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873B1 -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 - Google Patents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873B1
KR100959873B1 KR1020090019608A KR20090019608A KR100959873B1 KR 100959873 B1 KR100959873 B1 KR 100959873B1 KR 1020090019608 A KR1020090019608 A KR 1020090019608A KR 20090019608 A KR20090019608 A KR 20090019608A KR 100959873 B1 KR100959873 B1 KR 100959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germination
seed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
Original Assignee
(주)대양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대양콘크리트
Priority to KR1020090019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가나 하천의 호안 등지에 범용으로 축조되어 그 호안을 보호하는 옹벽블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의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여 내부에 구비되며, 흙이 충진되어 식물이 식생하도록 구비된 식생공간부, 상기 옹벽블럭의 상단에 소정의 깊이만큼 요입하여 형성된 삽입공, 상기 삽입공의 상단에 삽입공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삽입공의 둘레를 따라 요입하여 형성된 여유홈,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실로 연결되고, 내부에 식물의 씨앗을 수용하여 식생공간부에서 씨앗을 퍼트리도록 구비된 씨앗발아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에 관한 것으로, 옹벽블럭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씨앗이 수용된 씨앗발아포를 상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씨앗이 옹벽블럭 내에서 확실하게 발아가 이루어져 식생하도록 하고, 수풀, 잡초뿐만 아니라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꽃, 식물의 식생을 유도할 수 있어 미려한 자연경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별도로 식물의 씨앗을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옹벽, 블럭, 씨앗, 발아, 티백, 천연직물, 절취선, 식생, 식물

Description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pro-environmental retaining wall block for easy germination}
본 발명은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블럭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씨앗이 수용된 씨앗발아포를 상비하도록 구성되어, 식물씨앗의 발아가 옹벽블럭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식생하여 미려한 자연경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 및 수로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 하천과 같은 수로 등지에는 여러 형태의 식생 및 옹벽블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생블럭은 특히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의 시공이 일정하면서 조밀한 상태가 되도록 시공하게 된다.
또한, 옹벽블록 역시 식생블럭과 마찬가지로 강변이나 제방 혹은 경사면 등에 설치되어 홍수나 풍수에 의해 지반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최근 들어서는 환경친화적인 요인을 가미한 친환경 옹벽블록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옹벽블록은 통상 식생공간이 형성된 블록 본체를 이루고 있다. 상기 식생공간과 각 블록 본체 사이에는 흙을 투입하여 복토층을 형성함으로써 관목이나 잔디 또는 야생초 등의 자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친환경 옹벽블록은 시공 시 블록들이 단순히 식생공간만 형성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식물의 발아와 식생 및 번식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식물이 식생하더라도 잡초 및 수풀, 야생초에 지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함을 기대하기 어려웠으며, 꽃이나 관상용 식물의 식생을 원할 경우에는 이러한 식물의 씨앗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옹벽블럭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씨앗이 수용된 씨앗발아포를 상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씨앗이 옹벽블럭 내에서 확실하게 발아가 이루어져 식생하도록 하고, 수풀, 잡초뿐만 아니라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꽃, 식물의 식생을 유도할 수 있어 미려한 자연경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별도로 식물의 씨앗을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가나 하천의 호안 등지에 범용으로 축조되어 그 호안을 보호하는 옹벽블럭에 있어서,상기 옹벽블럭의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여 내부에 구비되며, 흙이 충진되어 식물이 식생하도록 구비된 식생공간부, 상기 옹벽블럭의 상단에 소정의 깊이만큼 요입하여 형성된 삽입공, 상기 삽입공의 상단에 삽입공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삽입공의 둘레를 따라 요입하여 형성된 여유홈,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실로 연결되고, 내부에 식물의 씨앗을 수용하여 식생공간부에서 씨앗을 퍼트리도록 구비된 씨앗발아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은 옹벽블럭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씨앗이 수용된 씨앗발아포를 상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씨앗이 옹벽블럭 내에서 확 실하게 발아가 이루어져 식생하도록 하고, 수풀, 잡초뿐만 아니라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꽃, 식물의 식생을 유도할 수 있어 미려한 자연경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별도로 식물의 씨앗을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씨앗발아포의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6b는 본 발명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8은 다양한 형태의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1)은 강가나 하천의 호안 등지에 범용으로 축조되어 그 호안을 보호하는 옹벽블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1)의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여 내부에 구비되며, 흙(2)이 충진되어 식물이 식생하도록 구비된 식생공간부(10);
상기 옹벽블럭(1)의 상단에 소정의 깊이만큼 요입하여 형성된 삽입공(20);
상기 삽입공(20)의 상단에 삽입공(20)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삽입공(20)의 둘레를 따라 요입하여 형성된 여유홈(60);
상기 삽입공(20)에 끼워지는 고정핀(30);
상기 고정핀(30)에 실(40)로 연결되고, 내부에 식물의 씨앗(3)을 수용하여 식생공간부(10)에서 씨앗(3)을 퍼트리도록 구비된 씨앗발아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옹벽블럭(1)은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여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식생공간부(10)를 구성하고, 상기 식생공간부(10)와 각 옹벽블럭(1) 사이에는 흙(2)이 충진되어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1)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갖는 옹벽블럭, 식생블럭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어느 일 실시예에 한정치 않음을 앞서 밝혀둔다.
