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401B1 -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처리제 - Google Patents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처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401B1
KR100960401B1 KR1020090006129A KR20090006129A KR100960401B1 KR 100960401 B1 KR100960401 B1 KR 100960401B1 KR 1020090006129 A KR1020090006129 A KR 1020090006129A KR 20090006129 A KR20090006129 A KR 20090006129A KR 100960401 B1 KR100960401 B1 KR 100960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queous solution
water treatment
aci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덕
Original Assignee
로하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하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하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처리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정제수에 미생물 등을 혼합하여 미생물 함유 수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수용액을 발효시킨 후 2회에 걸쳐 증류하고, 여기에 산(acid) 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개선 수처리제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수중의 탁도를 낮추어 주며 수처리공정에서의 부식을 효율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인체에 상해를 입히지 않고 부식, 스케일 및 슬라임 발생을 모두 억제하므로 취급이 용이하다.
미생물, 배양, 증류, 산, 수처리

Description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처리제{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 treatment agent us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water treatment agent made thereby}
본 발명은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처리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정제수에 미생물 등을 혼합하여 미생물 함유 수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수용액을 발효시킨 후 2회에 걸쳐 증류하고, 여기에 산(acid) 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물의 사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환경문제와 물 부족 현상이 대두되면서 법규에 의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물이 부족하거나 부식, 스케일 및 슬라임 누적 등의 장애현상으로 인한 냉각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공장가동중단이 될 경우 생산량 감소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며, 공업용수의 비용부담이 증가하면서 생산품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제품경쟁력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현대의 산업설비들은 고기능화ㆍ고효율화의 추세에 따라 에너지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계속 변모해 나가고 있고, 수처리 기술 역시 고효율화에 맞춰 용수의 가장 큰 사용처인 냉각수, 보일러수 및 오ㆍ폐수 처리기술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스케일은 금속표면에 부식에 의한 퇴적물이나 수질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금속 이온이 대기 중 또는 수중의 음이온계 화학물질 등과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화합물들을 일컬으며, 슬라임은 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나 대기 중의 미생물이 냉각 탑의 필터나 수배관 등에 부착되는 현상을 말한다.
실제 산업현장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비롯하여 수배관을 사용한 각종 산업용 설비에서는 매우 쉽게 스케일과 슬라임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설비에 커다란 장애를 줄 뿐 아니라 열효율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냉각수는 공급되는 공업용수 수질에 비해 5배 이상 고농축으로 운전하므로, 물 중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들이 서로 결합하여 난용성 염을 형성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들 염은 열부하를 특히 많이 받는 열교환기 등의 열전달면에 다공질의 침전물을 형성하여 물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거나, 심할 경우 수배관을 막아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각수 처리제가 필수 불가결하게 사용되어야 하고, 현재 전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 중에 있다.
종래의 배관 및 산업설비의 순환수에 사용되는 수처리제는 화학약품계열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화학약품계열의 수처리제는 설비에 손상을 일으키기 쉽고, 취급자의 보건안전에 위협을 주고 있으며, 또한 냉각수 처리를 위하여 수처리제들을 사용하는 경우, 부식방지제, 스케일방지제 및 미생물방지제를 각각 따로 투입하여 처리하였으므로 작업자의 인력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한가지 제품 투입으로는 이끼류를 포함한 미생물 오염, 부식 및 스케일 발생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화학약품계열의 수처리제는 그 자체에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해 다시 인력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인체손상을 최소화하고 자연친화적인 수처리제를 개발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자연 환경을 보호하며, 부식, 스케일 및 슬라임 발생을 모두 억제할 수 있는 수처리제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체손상을 최소화하고 자연친화적인 수처리제를 개발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자연 환경을 보호하며, 부식, 스케일 및 슬라임 발생을 모두 억제할 수 있는 환경개선 