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227B1 - 은나노를 이용한 조류의 억제방법 및 조류 억제제 - Google Patents

은나노를 이용한 조류의 억제방법 및 조류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227B1
KR100960227B1 KR20070113247A KR20070113247A KR100960227B1 KR 100960227 B1 KR100960227 B1 KR 100960227B1 KR 20070113247 A KR20070113247 A KR 20070113247A KR 20070113247 A KR20070113247 A KR 20070113247A KR 100960227 B1 KR100960227 B1 KR 100960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nano
algae
silver
ppm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1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203A (ko
Inventor
신재기
고익환
정남정
배기서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20070113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22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조류의 억제방법 및 조류 억제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은나노를 이용하여 담수에서 남조류에 의해 발생하는 녹조현상을 억제하는 방법 및 조류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은나노를 이용한 다양한 조류제어 실험을 통해 은나노의 조류제어 효과가 확인되며, 이를 토대로 은나노를 사용하여 담수에서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조류를 억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류 억제방법은 특히 녹조현상의 주요 원인이 되는 남조류(cyanobacteria, blue-green algae)를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은, 나노, 콜로이드, 은 나노 수용액, 조류 억제, 녹조, 남조류, 담수

Description

은나노를 이용한 조류의 억제방법 및 조류 억제제 {Method and agents of the algae growth inhibition using nano-silver}
본 발명은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조류의 억제방법 및 조류 억제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은나노를 이용하여 담수에서 남조류에 의해 발생하는 녹조현상을 억제하는 방법 및 조류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녹조현상은 하천이나 호소 등 담수에서 서식하고 있는 미세조류들이 대량으로 번식하게 되면서 물색을 녹색 및 청록색으로 띠게 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녹조 대발생은 수자원 이용에 어려움을 줄 뿐만 아니라 정수처리의 비용 증가와 수질 저하를 초래하여 외관상은 물론 양질의 정수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호소의 부영양화 진행은 필연적으로 조류증식을 낳고 수화현상으로 진행된다. 담수에서 녹조현상의 주요 원인이 되는 주된 조류는 남조류(cyanobacteria, blue-green algae)로 불리는 것으로, 남조류는 단세포 또는 다세포이며 현장에서는 여러 세포들이 서로 뭉쳐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남조류의 번식은 이취미의 발생이나 수표면에 착색을 일으키는 물꽃현상과 정수처리의 문제, 특히 독소생 산의 가능성이 있다.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남조류의 대표적인 종으로는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바에나(Anabaena) 등이 있다. 이런 남조류가 대발생을 하게 되면 물고기의 집단폐사 및 양식장의 피해 등 엄청난 재산피해와 경제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저수지 내 부영양화 방지 및 조류 제어를 위한 방안으로 연구 또는 적용된 방법으로는 수중폭기 이용(예:대청댐), 황토 살포(예:대청호, 팔당호), 준설, 응집제 및 미세기포를 투여해 유기물의 화학적 침전 및 부상을 유도하여 제거하는 가압부상법(예:대청호, 팔당호), 조류펜스의 이용(예:서낙동강) 등이 있다. 외국의 경우(미국, 독일, 스웨덴 등)는 일반적으로 유역 내 오폐수 처리의 기본 방침을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물질을 거의 완전하게 제거하는 3차 처리를 기본으로 설정하여 호소 내 부영양화 및 조류제어를 방지하고 있다. 호소 내의 부영양화 방지 및 조류제어를 위한 물리ㆍ화학적 방법으로는 수중폭기, 준설, 저질의 안정화, 인의 불활성화, 희석 등의 기술들이 적용된 사례가 있으며 이외에 호소 심층수의 제거, 살조제의 투여, 인위적 순환 등의 기술도 시행된 사례가 있다. 그러나 위에 열거한 조류제어 방법들은 대부분 복합적인 시스템 기술의 적용이 이루어지기보다는 개별기술의 이용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적용되는 방법들은 호소 내 부영양화 및 조류제어 효과가 미비하고, 2차적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수반되어 수질개선이나 양질의 정수를 공급함에 있어서 뚜렷한 기대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밖에 종래에 알려져 있는 조류 제어방법으로, 항생제의 사용(대한민국 특 허공개 10-1995-0702094), 초음파처리(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43266호, 제504452호), 응집처리(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71519호), 기타 복합처리(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56282호) 등의 방법이 있는데, 대부분 효과 면에서 만족스럽지 않고, 수중 생태계 및 수질에 미치는 영향도 문제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화의 제거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응집제의 사용인데, 이는 응집제에 의해 수화를 수표면으로부터 침전시켜 제거하는 방법으로, 원인 종 제거의 근본적인 방법이 될 수 없고, 침전된 물질에 의한 2차 오염문제를 낳는다.
‘나노실버’로 불리는 은나노 기술은 인체에 해가 없고 강력한 살균 기능을 가진 은을 나노미터(10억분의 1 m)수준으로 입자화한 것으로, 이를 제품 표면에 코팅하거나 재료에 섞게 되면 세균이나 곰팡이 서식을 막아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은나노 입자와 은이온의 미생물(세균)에 대한 살균력은, 병원성 세균에 대하여 상당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있으며, 세균에 대한 살균기작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은나노가 미세조류에 대해 갖는 살균 효과나 살균 기작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제대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은나노를 이용한 다양한 조류제어 실험을 통하여 은나노의 조류제어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은나노를 이용한 효과적인 조류의 억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은나노를 이용하여 담수에서 녹조현상의 주요 원인이 되는 남조류(cyanobacteria)를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더 잘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은나노를 사용하여 담수에서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조류를 억제하는 조류의 억제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은나노는 바람직하게는 0.001∼30 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1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5∼0.1 ppm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은나노를 0.005∼0.05 ppm으로 사용하여 담수에서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남조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은나노는 바람직하게는 은나노 콜로이드 수용액의 형태로 물에 투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담수에서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조류를 억제하는 유효성 분으로 은나노를 포함하는 조류 억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은나노를 이용하여 담수에서 녹조를 발생시키는 조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녹조현상의 주요 원인이 되는 남조류(cyanobacteria)를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은나노
본 발명에서 은나노는, 바람직하게는 은나노 콜로이드 수용액의 형태로 물에 투입된다. 콜로이드 형태의 은나노는 은 원자가 클러스터 상태로 수용액에 분산되어 존재하는 것으로서 그 직경이 대략 수 nm에서 120 nm 정도이다. 이러한 은 콜로이드 용액은 다양한 유해 세균 및 곰팡이류에 대해 강한 살균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은나노로, 은나노 콜로이드 수용액(이하, “은나노 수용액”과 “은나노 콜로이드 수용액”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을 사용한다. 은나노 수용액은 전기분해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일정량의 물이 투입된 반응조 내에서 은 전극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면서 전극으로부터 은 이온이 용출되도록 하는 방식이 종래에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저수지나 호소 등에서 발생한 조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한 대량의 은나노 수용액을 제조할 수 있도록 또 다른 발명인 “수류식 은나노 수용액 제조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은나노 수용액은 종래의 제조방법 또는 본 발명자들의 또 다른 발명인 수류식 은나노 수용액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은나노 수용액의 항균성은 은나노 이온에 의한 SH-라디칼의 조해(潮解)에 의한 살균작용과 은나노 입자의 촉매작용으로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한 살균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은나노 입자에 의한 SH-라디칼의 조해(潮解)에 의한 살균작용은 은나노 수용액 제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주면, 은 전극이 설치된 전해조에서 전기분해가 이루어져 은 전극에서 미량의 은이온이 방출되어 강력한 살균 및 항균성이 있는 은나노 수용액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유해성 세균이나 박테리아, 그리고 무수한 균체에 처리하여 주면 처리된 균체의 세포막 등의 단백질에 은이온이나 은입자가 흡착이 되어 세포막의 단백질 내의 SH-라디칼을 파괴하거나 혹은 단백질 중의 -S- 가교결합을 파괴하여 신진대사 및 에너지대사 등 생리활성에 필요한 요소를 어렵게 하거나 중단시킴으로써 균을 사멸시키거나 높은 항균성을 지속시켜 주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 은나노 입자의 촉매작용으로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한 살균작용은, 은나노 입자는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촉매작용을 일으키며 이러한 촉매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은입자 표면의 산소는 부분적으로 활성산소(Active oxygen)로 전환이 일어나게 되며, 이렇게 생성된 활성산소는 오존이나 과산화수소와 같이 강력한 살균 및 항균작용을 하게 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은나노의 조류성장 억제 효과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실험을 통해 은나노의 조류제어 효과를 확인한다.
