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102B1 - 직화식 버너유닛 - Google Patents

직화식 버너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102B1
KR100960102B1 KR1020090103491A KR20090103491A KR100960102B1 KR 100960102 B1 KR100960102 B1 KR 100960102B1 KR 1020090103491 A KR1020090103491 A KR 1020090103491A KR 20090103491 A KR20090103491 A KR 20090103491A KR 100960102 B1 KR100960102 B1 KR 10096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plate
air
gas
flame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순
오상기
Original Assignee
최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혁순 filed Critical 최혁순
Priority to KR102009010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0Baffles or like flow-disturb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241Post-mixing with swir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화식 버너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화염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일측에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입된 가스가 상기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배출되는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 중 상기 화염배출구 부근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제1 배플판 및 상기 매니폴드 중 상기 화염배출구 부근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제2 배플판을 포함하는 버너 및 상기 버너 중 화염이 발산되는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버너에 점화력을 제공하는 점화플러그를 포함하되,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상기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다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안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식 버너유닛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매니폴드의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안내판을 연장형성하고, 안내판에 다수의 공기유입공을 형성하며, 안내판의 공기유입공을 통해 공기가 1차 유입되도록 하여 화염배출구 부근에서 가스와 공기가 1차 혼합되도록 하고, 제1,2 배플판의 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1 배플판과 제2 배플판의 사이공간에서 2차 혼합되도록 하여 화염배출구 부근에서 혼합가스의 1차 연소가 발생되고 제1 배플판 및 제2 배플판의 사이공간에서 혼합가스가 2차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혼합가스가 완전연소되어 NOx 및 CO의 발생량 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염의 길이가 짧아져 화염에 따른 가열대상물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버너, NOx, CO, 화염

