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700B1 - 리프팅 승모판막륜 성형기구 - Google Patents

리프팅 승모판막륜 성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700B1
KR100960700B1 KR1020080023311A KR20080023311A KR100960700B1 KR 100960700 B1 KR100960700 B1 KR 100960700B1 KR 1020080023311 A KR1020080023311 A KR 1020080023311A KR 20080023311 A KR20080023311 A KR 20080023311A KR 100960700 B1 KR100960700 B1 KR 100960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tral valve
valve
mitral
present
ring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120A (ko
Inventor
송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이언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8002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70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이언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이언씨티
Priority to US12/922,437 priority patent/US20110087323A1/en
Priority to JP2010550575A priority patent/JP2011525378A/ja
Priority to EP08723479A priority patent/EP2257241A4/en
Priority to PCT/KR2008/001442 priority patent/WO2009113748A1/en
Priority to MX2010009908A priority patent/MX2010009908A/es
Priority to RU2010141855/14A priority patent/RU2460498C2/ru
Priority to CN200880127997XA priority patent/CN101998844A/zh
Priority to AU2008352711A priority patent/AU2008352711A1/en
Priority to CA2718086A priority patent/CA2718086C/en
Publication of KR20090098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45Annuloplasty rings in direct contact with the valve ann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78Operations on blood vessels
    • A61B2017/00783Valvul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2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bending or flexure capa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방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서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그 폭과 높이의 비율이 1:2 내지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모판막륜 성형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모판막륜 중 후판막엽에 인접한 부위만을 좌심방벽에 위치한 성형기구까지 리프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승모판막의 움직임은 물론이고 승모판막륜과 주변 좌심실의 움직임을 전혀 방해하지 않은 상태로 승모판막의 기능을 복원시키는 효과가 있다.
승모판막, 판막엽, 성형기구

Description

리프팅 승모판막륜 성형기구{An Apparatus for Mitral Lifting Annuloplaty}
본 발명은 승모판막륜 성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모판막폐쇄부전증과 같은 승모판막질환의 성형교정에 사용되는 승모판막륜 성형기구에 관한 것이다.
심장에는 심장의 두 측부를 통한 혈액의 흐름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4개의 판막이 있다. 심장의 좌측(전신)에는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한 승모판막과 좌심실과 대동맥 간에 위치된 대동맥판막이 있으며, 이들 두 개의 판막은 폐에서 배출되는 산소가 첨가된 혈액을 심장의 좌측을 통해서 대동맥으로 안내하여 신체에 분배한다.
한편, 우측(폐)에는 우심방과 우심실 간에 위치한 삼첨판막과 우심실과 폐동맥간에 위치한 폐동맥판막이 있는데, 이들 두 개의 판막은 신체에서 나오는 탈산소 혈액을 심장의 우측을 통해 폐동맥으로 안내하여 폐에 분배하고 거기에서 다시 산소가 첨가되어 순환이 재개된다.
전술한 4개의 심장판막은 자신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으며 어떠한 능동적인 수축작용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수동구조이고, 상기 판막의 차등압력에 반응하여 개폐되도록 설계된 운동 가능한 '소엽(leaflet)'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심실에 구비되어 혈액의 흐름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승모판막과 삼첨판막을 심방과 심실사이에 위치한다고 하여 방실판막이라 하는데, 상기 방실판막은 심실에서 기시(originate)한 유두근과 상기 유두근에 기시한 건삭이 마치 우산 모양으로 펼쳐져 판막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여기서, 승모판막은 좌심방과 좌심실사이에 위치한 판막으로 심장의 수축기 때는 닫히고 확장기 때는 열린다.
승모판막은 근육으로 이루어진 좌심방과 좌심실사이에 위치하고, 그 가장자리에는 섬유질의 벨트형상의 승모판막륜(Annulus)이 위치하고, 그 내부에 전엽과 후엽으로 지칭되는 두개의 판막엽(Leaflet)이 있으며, 좌심실내의 두개의 유두근(Papillary Muscle)으로부터 돌출된 판막건삭(Chordae)이 판막엽 하부에 붙어 판막엽이 좌심실 내의 수축기 압력에 밀려 좌심방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심장이 확장할 경우 승모판막이 완벽하게 열리지 못하는 질환을 승모판막협착증이라 부르고, 심장이 수축할 경우 승모판막이 충분히 닫히지 못하는 상태를 승모판막폐쇄부전증이라 부른다.