먼저, 삽입공(20)은 상기 옹벽블럭(1)의 상단에 소정의 깊이만큼 요입하여 형성된 구성으로, 그 형상은 원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깊이 또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유홈(60)은 상기 삽입공(20)의 상단에 삽입공(20)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삽입공(20)의 둘레를 따라 요입하여 형성되며, 삽입공(20)에 끼워지는 고정핀(30)을 빼내고자 할 때 손가락 등이 들어가 고정핀(30)을 뽑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고정핀(30)은 상기 삽입공(20)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핀(30)은 삽입공(20)에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삽입공(20)과 대응하는 형태 및 크기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고정핀(30)은 옹벽블럭(1)의 상단에 소정의 높이만큼 돌 출하도록 삽입하여 쉽게 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옹벽블럭(1)을 적층할 경우 돌출된 부분이 걸려 적층이 어려워지지 않도록 옹벽블럭(1)의 상단과 평행하도록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지 않도록 끼워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여유홈(60)으로 손가락 등을 넣어 고정핀(30)을 잡아 밖으로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30)에는 씨앗발아포(50)가 실(40)로 연결되며, 상기 실(40)을 대신하여 천연식물 줄기를 비롯하여 노끈, 밴드와 같이 다양한 연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씨앗발아포(50)는 내부에 식물의 씨앗(3)을 수용하여 식생공간부(10)에서 씨앗(3)을 퍼트리도록 구성되며, 고정핀(30)은 옹벽블럭(1)에 고정되는 반면, 실(40)을 통해 자유로이 움직이도록 고정된 씨앗발아포(50)는 옹벽블럭(1)의 외부 또는 식생공간부(10)에 위치하고, 옹벽블럭(1)을 설치한 후, 식생공간부(10)에 식물의 식생을 유도하기 위해 흙(2)이 충진될 때, 흙(2) 사이에 매립하여 씨앗(3)을 흙(2)에 배출한다.
참고로, 씨앗발아포(50)는 식생공간부(10)뿐 아니라 삽입공(20)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공(20) 하단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걸림턱(21)을 형성하여 고정핀(30)이 걸림턱(21)까지만 끼워지고, 걸림턱(21)의 하단부분에는 고정핀(30)이 끼워지지 않아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되므로 씨앗발아포(50)를 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공(20)의 공간(S)에 씨앗발아포(50)가 내장될 경우 외부와 접촉이 차단되어 씨앗(3)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옹벽블럭(1)의 적 층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옹벽블럭(1)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씨앗발아포(50)는 흙(2)사이에 매립될 경우 옹벽블럭(1)의 삽입공(20)에 끼워진 고정핀(30)을 뽑고 잡아당길 경우, 실(40)과 씨앗발아포(50)는 밖으로 뽑아져 나오고, 씨앗(3)은 흙(2) 사이에 남겨져 발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참고로, 상기 씨앗(3)은 다양한 관목, 꽃 등의 씨앗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특히 습지에 식생하는 다년생 식물 및 정수식물인 갈대, 달뿌리풀, 부들, 노랑꽃창포, 큰고랭이, 세모랭이, 줄, 삿갓사초, 골풀 등의 씨앗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갈대 또는 창포와 같은 수생식물의 씨앗이 발아되어 옹벽블럭(1)에 식생할 경우 뿌리공간에서 영양소와 미생물의 상호작용을 돕는 작용을 하고, 수초와의 교체현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초의 가장 큰 기능은 뿌리공간의 교체현상을 유지시키는 일로서, 여름철에는 완성한 성장과 함께 뿌리공간의 교체현상, 즉 탄소동화작용이 다른때 보다 활발히 진행될 수 있으며, 다년생 수초는 뿌리가 겨울에도 살아있어야 다음해 봄에 싹이 나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식과정에서, 수초의 뿌리공간 주변에는 일반적으로 상소가 잘 공급되면서 하수가 산화되는 영역, 즉 호기성 미생물이 서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초의 작용으로, 별도의 처리시설 없이 사계절 수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BOD, COD, T-N, T-P, SS, 악취 및 중금속까지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게 되고, 생태학습장 및 실험실습장으로 활용 가능하며, 농축미생물의 활성에 의해 탈질 및 유기물 산화분해가 일어나기 때문에 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실(40)과 