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371B1 -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371B1
KR100960371B1 KR1020100009391A KR20100009391A KR100960371B1 KR 100960371 B1 KR100960371 B1 KR 100960371B1 KR 1020100009391 A KR1020100009391 A KR 1020100009391A KR 20100009391 A KR20100009391 A KR 20100009391A KR 100960371 B1 KR100960371 B1 KR 10096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honeycomb
pipe
raw water
pro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범수
정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텍
Priority to KR1020100009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20Dissolving using flow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21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by moving the components in a convoluted or labyrinthine path
    • B01F25/42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by moving the components in a convoluted or labyrinthine path between stacked plates, e.g. grooved or perforated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8Mixing water in water-taps with other ingredients, e.g. air, detergents or disinfectants

Abstract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는 원수 유입구와 혼합 액체 유출구를 가진 파이프 형상이고, 상기 원수 유입구와 근접한 외주면에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약품 투입구를 가진 혼합관과, 약품 투입구에 관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혼합관 내부로 연장된 약품 투입관과, 약품 투입관의 약품 유출구 직하방에서 회전축이 혼합관의 중심선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약품 투입관 일단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회전되어 투입되는 약품과 원수를 교반하는 프로펠러와, 프로펠러 후방의 혼합관 내부에 설치되고, 혼합액체의 와류 흐름을 길이방향의 다수의 채널들을 통해 균일한 흐름으로 가이드하여 액체 유출구로 내보내는 벌집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Apparatus of Mixing Water and Disinfection agents within Pipe having powerless propeller and comb}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관로 약품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장이나 수영장 등에서 원수에 약품을 고르게 혼합시키기 위해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 수영장 등에서 원수 또는 정수를 소독하거나 이물질을 응집하기 위하여 소독약이나 응집제와 같은 약품을 투입한다. 즉, 원수를 취수장이나 수영장 등에 공급시키기 전에 원수를 파이프로 통과시키면서 약품을 투입한다. 이때, 약품 혼합장치를 사용하여 투입되는 약품이 원수에 고르게 혼합하여야 투입되는 약품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런 혼합장치는 원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사용 예로는 공급되는 원수를 소독하기 위해 소독약을 첨가하기 위하여 사용하거나,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응집제 등을 첨가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원수에 약품을 투입하여 혼합시켜 주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9-8182호 "정수장의 약품 혼합장치", 등록실용신안 제113114호 "응집제약품투입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24737호 "혼합이지 약품투입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75014호 "약품투입 및 혼합장치"등이 있다.
종래의 혼합장치는 약품을 원수와 고르게 혼합시켜 주지 못하므로 소독효과가 떨어지거나 슬러지를 응집시키는 응집력이 떨어져 정화효율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공개특허 제2009-19386호 "무동력 관내 혼합장치"가 공개되었다.
이 공개특허에서는 액체 유입관 보다 직경이 큰 혼합관을 사용하고 혼합관 내부를 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수직 격벽으로 분리하여 약품과 원수의 혼합을 유도하고 약품 비산편을 사용하여 약품이 원수의 역방향으로 비산되어 혼합효율을 극대화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혼합효율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수직 격벽으로 원수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동일 유량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액체 유입관의 직경보다 혼합관의 직경을 더 크게 설계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격벽과 격벽 사이, 유입관과 혼합관 사이, 혼합관과 배출관 사이에서 수직벽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수직벽은 와류를 형성하므로 물에 혼합 희석된 약품이 완전히 용융되지 않으면 이러한 공간에 가라앉아 내부에 적층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와 약품이 보다 균일하게 혼합되어 지도록 하는 혼합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관, 혼합관 및 유출관의 직경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원수와 약품의 혼합이 탁월한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내의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유속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전체적으로 원수와 약품의 혼합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는 원수 유입구와 혼합 액체 유출구를 가진 파이프 형상이고, 상기 원수 유입구와 근접한 외주면에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약품 투입구를 가진 혼합관과, 약품 투입구에 관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혼합관 내부로 연장된 약품 투입관과, 약품 투입관의 약품 유출구 직하방에서 회전축이 혼합관의 중심선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약품 투입관 일단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회전되어 투입되는 약품과 원수를 교반하는 프로펠러와, 프로펠러 후방의 혼합관 내부에 설치되고, 혼합액체의 와류 흐름을 길이방향의 다수의 채널들을 통해 균일한 흐름으로 가이드하여 액체 유출구로 내보내는 벌집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벌집체는 다수의 채널들 사이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것이 벌집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약품과 원수의 혼합을 유도하는 데 바람직하다.
또한 벌집체는 금속 박판체, 세라믹 코팅된 금속 박판체 또는 세라믹 성형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됨으로 원수 내의 나쁜 냄새나 미생물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벌집체의 다수의 채널의 직경은 중앙부로 갈수록 작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커지는 것이 관로의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유속을 거의 유사하게 가이드하고 이러한 가이드에 의해 약품이 관로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는 무동력으로 원수와 약품의 혼합효율을 극대화하면서도 액체의 흐름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약품혼합 처리시간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벌집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벌집체의 파판의 통공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통공 구조에 의한 유체 흐름을 설명한 도면.
