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643B1 - 분수용 회전 연결관 - Google Patents

분수용 회전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643B1
KR100959643B1 KR1020080034217A KR20080034217A KR100959643B1 KR 100959643 B1 KR100959643 B1 KR 100959643B1 KR 1020080034217 A KR1020080034217 A KR 1020080034217A KR 20080034217 A KR20080034217 A KR 20080034217A KR 100959643 B1 KR100959643 B1 KR 10095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pipe
ring
fountain
inn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883A (ko
Inventor
신건수
이중재
Original Assignee
물춤워터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물춤워터아트(주) filed Critical 물춤워터아트(주)
Priority to KR102008003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64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16L27/125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having longitudinal and rotar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연결관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원가가 감소하고 고장 발생시 분해 조립이 아주 간편하며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부드럽게 회전 또는 스윙시킬 수 있는 분수용 회전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분수용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회전 또는 스윙시키는 연결관에 있어서, 양단부의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외륜 파이프; 일단부의 외주연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일측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홈에 오링이 형성되고, 상기 외륜 파이프에 삽입되는 내륜 파이프; 상기 내륜 파이프의 타단부과 상기 외륜 파이프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륜 파이프에 체결되는 고정링; 및 상기 걸림턱과 걸림돌기의 사이 및 상기 걸림턱과 고정링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회전 연결관, 외륜 파이프, 내륜 파이프, 고정링, 회전체