상기 승모판막폐쇄협착증은 류마티스염을 앓고 난 후유증이나 선천적으로 발생하며, 승모판막폐쇄부전증은 류마티스염, 판막의 퇴행성 변화, 심근의 허혈성 질 환, 세균 또는 진균감염과 같은 외상 등이 원인이 되어 판막엽이 제대로 닫히지 못하거나 판막하부구조의 변성으로 발병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승모판막의 기능이 완전하지 못하면 혈액의 흐름에 장애가 생겨 좌심방과 좌심실의 확대, 심장의 수축력 저하 및 혈액의 흐름을 방해한다.
이에, 승모판막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방법에는 현재 인공판막치환술과 승모판막성형술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상기 인공판막치환술은 승모판막엽을 수술을 통해 절제해내고 그 자리에 기계판막 또는 조직판막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기계판막의 경우 수술 후 혈전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항혈액응고제를 꾸준히 복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조직판막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조직판막의 내구성에 문제가 있어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재수술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두 방법은 공통적으로 승모판막하부구조를 파괴하는 수술로써 좌심실기능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환자의 승모판막엽과 판막하부구조를 유지하며 승모판막의 개폐기능을 복원하는 승모판막성형술이 이용된다.
상기 승모판막성형술은 승모판막의 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해 판막륜의 팽대를 막고, 심실의 수축주기에 따라 판막륜이 좌심실과 함께 움직이고, 판막엽과 그 하부구조가 판막엽의 개폐기능을 완전하게 회복시켜야 한다.
현재까지,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승모판막성형술을 위한 기구들이 많이 개발되어 왔는바, 이러한 일례로서 프랑스의 카펜티어[Carpentier-Edwards Classic Mitral Annuloplasty Ring, Edwards Lifesciences LLC]는 딱딱한 D자형 성 형기구를 이용하여 판막륜의 기능을 복원시키려 하였으나, 이는 판막륜이 심실과 함께 움직인다는 생리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 승모판막 전엽에 해당하는 판막륜의 움직임을 고정시킴으로써 순차적으로 판막엽과 그 하부 구조의 폐쇄를 방해하여 좌심실의 대동맥 유출로를 좁게 만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미국의 듀란[Duran Flexible Annuloplasty Ring, Medtronic, Inc.]이 개발한 연성의 승모판막 성형링은 판막륜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제조되었지만 전체 판막륜을 모두 둘러싸고 조여 주는 기능 및 형상으로 인해 성형링과 판막륜이 유착되어 장기적으로 판막 면적의 축소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전술한 듀란이 개발한 연성승모판막 성형링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의 코스그로브[Cosgrove-Edwards Annuloplasty System, Edwards Lifesciences LLC]는 판막륜 중 후엽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고정하여 주는 연성(Flexible) 성형기구를 제조하였으나, 이것 역시 성형기구와 판막륜 사이의 유착으로 궁극적으로 딱딱한 고정체로서의 역할을 하여 판막후엽과 그 주변 심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도 3a 및 도 3b).