수처리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제수에 광합성 세균 5~20중량%, 효모 1~3중량%, 당(dextrose) 5~10중량%, 염화나트륨 1~3중량%가 함유되도록 미생물 함유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생물 함유 수용액을 밀폐된 용기에 넣어 공기와 차단한 후 20~26℃에서 30~40일간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액을 100~105℃에서 1차 증류하여 증류액을 얻는 단계; 상기 증류액을 100~105℃에서 2차 증류하여 미생물 배양액을 얻는 단계; 정제수에 DL-아미노 숙신산 3~5중량%,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3~5중량%, 젖산 12~25중량%, 글리코콜 8~12중량%가 함유되도록 산 함유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미생물 배양액에 상기 산 함유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미생물 함유 수용액은 젖산균 5~2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생물 함유 수용액은 아미노산 5~2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당은 수크라아제 및/또는 젖당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생물 배양액에 글리신, 아르기닌 및 아스파르트산이 추가로 첨가되되, 미생물 배양액 전체중량에 대하여 글리신 0.3~0.7중량%, 아르기닌 0.8~1.2중량%, 아스파르트산 0.8~1.2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생물 배양액에 첨가되는 산 함유 수용액은, 상기 미생물 배양액 100중량부에 상기 산 함유 수용액 10~25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수처리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개선 수처리제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수중의 탁도를 낮추어 주며 수처리공정에서의 부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또한, 인체에 상해를 입히지 않고 부식, 스케일 및 슬라임 발생을 모두 억제하므로 취급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제수에 광합성 세균 5~20중량%, 효모 1~3중량%, 당(dextrose) 5~10중량%, 염화나트륨 1~3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 함유 수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광합성 세균(photosynthetic bacteria)은 빛 또는 열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탄소동화작용을 하는 세균을 말하는데, 박테리오클로로필이라는 색소를 갖고 있어서 이산화탄소와 수소화합물을 재료로 하여 질소화합물, 아미노산, 생리활성물질, 당류 등 다수의 물질을 합성하는 광합성이 가능한 세균으로서, 클로로비움(Chlorobium), 크로마튬(Chromatium), 로도스피릴륨(Rhodospirillum), 로도슈도모나스(Rhodopseudomonas) 등이 있다.
상기 당은 수크라아제(sucrase) 및/또는 젖당(lactose)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크라아제는 인베르타아제(invertase) 또는 사카라아제(saccharase)라고도 하며 식품 가공에서 효소로서 사용되는데, 자당(sucrose)을 포도당과 과당으로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또한, 상기 젖당은 유아 영양, 의약의 희석제, 분석화학에서 크로마토그래피의 흡착제로도 사용된다.
상기 염화나트륨은 미생물의 성장 영양소로서 작용하고, 상기 광합성 세균의 삼투압을 맞추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미생물 함유 수용액에는 젖산균(lactic acid bacteria)이 5~20중량%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젖산균은 당을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유산균이라고도 하며, 젖산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에 의해서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이 저지되며, 락토바실루스속(Lactobacillus)과 스트렙토코쿠스속(Streptococcus)으로 대별된다. 젖산은 강한 살균력이 있으며 특히 유해한 미생물의 활동과 유기물의 급격한 부패분해를 억제한다. 젖산균은 리그닌이나 셀룰로오스 등의 난분해성 유기물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미분해 유기물이 일으키는 갖가지 폐해를 방지하고 유기물을 발효 분해시키는 역활을 한다.
또한, 상기 미생물 함유 수용액에는 아미노산(amino acid)이 5~20중량%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은 상기 미생물 함유 수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효모에 의해 생리활성물질로 변화되어 상기 광합성세균 및 젖산균을 증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미노산은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리신(lysine), 페닐알라닌 (phenylalanine), 메티오닌(methionine), 트레오닌(threonine), 트립토판 (tryptophane), 발린(valine), 알라닌(alanine), 아르기닌(argin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시스테인(cysteine), 글루타민(glutamine), 히스티딘(histidine), 프롤린(proline), 세린(serine), 티로신(tyrosine), 글리신(glycin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질 수 있다.
다음은 상기 미생물 함유 수용액을 밀폐된 용기에 넣어 공기와 차단한 후 20~26℃에서 30~40일간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한다.
상기 발효과정에서는 광합성세균이 질소화합물, 아미노산, 생리활성물질, 당류 등 다수의 물질을 합성하고, 효모는 상기 광합성세균이 생성한 물질을 이용하여 생리활성물질을 만들어 내며, 젖산균은 상기 광합성세균 및 효모가 만들어낸 당과 생리활성물질을 이용하여 젖산을 생성하게 된다.
즉, 광합성세균의 활동에 의하여 다른 미생물들의 활동이 유지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상기 광합성세균도 다른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물질을 활용하여 공존공영의 관계를 가지며, 상기 미생물들의 이러한 상호작용에 의하여 유해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된다.
상기에서 제조된 발효액에는 나트륨 성분 등 금속이온성분과 일반 병원성 세균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나트륨과 같은 금속이온은 수중의 전기전도율을 증가시키고 수질을 악화시키며, 상기 병원성 세균은 상기 발효액에 함유된 미생물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발효액에서 금속이온성분 및 병원성 세균을 제거해 줄 필요가 있다.