도 7은 도 1의 벌집체의 파판의 통공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100)는 혼합관(110), 약품 투입관(120), 무동력 교반부(130), 벌집체(140)를 포함한다.
혼합관(110)은 파이프 형상으로 파이프 양단에 유입구(112)및 유출구(114)를 가지며 유입구(112) 근처의 파이프 외주면(111)에 약품투입구(116)가 형성된다. 약품투입구(116)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된 분기관(118)이 형성된다. 유입구(112), 유출구(114), 분기관(118)의 종단에는 플렌지 결합을 위한 플렌지(113, 114, 119)들이 각각 형성된다. 혼합관(110)은 유입구(112)로부터 유출구(114)까지 동일 내경을 가진 파이프 형상을 유지한다. 유입구(112)에는 펌핑된 원수가 특정 유압을 가지고 특정 유속으로 공급된다. 이 때 유입되는 원수의 유속은 가장자리의 저항력 때문에 중심부가 가장자리보다 빠르게 된다(도 3 화살표 참조).
약품 투입관(120)은 일단(124)이 분기관(118) 및 약품 투입구(116)를 통하여 혼합관(110) 내부까지 삽입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플렌지(122)가 분기관(118)의 플렌지(119)와 결합된다.
약품 투입관(120)의 일단(124) 직하방에는 무동력 교반부(130)가 결합된다.
무동력 교반부(130)는 약품 투입관(120)의 일단에 결합되는 지지부(132)와, 지지부(132)에 축설된 프로펠러(134)를 포함한다.
지지부(132)는 원통부(132a)와 수직 지지대(132b, 132c)를 가진다. 원통부(132a)는 약품 투입관(120)은 일단(124)에 끼움식 또는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수직 지지대(132b, 132c)는 원통부(132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수직 지지대(132b, 132c) 각각의 자유단에 축공이 형성되고 이 축공에 프로펠러(134)의 회전축(134a)이 축 결합된다. 수직 지지대의 길이는 축공 위치가 혼합관(110)의 중심축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프로펠러(134)는 수직 지지대(132b, 132c)에 축설되어 원수의 유입에 의해 무동력으로 회전되어 직상방의 약품 투입관(120)을 통해 공급된 약품을 원수와 혼합 교반시키고 후방에 와류를 형성하여 약품혼합을 유도한다.
벌집체(140)는 무동력 교반부(130) 후방 유출구(114) 근처에 설치된다. 벌집체(140)는 외경이 혼합관(110)의 내경과 거의 유사한 원통체로 원통체 내부에는 혼합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통된 다수의 채널(141)들을 가진다.
도 4는 도 1의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의 파판의 통공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5의 통공 구조에 의한 유체 흐름을 설명한 도면이다.
원통형 담체(142) 내에 평판(144)과 파판(146)을 나선상으로 감아서 다수의 채널(148)들을 형성한다.
파판(146)은 마루(146a)와 파골(146b)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물결모양을 이루고 마루(146a)에서는 슬릿(146c)이 형성되고 슬릿(146c)의 일측부가 가압되어 눌려서 오목면(146d)을 형성한다. 오목면(146d)은 파판의 반대면의 파골부위에서 돌출되어 볼록면(146e)을 형성한다. 슬릿(146c)과 오목면(146d)의 에지 또는 볼록면(146e)의 에지사이에 벌어진 공간이 통공(146f)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파골(146b)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일부는 볼록면(146e)의 통공(146d)을 통해 좌우 마루를 형성하는 채널(148a, 148b)로 흘러들어가 다른 채널의 유체와 혼합된다. 즉 한 채널을 흐르는 유체는 통공(146f)에서 인접하는 다른 채널 쌍으로 분류되는 방식으로 인접채널로 전파되어 서로 섞이고 혼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벌집체(140) 내부에서 유체는 다수의 채널들을 따라 각각 분류되어 흘러가면서 인접채널을 흐르는 유체와 다시 혼합되고 혼합된 유체는 다시 인접 채널들로 분류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통과된다. 벌집체(140)를 완전히 통과할 즘에는 다수의 채널들이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나란하게 달리므로 유체의 흐름도 균일한 흐름을 유지하면서 토출되게 된다.