1. 조류 종의 선정 및 배양
은나노 수용액을 이용하여 담수에서 수화를 일으키는 남조류을 제어하기 위하여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와 처리 시간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녹조류와 규조류에 대한 은나노 수용액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험을 위하여 남조류는 Microcystis, Anabaena , Oscillatoria를, 녹조류는 Chlorella , Scenedesmus를, 규조류는 Navicula , Thalassiosira를 선정하였다.
미세조류의 배양은 남조류와 녹조류는 Allen 배지를 사용하였고, 규조류는 담수종인 Navicula는 Csi 배지를, 해수산 규조류인 Thalassiosira는 f/2 배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동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청호의 물을 0.22 ㎛ membrane filter를 사용하여 세균을 제거한 여과액을 사용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선정한 남조류와 녹조류는 Allen 배지를 이용하여 7일간 종균 배양을 실시하여 사용하였으며, 규조류는 Csi 배지와 f/2 배지에 21일간 종균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때 배양 정도는 in vivo fluorescence를 측정하여 실험 전에 동일한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여 실험하였다.
2. 조류의 현존량 및 이화학적 수질조사
2006년 녹조현상이 발생한 8월∼10월 사이의 남조류와 다른 미세조류의 현존량과 이화학적 수질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았다. 2006년 8월에 1개월 동안 추소리 현장의 수온은 28∼34℃를 나타내었다. 추소리의 경우 수심이 얕아서 상당히 수온이 높게 유지된 것으로 판단된다. pH는 8∼9를 나타내었다. 9월의 경우 수온은 28∼22℃로 낮아졌으며, pH도 7.8∼8.2로 비교적 낮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남조류의 제거를 위한 은나노 수용액의 적정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정된 남조류에 대하여 은나노 수용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사멸률을 구하였다. 또한 녹조류와 규조류의 은나노 수용액 내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3.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 변화에 따른 효과분석
선정 종에 대한 은나노 수용액의 내성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은나노 수용액을 고농도(3.0∼10.0 ppm)와 저농도(0.01∼1.0 ppm)로 처리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고농도 은나노 수용액의 실험은 처리 후 단기간(5분)에 변화를 in vivo fluorescence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In vivo fluorescence 실험결과 남조류인 Microcystis와 녹조류인 ChlorellaScenedesmus에서 모든 종에서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in vivo fluorescence의 감소 폭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효과를 명확하게 관찰하기 힘들었다. 광합성을 하는데 필수적인 엽록소는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붉은 색의 형광을 관찰할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은나노 수용액을 고농도로 처리한 후 남은 1분, 녹조류와 규조류는 5분 후에 관찰한 결과 Oscillatoria를 제외한 모든 종에서 탈색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Oscillatoria의 경우에는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후 형광현미경을 통한 관찰에서 사상체의 길이가 현격하게 짧아진 양상을 보였다. 이는 은이온의 공격으로 사상체의 일부 세포가 사멸하면서 길이가 짧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저농도 은나노 수용액 처리 실험은 장기간(5∼10일)에 걸쳐서 선정 종들의 생존률을 비교하 였다. Microcystis의 경우 chl-a의 측정 실험 결과 배양 배지와 자연수에서 은나노 수용액 0.01 ppm을 처리하면 2일 이내에서 사멸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배양 종 Microcystis의 제어에 적합한 은나노 수용액 농도는 0.01 ppm이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러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적정 농도를 산출하였다. 녹조류인 Chlorella는 은나노 수용액 0.01 ppm에 대한 내성이 있으며, Scenedesmus는 0.05 ppm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다. 진핵생물인 녹조류가 원핵생물인 남조류에 비하여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내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4. 현장시료(대청호 Microcystis)에 대한 은나노 수용액의 처리 효과 분석
이상의 배양종에 대한 실험 결과를 가지고 현장에서 수화가 일어난 시료를 대상으로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수화가 발생하여 스컴을 형성하고 있는 고농도 시료와 수심 10 cm에서 채집한 저농도 시료를 대상으로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고농도 시료(chl-a 1,500∼ 1,900 ㎍/ℓ)에서는 한 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 은나노 수용액 3.0 ppm 이상을 사용해야 40%의 사멸률을 보였다. 따라서 수화가 발생한 시점에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농도 시료(chl-a 110∼190 ㎍/ℓ)의 경우 은나노 수용액 1.0 ppm을 처리하면 1일 만에 사멸하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은의 음용수 기준이 0.1 ppm인 점을 감안한다면 현장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배양종에 비하여 현장시료에서 높은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것은 배양 종의 경우 장기간의 계대 배양을 통하여 점질층이 없어지고 단세포로 생존하게 된다. 따라서 점질층으로 큰 군체를 형성하 고 있는 현장시료의 경우 은이온의 공격을 회피하기에 유리하여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내성이 커지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낙동강(물금)의 경우 겨울에 규조류의 증식이 발생하는 지역이다. 규조류에 대한 은나노 수용액의 평가를 위하여 낙동강 시료를 11월 24일에 채집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의 종이 다양해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은나노 수용액 0.01 ppm을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규조류와 녹조류는 종이 다양해졌지만 남조류의 경우 다양성이 증가하지 않았다. 은나노 수용액 0.05 ppm 이상으로 처리한 경우 규조류의 종 다양성에는 크게 변화가 없었지만 녹조류의 경우 종이 단순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험 결과에서도 은나노 수용액 0.01 ppm은 남조류의 제어에 좋을 것으로 판단되고 0.05 ppm 이상은 규조류의 종 다양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녹조류에는 상당한 종 단순화가 발생하므로 은나노 수용액을 현장에 적용한다면 0.01 ppm 이하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5. 은나노 수용액 처리에 의한 미세조류의 사멸 기작 분석
은나노 수용액을 사용한 Microcystis의 사멸 기작을 관찰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과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SEM 관찰 결과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후 매끄러운 표면에 구멍이 생기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형성된 구멍은 은이온이 세포막에 부착되면서 생긴 것인지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질로 들어가서 리보좀이나 ATP 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기능을 방해하여 세포 괴사 후 생겼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므로 10분 경과보다 더 짧은 시간 에 대한 실험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EM 사진은 은나노 입자가 존재하는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촬영하였다. 은나노 입자 같은 검은 점을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실험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은나노 수용액 처리 후 10분 경과된 사진에서는 세포막의 파괴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막의 파괴 현상이 많아졌으며, 1시간 경과 후 사진에서는 세포막의 일부가 함몰된 형태가 관찰되었다. SEM을 통하여 관찰된 세포막의 구멍과 TEM을 통하여 관찰된 세포막의 함몰에도 불구하고 세포내의 소기관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존재하였다.