씨앗발아포(50)는 고정되어 있지만 씨앗발아포(50)가 손쉽게 개봉되어 내부에 수용된 식물의 씨앗(3)이 밖으로 빠져나와 흙(2)사이에 심어져야 하므로, 씨앗발아포(50)의 일부분은 실(40)에 느슨하게 고정되어 실(40)을 잡아당기게 되면 느슨하게 고정된 씨앗발아포(50)부분이 실(40)과 분리되어 내부의 씨앗(3)이 흙(2)사이로 빠져나오고, 씨앗발아포(50)와 실(40)은 흙(2)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씨앗발아포(50)는 다양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지만, 만약의 경우 실(40)과 씨앗발아포(50)가 분리되어 씨앗발아포(50)가 흙(2)속에 씨앗(3)과 같이 남겨지더라도, 분해가 신속히 진행되고 식물의 발아 및 식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천연소재로 씨앗발아포(50)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상기 씨앗발아포(50)는 수분의 투과가 용이하도록 천연펄프소재의 티백(tea bag)으로 구성될 수 있다. 티백(tea bag)은 차를 싸서 넣은 종이 주머니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분의 투과가 용이하여 물에 담그면 차가 우러난다. 재질은 다공성이고 매우 얇아 연질이기 때문에 쉽게 찢어지므로, 고정핀(30)과 실(40)을 잡아당기면 내장된 씨앗(3)이 손쉽게 밖으로 배출되어 흙(2)속에 심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씨앗발아포(50)는 천연직물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섬유와 같은 각종 섬유질을 비롯한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망(網)의 형태로 제직된 천연직물의 경우, 씨앗발아포(50)가 흙(2)속에 씨앗(3)과 같이 남겨지더라도, 신속히 분해되어 오히려 씨앗(3)이 발아되어 식생할 수 있는 퇴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씨앗발아포(50)는 옹벽블럭(1)의 시공전에 씨앗(3)의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수소재의 비닐커버(70)가 외측에 추가로 구비되고, 시공시 비닐커버(70)를 제거한 후, 시공할 수 있다.
이는 옹벽블럭(1)을 보관할 때, 수분과 접한 씨앗(3)이 시공전에 발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방수소재의 비닐커버(70)는 시공전에 제거되어야함이 마땅하나, 시공의 간편성을 위하여 비닐커버(70)에 절취선(71)을 형성하여 시공시 비닐커버(70)를 제거하지 않고 흙(2)속에 매립하더라고, 실(40)을 잡아당기면 분리된 절취선(71) 사이로 씨앗발아포(50)가 노출되고, 씨앗발아포(50)의 씨앗(3)이 흙(2)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앗발아포(50)는 개봉이 용이하도록 절취선(51)을 형성하여, 고정핀(30)을 잡아당길 경우, 절취선(51)이 절단되어 내부에 수용된 씨앗(3)이 식생공간부(10)의 흙(2)에 빠져나가 발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취선(51)이 형성될 경우, 씨앗발아포(50)가 찢어지지 않더라도, 손쉽게 절단되어 분리된 절취선(51) 사이로 씨앗(3)이 빠져나와 흙(2)속에 심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1)에 따르면, 옹벽블럭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씨앗(3)이 수용되어, 상기 씨앗(3)이 옹벽블럭(1) 내에서 확실하게 발아가 이루어져 식생하도록 하고, 수풀, 잡초뿐만 아니라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꽃, 식물의 식생을 유도할 수 있어 미려한 자연경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별도로 식물의 씨앗(3)을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의 단면도,
도 4는 씨앗발아포의 사시도,
도 5a 내지 6b는 본 발명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8은 다양한 형태의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 2 : 흙
3 : 씨앗 10 : 식생공간부
20 : 삽입공 21 : 걸림턱
30 : 고정핀 40 : 실
50 : 씨앗발아포 51, 71 : 절취선
60 : 여유홈 70 : 비닐커버
S : 공간

Claims (5)

  1. 옹벽블럭(1)의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여 내부에 구비되며, 흙(2)이 충진되어 식물이 식생하도록 구비된 식생공간부(10); 삽입공(20)의 둘레를 따라 요입하여 형성된 여유홈(60)이 구비된 옹벽블럭에 있어서,
    상기 여유홈(60)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옹벽블럭(1)의 상단에 소정의 깊이만큼 요입하여 형성된 삽입공(20);
    상기 삽입공(20)에 끼워지는 고정핀(30);
