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209B1 - 안테나 및 무선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및 무선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209B1
KR100960209B1 KR1020070130228A KR20070130228A KR100960209B1 KR 100960209 B1 KR100960209 B1 KR 100960209B1 KR 1020070130228 A KR1020070130228 A KR 1020070130228A KR 20070130228 A KR20070130228 A KR 20070130228A KR 100960209 B1 KR100960209 B1 KR 100960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ase
conductor pattern
sheet metal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092A (ko
Inventor
마사또모 모리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 전화 장치 등의 각종 장치 내에, 특히 저주파용의 안테나를 효율적으로 수납 가능하게 함과 함께, 장치 이용 시의 인체에 의한 안테나 임피던스의 혼란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휴대 전화 장치의 케이스(14, 15) 상부 부근 등에, 프린트 기판(16) 상에 형성된 기판 안테나부(20)와, 판금 안테나(21)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를 수납한다. 기판 안테나부(20)는, 프린트 기판 상에 다른 배선 패턴과 함께 형성되는 도체 패턴을 포함한다.
휴대 전화 장치, 안테나 임피던스, 프린트 기판, 도체 패턴

Description

안테나 및 무선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ANTENNA AND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안테나 및,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10㎒부터 100㎒ 정도의, 저주파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구조, 혹은 이러한 안테나를 구비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단말 장치의 예로서, 휴대 전화 장치를 들 수 있다.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W-CDMA나 cdma2000이라고 한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통신에서는, 수100㎒부터 수㎓의 대역의 전파를 이용하여, 음성이나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고, 그를 위한 안테나가 휴대 전화 장치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 장치예로서 특히 휴대 전화 장치를 들어 설명을 행하지만, 본 발명은 휴대 전화 장치에 한정되는 것을 주지로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최근에는 휴대 전화 장치에 수많은 기능이 탑재되도록 되어 왔다. 그 기능의 일례로서, FM 방송의 송수신 기능을 들 수 있다.
휴대 전화 장치에 FM 방송의 수신 기능을 가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를 이용하여 FM 방송을 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휴대 전화 장치에 음악 데이터 를 기억시켜서, 휴대 전화 장치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는다고 하는 용도가 있다. 그 때에, 미약한 FM 방송에 대응한 대역의 전파를 이용하여, 외부의 수신 장치에 휴대 전화 장치에 기억된 음악 데이터를 송신하여, 외부 수신 장치로 음악을 듣는다고 하는 용도도 고려되고 있다.
도 8은, 종래의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101은 상부 케이스, 참조 부호 102는 하부 케이스이다. 상부 케이스(101)와 하부 케이스(102)는, 힌지 기구(103)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 내에는, 음성이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내장 안테나(10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휴대 전화 장치에는 외장의 이어폰(105)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 이어폰(105)을 이용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 내에 기억된 음악 등을 듣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어폰(105)을 FM 방송 수신용의 안테나로서 이용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를 이용하여 FM 방송을 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 문헌1] 일본 특개평 9-331209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종래의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이어폰을 안테나에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FM 방송 수신을 위해 이어폰을 이용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휴대 전화 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하고, 이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악 등 을 듣는다고 하는 이용 형태가 있다. 이 스피커를 이용하여 FM 방송을 들으려고 하여도, FM 방송 수신을 위해서는 휴대 전화 장치에 이어폰(105)을 접속해 둘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이어폰으로부터의 음성 출력이 우선되어, 스피커로부터 음성을 출력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스피커로부터의 음성 출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안테나로서 이용되는 이어폰을 휴대 전화 장치로부터 떼어내야만 하여, FM 방송의 수신 자체가 가능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휴대 전화 장치로부터의 FM을 이용한 정보 송신의 경우에도, 휴대 전화 장치에 이어폰을 접속한 채가 아니면 외부의 수신 장치에의 정보 통신을 행할 수 없다.
또한, FM 방송 등에 이용되는 10㎒부터 100㎒ 정도의 저주파대의 전파는, 1/4파장이 수m에 달한다. 이러한 파장에 대응하는 안테나를 휴대 전화 장치와 같은 소형 장치의 케이스 내에 저장하는 것은 그렇지 않아도 곤란하다. 특히, 휴대 전화 장치는 고기능화가 진행되고 있어, 각종의 회로나 카메라, 스피커 등의 각종 모듈이 케이스 내에 다수 배치되는 경향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테나를 케이스 내에 설치하려 하여도, 다른 부품과 안테나가 간섭할 우려가 높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안테나를 수납하는 케이스의 대형화를 초래하여, 휴대 전화 장치의 디자인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디메리트가 있다.