은나노를 이용한 조류의 억제방법
상기와 같은 실험을 토대로 본 발명에서는 은나노를 사용하는 조류의 억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억제”는 조류를 사멸시키거나 조류의 성장과 증식을 억제시켜 녹조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 이미 발생된 녹조의 증가 억제, 감소, 소멸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는 상기 억제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은나노를 이용한 조류의 억제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은나노를 0.001∼30 ppm으로 사용한다. 은나노를 0.001 ppm 이하로 사용할 경우 조류 억제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30 ppm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은 물에 미치는 영향,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 또, 물에 미치는 영향,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은나노를 0.001∼10 ppm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험을 통해 확인되는 조류에 대한 효과적인 억제 농도 및 음용수의 은 농도 기준(0.1 ppm)을 고려할 때, 특히 바람직하게는 은나노를 0.005∼0.1 ppm으로 사용한 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실험을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은(Ag) 나노 수용액의 조류 생장저해 효과는 미세조류(식물플랑크톤)의 종류 및 밀도에 따라 다르다. 즉, 은나노는 녹조(수화, algal bloom)의 원인 조류인 Microcystis, Anabaena 등의 남조류(남세균, cyanobacteria)에 더욱 민감하게 작용하였다. 따라서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를 조절하면 녹조 원인 조류인 남조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은나노를 0.005∼0.05 ppm으로 사용하여 조류 중에서 남조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은나노는, 바람직하게는 은나노 콜로이드 수용액의 형태로 물에 투입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조류 제어를 위한 은나노 수용액의 효과 분석
1. 미세조류 선정 및 배양
가. 미세조류 선정
국내의 수계에서 수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남조류인 마이크로시스티 스(Microcystis),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및 아나바에나(Anabaena)를 대상 종으로 선정하여 전기 분해장치로 제조한 은나노 수용액에 의한 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Microcystis는 대청호의 유입구 및 상수용 취수탑 근처에서 해마다 수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종이다. AnabaenaOscillatoria는 대청호에서 수심이 깊은 댐의 근처에서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종으로 대청호의 수질이나 수온에 따라 해마다 우점하는 종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편, 은나노 수용액을 사용하여 남조류를 제어할 때 다른 미세조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의 수계에서 가장 흔하게 보이는 녹조류인 클로렐라(Chlorella)와 Scenedesmus, 그리고 규조류는 담수산 Navicula와 해수산 Thalassiosira를 선정하여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내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남조류와 미세조류의 목록은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112007079956535-pat00001
나. 미세조류 배양
(1) 배양배지
남조류와 녹조류는 Allen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으며, 규조류의 배양시 Navicula는 Csi 배지를 Thalassiosira는 f/2 배지를 사용하였다. 각 배지의 성분은 표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표 5 내지 7은 각각 표 2의 성분 중 *Micro-element, 표 3의 *PIV metals, 표 4의 *f/2 metals를 분석한 결과이다. 또한 현장에서 동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청호의 물을 0.22 ㎛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여 세균을 제거한 여과액을 사용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2) 배양조건
실험을 위하여 선정한 남조류와 녹조류는 Allen 배지를 이용하여 7일간 종균 배양을 실시하여 사용하였으며, 규조류는 Csi 배지와 f/2 배지에 21 일간 종균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배양 정도는 in vivo fluorescence를 측정하여 실험 전에 동일한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현장시료의 채집은 수화가 일어난 2006년 8월 25일과 9월 3일에 두 번 충북 옥천군 추소리(대청호 수역)에서 채집하였다. 채집 시 깨끗한 시료를 얻기 위하여 배를 타고 나가 수화가 심하게 발생한 지역에서 채집하였다. 수화에 의해 두꺼운 층을 형성한 스컴을 채집하기 위하여 비이커를 사용하여 표층부분만을 채집하였으며, 수층에서 10 cm 깊이의 시료를 채집하기 위해서는 Van Don 채수기를 사용하여 채집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은나노 수용액의 최종 농도는 약 30 ppm이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고농도의 실험은 culture tube(13×100 ㎜, Corning)를 사용하였다. Culture tube에 종균 배양한 배양액 시료를 적당한 농도로 맞추어 2 ㎖를 접종하고,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가 3.0∼10.0 ppm이 되도록 일정량씩 첨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남조류와 미세조류의 생존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후 1분 간격으로 5분간 in vivo fluorescence를 측정하였다. 저농도 실험은 125 ㎖ 삼각플라스크를 사용하여 종균 배양한 시료를 50 ㎖를 넣고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가 0.01∼1.0 ppm이 되도록 적당히 희석하여 동일량을 첨가하여 실험하였다.
Figure 112007079956535-pat00002
Figure 112007079956535-pat00003
Figure 112007079956535-pat00004
Figure 112007079956535-pat00005
Figure 112007079956535-pat00006
Figure 112007079956535-pat00007
다. 분석방법
(1) 생장곡선
1) In vivo fluorescence
남조류와 미세조류는 chl-a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UV를 쪼여주면 형광을 발하는데 형광 수치를 읽어서 나타내는 장치인 fluorometer(Turner Design)를 사용하였다. 배양액 2 ㎖를 취하여 형광 측정용 cell에 담아서 gain을 10으로 고정하고 나타나는 수치를 읽었다. 이때 나온 값은 chl-a (㎍/ℓ) = FD × R × V/V 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FD는 door의 계수, R은 gain을 10으로 놓고 측정한 값, v는 사용한 chloroform의 양(㎖), V는 GF/C filter에 여과한 시료의 양(ℓ)이다.