Description

직화식 버너유닛{Direct bunner unit}
본 발명은 직화식 버너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니폴드의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안내판을 연장형성하고, 상기한 안내판에 다수의 공기유입공을 형성하며, 안내판의 공기유입공을 통해 공기가 1차 유입되도록 하여 가스배출구 부근에서 가스와 공기가 1차 혼합되도록 하고, 제1,2 배플판의 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1 배플판과 제2 배플판의 사이공간에서 2차 혼합되도록 하여 가스배출구 부근에서 혼합가스가 1차 연소되고 제1 배플판 및 제2 배플판의 사이공간에서 혼합가스가 2차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혼합가스가 완전연소되고, NOx 및 CO의 발생량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염의 길이가 짧아져 화염에 따른 가열대상물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직화식 버너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나 농수산물 등을 신속하게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건조기나 식품(후라이드식품 또는 냉동식품 등)을 조리하기 위해 유조를 가열하는 튀김기 또 는 순환파이프 내부를 순환하는 유체를 가열하는 보일러등과 같이 가열대상이나 가열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버너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버너는 크게 생성된 화염이 송풍기를 갖는 방열판을 지나도록 함으로서 열풍을 얻는 간접식과 버너에서 생성된 화염을 직접 사용하는 직화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높은 효율을 갖는 직화식 버너유닛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직화식 버너유닛의 단면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직화식 버너유닛(100)은 공기유입구(111) 및 화염배출구(112)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는 버너(120) 및 버너(120) 일측에 결합되어 버너(120)에 점화력을 제공하는 점화플러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버너(120)는 일측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유입된 가스가 화염배출구(112)방향으로 배출되는 가스배출구(121b)가 형성된 매니폴드(121)와, 매니폴드(121)의 가스배출구(121b) 부근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2 배플판(122,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직화식 버너유닛(100)은 가스유입구(121a)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가스배출구(121b)를 통해 화염배출구(112) 방향으로 배출되고,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2 배플판(122,123)의 통공을 통해 제1,2 배플판(122,123) 사이로 유입되면서 가스와 혼합되어 혼합가스가 생성되며 점화플러 그(130)에 의해 점화되면서 화염을 발산한다.
그러나, 종래의 직화식 버너유닛(100)은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2 배플판(122,123)의 통공을 통과하면서 어느정도 균일하게 분배되나 제1,2 배플판(122,123) 사이에 형성된 화염발생공간에서 혼합되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효율이 낮아 혼합가스 연소시 혼합가스가 완전연소 되지 않아 NOx 및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증대되고, 화염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건조기와 같은 경우에는 화염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건조대상물이 화염에 의해 소손될 수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점화플러그(130) 점화시 점화플러그(130)의 전극에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녹이 발생되는 경우 (+)전극에서 (-)전극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아 점화플러그(130)의 점화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니폴드의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안내판을 연장형성하고, 상기한 안내판에 다수의 공기유입공을 형성하며, 안내판의 공기유입공을 통해 공기가 1차 유입되도록 하여 가스배출구 부근에서 가스와 공기가 1차 혼합되도록 하고, 제1,2 배플판의 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1 배플판과 제2 배플판의 사이공간에서 2차 혼합되도록 하여 가스배출구 부근에서 혼합가스가 1차 연소되고 제1 배플판 및 제2 배플판의 사이공간에서 혼합가스가 2차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혼합가스가 완전연소되고, NOx 및 CO의 발생량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염의 길이가 짧아져 화염에 따른 가열대상물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직화식 버너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제1 배플판 및 제2 배플판의 외면에 이격설치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 분배판과, 제1 분배판으로부터 절곡형성되고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이동로를 차폐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2 분배판을 포함하는 공기분배부를 더 설치함으로써 제1 분배판 및 제2 분배판에 의해 제1 배플판 및 제2 배플판의 사이공간에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혼합가스의 연소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직화식 버너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전극과 (-)전극을 갖는 점화플러그를 버너 중 가스배출구 부근에 설치하되, (-)전극을 버너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버너 자체를 점화플러그의 (-)전 극화 하여 점화플러그의 점화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직화식 버너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화염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일측에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입된 가스가 상기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배출되는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 중 상기 화염배출구 부근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제1 배플판 및 상기 매니폴드 중 상기 화염배출구 부근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제2 배플판을 포함하는 버너 및 상기 버너 중 화염이 발산되는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버너에 점화력을 제공하는 점화플러그를 포함하되,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상기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다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안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식 버너유닛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배플판 및 상기 제2 배플판은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배플판 및 상기 제2 배플판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이격설치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한쌍의 제1 분배판과, 상기 한쌍의 제1 분배판의 일단부로부터 각각 절곡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 로를 차폐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한쌍의 제2 분배판을 포함하는 공기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점화플러그는 상기 버너 중 상기 화염배출구 부근에 설치되고, (+)와 (-)전극을 갖되, 상기 (-)전극은 상기 버너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매니폴드의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안내판을 연장형성하고, 상기한 안내판에 다수의 공기유입공을 형성하며, 안내판의 공기유입공을 통해 공기가 1차 유입되도록 하여 가스배출구 부근에서 가스와 공기가 1차 혼합되도록 하고, 제1,2 배플판의 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1 배플판과 제2 배플판의 사이공간에서 2차 혼합되도록 하여 가스배출구 부근에서 혼합가스가 1차 연소되고 제1 배플판 및 제2 배플판의 사이공간에서 혼합가스가 2차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혼합가스가 완전연소되고, NOx 및 CO의 발생량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염의 길이가 짧아져 화염에 따른 가열대상물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 배플판 및 제2 배플판의 외면에 이격설치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 분배판과, 제1 분배판으로부터 절곡형성되고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이동로를 차폐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2 분배판을 포함하는 공기분배부를 더 설치함으로써 제1 분배판 및 제2 분배판에 의해 제1 배플판 및 제2 배플판 의 사이공간에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혼합가스의 연소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과 (-)전극을 갖는 점화플러그를 버너 중 가스배출구 부근에 설치하되, (-)전극을 버너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버너 자체를 점화플러그의 (-)전극화 하여 점화플러그의 점화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의 단면도이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1)은 하우징(10)과, 버너(20) 및 점화플러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전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단부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버너(20)로부터 발산되는 화염의 열기가 발산되는 화염배출구(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10)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진 않으나 그 내부의 버너(20)에 직접 연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소가스공급라인이 결합되고, 연소가스공급라인에는 안정되고 효과적인 연소연료 공급을 위해 차단밸브, 가스압력측정용 게이지, 연소가스의 정압공급을 위한 레귤레이터 및 연소가스 공급 개폐용 볼밸브가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후술하는 점화플러그(30)의 점화를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S)가 설치될 수 있다.