상기 발효액을 100~105℃에서 1차 증류하여 상기 발효액 중에 함유된 금속이온성분 및 병원성 세균을 제거하고 증류액을 얻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생물들은 상기 증류온도에서 분해되지 않는 반면에 상기 병원성 세균은 대부분 상기 온도에서 사멸되므로, 상기와 같이 증류공정을 통하여 상기 발효액에서 금속이온성분이 제거되고, 병원성 세균은 살균되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그대로 유지되어 미생물 활성이 저하되지 않은 증류액을 얻을 수 있다. 전기전도율은 상기 1차 증류공정을 거치는 동안 대략 5000mS/㎝에서 2000mS/㎝정도로 낮아진다.
상기 증류액을 다시 100~105℃에서 2차 증류하여 증류액의 농도를 높이는 동시에 상기 1차 증류에서 제거되지 않은 잔류 금속이온성분 및 병원성 세균을 모두 제거하여 미생물 배양액을 얻는다.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증류과정을 거치는 동안 상기 발효액 대비 40% 정도가 회수되며, 엷은 갈색을 띄거나 투명하게 된다.
처리할려는 물의 수질상태가 악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미생물 배양액에 영양성분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양성분으로는 글리신, 아르기닌 및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이 있으며, 전체중량에 대하여 글리신 0.3~0.7중량%, 아르기닌 0.8~1.2중량%, 아스파르트산 0.8~1.2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정제수에 DL-아미노 숙신산(DL-amino succinic acid) 3~5중량%,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3~5중량%, 젖산(lactic acid) 12~25중량%, 글리코콜(glycocoll) 8~12중량%가 함유되도록 산 함유 수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아미노 숙신산은 아스파라긴산 또는 아스파르트산이라고도 하는데, L-형 / D-형 2종의 이성질체가 있고, L-형은 단백질의 구성성분 및 유리 상태로 동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며, D-형은 소나무에 유리산으로 존재한다.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는 유용한 외래 단백질 생산에 널리 이용되어온 효모로서, 효모를 이용하여 외래 단백질을 생산할 경우 인체에 안전하며, 동물 또는 사람 세포에서 발현되는 단백질과 유사한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상기 글리코콜은 글리신(glycine) 또는 아미노아세트산이라고도 하는데 물에는 녹으나 알코올ㆍ에테르 등의 유기용매에는 거의 녹지 않으며, 동물성 단백질에 다량 함유되어있고 생체 내 에너지대사 및 해독작용을 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미생물 배양액 100중량부에 상기 산 함유 수용액 10~25중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경개선 수처리제를 제조한다.
상기 산 함유 수용액의 혼합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부식, 스케일 및 슬라임 제거효과가 충분치 않고, 혼합량이 커질수록 제거속도가 증가하며, 스케일의 경우 스케일을 덩어리 형태로 회수하여 제거하는 것이 작업의 편리성이 있으나 25중량부를 초과하면 스케일이 물속에 녹아버려 스케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데 애로가 있으며, 또한 부식되지 않은 금속표면을 녹여낼 가능성이 있고 처리비용이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환경개선 수처리제는 처리할려는 물에 0.5~10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투입하여 사용한다.
이하,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정제수에 클로로비움 10중량%, 젖산균 5중량%, 아스파라긴 2.5중량%, 리신 2.5중량%, 효모 2중량%, 수크라아제 3.5중량%, 젖당 3.5중량%, 염화나트륨 2중량%가 함유되도록 미생물 함유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은 상기 미생물 함유 수용액을 밀폐된 용기에 넣어 공기와 차단한 후 23℃에서 35일간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발효액을 히터를 이용하여 102℃에서 1차 증류하여 증류액을 얻은 다음, 상기 증류액을 다시 102℃에서 2차 증류하여 미생물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미생물 배양액에 글리신 0.5중량%, 아르기닌 1.0중량%, 아스파르트산 1.0중량%를 추가하여 최종 미생물 배양액을 얻었다.