2) Chl-a 측정
Chl-a의 측정 방법: 메탄올과 클로로포름을 1:2 비율로 만든 용매를 사용한다. 시료를 GF/C filter를 이용하여 1 ㎖를 여과하여 남조류를 GF/C filter 위에 모은다. GF/C filter를 15 ㎖의 corning tube에 넣는다. 용매 6 ㎖를 GF/C filter가 들어 있는 corning tube에 가하여 vortexer로 GF/C filter가 완전히 잠기도록 한다. Chl-a는 햇빛에 의해 분해되므로 호일로 Corning tube를 감싸서 4℃ 저온실에 5시간동안 방치하여 chl-a가 용매에 충분히 용출되도록 한다. 5시간 후 물을 5.4 ㎖ 첨가 후 vortexer를 이용하여 혼합해주어 반응을 정지시키고 다시 저온실에서 16 시간동안 정치시킨다. Corning tube의 액이 클로로포름과 물과 메탄올이 섞인 층으로 나뉜다. 아래층에 있는 클로로포름을 pasteur pipette을 사용하여 조심스럽게 취하고 fluorometer를 이용하여 형광을 측정한다. 이때 gain의 값은 10으로 고정하여 실험하였으며, 수치가 높게 나온 시료는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희석한 후 측정하였다.
은나노 수용액의 미세조류 제어효과(배양 종)
1. 은나노 수용액 농도별 제어효과
남조류의 제거를 위한 은나노 수용액의 적정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정된 남조류에 대하여 은나노 수용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사멸률을 구하였다. 또한 녹조류와 규조류의 은나노 수용액 내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 고농도(3.0∼10.0 ppm) 단기간 처리
은나노 수용액은 전기 분해 장치를 통과 시키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현장에 발생한 수화를 제거할 목적으로 은나노 수용액을 고농도로 사용하여 처리 결과를 알아보았다.
(1) 사멸률 측정
남조류의 경우 Microcystis의 경우 단세포로 존재하여 in vivo fluorescence 측정시 균일한 값을 얻을 수 있었으나, 사상체인 AnabaenaOscillatoria의 경우 뭉쳐서 성장하므로 실험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여 현미경 관찰을 통한 경시적인 변화만을 제시하였다. 녹조류인 ChlorellaScenedesmus의 경우 시간에 따라 in vivo fluorescence의 값이 증가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세포막이 터지면서 세포질속에 존재하던 엽록체들이 밖으로 유출되면서 값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
고농도로 처리할 경우 세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여 처리 시간을 5분 이내로 한정하고 측정 시간도 1분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은 파이렉스 튜브에 2 ㎖의 배양액을 넣고 은나노 수용액을 3.0, 5.0,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하고 in vivo fluorescence를 측정하였다.
고농도 은나노 수용액(3.0, 5.0, 10.0 ppm)을 처리한 결과 Microcystis(A)의 경우 초기의 in vivo fluorescence 값을 45∼49로 시작하였다. 은나노 수용액 3.0 ppm으로 처리한 결과 2 분까지는 증가하여 51이 되었으며 이후에는 수치가 유지되었다(도 1). 그러나 10 ppm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1분 이후에 감소하여 in vivo fluorescence의 값이 20% 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클로렐라(B)를 대상으로한 실험에서는 농도와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도 2). 특히 고농도(10.0 ppm)에서는 초기에 감소 추세가 다른 농도에 비하여 두드러져 보였다.
Scenedesmus(C)의 경우에는 모든 농도에서 초기 1분간 in vivo fluorescence의 값이 증가하였다가 이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3). 클로렐라와 마찬가지로 10.0 ppm에서 다른 농도에 비하여 약간 감소 폭이 컸다. 실험결과 처리 농도와 시간에 따른 명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으나,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in vivo fluorescence 값의 감소 폭이 커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현미경 관찰
은나노 수용액 3 g/ℓ를 사용하여 광학 조건과 epi-fluorescence 조건에서 처리 후 남조류는 1분 후, 녹조류와 규조류는 5분의 변화 양상을 보았다. 엽록소는 UV 하에서 붉은 색으로 보인다.
남조류( cyanobacteria ) : 도 4는 은나노 수용액(3 ppm, 1 min) 처리 후 Microcystis sp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B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C, D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Microcystis의 경우 은나노 수용액 3 ppm을 처리 후 1분 후에 일부의 세균이 사멸하여 epi-fluorescence 조건에서 투명한 형태만 관찰되었다. 남조류 Microcystis의 경우 3 ppm으로 1분 처리한 결과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볼 수 없었던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배양종의 경우 군집을 형성하지 않고 단세포로 존재하기 때문에 현미경에서도 단세포의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결과 일부 Microcystis가 엽록소를 잊어버려 epi-fluorescence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하얗게 보였다. 광학현미경으로는 구별이 되지 않지만 형광현미경을 사용하면 엽록소가 UV하에서 붉게 보이는데 은나노 수용액의 은이온에 공격을 받은 남조류의 경우 세포막이 파괴되어 세포질이 세포밖으로 유출되어 형광현미경하에서 하얗게 보였다.
도 5는 은나노 수용액(3 ppm, 1 min) 처리 후 Anabaena sp.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B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C, D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Anabaena의 경우 1분 후 현미경 관찰 결과 사상체에는 거의 영향이 없고 엽록소가 소실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처리 시간이 짧아 사상체가 분리되는 양상은 볼 수 없지만, 은이온의 작용으로 세포에 큰 해를 끼쳐 세포막 분해에 의해서 세포질이 세포밖으로 유출되어 세포안의 엽록소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도 6은 은나노 수용액(3 ppm, 1 min) 처리 후 Oscillatoria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B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C, D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Oscillatoria의 경우 은나노 수용액을 3 ppm으로 처리한 후 1분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사상체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MicrocystisAnabaena에서 관찰된 엽록소의 소실과 같은 경향은 볼 수 없었다.
