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314B1 -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 - Google Patents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314B1
KR100960314B1 KR1020030100671A KR20030100671A KR100960314B1 KR 100960314 B1 KR100960314 B1 KR 100960314B1 KR 1020030100671 A KR1020030100671 A KR 1020030100671A KR 20030100671 A KR20030100671 A KR 20030100671A KR 100960314 B1 KR100960314 B1 KR 10096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mi
transparent substrate
rotary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856A (ko
Inventor
박종희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314B1/ko
Publication of KR2005006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에 포함되어 일직선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회전샤프트를 연결하는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으로서, 한 쌍의 회전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샤프트에 걸리는 아치형 걸림단이 구비된 메인바디 상에 각각 포개어지는 제 1 및 제 2 상부덮게의 세 부분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커플링과, 특히 이의 양 끝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롤러를 포함하는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은 한 사람의 인력으로도 손쉽고 간편하게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며, 한 쌍의 보조롤러가 커플링과 일체를 이루며 각각의 회전샤프트에 긴밀하게 고정되므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방향이 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보조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전롤러, 회전샤프트, 메인바디, 제 1 및 제 2 상부덮게, 보조롤러, 오링

Description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roller coupling of track apparatus for convey substrate}
도 1은 일반적인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는 일반적인 커플링이 사용된 회전롤러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커플링이 사용된 회전롤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이 사용된 회전롤러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이 사용된 회전롤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이 사용된 회전롤러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회전롤러 102,104 : 회전샤프트
110 : 커플링 120 : 메인바디
122 : 걸림단 124 : 제 1 수용홈
126 : 제 1 볼트공 128 : 제 1 나사공
130 : 제 1 상부덮게 132 : 제 2 수용홈
134 : 제 2 볼트공 136 : 제 2 나사공
140 : 제 2 상부덮게 142 : 제 3 수용홈
144 : 제 3 볼트공 146 : 제 3 나사공
152,162 : 제 1 및 제 2 보조롤러 154,164 : 오링
156,166 : 보조롤러테 158,168 : 오링홈
본 발명은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coupling)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를 위한 습식식각 및 세정 등의 웨트(wet)공정에 있어서 처리대상물인 투명기판을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정보화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했고, 근래에 들어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 액정표시장치(TFT-LCD)가 개발됨에 따라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대체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는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각각 전계생성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투명절연기판을 구비한 후 그 사이로 액정을 충진시킨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며, 각 전 계생성전극에 적절한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전기장 변화를 일으켜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띤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이때 변화되는 빛의 투과율을 이용하여 다양한 화상을 표현한다.
이와 같은 액정패널을 구성하는 두 장의 투명기판에는 각각 화소(pixel)를 비롯한 전계생성전극과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고밀도로 집적되고, 이들은 통상 전도체나 반도체 또는 부도체의 박막증착과 이의 식각을 수 차례 반복하여 구현된다.
이와 같이 투명기판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 중 세정 또는 습식식각 등의 ??(wet) 공정은 투명기판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적절한 약액을 분사하여 진행될 수 있고, 이를 위해 투명기판의 일면을 노출시킨 상태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트랙장치가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로서 다수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롤러(10)를 포함하며, 이들 다수의 회전롤러(10)를 따라 운반되는 투명기판(1)으로 적절한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각 회전롤러(10)의 구체적인 형태는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은데, 도 2는 일반적인 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1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트랙장치의 회전롤러(10)는 일직선상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회전샤프트(12,14)와, 이들 회전샤프트(12,14)의 서로 마주보는 양 말단을 연결하는 원통형상의 커플링(20)과, 상기 한 쌍의 회전샤프트(12,14)에 의해 중심이 관통되어진 상태로 커플링(20)의 양 외측으로 구비된 한 쌍의 보조롤러(42,44)를 포함한다.