버너(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유입되고 유입된 가스를 화염배출구(12) 방향으로 배출하며, 공기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가스와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점화플러그(30)의 점화력에 의해 화염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버너(20)의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도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점화플러그(30)는 버너(20) 중 가스배출구(21b) 부근에 결합되고 (+)전극(31a)이 형성된 몸체(31)와, 버너(20) 중 (+)전극(31a) 부근에 일체로 설치되는 (-)전극(31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극(31a)으로부터 (-)전극(31b)으로 전류가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불꽃을 통해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화플러그(30)는 (-)전극(31b)이 버너(2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버너(20) 자체를 (-)전극(31b)화 하여 (+)전극(31a)으로부터 (-)전극(31b)으로 전류가 용이하게 이동되어 혼합가스의 점화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화플러그(30)는 (+)전극(31a)에서 반드시 (-)전극(31b)으로 전류가 이동되는 것이 아니고, (+)전극(31a)에서 버너(20) 중 어느 일측으로 전류가 이동되는 것으로 전류의 이동면적이 증대되면서 점화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사시도이다.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너(20)는 일측에 가스유입구(21a)가 형성되고 가스유입구(21a)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화염배출구(12)방향으로 배출되는 가스배출구(21b)가 형성되는 매니폴드(21)와, 가스배출구(21b) 부근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제1 배플판(22) 및 가스배출구(21b) 부근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제2 배플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점화플러그(30)의 점화력에 의해 화염을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매니폴드(2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유입되고 유입된 가스를 화염배출구(12) 방향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가스배출구(21b)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화염배출구(12)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안내판(21c)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판(21c)은 다수의 공기유입공(21ca)이 형성되어 공기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공기유입공(21ca)을 통해 가스배출구(21b)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가스배출구(21b) 부근에서 가스와 공기가 1차 혼합되도록 하고, 여기서 혼합된 혼합가스가 점화플러그(30)에 의해 1차 연소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배플판(22) 및 제2 배플판(23)은 공기유입공(21ca)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 배플판(22)과 제2 배플판(23)의 사이공간에 유입되도록 다수의 통과공(22a,23a)이 형성되며,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보강부(22b,23b)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배플판(22) 및 제2 배플판(23)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통 과공(22a,23a)을 형성하여 공기유입공(21ca)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 배플판(22)과 제2 배플판(23)의 사이공간에 고르게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의 동작을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유입구(11)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안내판(21c)의 공기유입공(21ca) 및 제1,2 배플판(22,23)의 통과공(22a)을 통해 제1,2 배플판(22,23)의 사이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매니폴드(21) 내부로 가스가 유입되고, 유입된 가스는 매니폴드(21)의 가스배출구(21b)로 배출되면서 공기유입공(21ca)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가스배출구(21b)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 중 일부가 1차 혼합되고 점화플러그(30)에 의해 1차 연소되면서 1차 화염이 발생된다.
그리고, 나머지 가스는 화염배출구(12)방향으로 더 이동되면서 제1 및 제2 배플판(22,23)의 통과공(22a)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2차 혼합되고 점화플러그(30)에 의해 2차 연소되면서 2차 화염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1)은 안내판(21c)의 공기유입공(21ca)을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가스배출구(21b) 부근에서 공기와 가스가 혼합되도록 하여 1차 화염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가스를 2차 연소하여 2 차 화염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혼합가스가 완전연소되며 이에 따라 NOx 및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 아니라 화염의 길이가 짧아지는 특징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의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배부의 사시도이다.
도5 및 도6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4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공기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1 배플판(22)과 제2 배플판(23)의 사이공간에 보다 균일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가스와 공기의 혼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5 및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배플판(22)과 제2 배플판(23)의 외면에 공기분배부(40)를 설치하여 제1 배플판(22) 및 제2 배플판(23)의 통과공(22a,23a)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분배되기 전에 공기분배부(4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분배한 후 분배된 공기를 제1 배플판(22) 및 제2 배플판(23)에 의해 재분배되도록 하여 공기를 분배효율이 높아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분배부(40)는 제1 배플판(22) 및 제2 배플판(23)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고 다수의 통과공(41a)이 형성된 제1 분배판(41)과, 제1 분배판(41)의 일측으로부터 절곡형성되고 다수의 통과공(42a)이 형성된 제2 분배판(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분배판(41)은 저면 일측에 하방으로 지지편(41b)이 형성되고, 지지편(41b)의 하단부가 제1 배플판(22) 및 제2 배플판(23)의 외면에 지지되면서 제1 배플판(22) 및 제2 배플판(23)과 이격되게 설치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1)의 동작을 첨부된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유입구(11)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실시예와 같이 일부는 안내판(21c)의 공기유입공(21ca)을 통해 가스배출구(21b)방향으로 이동되고, 나머지 공기가 제1 배플판(22) 및 제2 배플판(23)으로 이동되는데 이동되는 공기는 제1 분배판(41)의 통과공(22a)을 통해 제1 배플판(22) 및 제2 배플판(23)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분배판(41)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분배판(41)의 통과공(22a)을 통과하여 제1 분배판(41)과 제1 배플판(22)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의해 균일하게 분배되며, 분배된 공기가 제1 배플판(22)의 통과공(22a)을 통과하여 재분배되어 제1 배플판(22) 및 제2 배플판(23)의 사이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2 분배판(42)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제2 분배판(42)의 통공(41a)을 통과하면서 1차 분배되며, 제1 배플판(22) 및 제2 배플판(23)의 통과공(22a)을 통과하면서 재분배되어 제1 배플판(22) 및 제2 배플판(23)의 사이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1)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분배부(40) 및 제1,2 배플판(22,23)에 의해 2차 분배하여 제1 및 제2 배플판(22,23)의 사이공간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혼합가 스의 연소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외의 구조나 동작설명은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직화식 버너유닛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배부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화식 버너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 : 직화식 버너유닛 10 : 하우징
20 : 버너 21 : 매니폴드
22 : 제1 배플판 23 : 제2 배플판
30 : 점화플러그 40 : 공기분배부