여기서, 도 3a는 승모판막성형술을 위한 성형기구를 적용하기 전의 승모판막륜, 특정적으로 후승모판막륜을 나타내고, 도 3b는 종래의 승모판막성형술을 위한 성형기구의 적용양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특히, 도 2a, 도 2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듀란 링이나 코스그로브 링은 모두 연성 링으로 승모판막륜에 고정되어 승모판막륜을 판막면에 평행하게 고정시키는 벡터만을 발휘하게 한다. 그 결과 링의 길이축 방 향(Longitudinal Vector, X 방향)과 같은 평면의 직각방향인 방사성축 방향(Radial Vector, Y 방향)으로 늘어나는 것은 억제하지만 이평면에 수직축 방향(Vertical Vector, Z 방향)으로의 변형, 예를 들면 신축은 억제하지 못한다. 실제로 승모판막륜은 동일 평면인 XY면 상에 놓여 있지 않고 높낮이 면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바,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전술한 듀란 링이나 코스그로브 링이 위치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모판막륜에 인접한 승모판막엽 위에 위치하므로, 승모판막륜과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여 그곳에 시간이 흐를수록 육아종조직(granulation tissue)이 채워 들어가면서 판막륜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상기 듀란 링과 코스그로브 링은 XY면에서 X 및 Y 방향의 힘만을 받아 승모판막륜을 고정시키지만 Z방향의 변형에 대해서는 저항하지 못한다. 따라서 전술한 듀란 링 또는 코스그로브 링은 Z 방향이 힘에 의해 변형되어 길이가 단축되면서 XY면의 힘과 길이의 변화로 궁극적으로 승모판막면적의 축소를 초래하고 동시에 판막엽의 불완전폐쇄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승모판막륜의 부위별 기능을 최대한 고려하여 승모판막엽은 물론 승모판막륜의 움직임도 방해하지 않고 그 기능을 유지한 채로 판막륜의 팽대를 막고 판막엽과 그 하부 구조의 기능을 복원시키고자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모판막륜 중에서 후판막엽에 인접한 부위의 판막륜을 팽대되지 않게 고정하되, 본래 승모판막륜의 높이가 단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승모판막위가 아닌 좌심방벽에 위치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의 높이까지 끌어올려(lifting-up) 고정시킴으로써, 수직축방향인 Z 방향으로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성형기구, 특정적으로 연성 섬유성 재질로 이루어진 성형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과제 해결 수단이 있다.
본 발명은 승모판막륜 중 후판막엽에 인접한 부위만을 좌심방벽에 위치한 성형기구까지 리프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승모판막의 움직임은 물론이고 승모판막륜과 주변 좌심실의 움직임을 전혀 방해하지 않은 상태로 승모판막의 기능을 복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심방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서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그 폭과 높이의 비율이 1:2 내지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직육면체의 일측면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태의 가이드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는 길이방향으로는 변형이 가능하지만, 수직방향으로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승모판막의 기능부전은 판막이 열릴 때 완전히 열리지 못하거나(판막협착증), 판막이 닫힐 때 완전히 닫히지 못하는 경우(판막폐쇄부전증)를 모두 포함하는바, 심장의 확장주기 때 승모판막의 완전한 열림을 방해하는 승모판막협착증의 원인으로는 류마티스열의 후유증, 선천성기형 등이 있고 심장의 수축주기 때 승모판막엽의 완전한 폐쇄를 방해하는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의 원인으로는 판막륜의 팽창, 판막엽의 팽대 또는 결손, 판막하부구조인 건삭과 유두의 파열, 또는 길게 늘어지는 현상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는 심장의 승모판막의 개폐 기능에 이상이 있는 승모판막질환의 교정술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승모판막륜 중에서 후판막엽과 인접한 판막륜만을 인근 좌심방 벽면에 끌어올려 고정시켜줌으로써 판막륜의 팽대를 막고, 판막륜의 수축과 확대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유지한 채 승모판막엽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판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 이라도 본 발명의 승모판막륜 성형기구에 해당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가상의 3차원에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의 벡터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좌심방에서 바라본 승모판막을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8의 B-B' 절개를 기준으로 승모판막륜에 승모판막륜 성형기구가 봉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가 승모판막륜에 봉합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가 승모판막륜에 봉합된 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승모판막륜에 적용한 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의 적용시 봉합사의 적용방법을 나타내는 도, 도 14는 가상면을 기준으로 승모판막륜의 높낮이가 차이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적용하기 전의 좌심실을 포함하는 승모판막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적용하여 높낮이가 다른 후승모판막륜을 