게 되며, 상기 지지판(68)은 상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다만, 상기 지지판 고정부(60) 양단 하부에 형성된 쐐기 회전판(62)의 제1 쐐기부(63a)가 쐐기 고정판(64)의 제2 쐐기부(63b)에 걸려 상승이 저지된다. 상기 펀치(56)가 계속 상승하여, 상기 적층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상기 펀치 고정부(54)는 상기 지지판 고정부(60) 하부에 형성된 걸림해제바(65)를 밀어 올려, 상기 쐐기 회전판(62)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쐐기부(63a, 63b)의 걸림은 해제된다. 상기 쐐기부(63a, 63b)의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지지판(68) 및 지지판 고정부(60)도 펀치 고정부(54)와 더불어 상승하게 되어, 펀치(56) 및 지지판(68)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에 있어서, 지지판의 걸림 및 해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의 펀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의 펀치고정부 및 펀치 압축부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에 있어서, 쐐기 회전판 및 쐐기 고정판의 쐐기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의 기초판 높이조절부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의 보완판의 측단면도.

Claims (6)

  1. 장치본체 하부에 형성되며, 펀칭될 적층물이 위치하는 기초부;
    장치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펀치 압축부;
    상기 펀치 압축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적층물에 홀을 형성하는 다수의 펀치가 일렬로 형성된 펀치 고정부;
    상기 장치본체 상부에 상하방향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펀치 고정부가 하강하는 경우,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펀치 고정부 상부에 위치하며, 양단에는 상부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쐐기 회전판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고정부; 및
    상기 지지판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펀치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층물의 윗면에 맞닿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본체 상부 양단에는, 상기 쐐기 회전판이 걸리는 쐐기 고정판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쐐기 회전판의 하강은 가능하지만 상승은 저지되도록, 상기 쐐기 회전판과 쐐기 고정판의 쐐기부가 맞물려 있으며,
    상기 펀치 압축부 및 펀치 고정부가 하강한 후 상승할 때, 상기 쐐기 회전판이 상기 쐐기 고정판에 걸림으로서, 상기 쐐기 회전판, 지지판 고정부 및 지지판의 상부이동이 저지되어, 상기 펀치가 적층물의 펀칭홀로부터 이탈되는 동안, 상기 지지판은 적층물에 일정 압력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판 고정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판 고정부의 양단 하부에는, 상기 펀치 고정부의 계속적 상승으로, 상기 쐐기 회전판을 회전시켜, 상기 쐐기 회전판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걸림해제바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펀칭될 적층물이 위치하는 기초판 및 상기 기초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초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초판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초판 높이조절부는, 상기 기초판의 하면에 위치하며, 상면은 평면이고 하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부경사판 및 상면은 상기 상부경사판의 하면과 접하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하부경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경사판의 좌우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경사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판 높이조절부는 상기 장치본체 하부에 형성된 하부지지판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경사판의 상하방향 이동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경사판의 상부 중심부 및 상기 하부지지판의 중심부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에 가이드 키가 끼워지는 것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경사판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경사판의 좌우방향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하부경사판의 좌우방향 이동을 조절하고, 상기 하부경사판의 내부에는 상기 조절부가 끼워지도록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판의 상면에는 펀치 컷팅날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보완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완판은, 상기 펀치가 맞닿는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펀치에 의하여 전달되는 압력을 보완판 전체에 고르게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KR1020080046261A 2008-05-19 2008-05-19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KR10096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261A KR100960920B1 (ko) 2008-05-19 2008-05-19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261A KR100960920B1 (ko) 2008-05-19 2008-05-19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301A KR20090120301A (ko) 2009-11-24
KR100960920B1 true KR100960920B1 (ko) 2010-06-04

Family

ID=4160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261A KR100960920B1 (ko) 2008-05-19 2008-05-19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9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132A (ko) * 2015-01-23 2016-08-02 안종원 라벨지의 다이커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529B1 (ko) 1996-11-14 2000-03-15 정정호 자동압진공 성형물의 펀칭장치
JP3352456B2 (ja) 1989-06-21 2002-12-03 マシーネファブリーク・ウィラ・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プレス及び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2456B2 (ja) 1989-06-21 2002-12-03 マシーネファブリーク・ウィラ・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プレス及び成形装置
KR100247529B1 (ko) 1996-11-14 2000-03-15 정정호 자동압진공 성형물의 펀칭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132A (ko) * 2015-01-23 2016-08-02 안종원 라벨지의 다이커팅장치
KR101665847B1 (ko) 2015-01-23 2016-10-13 안종원 라벨지의 다이커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301A (ko) 200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7113B2 (ja) 受木を備えた紙断裁装置
US8028688B2 (en) Concrete block splitting and pitching apparatus and method
SE469940B (sv) Anordning för fasthållning av knivblad i en cylinder avsedd för bearbetning av en löpande bana
JP2008110468A (ja) 穴あけ綴じ用具
JP4533313B2 (ja) 加振式紙断裁装置
KR100960920B1 (ko)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펀칭장치
JP4106483B2 (ja) 紙の断裁装置
KR101185569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종이류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
JP2006116682A (ja) カッターヘッド
JP4476663B2 (ja) 紙屑落としカバーを備えた紙断裁装置
JP5346733B2 (ja) 孔明け装置
KR101017614B1 (ko) 펀칭장치
KR102405056B1 (ko) Pvc 바닥타일 커팅장치
KR20160134371A (ko) 상방향 타공이 가능한 제본기
KR101632869B1 (ko) 가압판 회전 조절이 가능한 제본기
US66342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fasteners from documents
JP6470038B2 (ja) パンチング装置
KR20080002708U (ko) 직물원단절단기
JP4780604B2 (ja) 用紙の位置決め機構
KR102338751B1 (ko) 세단이 가능한 문서 타공 장치
KR102204266B1 (ko) 복합천공기
EP1218153B1 (en) Punching machine and device for positioning the stack of sheets
KR102461703B1 (ko) 프레스 벤딩장치
KR101024057B1 (ko) 제본기의 천공장치
US444891A (en) Pu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