Claims (4)

  1. 일단부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화염이 배출되는 화염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일측에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입된 가스가 상기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배출되는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 중 상기 가스배출구 부근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제1 배플판 및 상기 매니폴드 중 상기 가스배출구 부근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제2 배플판을 포함하는 버너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매니폴드의 가스배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점화력을 제공하는 점화플러그과;
    상기 제1 배플판 및 상기 제2 배플판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이격설치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한쌍의 제1 분배판과, 상기 한쌍의 제1 분배판의 일단부로부터 각각 절곡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로를 차폐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한쌍의 제2 분배판을 포함하는 공기분배부를 포함하되,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상기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다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안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식 버너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플판 및 상기 제2 배플판은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식 버너유닛.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플러그는 (+)와 (-)전극을 갖되, 상기 (-)전극은 상기 하우징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식 버너유닛.
KR1020090103491A 2009-10-29 2009-10-29 직화식 버너유닛 KR100960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491A KR100960102B1 (ko) 2009-10-29 2009-10-29 직화식 버너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491A KR100960102B1 (ko) 2009-10-29 2009-10-29 직화식 버너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102B1 true KR100960102B1 (ko) 2010-05-31

Family

ID=4228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491A KR100960102B1 (ko) 2009-10-29 2009-10-29 직화식 버너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0064A (zh) * 2014-02-28 2016-10-12 天纳克汽车经营有限公司 直列式分流器
US10077702B2 (en) 2011-09-08 2018-09-1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In-line flow diver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6421A (ja) * 1992-01-31 1993-10-05 Chuyu Jo ガスバーナにおけるノズル機構
JPH0833187A (ja) * 1994-07-11 1996-02-02 Fujitsu General Ltd 電源分配器
KR960002796B1 (ko) * 1986-08-22 1996-02-26 오사까 가스 가부시끼가이샤 가스 버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796B1 (ko) * 1986-08-22 1996-02-26 오사까 가스 가부시끼가이샤 가스 버너
JPH05256421A (ja) * 1992-01-31 1993-10-05 Chuyu Jo ガスバーナにおけるノズル機構
JPH0833187A (ja) * 1994-07-11 1996-02-02 Fujitsu General Ltd 電源分配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7702B2 (en) 2011-09-08 2018-09-1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In-line flow diverter
CN106030064A (zh) * 2014-02-28 2016-10-12 天纳克汽车经营有限公司 直列式分流器
CN106030064B (zh) * 2014-02-28 2018-10-19 天纳克汽车经营有限公司 直列式分流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689B1 (ko) 목재칩 또는 펠릿을 연료로 하는 안전 버너
KR101296409B1 (ko) 횡형 다목적 보일러
KR101231948B1 (ko) 실드 더블 버너
KR100960102B1 (ko) 직화식 버너유닛
KR100738696B1 (ko) 실드 더블 버너
KR101005721B1 (ko) 화목보일러
CN201184594Y (zh) 燃气灶具的燃烧器
KR20130077760A (ko) 가스버너구조체
KR20110066258A (ko) 펠릿 보일러용 펠릿 연소기
KR101161048B1 (ko) 나무 보일러
KR20070053916A (ko) 실드 더블 버너
KR20070096133A (ko) 고체연료용 난로
KR102470351B1 (ko)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KR101090378B1 (ko) 연소 효율이 우수한 보일러
KR101244539B1 (ko) 가스버너
KR20120013505A (ko) 다기능 난방장치
KR200441584Y1 (ko) 열원 발생장치
WO2009003483A3 (en) Air duct in a boiler
KR101232006B1 (ko) 실드 더블 버너
KR101304847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100944948B1 (ko) 버너의 내부 지지구조
JP2009079823A (ja) こんろバーナ
KR100739545B1 (ko) 가스복사 버너
KR20190114568A (ko) 세라믹 그릴 버너
KR101400687B1 (ko)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