이때 커플링(20)은 각각 동일한 형태의 상, 하부바디(22,32)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데, 이들 상, 하부바디(22,32)는 각각 편평한 내면과 이의 외측을 두르는 반원호 형상의 외면으로 이루어진 반원관 형태를 가지며 특히 각각의 내면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샤프트(12,14) 외경의 절반을 감싸는 수용홈(24,3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 하부바디(22,32)가 서로 결합되어 원통형상의 커플링(20)을 이룸과 동시에 각각의 수용홈(24,34)이 서로 합쳐져 회전샤프트(12,14) 외경 전체를 감싸는 내경을 갖는 길이방향의 중심을 따라 관통된 통공을 정의하고, 여기에 한 쌍의 회전샤프트(12,14) 양 단부가 끼워짐으로서 서로 연결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바디(22,32) 각각의 외면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의 볼트공(26,36)이 상하 관통되고 이의 반대편 타 가장자리로는 다수의 나사공(28,38)이 상하 관통되어 있는 바, 상, 하부바디(22,32)의 내면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볼트공(26,36)으로 볼트(52,54)를 삽입하여 대응되는 나사공(28,38)에 체결시킴으로서 서로를 긴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특히 각 볼트(52,54)의 체결방향은 커플링(20)의 양 가장자리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것이 편심을 방지할 수 있어 유리하고, 이는 상, 하부바디(22,32)의 결합방향을 조절함으로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10)에는 한 쌍의 보조롤러(42,44)가 구비되어 실질적으로 투명기판을 실질적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는 앞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샤프트(12,14)에 의해 중심이 관통되어진 상태로 커플링(20) 양 외측으로 위치되고,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들의 양 외측으로는 각각 한 쌍의 가이드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기판(1)은 이들 한 쌍의 가이드롤러 사이에서 회전하는 한 쌍의 보조롤러(42,44) 상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10) 커플링(20)은 사용상 몇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는데, 첫째로 커플링(20)의 결합 및 분해가 까다로워 적어도 두 사람 이상의 인력을 필요로 하는 점이다.
즉, 상술한 커플링(20)은 각각의 회전샤프트(12,14)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한 쌍의 상, 하부바디(22,32)로 이루어는 바, 한 사람이 이들 상, 하부바디(22,32)의 양 단부에 회전샤프트(12,14) 각각의 말단이 끼워지도록 합체시켜 파지하고 있으면 다른 한 사람이 각각의 볼트공(26,36)으로 볼트(52,54)를 체결하여 비로소 조립을 마칠 수 있고, 분해의 과정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만일 한 사람이 작업을 할 경우에는 커플링(20)의 상, 하부바디(22,32)가 회전샤프트(12,14)에 임시로라도 고정될 수 있는 어떠한 방안이 없어 떨어뜨리기 쉽고, 이에 커플링(20)이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둘째로 통상 커플링(20)과 별도로 각각의 회전샤프트(12,14)에 관통 체결된 한 쌍의 보조롤러(42,44)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방향이 틀어지기 쉽고, 이는 비 록 작은 범위 내라 할지라도 투명기판이 진행되어 갈수록 점차로 일측으로 치우쳐 부딛침에 따라 파손되거나 더 이상의 이송이 불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한 쌍의 보조롤러(42,44)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투명기판 일부가 미세하게 휘는 등의 변형이 뒤따르고, 이와 같은 변형에 의해 세정액 또는 습식식각을 위한 에천트 등이 낮은 부분으로 고여 불균일한 식각 및 세정이 나타나는 바, 이는 실제 공정의 진행중에 자주 나타나는 문제점 들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적은 인력으로도 간편하게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며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보조롤러의 방향이 틀어지는 등의 고장이 없으며, 특히 보조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공정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에 포함되어 일직선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회전샤프트를 연결하는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으로서,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샤프트 외경의 반을 두르는 제 1 수용홈이 인입 형성된 평편한 상면 및 이의 하단을 두르는 반원호의 하면으로 이루어진 반원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면 일측 단부로 치우치게 구비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샤프트를 내부로 끼워 수용하도록 아치형태의 걸림단을 포함하는 메인바디와; 상기 걸림단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메인바디 일끝단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 1 수용홈과 대응되는 제 2 수용홈이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 상면에 포개어져 결합되는 평평한 하면 및 상기 메인바디의 반원관 형태의 외면과 동일한 외경으로 상기 하면의 상단을 두르는 반원호의 상면을 포함하는 반원관 형태의 제 1 상부덮게와; 상기 걸림단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메인바디 타끝단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 1 수용홈과 대응되는 제 3 수용홈이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 상면으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평평한 하면 및 상기 메인바디의 반원관 형태의 외면과 동일한 외경으로 상기 하면의 상단을 두르는 반원호의 상면을 포함하는 반원관 형태의 제 2 상부덮게와; 상기 회전샤프트 각각에 중심이 관통되어지도록 상기 메인바디 양 끝단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 보다 큰 외경을 갖는 한 쌍의 환형 보조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단은 상기 메인바디의 반원관 형태의 외면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기판 이송을 위한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메인바디 양 끝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환형의 보조롤러프레임과; 상기 보조롤러프레임의 외면을 테두리하는 환형의 오링과; 상기 오링 및 상기 보조롤러프레임의 외면을 덮어 테두리하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보조롤러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링은 