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718B1 -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 Google Patents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718B1
KR100960718B1 KR1020080099419A KR20080099419A KR100960718B1 KR 100960718 B1 KR100960718 B1 KR 100960718B1 KR 1020080099419 A KR1020080099419 A KR 1020080099419A KR 20080099419 A KR20080099419 A KR 20080099419A KR 100960718 B1 KR100960718 B1 KR 100960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cleaning
dental floss
wrapping paper
paper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364A (ko
Inventor
장지일
이점희
김혜경
장성배
Original Assignee
김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경 filed Critical 김혜경
Priority to KR1020080099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7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4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는: 포장지와, 포장지의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접착부와, 포장지 내부에 구비되어, 양 끝단이 접착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치아세정지로 이루어지고, 포장지의 개방시 치아세정지가 양측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아세정지의 내부에는 치실이 구비되고, 치실은 각 단부가 접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포장지를 개방하여 치실로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치아세정지로 치아를 세정할 수 있어, 사용 및 휴대가 간편하고 위생적인 장잠을 지닌다.
일회용, 치아, 치간, 치실

Description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Disposable apparatus for dental cleaning}
본 발명은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지 내부에 치아세정지와 치실을 구비하여 치실에 의해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치아세정지에 의해 치아를 세정하는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치아는 일종의 연속보(continuous beam)로서, 탄성 거동을 하여 음식물을 씹을 때 치아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므로 치아사이의 공간부에 음식물 조각이 끼여 치근(齒根)에 스트레스(stress)를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을 섭취함에 따라 치아 사이의 공간부에 끼인 음식물 조각과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섬유질 및 이똥은 박테리아의 성장에 좋은 조건을 제공함은 물론 입냄새 및 잇몸을 상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음식물을 섭취하고 나면 반드시 치아를 청소하여야 되는데, 칫솔 등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의 일상적인 생활에서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는 임시방편으로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치아 및 치간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고, 휴지 등을 이용하여 치아를 닦아내고 있다.
이쑤시게는 나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가느다란 봉상을 가지며 종단이 뽀족한 첨단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첨단부를 치아와 치아 사에 삽입하면서 치아와 치아 사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종의 생활용품의 하나이다.
만약, 날카로운 이쑤시개 등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할 경우에는 잇몸 또는 치근을 손상시켜 출혈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정도가 심해 치과의사의 전문적인 치료가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나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이쑤시개를 장기간 사용시에는 치아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져 음식물을 씹을 때 치아 사이에 음식물 조각이 더욱 많이 끼이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근래에는 치간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는 치실이 구비되고 휴대성이 용이한 치실홀더가 개발된 바 있다.
치실은 일종의 나일론사의 일종으로 치아와 치아 사이에 관통하도록 끼운상태에서 치아와 치아 사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손질 용구이다.
치실은 통상 치실을 감아 보관할 수 있는 치실홀더에 구비되어 일부 절개되어 사용된다.
종래에 의하면, 이쑤시개를 사용할 경우 치간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치아를 제대로 세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칫솔의 경우 세면대가 구비된 한정된 공간에서만 사용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실의 경우 치실홀더에서 치실을 일정길이로 인출한 후 치실을 절개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절개된 치실을 파지할만한 어떠한 수단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절개된 치실의 양 끝단을 손가락에 말아 사용하여야 함으로 불편함이 있고, 치실홀더 전체를 휴대하고 다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포장지 내부에 골무형상의 치아세정지를 구비하고 치실을 구비하여 포장지의 길이보다 길이가 긴 치실을 구비하고 포장지를 개방하여 치실로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치아세정지로 치아를 세정할 수 있어, 사용 및 휴대가 간편하고 위생적인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는 포장지와, 포장지의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접착부와, 포장지 내부에 구비되어, 양 끝단이 상기 접착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치아세정지로 이루어지고, 포장지의 개방시 치아세정지가 양 측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포장지와 상기 치아세정지의 중앙부에는 일정 힘에 의해 절개되도록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아세정지의 내부에는 치실이 구비되고, 치실은 각 단부가 상기 접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실의 양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실은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접착부 중 어느 일측의 접착부에 치실의 양 끝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실은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 치실의 양측 끝단부가 서로 다른 접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는 종래 발명과 달리 포장지 내부에 절취선에 의해 중앙이 분리되어 골무형상을 이루는 치아세정지와 치실을 구비하여 치실을 사용하여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치아세정지로 치아를 세정할 수 있어 어떤 장소에서도 치아 세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가 간편하고 포장지에 의해 개별 포장되어 있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상에 있어 접착부를 양측으로 잡아당겨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부를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일정길이의 치실을 사용함에 따라 경제적인 효과를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1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100)는 크게 포장지(110)와 치아세정지(130)로 이루어진다.