    상기 고정핀(30)에 실(40)로 연결되고, 내부에 식물의 씨앗(3)을 수용하여 식생공간부(10)에서 씨앗(3)을 퍼트리도록 구비된 씨앗발아포(5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씨앗발아포(50)는 수분의 투과가 용이하도록 천연펄프소재의 티백(tea bag) 또는 천연직물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씨앗발아포(50)는 옹벽블럭(1)의 시공전에 씨앗(3)의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수소재의 비닐커버(70)가 외측에 추가로 구비되고, 시공시 비닐커버(70)를 제거한 후 시공하며, 또한 상기 씨앗발아포(50)는 개봉이 용이하도록 절취선(51)을 형성하여, 고정핀(30)을 잡아당길 경우, 절취선(51)이 절단되어 내부에 수용된 씨앗(3)이 식생공간부(10)의 흙(2)에서 빠져나가 발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19608A 2009-03-09 2009-03-09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 KR100959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608A KR100959873B1 (ko) 2009-03-09 2009-03-09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608A KR100959873B1 (ko) 2009-03-09 2009-03-09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873B1 true KR100959873B1 (ko) 2010-05-27

Family

ID=4228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608A KR100959873B1 (ko) 2009-03-09 2009-03-09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8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624B1 (ko) 2011-01-05 2011-09-22 조재범 법면토사유출 흙탕물방지 조경지피식물용 구조물
KR101876825B1 (ko) * 2017-10-20 2018-07-10 (주)워터매니지먼트 2중 필터층을 구비한 유공관 암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648Y1 (ko) * 2003-11-10 2004-02-05 주식회사 오홀리압토건 옹벽블록
KR200407827Y1 (ko) * 2005-10-11 2006-02-03 김제진 씨앗이 포함된 육묘용 블록
KR200407954Y1 (ko) * 2005-11-10 2006-02-06 고명재 친환경 식생옹벽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648Y1 (ko) * 2003-11-10 2004-02-05 주식회사 오홀리압토건 옹벽블록
KR200407827Y1 (ko) * 2005-10-11 2006-02-03 김제진 씨앗이 포함된 육묘용 블록
KR200407954Y1 (ko) * 2005-11-10 2006-02-06 고명재 친환경 식생옹벽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624B1 (ko) 2011-01-05 2011-09-22 조재범 법면토사유출 흙탕물방지 조경지피식물용 구조물
KR101876825B1 (ko) * 2017-10-20 2018-07-10 (주)워터매니지먼트 2중 필터층을 구비한 유공관 암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5416B (zh) 护岸绿化用植被垫和植被护岸结构及施工方法
JP4916294B2 (ja) 草体移植具および水底における草体の移植方法
KR101459622B1 (ko) 식생용 포트와 이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
KR100959873B1 (ko) 발아가 용이한 친환경 옹벽블럭
KR20120008269A (ko) 지반개량용 파이프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KR101101343B1 (ko) 잘피의 용이한 안착을 도모하는 잘피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이식방법
KR200460383Y1 (ko) 야자나무의 코코넛을 이용한 식생매트
CN210184021U (zh) 一种用于泥滩种植红树种苗的培育保护装置
KR101208099B1 (ko) 매트식 잘피 이식장치
KR100350826B1 (ko) 코르크를 이용한 인공 식물섬
KR100863673B1 (ko) 수생식물 종근블록 및 그 식재방법
JP2000054343A (ja) 護岸緑化用植生土のう蛇籠工法
KR20170059155A (ko) 짚풀용기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KR100456510B1 (ko) 호소의 경사면 녹화장치
KR100590221B1 (ko) 식생복원용 수생식물 매트
JP4677759B2 (ja) アマモ苗育成およびアマモ場造成方法
KR100297870B1 (ko) 담수호의 경사면 녹화용 인공 부도
JP2003143942A (ja) ヨシの育苗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育苗方法並びにヨシの移植方法
JPH0833432A (ja) 移植用土のう及び水生植物の移植方法
JP2005210941A (ja) 抽水植物の植栽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植栽容器
JP2002017167A (ja) 植物栽培方法
KR101254116B1 (ko) 배양포트를 이용한 수목의 수생적응 방법
KR20030044307A (ko) 정수식물 매트리스 및 그 형성방법
KR20100010585U (ko) 수질 정화용 식생망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