불소화고무이고, 상기 보조롤러테는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덮게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면 일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덮게의 하면 일 가장자리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 1 볼트와; 상기 제 1 상부덮게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메인바디 타 가장자리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 2 볼트와; 상기 제 2 상부덮게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관통삽입되어 상기 메인바디 타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다수의 제 3 볼트를 통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110)이 사용된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100)에 대한 사시이고, 도 5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분해사시도로서 이의 역할은 일반적인 경우와 유사하게 일직선상에서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회전샤프트(102,104)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110)은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크게 세 부분으로 분해 및 조립되는데, 이는 각각 하부의 메인바디(120)와, 이의 상부로 덮어지는 제 1 및 제 2 상부덮게(130,140)의 세 부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110)은 한 쌍의 회전샤프트(102,104)와 같이 회전되므로 상하의 방향은 없다 하겠지만, 편의상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인바디(120)가 아래에 위치되고 이의 상부로 각각 제 1 및 제 2 상부덮게(130,140)가 덮어지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는 바, 이는 이하 일관되게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110)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에 대하여 좀더 상 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메인바디(120)는 후술하는 일측으로 치우쳐 아치형상으로 돌출된 걸림단(122)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는 평편한 상면과 반원호 형태의 하면으로 이루어진 반원관 형상이며, 상면에는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서는 회전샤프트(102,104) 외경의 반을 두르는 제 1 수용홈(124)이 인입 형성되어 있다.
이때 메인바디(120)의 길이는 대략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회전샤프트(102,104) 양 말단을 소정부분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이며, 이의 상면에는 앞서 잠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으로 반원호 형태의 하면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아치 형상의 걸림단(122)이 구비되는 바, 상기 걸림단(122)에는 메인바디(120)의 제 1 수용홈(124)과 더불어 회전샤프트(102,104)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경의 홀이 측방관통되어 어느 하나의 회전샤프트(102,104)를 내부로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해 메인바디(120)는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서 회전샤프트(102,104) 외경의 반을 두르는 반원의 제 1 수용홈(124)이 인입 형성된 평편한 상면와 이의 하단을 두르는 반원호의 하면으로 이루어진 반원관 형태를 가지며 이중 상면에는 일측 단부로 치우치게 아치 형태의 걸림단(122)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단(122)에 어느 하나의 회전샤프트(102,104)를 끼움으로서 임시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메인바디(120) 상면으로는 걸림단(122) 양 편으로 각각 제 1 및 제 2 상부덮게(130,140)가 덮어지는데, 이중 제 1 상부덥게(130)는 걸림단(122)에 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메인바디(120) 일 끝단에 이르는 길이를 가 지며 고 메인바디(120)와 대략 유사한 반원관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 1 상부덮게(130) 하면에는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서 메인바디(120)의 제 1 수용홈(124)과 대응되는 반원의 제 2 수용홈(132)이 인입 형성되어 있는 바, 이를 달리 표현하면 제 1 상부덮게(130)는 메인바디(120) 상면으로 포개어지는 평평한 하면 그리고 이의 외측을 두르는 반원호의 상면으로 이루어진 반원관 형태로서 걸림단(122)에서부터 메인바디(120) 일끝단에 이르며, 이중 하면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 1 수용홈(124)과 대응되도록 회전샤프트(임의로 102)의 나머지 외경을 감싸는 반원형상의 제 2 수용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 2 상부덮게(140)는 메인바디(120) 상면 나머지를 덮어 완전한 원통형상의 커플링(110)이 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걸림단(122)에 측면이 접하여 메인바디(120) 타끝단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메인바디(120) 상면으로 포개어지는 평편한 하면과 이의 상단을 두르는 반원호의 외면으로 이루어진 반원관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제 2 상부덮게(140) 하면에는 제 1 수용홈(124)과 대응되도록 회전샤프트(임의로 104) 나머지 반의 외경을 감싸는 제 3 수용홈(142)이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에 인입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제 1 및 제 2 상부덮게(130,140)가 메인바디(120)의 걸림단(122)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각각 결합되면 제 1 내지 제 3 수용홈(124,132,142)에 의해 내부 중심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며, 이는 실질적으로 회전샤프트(102,104)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메인바디(120) 그리고 제 1 및 제 2 상부덮게(130,140)는 각각 다수의 볼트(172,174,176)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메인바디(120) 외면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 1 볼트공(126)이 상하로 관통되고 반대편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 1 나사공(128)이 상하 관통되어 있다.