포장지(110)는 종이재질 또는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포장지(110)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내부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장지(110)는 관형상으로 양 끝단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접착부(120)가 형성되고, 접착부(120)에 의해 포장지(110)의 내부가 밀폐된다.
상기 접착부(120)은 융착되거나 매듭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단순한 설계변경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치아세정지(130)는 포장지(110)와 동일하게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포장지(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포장지(110)의 접착부(120) 형성시 각 끝단이 접착부(120) 사이에 개재되어 함께 접착됨에 따라 접착부(120)에 고정된다.
치아세정지(130)는 이물질 흡착력이 우수하고 비교적 저렴한 제지류 또는 직물류로 이루어지며, 관형상으로 후술되는 절취선(135)에 의해 절개 시 골무형상으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치아세정지(130)는 인체에 무해한 범위에서 정제된 에탄올(Ethanol)이나 녹차추출물, 프로폴리스(Propolisestract) 및 자일리톨(Xylitol), 불소 등의 세정성분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타인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는 박하향이나 체리향 등의 각종 향료가 함유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치아세정지(130)는 이물질의 세정력을 향상시키고 세척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적절한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상기 포장지(110)를 진공 유지시켜야 한다.
상기 포장지(110)와 치아세정지(130)의 중앙부에는 일정 힘에 의해 절개되도록 절취선(115,135)이 각각 형성된다.
이는 포장지(110)의 접착부(120)를 파지하여 일정 힘으로 잡아당기면 절취선(115,135)에 의해 포장지(110) 및 치아세정지(130)가 절개되어 양분되어 치아세정지(130)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골무형태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사용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지(110)의 접착부(120)를 파지하여 양측으로 일정 힘으로 잡아당겨 포장지(110)와 치아세정지(130)를 절개하여 양분시킨 후 손가락을 치아세정지(130)의 개방된 측으로 삽입시키고, 외측의 포장지(110)를 뒤집어 주어 치아세정지(130)의 표면을 노출시킨 후 치아를 세정하면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일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또는 도 4는 치아세정지(130)의 내부에 치실(140)이 구비되고, 치실(140)의 양 끝단은 접착부(120)에 고정된다.
이때, 치실(140)의 양 끝단에는 치실(14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재(125)가 연결되고 접착부(120)의 접착시 사이에 개재되어 함께 접착된다.
지지부재(125)는 강성을 지니는 바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치실(140)이 지지부재(125)에 연결되어 접착부(120)에 접착되는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접착부(120)와 치실(14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치실(140)은 포장지(11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지그재그 형상 또는 코일 형상으로 구비되어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작용을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는 포장지(11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접착부(120)를 파지하여 일정 힘으로 잡아당기면, 포장지(110)와 내부에 구비된 치아세정지(130)가 각각의 절취선(115,135)을 기준으로 양분된다.
이때, 치실(140)은 포장지(11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치실(140)은 힘을 받지 않아 연장될 뿐 끊어지지 않으므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치실(140)이 노출되면, 노출된 치실(140)을 이용하여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그리고, 치실(140)은 지지부재(125)에 의해 접착부(125)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는 치실(140)을 직접 파지하지 않고 접착부(120)를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접착부(120)를 손잡이로 사용함으로써, 치실(140)의 오염없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치실(140)로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정리한 후에 양측으로 양분되어 골무형상을 지닌 치아세정지(130)에 손가락을 삽입시키고, 외측의 포장지(110)를 뒤집어 주어 치아세정지(130)의 표면을 노출시킨 후 치아를 세정하면 된다.
도 5는 치아세정지(130)의 내부에 구비된 치실(140)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보다 긴 길이의 치실(140)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치실(140)은 각 끝단이 지지부재(125)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어 포장지(110)의 접착부(120)에 함께 접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은 치아세정지(130) 내부에 치실(140')이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접착부(120)에 일측만 고정된다.
즉, 치실(140')의 일측에만 지지부재(125)가 연결되어 포장지(110)의 접착부(120)에 함께 접착되어 구성된다.
이의 작용을 살펴보면, 일정 힘으로 양측의 접착부(120)를 잡아당기면 포장지(110)와 치아세정지(130)가 절취선(115,135)에 의해 절개되어 내부의 치실(140')이 개방된다.
이후, 일측은 접착부(120)를 파지하고, 타측은 치실(140')이 환형이므로 치실(140') 사이에 손가락을 끼워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그리고, 분리되어 골무형상을 이루는 치아세정지(130)를 이용하여 치아를 세정하면 된다.
그리고, 도 7 또는 도 8은 치아세정지(130) 내부에 치실(140')이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치실(140')의 각 단부가 지지부재(125)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접착부(120)에 함께 접착되어 고정된다.
이의 작용을 살펴보면, 일정 힘으로 양측의 접착부(120)를 잡아당기면 포장지(110)와 치아세정지(13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절취선(115,135)에 의해 절개되어 내부의 치실(140')이 개방된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치실(140')은 한 쌍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치아세정지(130) 또한, 절취선(135)에 의해 양분되어 다른 사람과 나누어 사용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지닌다.
또한, 마지막으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지(110)의 내부에 치실(140')와 치아세정지(130')가 구비되는데, 치실(140')은 일측의 접착부(120)에 지지부재(125)에 의해 환형으로 고정되고, 포장지(110)의 내부에 골무형상의 치아세정지(130')가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포장지(110) 내부에 구비된 치아세정지(130,130')와 치실(140,140')을 사용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위생적인 치아세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110 : 포장지
115, 135 : 절취선 120 : 접착부
125 : 지지부재 130, 130' : 치아세정지
140, 140' : 치실