휴대 전화 장치 중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식 케이스를 채용한 장치가 존재한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케이스 내의 스페이스에 비교적 여유가 있어, 안테나의 실장 스페이스도 상대적으로 확보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안 테나의 실장 장소가 문제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케이스에는 조작부가 설치되는 등, 조작자가 케이스를 잡는 상황이 일어나기 쉽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에 안테나를 수납한 경우, 조작자가 하부 케이스를 잡았을 때에 조작자의 손이 안테나에 근접하기 쉽다. 인체가 안테나에 근접한 경우, 안테나 임피던스의 혼란이나 전파의 방사 효율 열화 등을 초래하여, FM 방송의 송수신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탑재되는 장치의 프린트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된 도체 패턴과, 프린트 기판의 하나의 면에 탑재되고 도체 패턴과 접속되는 칩 안테나와, 장치의 케이스 내에 도체 패턴의 일단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판금 안테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안테나는, 도체 패턴이, 프린트 기판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도체 패턴과, 프린트 기판의 제2 면에 형성된 제2 도체 패턴을 구비하고, 제1 도체 패턴의 일단과 제2 도체 패턴의 일단은, 프린트 기판에 형성된 쓰루홀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테나는, 도체 패턴은 프린트 기판의 제1 면에 형성되며, 칩 안테나는 프린트 기판의 제2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체 패턴의 일단과 칩 안테나의 일단은, 프린트 기판에 형성된 쓰루홀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판금 안테나부의 일단이 탄력성을 갖는 제1 접점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도체 패턴의 일단에는 제1 접점이 접촉하는 제2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회로를 탑재하는 회로 기판과,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과,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된 칩 안테나와, 판금에 의해 구성된 판금 안테나를 갖고, 칩 안테나와 도체 패턴과 판금 안테나가 접속된 상태에서 내장 안테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는, 도체 패턴이, 회로 기판의 제1 면 상에 형성됨과 함께, 칩 안테나는 회로 기판의 제2 면 상에 형성되고, 도체 패턴의 일단과 칩 안테나의 일단이 회로 기판에 형성된 쓰루홀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는, 도체 패턴이 회로 기판의 제1 면 상에 형성된 제1 도체 패턴부와, 회로 기판의 제2 면 상에 형성된 제2 도체 패턴부를 갖고, 제1 도체 패턴부와 제2 도체 패턴부가 회로 기판에 형성된 쓰루홀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는,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를 갖는 제1 케이스와, 제1 케이스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제2 케이스를 갖고, 내장 안테나는 제2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2 케이스에는 통화 시의 통화 상대로부터의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가 설치되고, 내장 안테나는 상기 리시버가 배치된 위치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장 안테나는 단파장대용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를 장치 내부의 공간에 유효적으로 수납 가능하게 된다. 특히, 안테나를 복수의 요소로 구성하고, 이들을 삼차원적(기판의 표리 등)에 배치함으로써,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안테나의 실효 길이를 원하는 것에 가깝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장치 내부에 유효적으로 안테나를 배치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장치 외부에 안테나를 외장할 필요가 없어, 상기의 예와 비교하면 이어폰을 장치에 붙인 채로 한 FM 방송 수신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장치 내부에 안테나를 수납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대형화 등의 대응에 의한 안테나 내장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서, 케이스 디자인을 손상시킬 일도 없다.
나아가서는, 안테나를 조작자가 파지하지 않는 케이스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인체에 의한 안테나 임피던스의 혼란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절첩식의 케이스를 갖는 장치에서, 한쪽의 케이스의 최상부에 안테나를 수납하는 것은, 이 효과를 낳는 하나의 대응책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 장치의 예로서 휴대 전화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본 발명 의 적용되는 장치는 휴대 전화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는 커버를 연 상태, 도 1의 (b)는 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는, 상부 케이스(1)와 하부 케이스(2)의 2개로 분할된 케이스를 갖는다(상기의 「커버」에 상당함). 상부 케이스(1)와 하부 케이스(2)는, 회전 이동 가능한 힌지 기구(3)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서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화 시에는, 도 1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와 하부 케이스(2)를 연 형태에서 이용된다. 통화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와 하부 케이스(2)를 닫은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의 이면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7)가 설치된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7)의 상측에는, 통화 시에 통화하고 있는 상대의 음성을 듣기 위한 리시버(10)가 설치된다. 한편, 상부 케이스(1)의 양 측면에는 스피커(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피커(11)는, 통화하고 있는 상대의 음성을 듣기 위해 이용됨과 함께,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음악을 들을 때에 이용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1)에는,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12)가 설치된다.