리프팅 시키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적용한 경우의 좌심실을 포함하는 승모판막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적용한 경 우의 좌심방에서 바라본 승모판막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는 기하학적으로 길쭉하게 형성된 형태, 예컨대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그 길이는 좌심방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라면 어떠한 길이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좌심방 내부 공간에서 승모판막륜 주위를 둘러쌀 수 있을 정도의 길이인 것이 좋고, 그 재질은 인체에 삽입되어도 어떠한 화학적 반응 및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생체친화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실크,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전술한 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성 재질, 추천하기로는 연성의 섬유성 재질로서 폴리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는 특정적으로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모판막후엽 판막륜에 인접한 좌심방 측벽면에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여 판막륜 중에서 후엽에 인접한 판막륜, 즉 후승모판막륜의 섬유층 가장자리 부분만을 끌어올려 좌심실벽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여 궁극적으로 승모판막륜의 직경을 본래 크기에서 더 이상 팽대하지 않도록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X방향)으로는 변형, 특정적으로 접힘과 신축이 가능하지만 수 직방향인 Z축으로는 변형, 특정적으로 신축이 불가능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폭과 높이의 비율이 1:2 내지 8, 바람직하게는 1:4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승모판막륜을 일정한 높이로 끌어올려 좌심방벽에 고정시키면서 심장의 수축주기에 따라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의 길이방향으로는 변형, 특정적으로 신축이 발생하여도 수직방향으로는 변형, 특정적으로 신축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하여 승모판막륜과 판막엽, 그리고 좌심실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면서 승모판막륜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폭과 높이의 비율이 1:2 내지 1:8이 되도록 하고 그 재질에 따라 상기 폭과 높이의 비율이 변화된다.
더욱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승모판막에서 판막륜은 가상의 단일 평면(XY 면)안에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높낮이 차이가 있다. 따라서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에서 판막륜이 팽대하는 경우에도 이런 판막륜의 높낮이 차이는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막륜의 팽대를 막고 높낮이가 차이나는 판막륜을 좌심방에 위치하는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 높이까지 고정시켜 줌으로써 상기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가 기준판의 역할을 하게 되는바, 상기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를 기준으로 판막륜의 변형을 막고 판막엽과 그 하부구조의 길고 짧음, 넓고 좁음 등을 성형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게 되므로 승모판막륜은 좌심방에 위치한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 높이에 최소한으로 고정되어 심장의 수축에 따라 승모판막륜의 움직임과 좌심실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직육면체의 일측면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태의 가이드홈(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4)은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승모판막 성형기구(2)가 좌심방벽에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승모판막륜을 리프팅시키기 위한 것이며, 더 나아가 좌심방 벽면에 일정한 높이로 끌어올려진 승모판막륜을 봉합사(6)로 안전하게 결찰하는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의 사용양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모판막폐쇄부전증 등이 발생한 경우 승모판막 판막엽의 병변을 교정한 후, 승모판막륜 근처의 좌심방의 측벽에 승모판막 후판막륜을 끌어올려 고정시키기 위해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를 위치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의 적용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포판막의 C1로부터 C2 위치에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를 위치시킨 후 봉합사로 서로 결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 8에 도시된 점선은 승모판막을 부위별로 구별하기 위한 경계선으로서,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A1, A3, C2, P3, PM2, PM1, P1 및 C1"로 각각 그 위치를 표시하며, 상기 위치의 표시는 당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표시방법이다. 