녹조류( Chlorophyceae ) : 도 7은 은나노 수용액(3 ppm, 5 min) 처리 후 Scenedesmus sp.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B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C, D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Scenedesmus의 경우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를 3 ppm으로 처리하여 5분 후에 관찰한 결과 일부의 세포에서 탈색 현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녹조류인 Scenedesmus는 남조류에 비하여 내성을 가지고 있어서 1분 후에는 초기 모습과 동일하게 엽록소를 가지고 있다가 5분에 일부 세포에서 탈색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Scenedesmus는 4개의 세포가 모여 하나의 개체를 형성하면서 살아가는 특징이 있다.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하면 4개의 세포가 영향을 받지 않고 일부 세포가 먼저 탈색이 일어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 사진에서는 형태가 뚜렷하게 존재하고 있지만 형광현미경 관찰 결과 탈색되어 하얗게 보인 개체도 존재하였다(도 7의 B, D).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광학현미경에서 초점이 맞지 않아 희미하게 보인 개체의 경우 형광현미경에서 붉은색으로 뚜렷하게 보였다. 따라서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경우 세포내의 엽록체가 파괴되어 엽록소가 소실되는 결과를 보였다.
규조류( Bacillariophyceae ) : 도 8은 은나노 수용액(3 ppm, 5 min) 처리 후 Navicula sp.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B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C, D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Navicula의 경우에도 은나노 수용액을 3 ppm으로 처리한 결과 일부 세포에서 탈색 현상을 관찰하였으며, 광학에서도 세포의 형태가 많이 깨진 현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규조류도 마찬가지로 은나노 수용액에 대하여 약간의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서 1분 후에는 탈색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지만 5분 후에 형광현미경을 통하여 탈색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남조류와 녹조류와는 다르게 광학현미경을 통해서 형체를 관찰하기 힘들었으며 형광현미경을 통해서는 심하게 탈색되었으나, 형태가 남아있음을 관찰하였다(도 8의 B, D). 그림의 중앙부분이 광학현미경하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았으나, 형광현미경 하에서는 탈색되어 보였으며 형태 또한 남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는 은나노 수용액(3 ppm, 5 min) 처리 후 Thalassiosira sp.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B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C, D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해수산 규조류인 Thalassiosira의 경우도 Navicula와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은나노 수용액 3.0 ppm을 처리하고 5분 후에 형광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한 결과 탈색되는 현상을 마찬가지로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남조류에 비하여 녹조류와 규조류가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내성이 강하여 처리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엽록소의 탈색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고농도의 은나노 수용액에서 은이온의 작용으로 세포가 죽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나. 저농도(0.01∼1.0 ppm) 장기간 처리
물에 녹아 있는 은(Ag) 농도의 음용수 기준은 0.1 ppm이다. 따라서 음용수 기준보다 10배 낮은 0.01 ppm에서 10배 높은 1.0 ppm 사이의 은나노 수용액을 대상으로 남조류와 미세조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를 0.01, 0.05, 0.1, 0.5 ppm으로 희석하여 실험하였다. 저농도의 실험은 고농도의 실험과 다르게 장시간(5∼10 일)에 걸쳐서 생존 양상을 알아보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저농도의 은나노 수용액을 사용한 실험은 은이온 농도가 0.01, 0.05, 0.1, 0.5 ppm이 되도록 제조한 배양액과 자연수에 일정 농도의 선정 미세조류를 접종하여 항온 진탕 배양기(광도는 100 μmol E/m2/s를 유지하기 위하여 형광등을 24 시간동안 조사)에서 5일과 10일 동안 배양하면서 생존 양상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250-㎖ 삼각플라스크에 50 ㎖의 실험 부피로 하였으며, in vivo fluorescence와 chl-a의 측정을 위하여 5 ㎖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남조류인 Microcystis에 대한 은나노 수용액 저농도 실험에서는 5일간 배양하면서 경시적인 변화를 보았다. Allen 배지의 경우 은나노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시간에 따라 성장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농도에 따라 사멸률이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배양종을 이용한 Microcystis의 실험은 초기의 chl-a를 30∼40 ㎍/ℓ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Allen 배지의 경우 대조구는 일주일 후 chl-a가 720 ㎍/ℓ 정도까지 성장하였다. 그러나 은나노 수용액으로 처리한 경우 모든 농도에서 접종 후 2일 안에 사멸하는 양상을 보였다(도 10). In vivo fluorescence 측정에서는 0.05 ppm 이상의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실험구에서 1일 만에 0의 값을 보였으며, 0.01 ppm의 경우에도 1일에 0 ㎍/ℓ으로 되었다. 그러나 chl-a를 측정한 실험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1일에 0 ㎍/ℓ의 값을 보였다(도 11). 반면, 자연수를 처리한 실험에서는 대조구의 경우 성장하는 양상은 보이지 않고 동일한 양으로 생존하였다(도 12, 13). 이는 채집한 자연수에 Microcystis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염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자연수의 실험 결과 in vivo fluorescence 측정에서는 0.01 ppm에서 1 일에 50%의 사멸률을 보였으며, 3일에는 100% 사멸하는 양상을 보였다. 농도가 0.05 ppm 이상에서는 1 일에 약 70%의 사멸률을 보이고, 2일에는 100% 사멸하는 양상을 보였다. Allen 배지에 비하여 자연수에서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내성이 강한 이유는 자연수에 존재하는 음이온들과 결합하여 염으로 전환되어 살균력이 약화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chl-a의 측정 결과에서는 0.05 ppm 이상의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경우에는 Allen 배지와 동일하게 24시간 만에 0 ㎍/ℓ의 값을 보였으며, 0.01 ppm을 처리한 경우에도 1일에 40% 감소하고 2일에 100% 감소하였다. 따라서 배양 종의 경우 은의 음용수 기준인 0.1 ppm보다 10배 낮은 농도인 0.01 ppm을 처리하여도 충분히 Microcystis를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은나노 수용액에 의하여 미세조류의 성장이 억제되는 사진을 2일과 5일 시료를 대상으로 촬영하였다(도 14). 도 14에서 A, C는 Allen medium이고, B, D는 Natural water으로, 대조구(B,D)의 경우 Microcystis의 성장에 따라 2일보다 5일에 진하게 보였으나,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실험구(A,C)에서는 2일의 시료에서도 투명하게 보여 전혀 성장이 일어나지 않음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남조류의 초기 성장 억제를 위한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는 0.01 ppm 이었으며, 은나노 수용액 처리 후 2일 이내에 사멸하였다.