또한 메인바디(120)의 제 1 나사공(128)과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상부덮게(130,140) 외면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각각 제 2 및 제 3 볼트공(134,144)이 상하 관통되어 있으며, 이의 반대편 메인바디(120)의 제 1 볼트공(126)과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상부덮게(130,140) 외면 타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 2 및 제 3 나사공(136,146)이 각각 상하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하방에서 상방으로 메인바디(120)의 제 1 볼트공(126)을 각각 관통하여 제 1 및 제 2 상부덮게(130,140)의 제 2 및 제 3 나사공(136,146)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 1 볼트(172)와, 상방에서 하방으로 제 1 상부덮게(130)의 제 2 볼트공(134)을 관통하여 메인바디(120)의 제 1 나사공(128)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 2 볼트(174)와, 마찬가지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제 2 상부덥게(140)의 제 3 볼트공(144)을 관통하여 메인바디(120)의 제 1 나사공(128)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 3 볼트(176)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볼트공(126)과 제 1 나사공(128)은 각각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편심을 방지하기에 유리하며, 제 1 볼트(172) 그리고 제 2 및 제 3 볼트(174,17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체결되는 이유 또한 편심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바. 제 1 내지 제 3 나사공(128,136,146)의 내면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110)은 특히 한 쌍의 보조롤러(150,16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메인바디(120)의 양 끝단으로 각각 구비된 환형의 보조롤러프레임(152,162)과, 이의 외주연을 따라 각각 개재되는 환형의 오링(154,164)과, 이들 오링(154,164) 및 보조롤러프레임(152,162)의 외경을 각각 둘러 감싸는 보조롤러테(156,166)를 포함한다.
좀더 자세히, 먼저 한 쌍의 보조롤러프레임(152,162)은 각각 메인바디(120)의 양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 중심으로 각각의 회전샤프트(102,104)에 의해 관통되어지는 통공이 구비된 환형을 이루고 있는 바, 상기 통공은 각각의 회전샤프트(102,104)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특히 메인바디(120)와 제 1 및 제 2 상부덮게(130,140)의 제 1 내지 제 3 수용홈(124,132,142)이 합체된 통공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 및 직경을 갖추고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보조롤러프레임(152,162)의 외주연을 둘러 환형의 오링(154,164)이 개재되는데, 이는 바람직하게는 소위 바이톤(viton)이라 불리는 내산성이 강한 불소 고무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보조롤러테(156,166)의 회전에 구동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오링(154,164) 및 보조롤러프레임(152,162)의 외주연을 둘러 덮는 한 쌍의 보조롤러테(156,164)가 각각에 장착되는 바, 이는 내부로 오링(154,164)이 각각 수용될 수 있는 오링홈(158,168)이 형성될 수 있으며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보조롤러프레임(152,162)은 실질적으로 메인바디(120) 및 제 1 및 제 2 상부덮게(130,1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110)과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오링(154,164)을 매개로 이들 각각을 덮는 보조롤러테(156,166)는 실질적으로 보다 큰 직경을 이루어 투명기판(1)이 직접 접촉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에 각각의 보조롤러테(156,166)는 외향할수록 폭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11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메인바디(120)의 걸림단(122) 및 이에 근접한 보조롤러(162)에 임의의 회전샤프트(104)를 관통 삽입시킨 후,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또 다른 보조롤러(152)에 반대편 회전샤프트(102)를 관통시킨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메인바디(120)는 각각의 회전샤프트(102,104)에 의해 임시로 지지될 수 있고, 이후 작업자는 손쉽게 제 1 및 제 2 상부덮게(130,140)를 각각 해당부분으로 고정시켜 제 1 내지 제 3 볼트(172,174,176)를 체결해서 조립할 수 있고, 분해는 이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은 한 사람의 인력으로도 손쉽고 간편하게 분해와 조립이 가능한 잇점을 가지는 바, 작업수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한 쌍의 보조롤러가 커플링과 일체를 이루며 각각의 회전샤프트에 긴밀하게 고정되므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방향이 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 되지 않고, 보조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공정을 수행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에 포함되어 일직선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회전샤프트를 연결하는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으로서,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샤프트 외경의 반을 두르는 제 1 수용홈이 인입 형성된 평편한 상면 및 이의 하단을 두르는 반원호의 하면으로 이루어진 반원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면 일측 단부로 치우치게 구비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샤프트를 내부로 끼워 수용하도록 아치형태의 걸림단을 포함하는 메인바디와;
    상기 걸림단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메인바디 일끝단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 1 수용홈과 대응되는 제 2 수용홈이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 상면에 포개어져 결합되는 평평한 하면 및 상기 메인바디의 반원관 형태의 외면과 동일한 외경으로 상기 하면의 상단을 두르는 반원호의 상면을 포함하는 반원관 형태의 제 1 상부덮게와;
    상기 걸림단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메인바디 타끝단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 1 수용홈과 대응되는 제 3 수용홈이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 상면으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평평한 하면 및 상기 메인바디의 반원관 형태의 외면과 동일한 외경으로 상기 하면의 상단을 두르는 반원호의 상면을 포함하는 반원관 형태의 제 2 상부덮게와;