Description

분수용 회전 연결관{Rotary joint pipe for fountain}
본 발명은 분수용 배관의 사이 또는 배관과 노즐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수용 회전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분수용 회전 연결관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원가가 감소하고 고장 발생시 분해 조립이 간편하며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부드럽게 회전 또는 스윙시킬 수 있는 분수용 회전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분수를 여러 개 설치하고 음악에 맞추어 각각의 분수가 음성신호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되게 하여 마치 춤을 추는 듯한 광경을 연출하는 음악분수가 등장하여 각광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패턴으로 분수를 설치하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도록 하는 예술 분수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다양한 패턴으로 연출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회전시키거나 스윙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노즐을 회전 또는 스윙시키기 위하여 외륜 파이프와 내륜 파이프의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연결관을 회전시키거나 스윙시켰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외륜 파이프와 내륜 파이프에 베어링을 억지 끼움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파이프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수많은 부수적인 공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고가의 베어링으로 인해 분수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고, 베어링 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마모 또는 파손되어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 외륜 파이프, 내륜 파이프 및 베어링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베어링 자체의 두께로 인해 내륜 파이프의 내경이 너무 작아지거나 외륜 파이프의 내경이 너무 커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 연결관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원가가 감소하고 고장 발생시 분해 조립이 아주 간편하며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부드럽게 회전 또는 스윙시킬 수 있는 분수용 회전 연결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관은 별도의 베어링이 전혀 필요치 않으므로 회전 연결관의 치수 안정성과 자율성이 보장되고, 마모된 오링의 교체가 아주 편리하여 유지 보수 비용도 상당히 절감되는 분수용 회전 연결관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회전 연결관은, 분수용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회전 또는 스윙시키는 연결관에 있어서, 양단부의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외륜 파이프; 일단부의 외주연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일측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홈에 오링이 형성되고, 상기 외륜 파이프에 삽입되는 내륜 파이프; 상기 내륜 파이프의 타단부과 상기 외륜 파이프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륜 파이프에 체결되는 고정링; 및 상기 걸림턱과 걸림돌기의 사이 및 상기 걸림턱과 고정링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륜 파이프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 연결관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원가가 감소하고 고장 발생시 분해 조립이 아주 간편하며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부드럽게 회전 또는 스윙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베어링이 전혀 필요치 않으므로 파이프에 베어링을 억지 끼움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파이프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부수적인 공정이 필요 없어 회전 연결관의 치수 안정성과 자율성이 보장되고, 마모된 오링의 교체가 아주 편리하여 유지 보수 비용도 상당히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수용 회전 연결관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륜 파이프(10), 내륜 파이프(20), 고정링(30) 및 회전체(4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회전 또는 스윙시키기 위하여 분수용 배관의 사이에 설치된다.
외륜 파이프(10)의 양단부에는 내주연으로 걸림턱(11a,11b)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전체(40)를 측면에서 지지한다. 이때, 외륜 파이프(10)의 타단부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물이 공급되는 분수용 배관 또는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나사 결합으로 체결할 수 있으며, 용접 등으로 체결할 수도 있다.
외륜 파이프(10)에 삽입되는 내륜 파이프(2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고, 내륜 파이프(20)의 일단부 외주연에 걸림돌기(21)가 형성되어 걸림돌기(21)와 걸림턱(11a) 사이에 회전체(40)가 삽입되며, 내륜 파이프(20)의 중앙부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에 오링(22)이 끼워져 외륜 파이프(10)와 내륜 파이프(2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차단하며, 외륜 파이프(10) 또는 내륜 파이프(20)가 회전하더라도 오링(22)에 의해 파이프 사이의 기밀성은 유지된다.
이때, 외륜 파이프(10)와 내륜 파이프(20)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면, 오링홈이 형성되는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즉, 오링홈은, 내륜 파이프(20)의 중앙부 외주연이 아닌 걸림돌기(21)의 외주연에 형성되거나, 후술하는 고정링(30)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 형성될 수도 있다.
내륜 파이프(20)의 일단부는 공급되는 분수용 배관(2) 또는 물을 분사하는 노즐(1)에 나사 결합 또는 용접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외륜 파이프(10)의 타단부와 내륜 파이프(20)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고정링(30)은 내륜 파이프(20)에 고정 체결된다. 고정링(30)의 외주연에는 적어도 2개의 결합공(32)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으로 내륜 파이프(2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링(30)에 결합공(32)을 형성할 때에 결합공(32)의 원주를 따라 돌 출되는 가공 상의 돌출부가 생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내륜 파이프(20)의 외주연에 닿게 되어 고정링(30)의 조립의 곤란을 유발하거나 고정링(30)이 외륜 파이프(10)에 결합되는 경우 소음과 마모를 발생하므로 상기 돌출부를 갈아내야 하는 마무리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마무리 공정에 대한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결합공(32)이 형성되는 고정링(30)의 내주연 중앙부에 이격홈(31)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가 전혀 내륜 파이프(20)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외륜 파이프(10) 또는 내륜 파이프(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체(40)가 걸림턱(11a)과 걸림돌기(21)의 사이 및 걸림턱(11b)과 고정링(30)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회전체(40)로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수의 볼, 롤러 또는 링 형상의 부시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외륜 파이프(10)와 내륜 파이프(20)의 타단부가 거의 일치하는 경우에 고정링(30)을 내륜 파이프(20)에 고정 체결하기 위한 드라이버 등의 체결도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외륜 파이프(10)의 타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4)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수용 회전 연결관은,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수용 배관(2)의 사이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1)을 회전 또는 스윙시키는 연결관(3)에 있어서, 일단부의 내주연에 걸림단(13)이 형성되는 외륜 파이프(10); 양단부의 외주연에 안착턱(23a,23b)이 형성되고, 일측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홈에 오링(22)이 형성되고, 상기 외륜 파이프(10)에 삽입되는 내륜 파이프(20); 상기 내륜 파이프(20)의 타단부과 상기 외륜 파이프(10)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륜 파이프(10)에 체결되는 고정링(30); 및 상기 걸림단(13)과 안착턱(23a)의 사이 및 상기 안착턱(23b)과 고정링(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체(40)를 포함하고, 상기 내륜 파이프(20)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분수용 회전 연결관의 조립상태, 기능 및 작용을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륜 파이프(20)에 형성된 3개의 오링홈에 각각 오링(22)을 끼우고, 내륜 파이프(20)의 걸림돌기(21) 또는 안착턱(23a)에 그리스(grease)를 발라 상기 그리스에 다수의 볼을 위치시켜 내륜 파이프(20)를 외륜 파이프(1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볼은 걸림돌기(21)와 걸림턱(11a)의 사이 또는 안착턱(23a)과 걸림단(13)의 사이에 위치한다.
외륜 파이프(10)의 타단부와 내륜 파이프(20)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다수의 볼을 투입하여 외륜 파이프(10)의 걸림턱(11b) 또는 내륜 파이프(20)의 안착턱(23b)에 다수의 볼을 위치시키고, 고정링(30)을 삽입하여 내륜 파이프(20) 또는 외륜 파이프(10)에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다수의 볼은 걸림턱(11b)과 고정링(30)의 사이 또는 안착턱(23b)과 고정링(3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분수용 회전 연결관을 분수용 배관(2)의 사이 또는 배관(2)과 노즐(1)의 사이에 설치하면, 외륜 파이프(10) 또는 내륜 파이프(20) 중에서 한 파이프는 고정되고 나머지 파이프는 자유롭게 회전하는 동시에, 내륜 파이 프(20)의 내부를 통과한 물이 회전 또는 스윙하는 노즐(1)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오링(22)에 의해 외륜 파이프(10)와 내륜 파이프(2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는 근본적으로 차단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수용 회전 연결관의 분해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수용 회전 연결관의 단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수용 회전 연결관의 결합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수용 회전 연결관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수용 회전 연결관의 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수용 회전 연결관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수용 회전 연결관이 형성된 분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노즐 2: 배관
10: 외륜 파이프 11a, 11b: 걸림턱
13: 걸림단 14: 관통공
20: 내륜 파이프 21: 걸림돌기
22: 오링 23a, 23b: 안착턱
30: 고정링 31: 이격홈
32: 결합공 40: 회전체