녹조류인 ChlorellaScenedesmus의 경우 은나노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고 Allen 배지에서 키운 것은 잘 자라서 녹색을 띠었다. 은나노 수용액을 0.05 ppm 농도로 첨가한 경우에는 성장의 속도가 약간 늦기는 했지만 극복하고 성장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0.1 ppm 이상에서는 전혀 성장이 일어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대청호의 물을 filter하여 조제한 자연수의 경우에는 은나노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서도 눈에 보일 정도의 성장을 보이지 않았으나,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에 따른 사멸 현상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녹조인 Chlorella의 경우 Allen 배지에서 4일째에는 in vivo fluorescence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10%의 성장을 보였으나, 8일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80%, 10 일에는 대조구와 거의 비슷하게 성장하여 95%의 in vivo fluorescence 값을 보였다(도 15). Chl-a의 결과에서도 0.05 ppm의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경우 약간의 lag time은 있었지만 대조구와 비슷하게 성장하는 양상을 보였다(도 16). 자연수의 경우에는 Microcystis와 같이 대조구의 성장이 느린 경향을 보였으며, 8일 이후에는 성장이 둔화되었다(도 17, 18). 은나노 수용액을 첨가한 실험의 모든 농도에서 4일까지 in vivo fluorescence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은나노 수용액에 의한 사멸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0.05 ppm에서는 4일 이후에 재성장하여 대조구에 비해 60%까지 in vivo fluorescence 값이 증가하였다. 8일 이후에 대조구와 0.05 ppm 처리구에서 in vivo fluorescence 값이 감소한 것은 Chlorella의 성장에 필요한 N과 P의 고갈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은나노 수용액 0.05 ppm을 처리한 실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chl-a의 경우 4일에는 40% 존재하였으나, 8일에는 90% 이상 존재하여 Microcystis의 경우와 같이 lag time이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경우 길어지지만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서 다시 성장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0.1 ppm 이상에서는 chl-a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8일에는 0 ㎍/ℓ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Chlorella의 경우 은나노 수용액 0.05 ppm까지는 내성을 보였으며, 0.1 ppm 이상에서는 사멸하는 결과를 보였다.
은나노 수용액 접종 후 4일과 10일에 배양 시료의 사진에서도 Allen 배지의 경우 10일에 확연하게 0.05 ppm을 처리한 실험구에서 Chlorella의 성장에 따라 녹색이 진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9). 자연수의 경우에는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을 만큼 대조구에서도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녹조류 Chlorella의 경우 은나노 수용액 0.05 ppm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성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녹조류 Scenedesmus에 대한 은나노 수용액 농도별 실험 결과 클로렐라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Scenedesmus의 경우에는 Chlorella보다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내성이 강하여 0.1 ppm에서도 Allen 배지에서 10일 후에 성장이 대조구와 비슷하였다(도 20, 21). Scenedesmus도 초기에는 은나노 수용액에 대하여 약간의 lag time을 갖기는 했지만 8일에는 0.05와 0.1 ppm에서 in vivo fluorescence의 값이 대조구와 동일하게 나왔다(도 20). 특히 0.1 ppm의 경우 4일에 거의 자라지 못하다가 4일에서 8일 사이에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그리고 0.5 ppm으로 처리한 경우에도 8일 이후에 약간의 성장을 보여 은나노 수용액에 의한 lag time이 상당히 길어졌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성장이 일어났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자연수의 실험에서 in vivo fluorescence의 경우 0.1 ppm에서 8일까지는 대조구와 비슷하게 성장한 후 10일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22,23). 이는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내성이 배지내의 N과 P가 고갈됨에 따라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수의 경우 chl-a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대조구의 경우 chl-a가 60에서 140 ㎍/ℓ로 증가하였으나, 0.05 ppm의 경우 측정 시간 동안에 초기 접종 농도인 63 ㎍/ℓ을 유지하였다(도 23). 또한 0.1 ppm에서는 4일째 감소하여 4 ㎍/ℓ이었으나, 8일에는 Scenedesmus의 재성장으로 52 ㎍/ℓ을 나타냈다. 그리고 Allen 배지의 in vivo fluorescence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chl-a의 결과에서도 8일 이후에 약간 증가되어 2 ㎍/ℓ을 보였다.
ScenedesmusChlorella에 비하여 은나노 수용액에 대하여 높은 내성을 보이는 이유는 Scenedesmus의 경우 4개의 세포가 뭉쳐서 성장하기 때문에 단세포로 존재하는 Chlorella에 비하여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내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고농도 실험의 현미경 사진에서도 4개의 세포가 모두 동시에 사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 일부가 먼저 사멸하는 양상을 보이므로,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내성이 증가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자연수 실험에서 8일 이후에 급격한 사멸은 성장에 필요한 N, P가 제공되지 않은 것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Scenedesmus는 같은 녹조류인 Chlorella보다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내성이 강하여 0.1 ppm에서도 약간의 lag time이 길어질 뿐 성장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현장시료에 의한 은나노 수용액의 미세조류 제어효과 분석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Microcystis의 경우 장기간 계대 배양을 하다보면 군체를 형성하지 않고 단일 세포로 존재하는 등 형태적인 변형이 일어난다. 따라서 현장에 존재하는 Microcystis를 대상으로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에 따른 제어 효과를 분석하였다. 도 24는 2006년 8월 추소리에서 수화가 발생한 사진과 그때 수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Microcystis의 현미경 사진이다. 사진에 보이는 바와 같이 현장에서는 점액질 층으로 둘러싸여 군체를 형성하여 존재한다.
1. 현장시료 chl - a 의 농도별 제어효과(대청호)
수화가 발생하게 되면 수중에 있던 Microcystis가 수표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대량 증식하게 되면 녹색의 띠를 형성하고, 바람에 따라 이동하여 지표와 맞닿는 곳에 두꺼운 층을 형성하여 스컴을 이루게 된다. 추소리 현장에서 수화가 발생하여 두꺼운 층을 이루는 시료를 대상으로 은나노 수용액의 사멸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추소리의 수화가 발생했을 때 수중에 존재하는 Microcystis의 chl-a의 농도인 150 ㎍/ℓ의 농도와 수층에 스컴을 이루는 농도인 1,600 ㎍/ℓ의 농도에서 은나노 수용액을 이용한 제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가. 고농도 현장시료
(1) 사멸률 측정
수화가 발생한 표층에 존재하는 Microcystis를 대상으로 은나노 수용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Microcystis의 생존률을 보았다. 실험 방법은 삼각플라스크를 이용한 이전의 방법과 동일하다. 초기의 접종량은 chl-a로 약 1,500∼1,900 ㎍/ℓ가 되도록 현장 시료를 삼각플라스크에 준비하였다. 이때 chl-a가 오차가 심한 것은 층을 이루고 있어서 균질하게 접종이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은나노 수용액을 첨가하고 초기에는 1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4시간 이후에 12시간과 24시간 경과 후에 측정하였다. 고농도로 처리한 실험 구간에서 급격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짧은 간격으로 실험하였으나 생각보다는 변화가 심하지 않았다. 고농도의 Microcystis에 대한 은나노 수용액 처리 실험 결과 은나노 수용액 0.05 ppm 까지는 대조구와 동일한 생존률을 보여 낮은 농도의 은나노 수용액은 고농도의 Microcystis에는 제어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판단된다(도 25).