    상기 회전샤프트 각각에 중심이 관통되어지도록 상기 메인바디 양 끝단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 보다 큰 외경을 갖는 한 쌍의 환형 보조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단은 상기 메인바디의 반원관 형태의 외면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기판 이송을 위한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메인바디 양 끝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환형의 보조롤러프레임과;
    상기 보조롤러프레임의 외면을 테두리하는 환형의 오링과;
    상기 오링 및 상기 보조롤러프레임의 외면을 덮어 테두리하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보조롤러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불소화고무이고, 상기 보조롤러테는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덮게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면 일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덮게의 하면 일 가장자리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 1 볼트와;
    상기 제 1 상부덮게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메인바디 타 가장자리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 2 볼트와;
    상기 제 2 상부덮게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관통삽입되어 상기 메인바디 타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다수의 제 3 볼트를 통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
KR1020030100671A 2003-12-30 2003-12-30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 KR10096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671A KR100960314B1 (ko) 2003-12-30 2003-12-30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671A KR100960314B1 (ko) 2003-12-30 2003-12-30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856A KR20050068856A (ko) 2005-07-05
KR100960314B1 true KR100960314B1 (ko) 2010-06-07

Family

ID=3725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671A KR100960314B1 (ko) 2003-12-30 2003-12-30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324B1 (ko) * 2007-07-03 2008-07-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인쇄장치
KR102217167B1 (ko) * 2014-08-06 2021-0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1843920B (zh) * 2020-07-15 2021-12-03 山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草包装机商标纸传送辊拆卸工装及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385B1 (ko) 2001-07-06 2008-0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기판의 반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385B1 (ko) 2001-07-06 2008-0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기판의 반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856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3283B1 (en) Active element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7995181B2 (en) High speed and wide viewing angle liquid crystal displays
US10014327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78893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834971B2 (en)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wo sub-pixel regions
US8334831B1 (en)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MY113588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wid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EP252791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20170160601A1 (en)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7140078A1 (en) Array substrate and repair metho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685342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746721B2 (en) Display panel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ub-pixels on a first substrate corresponding respectively to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on a second substrate
KR1026059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60314B1 (ko) 투명기판 이송용 트랙장치의 회전롤러 커플링
US2006011439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39751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having dummy layer and plurality of contact holes formed through ohmic contact, semiconductive and gate insulating layers
US9818768B2 (en) Array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US20040227874A1 (en) Transmissive-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6707626A (zh) 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KR101427281B1 (ko) 기판 반송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US20210341802A1 (en) Pixel electrode of display pane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934818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057670A (ja) 液晶表示装置
KR100425764B1 (ko) 글라스 반송장치
TWI691757B (zh) 畫素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