아울러, 도 9는 도 8의 B-B' 절개를 기준으로 펼쳤을 때 승모판막에 승 모판막륜 성형기구(2)가 봉합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그 다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 위치에 위치하는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를 봉합사(6)로 서로 결찰시킨 후 마무리 하여 최종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로 좌심방의 측벽에 승모판막 후판막륜을 끌어올려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그 폭과 높이의 비율이 1:2 내지 8인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보다 용이한 시술을 위하여 가이드홈(4)이 형성된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를 사용할 경우, 성형기구(2)의 내측면, 즉 가이드홈(4)을 따라 봉합사(6)를 결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6)의 거치 방향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심방벽에서 시작하여 관상동맥을 다치지 않게 승모판막륜 가장자리를 뜬 후 본 발명의 성형기구(2), 특정적으로 성형기구(2)의 가이드홈(4)을 통해 나오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보통 6 내지 12개 정도의 이중바늘이 달린 봉합사(Double-armed sutur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방법을 통하여 좌심방의 승모판막에 이웃하도록 승모판막륜 성형기구(2)를 시술하는 경우,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늘어난 후승모판막륜 부분(굵게 표시된 부분)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모판막륜 중에서 후판막엽에 인접한 부위의 판막륜이 좌심방벽의 일정높이로 끌어올려져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심장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2a는 승모판막성형술을 위한 성형기구의 작용시 벡터를 나타내는 도,
도 2b는 가상의 3차원에서 승모판막성형술을 위한 성형기구의 벡터를 나타내는 도,
도 3a는 승모판막성형술을 위한 성형기구를 적용하기 전의 승모판막륜을 나타내는 도,
도 3b는 종래의 승모판막성형술을 위한 성형기구의 적용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종래의 승모판막륜 성형기구가 판막륜을 포함한 판막엽위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가상의 3차원에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의 벡터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좌심방에서 바라본 승모판막을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8의 B-B' 절개를 기준으로 승모판막륜에 승모판막륜 성형기구가 봉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가 승모판막륜에 봉합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가 승모판막륜에 봉합된 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승모판막륜에 적용한 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의 적용시 봉합사의 적용방법을 나타내는 도,
도 14는 가상면을 기준으로 승모판막륜의 높낮이가 차이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적용하기 전의 좌심실을 포함하는 승모판막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적용하여 높낮이가 다른 후승모판막륜을 리프팅 시키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적용한 경우의 좌심실을 포함하는 승모판막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승모판막륜 성형기구를 적용한 경우의 좌심방에서 바라본 승모판막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성형기구 4 : 가이드홈
6 : 봉합사

Claims (4)

  1. 심방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서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그 폭과 높이의 비율이 1:2 내지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모판막륜 성형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직육면체의 일측면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모판막륜 성형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모판막륜 성형기구가 길이방향으로는 변형이 가능하지만 수직방향으로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모판막륜 성형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있어서,
    상기 승모판막륜 성형기구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실크,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모판막륜 성형기구.
KR1020080023311A 2008-03-13 2008-03-13 리프팅 승모판막륜 성형기구 KR100960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311A KR100960700B1 (ko) 2008-03-13 2008-03-13 리프팅 승모판막륜 성형기구
JP2010550575A JP2011525378A (ja) 2008-03-13 2008-03-14 リフティング僧帽弁輪形成器具
EP08723479A EP2257241A4 (en) 2008-03-13 2008-03-14 MITRAL ANNULOPLASTY APPARATUS
PCT/KR2008/001442 WO2009113748A1 (en) 2008-03-13 2008-03-14 An apparatus for mitral lifting annuloplaty
US12/922,437 US20110087323A1 (en) 2008-03-13 2008-03-14 Apparatus for Mitral Lifting Annuloplaty
MX2010009908A MX2010009908A (es) 2008-03-13 2008-03-14 Un aparato para anuloplastia elevadora mitral.