벌집체(140)의 채널 직경은 중앙 보다 가장자리로 갈수록 커지게 설계하는 것이 전단면에서 유속을 균일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벌집체의 파판의 통공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릿(146)으로부터 눌리는 면(146g)이 오목과 볼록이 혼합된 다중곡면상으로 형성되므로 흐르는 유체 단지 한 방향으로 편향시킬 뿐 아니라, 선회(swirl), 회전(rotation) 또는 난기류(turbulence)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 한다. 따라서 채널 내를 흐르는 유체도 선회(swirl), 회전(rotation) 또는 난기류(turbulence) 등을 유도하여 채널 내에서도 약품과 원수가 더욱 혼합되게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4)

  1. 원수 유입구와 혼합 액체 유출구를 가진 파이프 형상이고, 상기 원수 유입구와 근접한 외주면에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약품 투입구를 가진 혼합관;
    상기 약품 투입구에 관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혼합관 내부로 연장된 약품 투입관;
    상기 약품 투입관의 약품 유출구 직하방에서 회전축이 혼합관의 중심선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약품 투입관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프로펠러가 결합되고,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회전되어 투입되는 약품과 원수를 교반하는 무동력 교반부; 및
    상기 무동력 교반부 후방의 상기 혼합관 내부에 설치되고, 혼합액체의 와류 흐름을 길이방향의 다수의 채널들을 통해 균일한 흐름으로 가이드하여 액체 유출구로 내보내는 벌집체를 구비하고, 상기 벌집체는 다수의 채널들 사이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벌집체는 금속 박판체, 세라믹 코팅된 금속 박판체 또는 세라믹 성형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벌집체의 다수의 채널의 직경은 중앙부로 갈수록 작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KR1020100009391A 2010-02-02 2010-02-02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KR100960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391A KR100960371B1 (ko) 2010-02-02 2010-02-02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391A KR100960371B1 (ko) 2010-02-02 2010-02-02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371B1 true KR100960371B1 (ko) 2010-05-28

Family

ID=4228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391A KR100960371B1 (ko) 2010-02-02 2010-02-02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988B1 (ko) * 2013-12-24 2015-12-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 정수기 및 정수 기능을 가지는 운동 장치
CN113081619A (zh) * 2021-04-19 2021-07-09 温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麻醉剂定量手术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790Y1 (ko) * 1987-08-13 1990-03-05 김순용 상수도 살균용 염소가스의 주입 분산장치
KR970008249U (ko) * 1995-08-02 1997-03-27 이송용액의 흐름을 이용한 용액혼합장치
JPH115078A (ja) * 1997-06-16 1999-01-12 Toshiba Corp 薬品撹拌装置
KR100572533B1 (ko) 2003-03-11 2006-04-24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플록 형성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790Y1 (ko) * 1987-08-13 1990-03-05 김순용 상수도 살균용 염소가스의 주입 분산장치
KR970008249U (ko) * 1995-08-02 1997-03-27 이송용액의 흐름을 이용한 용액혼합장치
JPH115078A (ja) * 1997-06-16 1999-01-12 Toshiba Corp 薬品撹拌装置
KR100572533B1 (ko) 2003-03-11 2006-04-24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플록 형성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988B1 (ko) * 2013-12-24 2015-12-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 정수기 및 정수 기능을 가지는 운동 장치
CN113081619A (zh) * 2021-04-19 2021-07-09 温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麻醉剂定量手术台
CN113081619B (zh) * 2021-04-19 2022-12-06 温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麻醉剂定量手术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03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bubbles in a gas-liquid mixture
KR100979674B1 (ko) 회전식 분사 노즐을 가진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KR100916709B1 (ko) 무동력 관내 혼화장치
CN102161554B (zh) 一种厌氧水解酸化和ao-sbr一体化污水处理反应池
KR101834909B1 (ko) 저에너지를 사용하는 오존 수처리 시스템
CN108298776A (zh) 一种污水处理厂提标改造系统及污水处理方法
KR100960371B1 (ko) 무동력 프로펠러와 벌집체 구조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KR20090096858A (ko) 저에너지를 사용하는 오존 수처리 시스템
KR100952370B1 (ko) 다단의 벌집체를 가지는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KR101194771B1 (ko) 유체의 혼합, 분산을 위한 인라인 믹서장치
CN203128277U (zh) 加药絮凝池
CN105948376A (zh) 一种污水深度处理装置
KR20160057154A (ko) 현수식 기액 혼합 산기장치
CN209322572U (zh) 一种射流混合曝气器
KR100460077B1 (ko) 가압식 관로형 반응기
JP2011177693A (ja) 気液混合装置
CN205575688U (zh) 一种污水处理设备的加药反应池
WO2017124128A1 (en) Jet aeration and mixing nozzle
KR101902231B1 (ko) 오염된 유체 및 가스처리용 반경류형 인라인 타입 혼화기
CN105502531A (zh) 船载式水质净化系统及其净化方法
CN215592795U (zh) 一种废水处理箱
CN109052681A (zh) 一种用于垃圾渗滤液废水的曝气系统
CN220618608U (zh) 一种高效无机废水处理装置
CN205575679U (zh) 一种乳品废水浮渣减量的处理装置
CN215855486U (zh) 一种用于水处理的高效管道混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