은나노 수용액 0.5와 1.0 ppm의 경우에는 4시간까지는 감소 이후에 24시간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결과로 미루어 이후에는 재성장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며 1.0 ppm의 경우에도 lag time만 길어지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3.0 ppm 이상에서는 현격하게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 24시간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60%의 생존률을 보였으며 계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현장의 수화 발생으로 형성된 스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농도(3.0 ppm 이상)의 은나노 수용액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은나노 수용액 5.0 ppm을 사용한 경우에는 24시간에 40%의 생존률을 보였으며, 계속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은나노 수용액을 3.0 ppm과 5.0 ppm으로 처리한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되는 양상을 보여, 수화가 발생한 후 남조류의 사멸을 위해서는 초기의 은이온의 농도가 3.0 ppm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단, 수화가 이미 발생한 경우 은나노 수용액의 처리는 은이온의 처리 농도가 너무 높아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전자 현미경 관찰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후 세포의 형태 변화 및 은나노 수용액의 부착 위치를 관찰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과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을 통하여 세포 표면과 세포 단면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실험은 1.5-㎖ Eppendrof tube를 사용하여 고농도의 Microcystis를 50 ㎕ 넣고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를 10.0 ppm이 되도록 첨가하고 10, 20, 30 60분 간격으로 고정액으로 고정시켜 냉장 보관 후 SEM과 TEM의 시료 전처리 과정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내에 있는 전자현미경실에서 실시하여 SEM은 KAIST 내에 있는 전자현미경실에서 촬영하였고, TEM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내에 있는 전자현미경실에서 촬영하였다. 도 26 및 27은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은나노 수용액 10 ㎎/ℓ을 처리한 후 시간에 따른 세포의 표면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다. 시간 경과에 따라 세포의 형체가 심하게 일그러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처리시간에 따라 세포 표면의 분해 정도가 점점 심하게 변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처리 후 10분 만에 이미 대부분의 세균들이 홀이 생기는 현상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입자 형태의 변화는 은나노 수용액에 의하여 야기된 것으로 판단되며, 은이온이 단백질의 SH기에 결합하여 호흡, 효소활성, 전자 이동 등을 방해함으로써 세균을 괴사시킨 결과라고 판단된다.
도 28은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현장시료에 대한 은나노 수용액의 영향을 살펴 본 것이다.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후 10 ,20, 30, 60분 간격으로 비교해 본 결과 초기에는 Microcystis의 세포막 구조가 확실하게 3 층으로 구분되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형태가 심하게 일그러지는 현상을 관찰하였으며, 60분의 세포 모양은 초기에 둥그런 모양에서 한쪽이 심하게 함몰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도 28의 C). 이와 같은 기작은 은이온이 positive charge를 띠고 있으므로 세포막의 negative charge를 띠고 있는 부분과 결합하여 세포막의 에너지 균형을 붕괴시켜 세포막의 파손을 야기시킨 결과로 판단된다. 그러나 세포막이 느슨해진 정도에 비하여 세포 내부의 소기관의 유출이 없었는데 이는 은나노 수용액으로 처리한 후 정치시킨 것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남조류의 세포내에 검정 작은 알갱이가 보이는데 이것은 세포 안으로 침투한 은나노 입자로 판단된다. 은나노 입자의 침투는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 한 10분 후부터 관찰되는 것으로 미루어 처리 초기부터 세포내로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렇게 침투한 은나노 입자는 이전에 밝혀진 것과 같이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리보솜의 합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SH- 기를 가진 단백질과 결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물론 모든 SH-기를 가진 단백질과 결합하는 것은 아니고, 특정 단백질과만 결합한다. 특히, 잘 알려진 NADH dehydrogenase와 결합한다. 그러나 DNA와 결합한다는 보고는 아직까지는 없다. 따라서 은이온은 단백질과 결합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저농도(0.01∼1.0 ppm) 장기간 처리
(1) 사멸률 측정
저농도 chl-a(110∼190 ㎍/ℓ)의 현장시료에 대하여 은나노 수용액을 7일 동안 처리한 결과 극명한 결과를 보였다(도 29). 은나노 수용액 1 ppm 이상의 비교적 높은 은이온 농도에서는 처리 후 1일 사이에 사멸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0.1 ppm 이하에서는 내성을 가지는 양상을 보였다. 은나노 수용액 0.05 ppm으로 처리한 경우 7일 동안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80%의 성장을 보여 사멸 효과가 비교적 적음을 나타냈다.
은나노 수용액 0.1 ppm을 처리한 처리구는 1일 후의 값이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이는 초기에 접종된 남조류의 양이 대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0.05 ppm보다 더 성장에 저해를 받아 7일 후에는 70%이었다. 현장 시료의 경우, 배양 종에 비하여 은나노 수용액의 저해 효과가 감소한 가장 큰 원인은 배양종의 경우 단세포로 독립적으로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뭉치기 위한 다당류인 점질층이 없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다. 현미경 관찰
현장 시료를 은나노 수용액 3 ppm으로 처리 한 후 30초 간격으로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을 형광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도 30).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 후 30초에는 점질층의 가장자리에 있는 Microcystis부터 색이 옅어지기 시작하였으며, 1분 30초 후에는 전체적으로 탈색되는 결과를 보였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Microcystis의 엽록소가 없어지는 현상을 관찰하여 은나노 수용액에 대한 사멸임을 확인하였다.
Pilot - scale 미세조류 제어효과(배양 시료)
현장시료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위하여 200-ℓ 광배양기를 이용하여 120 ℓ를 배양하면서 은나노 수용액의 농도에 따른 경시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전에 삼각플라스크의 실험을 바탕으로 얻어진 결과인 은나노 수용액 0.1 ppm을 120 ℓ 광배양기에 적용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구로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하지 않고 Allen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초기의 in vivo fluorescence를 4(chl-a, 약 50 ㎍/ℓ)로 맞추어 접종하여 10일 동안 배양한 결과 in vivo fluorescence가 28(chl-a, 약 500 ㎍/ℓ)까지 성장하였다(도 31). 5일 배양 후에 상당히 녹색이 진해졌다. 초기의 농도를 대조구와 같게 접종하고 은나노 수용액을 음용수 기준인 0.1 ppm으로 처리한 실험에서는 in vivo fluorescence가 1일에 1정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5일 후에는 in vivo fluorescence 수치가 거의 0이 되었고, 이는 생장을 못하고 사멸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은나노를 이용한 조류제어 방법은 하천, 호소, 댐, 저수지 등의 수질개선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양식장의 수질 개선, 공업용수 및 농업용수의 수질 개선,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의 수질 개선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각각 Microcystis(A), Chlorella(B), Scenedesmus(C)의 은나노 수용액 고농도 처리시 in vivo fluorescence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은나노 수용액(3 ppm, 1 min) 처리 후 Microcystis sp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B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C, D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은나노 수용액(3 ppm, 1 min) 처리 후 Anabaena sp.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B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C, D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은나노 수용액(3 ppm, 1 min) 처리 후 Oscillatoria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B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C, D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은나노 수용액(3 ppm, 5 min) 처리 후 Scenedesmus sp.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B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C, D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은나노 수용액(3 ppm, 5 min) 처리 후 Navicula sp.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B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C, D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은나노 수용액(3 ppm, 5 min) 처리 후 Thalassiosira sp.의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A, B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C, D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10 및 11은 Microcystis의 은나노 수용액 농도별 생장변화(Allen medium)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2 및 13은 Microcystis의 은나노 수용액 농도별 생장변화(Natural water)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은나노 수용액 처리 후 2일과 5일 Microcystis 배양 시료의 사진으 로, A, C는 Allen medium이고, B, D는 Natural water이다.