한편, 하부 케이스(2)에는, 전화 번호나 문자를 입력할 때에 이용되는 키를 구비한 조작부(8)가 설치된다. 또한, 조작부(8)의 하부에는, 통화 시에 휴대 전화의 이용자가 발하는 음성을 집음하는 집음 마이크(9)가 설치된다. 한편, 하부 케 이스(2)의 이면에는, 휴대 전화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가 설치되고, 또한 하부 케이스(2)의 내부에는 메인 안테나(4) 등이 설치된다. 또한, 휴대 전화에는, 도시하지 않은 통신을 행하기 위한 각종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안테나(4)는, 음성에 의한 통화 혹은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내장 안테나이다.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W-CDMA나 cdma2000 등의 통신 방식에 대응한, 수 100㎒대부터 수㎓대의 고주파대를 이용하여 통신이 행해지고, 메인 안테나(4)는 이 고주파대의 전파에 대응한 것이다.
한편, 저주파용 안테나(6)는, FM 방송과 같은 10㎒부터 100㎒ 정도의 저주파를 이용한 통신에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된 음악 등의 데이터를 미약한 FM 통신에 의해 외부의 수신 장치에 송신하고, 외부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기억부에 기억된 음악을 듣는다고 하는 이용 형태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세 내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저주파용 안테나(6)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주파용 안테나(6)는 상부 케이스(1)의 최상부, 리시버(10)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는, 통화 시에 휴대 전화 장치의 조작자가 파지할 가능성이 낮은 위치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상부 케이스(1)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부 케이스(1)는, 프론트 케이스(14)와 리어 케이스(15)로 구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4)과 리어 케이스(15)는, 나사(19)로 고정된다.
상부 케이스(1) 내에는, 프린트 기판(16)이 수납된다. 프린트 기판(16) 상 에는, 카메라 유닛(12)이 직접 탑재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16) 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각종의 회로 소자가 탑재된다. 프린트 기판(16) 상에는 또한 케이블 커넥터(17)가 설치된다. 케이블 커넥터(17)에는, 하부 케이스(2)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18)이 접속되고, 이에 의해 하부 케이스(2) 내의 회로와 상부 케이스(1) 내의 회로가 접속된다. 프론트 케이스(14)와 프린트 기판(16) 사이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7)이 부착된다.
한편, 상부 케이스(1)에는, 전술하는 스피커(11)가 수납되어 있다. 스피커(11)는 좌우 각 하나씩, 계 2개 설치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1)의 상부에는, 리시버(10)가 수납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7), 카메라 유닛(12), 스피커(11), 리시버(10)는 각각 프린트 기판(16)에 접속되어 있고, 이들 각 유닛의 동작은 프린트 기판(16)에 탑재된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스(1) 내에는, 여러 부품이 탑재되어 있으며, 각 부품은 각각이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상부 케이스(1)에는, 저주파용 안테나(6)가 탑재되어 있는데, 저주파용 안테나(6)도 다른 부품과 간섭하지 않도록, 한정된 스페이스 내에, 소정의 파장의 전파에 대응한 실효 길이를 갖도록 배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저주파용 안테나(6)는, 기판 안테나부(20)와 판금 안테나(21)를 갖는다.