RU2010141855/14A RU2460498C2 (ru) 2008-03-13 2008-03-14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тягивающей митральной аннулопластики
CN200880127997XA CN101998844A (zh) 2008-03-13 2008-03-14 用于二尖瓣提升的瓣环成形术的装置
AU2008352711A AU2008352711A1 (en) 2008-03-13 2008-03-14 An apparatus for mitral lifting annuloplaty
CA2718086A CA2718086C (en) 2008-03-13 2008-03-14 An apparatus for mitral lifting annulopla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311A KR100960700B1 (ko) 2008-03-13 2008-03-13 리프팅 승모판막륜 성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120A KR20090098120A (ko) 2009-09-17
KR100960700B1 true KR100960700B1 (ko) 2010-05-31

Family

ID=4106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311A KR100960700B1 (ko) 2008-03-13 2008-03-13 리프팅 승모판막륜 성형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087323A1 (ko)
EP (1) EP2257241A4 (ko)
JP (1) JP2011525378A (ko)
KR (1) KR100960700B1 (ko)
CN (1) CN101998844A (ko)
AU (1) AU2008352711A1 (ko)
CA (1) CA2718086C (ko)
MX (1) MX2010009908A (ko)
RU (1) RU2460498C2 (ko)
WO (1) WO200911374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9292A1 (en) * 1999-09-17 2001-03-22 Cardiac Concepts, Inc. Mitral valve annuloplasty ring and method
US6368348B1 (en) 2000-05-15 2002-04-09 Shlomo Gabbay Annuloplasty prosthesis for supporting an annulus of a heart valve
WO2003041617A1 (en) 2001-11-13 2003-05-22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itral valve annuloplasty ring for molding left ventricle geometry
US20070191939A1 (en) 2005-09-30 2007-08-16 Tim Ryan Flexible annuloplasty prosthesi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0233A1 (de) * 1999-03-09 2000-09-21 Jostra Medizintechnik Ag Anuloplastieprothese
US6368328B1 (en) * 1999-09-16 2002-04-09 Scimed Life Systems, Inc. Laser-resistant medical retrieval device
US6908482B2 (en) * 2001-08-28 2005-06-21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annuloplasty ring and template
KR100466839B1 (ko) * 2003-03-28 2005-01-17 주식회사 사이언씨티 대동맥판막 성형기구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US20060100697A1 (en) * 2004-11-10 2006-05-11 Casanova R M Shape memory annuloplasty ring and holder
EP1719476B1 (en) * 2005-05-06 2011-11-23 Sorin Biomedica Cardio S.R.L. Annuloplasty prosthesi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9292A1 (en) * 1999-09-17 2001-03-22 Cardiac Concepts, Inc. Mitral valve annuloplasty ring and method
US6368348B1 (en) 2000-05-15 2002-04-09 Shlomo Gabbay Annuloplasty prosthesis for supporting an annulus of a heart valve
WO2003041617A1 (en) 2001-11-13 2003-05-22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itral valve annuloplasty ring for molding left ventricle geometry
US20070191939A1 (en) 2005-09-30 2007-08-16 Tim Ryan Flexible annuloplasty prosthe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0141855A (ru) 2012-04-20
CA2718086C (en) 2013-08-13
EP2257241A4 (en) 2013-01-09
KR20090098120A (ko) 2009-09-17
CN101998844A (zh) 2011-03-30
WO2009113748A1 (en) 2009-09-17
RU2460498C2 (ru) 2012-09-10
US20110087323A1 (en) 2011-04-14
CA2718086A1 (en) 2009-09-17
MX2010009908A (es) 2011-04-11
EP2257241A1 (en) 2010-12-08
JP2011525378A (ja) 2011-09-22
AU2008352711A1 (en)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6716B2 (en) Self-molding annuloplasty ring
US95045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shaping tricuspid valve annulus
US8252051B2 (en) Method of implanting a prosthetic valve in a mitral valve with pulmonary vein anchoring
US738122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ementing, repairing, or replacing a native heart valve leaflet
US20160095701A1 (en) Bi-Leaflet Mitral Valve Design
BR112014026724B1 (pt) Prótese de valva cardíaca, dispositivo de dispensa e método de fabricar uma prótese de valva cardíaca
CN111110403A (zh) 一种带锚定环的心脏瓣膜装置及其使用方法
CN212382790U (zh) 一种带锚定环的心脏瓣膜装置
KR100960700B1 (ko) 리프팅 승모판막륜 성형기구
US20240156591A1 (en) Low-profile prosthetic hemi heart valve devices and methods for use
KR101132376B1 (ko) 인조판막엽 및 이의 제조장치
KR101074093B1 (ko) 인조판막엽 및 이의 제조장치
WO2021034538A1 (en) Heart valve leaflet tethering
UA123570U (uk) Кільце для анулопластики мітрального клапана
AU2002324750A1 (en) Self-molding annuloplasty 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