도 15 및 16은 클로렐라의 은나노 수용액 농도별 생장변화(Allen medium)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7 및 18은 클로렐라의 은나노 수용액 농도별 생장변화(Natural water)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은나노 수용액 처리 후 4일과 10일 Chlorella 배양 시료의 사진으로, A, C는 Allen medium이고, B, D는 Natural water이다.
도 20 및 21은 Scenedesmus의 은나노 수용액 농도별 생장변화(Allen medium)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2 및 23은 Scenedesmus의 은나노 수용액 농도별 생장변화(Natural water)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추소리 현장 시료사진이다.
도 25는 고농도의 현장시료(Microcystis)에 대한 다양한 은나노 수용액 농도에 따른 생장변화 곡선(Microcystis의 초기 접종 농도 Chl-a: 1,500∼1,900 ㎍/ℓ)이다.
도 26은 현장시료(Microcystis)의 은나노 수용액 10 ppm 처리 후 SEM 사진촬영(× 10.0K) 결과이다.
도 27은 현장시료(Microcystis)의 은나노 수용액 10 ppm 처리 후 SEM 사진촬영(× 20.0K) 결과이다.
도 28은 현장시료(Microcystis)의 은나노 수용액 10 ppm 처리 후 TEM 사진 (윗줄: × 10.0K, 아래 줄: × 20.0K) (A, D: 10min, B, E: 20min, C, F: 1hrs)이다.
도 29는 저농도의 현장시료(Microcystis)에 대한 다양한 은나노 수용액 농도에 따른 생장변화 곡선(Microcystis의 초기 접종 농도 Chl-a: 110∼190 ㎍/ℓ)이다.
도 30은 현장시료에 은나노 수용액을 처리한 후 시간에 따른 변화(3 ppm)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 31은 추소리 현장시료(Microcystis)의 대량 배양 시료에서의 생장 변화 곡선이다.

Claims (8)

  1. 은나노를 0.001∼30 ppm으로 사용하여 담수에서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조류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의 억제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나노는 0.001∼10 ppm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의 억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나노는 0.005∼0.1 ppm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의 억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나노를 0.005∼0.05 ppm으로 사용하여 남조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의 억제방법.
  6.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은나노는 은나노 콜로이드 수용액의 형태로 물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의 억제방법.
  7. 삭제
  8. 삭제
KR20070113247A 2007-11-07 2007-11-07 은나노를 이용한 조류의 억제방법 및 조류 억제제 KR100960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3247A KR100960227B1 (ko) 2007-11-07 2007-11-07 은나노를 이용한 조류의 억제방법 및 조류 억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3247A KR100960227B1 (ko) 2007-11-07 2007-11-07 은나노를 이용한 조류의 억제방법 및 조류 억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203A KR20090047203A (ko) 2009-05-12
KR100960227B1 true KR100960227B1 (ko) 2010-05-28

Family

ID=4085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13247A KR100960227B1 (ko) 2007-11-07 2007-11-07 은나노를 이용한 조류의 억제방법 및 조류 억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86A (ko) 2017-07-06 2019-01-1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류 억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27B1 (ko) * 2009-02-05 2011-07-14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CN103570084B (zh) * 2012-07-30 2015-05-20 无锡市顺业科技有限公司 基于纳米银的防护和治理蓝藻污染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405A (ja) * 2000-12-04 2002-06-21 Hidehiro Tagusari コロイド銀による殺菌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殺菌処理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405A (ja) * 2000-12-04 2002-06-21 Hidehiro Tagusari コロイド銀による殺菌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殺菌処理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86A (ko) 2017-07-06 2019-01-1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류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203A (ko)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ttoni et al. Environmental impact of biogenic silver nanoparticles in soil and aquatic organisms
Gibson et al. Barley straw as an inhibitor of algal growth II: laboratory studies
CN101677561B (zh) 使用Thaxtomin与Thaxtomin组合物控制藻类的方法
Yu et 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 of seaweed Gracilaria lemaneiformis to concentration changes of N and P
Lürling Effect of grazing‐associated infochemicals on growth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in Scenedesmus acutus (chlorophyceae)
WO2011009296A1 (zh) 一种在微藻大规模培养中有效治理敌害生物的方法
Churro et al. Effects of bacillamide and newly synthesized derivatives on the growth of cyanobacteria and microalgae cultures
Wang et al. Effects of two species of macroalgae—Ulva pertusa and Gracilaria lemaneiformis—on growth of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Khamhaengpol et al. Fluorescent light mediated a green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using the protein extract of weaver ant larvae
KR100960227B1 (ko) 은나노를 이용한 조류의 억제방법 및 조류 억제제
CN101723481B (zh) 应用于铜绿微囊藻高效灭活的电子束辐照处理方法
Hao et al. Effect of the microorganism-adherent carrier for Nitzschia palea to control the cyanobacterial blooms
Agrawal et al. Vegetative survival, akinete and zoosporangium formation and germination in some selected algae as affected by nutrients, pH, metals, and pesticides
KR100925988B1 (ko) 은나노를 이용한 조류억제를 최적화시키는 방법
CN112646817B (zh) 一种RNA抑菌剂siR2及作物病菌抑制剂
Ipatova et al. Resistance of microalgae to colloidal silver nanoparticles
CN113940360A (zh) 亚硒酸钠在抗烟草疫霉中的应用
Budzałek et al. Allelopathic effect of Ulva intestinalis L. on the Baltic filamentous cyanobacterium Nostoc sp.
Rød Sori disinfection in cultivation of Saccharina latissima: Evaluation of chemical treatments against diatom contamination
KR20220051663A (ko)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에 대한 살조활성을 가지는 파우시박터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Bloch et al. Endophytic fungi-mediated synthesis of gold and silver nanoparticles
CN111533241B (zh) 一种基于微酸性电解水的绿藻处理方法
CN102732450B (zh) 一株胺菊酯降解菌及其应用
Li et al. Response of cellular stoichiometry and phosphorus storage of the cyanobacteria Aphanizomenon flos-aquae to small-scale turbulence
Wang et al. Comparative studies on the allelopathic effects of Ulva pertusa Kjellml, Corallina pilulifera Postl et Ruprl, and Sargassum thunbergii Mertl O. Kuntze on Skeletonema costatum (Grev.) Cle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