기판 안테나부(20)는, 상부 케이스(1)에 수납되는 프린트 기판(16)의 도시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프린트 기판(16)의 상부 부근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3은 프린트 기판(16)의 한쪽의 면을, 도 4는 프린트 기판(16)의 다른 쪽의 면을 나타내고 있다. 프린트 기판(16)의 상부에는, 리시버(10)가 접속되는 리시버 커넥터(29)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16) 상에는, 기판 안테나부(20)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칩 안테나(22)가 설치되어 있다. 칩 안테나(22)에는,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기 위한 정합 회로(26)를 통하여 FM 수신/송신 모듈(27)이 접속되어 있다. FM 수신/송신 모듈(27)은, 저주파용 안테나(6)를 통한 전파의 송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한편, 칩 안테나(22)의 타단에는, 프린트 기판(16)의 이면에 관통하는 제1 쓰루홀(23a)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16)의 동일한 면에는, 도체 패턴(24)이 형성되어 있다. 도체 패턴(24)의 일단에는, 후술하는 판금 안테나(21)가 접하는 판금 안테나 접점(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체 패턴(24)의 타단에는, 제2 쓰루홀(23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프린트 기판(16)의 다른 면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체 패턴(24a)이 형성되어 있다. 도체 패턴(24a)의 일단에는 제1 쓰루홀(23a)이 접속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2 쓰루홀(23b)이 접속되어 있다. 도체 패턴(24a)은 S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형상에 의해 실효 길이가 가능한 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16) 상에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도체 패턴(24, 24a)은, 이들 배선 패턴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프린트 기판(16)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도체 패턴(24)과 도체 패턴(24a)은, 제2 쓰루홀(23b)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체 패턴(24a)과 칩 안테나(22)는, 제1 쓰루홀(23a)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칩 안테나(22)-도체 패턴(24a)-도체 패턴(24)이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총체적으로 기판 안테나부(2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체 패턴(24)/칩 안테나(22)와 도체 패턴(24a)은, 각각 프린트 기판이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기판 안테나(20) 배치를 위한 공간을 유효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16)은, 나사 고정부(28)를 통하여 프론트 케이스(14)와 리어 케이스(15) 사이에 고정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판금 안테나(21)의 사시도를, 마찬가지로 도 6은 판금 안테나(21)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판금 안테나(21)는, 1매의 판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판금 안테나(21)의 일단에는, 스프링 접점(30)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접점(30)은, 판금 안테나(21)의 일단을 절곡하고, 탄력성을 갖게 한 것이다. 도 6에서는, 절첩 부분으로 되는 스프링 접점(30)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판금 안테나(21)의 타단은 안테나 끝(32)으로서 작용한다. 안테나 끝(32) 부근에는, 판금 안테나(21)를 케이스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나사 고정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리어 케이스(15)의 상부는 복수의 구획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 중, 위에서부터 2단째의 구획에는, 좌우의 스피커(11)가 수납된다. 또한, 최상단 의 도시 좌측에는, 리시버(10)가 수납된다. 스피커(11)가 수납되는 영역 아래에는, 하부 케이스(2)로부터 인출되는 동축 케이블(18)의 인출구가 형성되며, 또한 프린트 기판(16) 상에는 카메라 유닛(12)을 비롯한 각종 회로 유닛이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판금 안테나(21)는, 리어 케이스(15)의 구획 부분 중, 아무것도 수납되지 않은 도시 최상단 우측의 구획 내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판금 안테나(21)는, 다른 부품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또한 케이스 내에 있는 근소한 간극 내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판금 안테나(2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S자 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도체 패턴(24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테나의 실효 길이를 늘리기 위한 대응임과 동시에, 상기의 한정된 영역 내에 판금 안테나(21)를 수납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응이기도 하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판금 안테나(21)와 프린트 기판(16) 및 기판 안테나부(20)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판금 안테나(21)의 나사 고정 구멍(31)은, 프린트 기판(16)에 형성된 나사 고정부(28)와 겹쳐진 뒤에, 도 2에 도시된 나사(9)에 의해 프론트 케이스(14)와 리어 케이스(15) 사이에 끼워지도록 고정된다.
한편, 판금 안테나(21)의 스프링 접점(30)은, 판금 안테나(21)의 일단이 프린트 기판(16)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프린트 기판(16)에 형성된 판금 안테나 접점(25)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판금 안테나(21)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스프링 접점(30)과 판금 안테나 접점(25)이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판금 안 테나(21)와 기판 안테나부(20)가 일체의 저주파용 안테나(6)를 구성한다. 판금 안테나(21)와 기판 안테나부(20)를 접속함으로써, 저주파용 안테나(6)의 실효 길이를 더욱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판금 안테나(21)는, 프린트 기판(16) 상에 형성된 기판 안테나부(20) 상에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를 삼차원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저주파용 안테나(6) 수납을 위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휴대 전화 장치는 그 케이스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새로운 부품을 부가하기 위한 케이스 내의 여유가 부족하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안테나를 이용함으로써, 근소한 휴대 전화 장치 케이스 내의 근소한 스페이스에, 필요로 되는 실효 길이를 갖는 안테나를 유효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 장치가 이용되어 있을 때에 조작자가 파지할 가능성이 낮은, 액정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상부 케이스 내에, 저주파용 안테나를 탑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인체에 의한 안테나 임피던스의 혼란, 방사 효율의 열화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상부 케이스 내의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저주파용 안테나를 수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 형태예에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칩 안테나와, 프린트 기판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 그리고 판금 안테나라고 한 형식이 서로 다른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입체적인 배치로 조합함으로써, 안테나 배치 상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함과 함께, 요구되는 안테나의 실효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 장 치의 외부에 외장의 안테나 소자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한 케이스의 디자인을 손상시키지 않고, FM 방송 등의 저주파대를 이용한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의 상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의 프린트 기판 제1 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의 프린트 기판 제2 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판금 안테나의 사시도.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판금 안테나의 정면도.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판금 안테나를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휴대 전화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케이스