다음은 정제수에 DL-아미노 숙신산 4중량%,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4중량%, 젖산 18중량%, 글리코콜 10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산 함유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최종 미생물 배양액 10㎏에 상기 산 함유 수용액 2.0㎏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경개선 수처리제를 얻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수처리제의 세균분석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충청북도 청원의 지하수를 채취하여 상기 실시예의 수처리제를 혼합(지하수:수처리제=100:1의 중량비)하여 세균수를 측정하였고, 분석은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북부지원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세균분석실험
검체명 단위 일반 세균 레지오넬라균
수처리제 처리 전 CFU1)/㎖ 1,500 검출
수처리제 처리 후 CFU/㎖ 83 불검출
1) CFU : Colony Forming Unit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제가 일반 세균 및 레지오넬라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수처리제의 성능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2와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충청북도 청원의 지하수 2,000㎖를 채취하여 여기에 탄산칼슘 12g과 녹물 50㎖를 첨가한 후 상기 실시예의 수처리제 200㎖를 혼합하여 수질검사를 실시하였고, 대조구로 상기 수처리제 대신에 시중에 유통되는 스케일분산제(CHEM-AQUA 100, chemsearch, 미국) 100㎖ 및 스케일/부식방지제 100㎖을 혼합하여 비교분석하였으며, 분석은 (주)원일화학엔환경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성능실험
시험항목 단위 약품투입 전 약품투입 후
수처리제 처리 후 대조구
pH 7.20 6.50 12.50
탁도 NTU1) 30.30 2 830
전기전도율 ㎲/㎝ 423.00 4500.00 8380.00
총 경도 as CaCO3 ㎎/ℓ 7600.00 6200.00 3000.00
Ca ㎎/ℓ 1795.000 1756.00 1990.00
Mg ㎎/ℓ 16.840 15.720 16.490
Cl- ㎎/ℓ 21.40 24.90 28.50
SO4 -2 ㎎/ℓ 33.469 33.559 170.680
Fe ㎎/ℓ 1.361 1.539 1.173
1) NTU :Nephelometric turbidity units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제가 탁도를 감소시키는데 특히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지하수에 탄산칼슘과 녹물이 혼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제를 투입한 후 변화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상태에서 대조구를 투입한 후 변화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수처리제의 생체독성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생체독성시험은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피부자극시험, 급성어독성시험, 급성경구독성시험 및 안(眼)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생체독성시험
시험항목 시험대상동물 단위 결과치 시험방법
피부자극 토끼
(암컷 3마리)
①홍반 및 부종소견을 유발하지 않음
②일차피부자극지수:0.00
③비자극성 물질
(None irritant)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07-29호
급성어독성 송사리
(10마리)
㎎/ℓ LC50(48시간):〉100.0
LC50(96시간):〉100.01)
OECD TG 203
급성경구독성 랫드(rat)
(수컷 10마리와 암컷 10마리)
5,000㎎/㎏(투여용량/체중)에서 사망동물이 관찰되지 않음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5-60호
안자극 new Zealand White계 토끼
(암컷 6마리)
미약한 결막의 발적, 부종 및 분비물 등을 유발하는 경도 자극물(Mild irritant)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07-29호
1) 100.0㎎/ℓ의 시험농도에서 96시간 경과시까지 치사어가 관찰되지 않음.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제가 상기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부터 인체에 무해함을 유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수중의 탁도를 낮추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수처리공정에서의 부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부식, 스케일 및 슬라임 발생을 모두 억제하므로 취급이 용이하다.
도 1은 실험예 2에서 지하수에 탄산칼슘과 녹물이 혼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환경개선 수처리제를 투입한 후 변화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실험예 2에서 대조구를 투입한 후 변화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7)

  1. 정제수에 광합성 세균 5~20중량%, 효모 1~3중량%, 당(dextrose) 5~10중량%, 나트륨(salt) 1~3중량%가 함유되도록 미생물 함유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생물 함유 수용액을 밀폐된 용기에 넣어 공기와 차단한 후 20~26℃에서 30~40일간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액을 100~105℃에서 1차 증류하여 증류액을 얻는 단계;
    상기 증류액을 100~105℃에서 2차 증류하여 미생물 배양액을 얻는 단계;
    정제수에 DL-아미노 숙신산 3~5중량%,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3~5중량%, 젖산 12~25중량%, 글리코콜 8~12중량%가 함유되도록 산 함유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미생물 배양액에 상기 산 함유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함유 수용액은 젖산균 5~2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함유 수용액은 아미노산 5~2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은 수크라아제 및/또는 젖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배양액에 글리신, 아르기닌 및 아스파르트산이 추가로 첨가되되, 미생물 배양액 전체중량에 대하여 글리신 0.3~0.7중량%, 아르기닌 0.8~1.2중량%, 아스파르트산 0.8~1.2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배양액에 첨가되는 산 함유 수용액은, 상기 미생물 배양액 100중량부에 상기 산 함유 수용액 10~25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수처리제.