Claims (9)

  1. 포장지;
    상기 포장지의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접착부;
    상기 포장지 내부에 구비되어, 양 끝단이 상기 접착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치아세정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장지의 개방시 상기 치아세정지가 양측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2. 포장지;
    상기 포장지의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접착부;
    상기 포장지 내부에 구비되어, 일측 끝단이 상기 접착부에 고정되는 환형의 치실;
    상기 포장지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방향으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골무형상의 치아세정지를 포함하는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와 상기 치아세정지의 중앙부에는 일정 힘에 의해 절개되도록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세정지의 내부에는 치실이 구비되고;
    상기 치실은 각 단부가 상기 접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의 양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은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부 중 어느 일측의 접착부에 치실의 양 끝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은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 치실의 양측 끝단부가 서로 다른 접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의 중앙부에는 일정 힘에 의해 절개되도록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KR1020080099419A 2008-10-10 2008-10-10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KR100960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419A KR100960718B1 (ko) 2008-10-10 2008-10-10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419A KR100960718B1 (ko) 2008-10-10 2008-10-10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364A KR20100040364A (ko) 2010-04-20
KR100960718B1 true KR100960718B1 (ko) 2010-05-31

Family

ID=4221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419A KR100960718B1 (ko) 2008-10-10 2008-10-10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838B1 (ko) * 2020-09-16 2021-04-06 주식회사 피지엘 프로폴리스가 포함된 치실 및 치실 도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966A (ko) * 2001-12-11 2003-05-22 이종수 치실을 내장한 치아 세정지
KR200348233Y1 (ko) 2004-01-14 2004-04-29 김중한 치아 세정 도구
KR200377954Y1 (ko) 2004-11-26 2005-03-10 김중한 골무형 치아 및 치간 세정도구
WO2007114723A1 (fr) 2006-03-31 2007-10-11 Lyulyev Vyacheslav Mikhailovic Dispositif pour nettoyer les espaces interdentaires (et modes de réalis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966A (ko) * 2001-12-11 2003-05-22 이종수 치실을 내장한 치아 세정지
KR200348233Y1 (ko) 2004-01-14 2004-04-29 김중한 치아 세정 도구
KR200377954Y1 (ko) 2004-11-26 2005-03-10 김중한 골무형 치아 및 치간 세정도구
WO2007114723A1 (fr) 2006-03-31 2007-10-11 Lyulyev Vyacheslav Mikhailovic Dispositif pour nettoyer les espaces interdentaires (et modes de réali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364A (ko) 201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5392A (en) Toothpick containing dental floss
US9561091B2 (en) Toothpick device
US6526993B1 (en) Dental implement with comfit grip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amp; methods of use thereof
US20160150874A1 (en) Constructive disposition applied to toothbrush conjugated to dental floss
KR100960718B1 (ko)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US20100086496A1 (en) Oral care package
KR200407689Y1 (ko)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KR101020097B1 (ko)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JP2016150246A (ja) 両手で使用する歯間洗浄器
JP2002336278A (ja) 口腔用清掃具
EP1455677B1 (en) Tooth-cleaning paper combined with dental floss
KR20040041240A (ko) 일회용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40879A (ko) 일회용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조방법
AU2002356449A1 (en) Tooth-cleaning paper combined with dental floss
KR200362476Y1 (ko) 일회용 치아 세정 세트
KR200388505Y1 (ko) 세정액 또는 소독액이 구비된 치간 칫솔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WO2012090007A1 (en) Dental flosser
KR20090010987U (ko) 치실 고정구
KR200348233Y1 (ko) 치아 세정 도구
KR20220085296A (ko) 치실 및 이쑤시개 일체형 칫솔빗
KR101515160B1 (ko) 치실에 손대지 않고 사용하는 멀티 패키지
KR200158994Y1 (ko) 이쑤시개
JP3020703U (ja) 歯の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