2 : 하부 케이스
6 : 저주파용 안테나
7 : 액정 디스플레이
16 : 프린트 기판
20 : 기판 안테나부
21 : 판금 안테나
22 : 칩 안테나
23 : 쓰루홀
24 : 도체 패턴

Claims (10)

  1. 무선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로서,
    회로를 탑재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제1 면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과,
    상기 도체 패턴이 형성된 위치와 대향하는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상기 회로 기판의 제2 면 상에 탑재됨과 함께, 상기 도체 패턴과 쓰루홀을 통해 접속된 칩 안테나와,
    상기 도체 패턴과 쓰루홀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제2 면 상에 형성된 접점과,
    상기 접점과 접속됨과 함께, 상기 칩 안테나 상에 배치되는 판금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도체 패턴, 상기 칩 안테나 및 상기 판금 안테나에 의해 단일 밴드의 내장 안테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통화시에 조작자가 파지(把持)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제2 케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장 안테나는, 제2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 장치이고,
    상기 제2 케이스에는, 통화시의 통화 상대로부터의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가 설치되고,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리시버가 배치된 위치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최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는, 단파장대용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패턴은, S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130228A 2006-12-15 2007-12-13 안테나 및 무선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KR100960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7744A JP2008153801A (ja) 2006-12-15 2006-12-15 アンテナおよび無線機能を有する端末装置
JPJP-P-2006-00337744 2006-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092A KR20080056092A (ko) 2008-06-20
KR100960209B1 true KR100960209B1 (ko) 2010-05-27

Family

ID=3965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228A KR100960209B1 (ko) 2006-12-15 2007-12-13 안테나 및 무선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28423A1 (ko)
JP (1) JP2008153801A (ko)
KR (1) KR100960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29686A (en) * 2007-12-31 2009-07-01 High Tech Comp Corp Antenna module, speak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0035317A1 (ja) * 2008-09-24 2010-04-01 株式会社 東芝 無線通信装置とそのアンテナ
KR101572828B1 (ko) * 2009-06-17 201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스피커 장치
KR101318572B1 (ko) * 2012-02-29 2013-10-16 주식회사 팬택 다중 대역 안테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1344A (ja) * 2000-10-02 2002-04-12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無線機
JP2005094742A (ja) * 2003-08-08 2005-04-07 Hitachi Metals Ltd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8680B1 (en) * 1998-03-18 2001-09-1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EP1306922A3 (en) * 2001-10-24 2006-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tenna structure, methof of using antenna structure and communication device
US7148851B2 (en) * 2003-08-08 2006-12-12 Hitachi Metals, Ltd.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comprising same
JPWO2006049068A1 (ja) * 2004-11-08 2008-05-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JP4511387B2 (ja) * 2005-02-25 2010-07-28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1344A (ja) * 2000-10-02 2002-04-12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無線機
JP2005094742A (ja) * 2003-08-08 2005-04-07 Hitachi Metals Ltd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28423A1 (en) 2009-05-21
JP2008153801A (ja) 2008-07-03
KR20080056092A (ko) 200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6327B2 (ja) 携帯用端末機のアンテナ装置
CN101561699B (zh) 用于无线电子设备的天线
US8207897B2 (en) Radio device and slot antenna which facilitates operation of a user interface element
EP1758348B1 (en) Mobile terminal with internal antenna structure having a sound resonance chamber
US7358925B2 (en) Highly-integrated headset
US8525739B2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9267985A (ja) 携帯端末装置
JP2003069441A (ja) 折り畳み型携帯無線機
KR100960209B1 (ko) 안테나 및 무선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JP2001156898A (ja) 携帯電話機
KR101425223B1 (ko)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7143086A (ja) 無線通信端末
US20100231458A1 (en) Portable Wireless Apparatus
JP2008227560A (ja) 携帯無線機
WO2023103332A1 (zh) 耳机结构及真无线立体声耳机
JP2006005567A (ja) 携帯無線機
JP2009111698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給電ケーブル配線方法
EP1646109B1 (en) Small highly-integrated wireless headset
CN215581998U (zh) 密封防水结构及头戴式耳机
JP2014042123A (ja) 携帯端末用のアンテ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アンテナを備えた携帯端末
WO2019228375A1 (zh) 电池、图像采集装置、电声器件模组、指纹识别模组和电子装置
KR20100048201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EP1558008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wo flat panel speakers
CN117579730A (zh) 电子设备
KR101587090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