KR1020090006129A 2009-01-23 2009-01-23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처리제 KR100960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129A KR100960401B1 (ko) 2009-01-23 2009-01-23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처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129A KR100960401B1 (ko) 2009-01-23 2009-01-23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처리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401B1 true KR100960401B1 (ko) 2010-05-28

Family

ID=4228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129A KR100960401B1 (ko) 2009-01-23 2009-01-23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처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4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65B1 (ko) 2011-01-14 2012-03-16 주식회사 비엠 난분해성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제
KR101122766B1 (ko) 2011-01-14 2012-03-16 주식회사 비엠 혼합미생물(bm-s-1)을 포함한 미생물 제제, 이를 이용한 하천?호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및 슬러지 자가 소화공정
CN103043802A (zh) * 2012-12-25 2013-04-17 东莞市水立芳水处理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12299569A (zh) * 2020-10-19 2021-02-02 四川清和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微生物强化技术治理城市污染河道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334A (ko) * 2000-04-27 2001-11-14 양갑석 폐수 및 오수 처리용 미생물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6522A (ko) * 2002-11-27 2004-06-05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농도 유기물 폐수 처리용 미생물 처리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0450174B1 (ko) 1995-10-07 2005-02-24 네오자임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티드 도시 및 산업폐수 처리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174B1 (ko) 1995-10-07 2005-02-24 네오자임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티드 도시 및 산업폐수 처리용 조성물
KR20010100334A (ko) * 2000-04-27 2001-11-14 양갑석 폐수 및 오수 처리용 미생물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6522A (ko) * 2002-11-27 2004-06-05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농도 유기물 폐수 처리용 미생물 처리제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65B1 (ko) 2011-01-14 2012-03-16 주식회사 비엠 난분해성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제
KR101122766B1 (ko) 2011-01-14 2012-03-16 주식회사 비엠 혼합미생물(bm-s-1)을 포함한 미생물 제제, 이를 이용한 하천?호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및 슬러지 자가 소화공정
WO2012096462A3 (ko) * 2011-01-14 2012-09-2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분해성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제
CN103043802A (zh) * 2012-12-25 2013-04-17 东莞市水立芳水处理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12299569A (zh) * 2020-10-19 2021-02-02 四川清和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微生物强化技术治理城市污染河道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39577B (zh) 一株广谱抗菌解淀粉芽孢杆菌及其应用
CN110372105B (zh) 一种改良水产养殖水体的复合微生物菌剂及其制备方法
KR100960401B1 (ko) 환경개선 수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처리제
CN105130012A (zh) 一种水质改良剂
CN103462860B (zh) 用于化妆品的复配防腐剂
CN104591888A (zh) 防治香梨腐烂病的方法及其制剂和该制剂的生产方法
RU2428471C1 (ru) Экобиопрепарат &#34;центрум-mms&#34; для очистки от нефти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CN106259511B (zh) 一种生物除藻剂
CN107267407A (zh) 一种复合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13604407A (zh) 一种复合微生物除藻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710284B (zh) 具有氨氮降解能力的菌合剂及其应用
KR100971549B1 (ko) 오ㆍ폐수 부유물질 응집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응집제
KR101483198B1 (ko) 미강 발효를 이용한 미네랄 결정체 제조방법
JP6622958B2 (ja) 循環水の処理方法
KR10095680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녹 제거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녹 제거제
CN114231471B (zh) 一株化工溶剂降解菌弯曲假单胞菌ph-2及其在化工废水处理中的应用
KR100955452B1 (ko) 이끼ㆍ녹조류 제거용 미생물 배양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미생물 배양액
CN107176751B (zh) 一种快速降低淡水鱼类养殖池塘水华危害的应急处置方法
KR101619932B1 (ko) 제독유황을 이용하여 제조된 녹조제거/수질정화용 유황수처리제 및 이의 용도
US20090280984A1 (en) Method of Inhibiting the Growth of Algae
KR100909130B1 (ko) 음식폐기물 탈리액의 액체비료화 방법
CN106630190B (zh) 降解cod真菌菌剂及其制备方法
KR20090127476A (ko) 환경정화용 소생형 복합 미생물군(rm) 배양액의 조성 및 제조 방법
CN104651448A (zh) 一种液体硫乙醇酸盐培养基及其应用
CN103130332A (zh) 一种生物酶清水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