Claims (5)

  1. 분수용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회전 또는 스윙시키는 연결관에 있어서,
    양단부의 내주연에 걸림턱(11a,11b)이 형성되는 외륜 파이프(10);
    일단부의 외주연에 걸림돌기(21)가 형성되고, 일측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홈에 오링이 형성되고, 상기 외륜 파이프에 삽입되는 내륜 파이프(20);
    상기 내륜 파이프의 타단부과 상기 외륜 파이프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륜 파이프에 체결되는 고정링(30); 및
    상기 걸림턱(11a)과 걸림돌기(21)의 사이 및 상기 걸림턱(11b)과 고정링(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체(40)를 포함하고,
    상기 내륜 파이프(2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회전 연결관.
  2. 분수용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회전 또는 스윙시키는 연결관에 있어서,
    일단부의 내주연에 걸림단(13)이 형성되는 외륜 파이프(10);
    양단부의 외주연에 안착턱(23a,23b)이 형성되고, 일측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홈에 오링이 형성되고, 상기 외륜 파이프에 삽입되는 내륜 파이프(20);
    상기 내륜 파이프의 타단부과 상기 외륜 파이프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륜 파이프에 체결되는 고정링(30); 및
    상기 걸림단(13)과 안착턱(23a)의 사이 및 상기 안착턱(23b)과 고정링(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체(40)를 포함하고,
    상기 내륜 파이프(2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회전 연결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다수의 볼 또는 롤러이거나, 링 형상의 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회전 연결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30)의 내주연 중앙부에는 이격홈(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회전 연결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이 상기 내륜 파이프에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외륜 파이프의 타단부에는 관통공(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회전 연결관.
KR1020080034217A 2008-04-14 2008-04-14 분수용 회전 연결관 KR100959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217A KR100959643B1 (ko) 2008-04-14 2008-04-14 분수용 회전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217A KR100959643B1 (ko) 2008-04-14 2008-04-14 분수용 회전 연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883A KR20090108883A (ko) 2009-10-19
KR100959643B1 true KR100959643B1 (ko) 2010-05-26

Family

ID=4155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217A KR100959643B1 (ko) 2008-04-14 2008-04-14 분수용 회전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9959B (zh) * 2022-04-17 2023-09-29 深圳市天悦水景设备有限公司 一种互动式喷泉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041Y1 (ko) * 1993-03-24 1995-08-24 서영순 농업용 호스꼬임방지구
JPH11294657A (ja) 1998-04-10 1999-10-29 Ihara Science Corp スイベルジョイントの回転部
KR20030052230A (ko) * 2002-04-02 2003-06-26 장종오 파이프 회전자
JP2004011767A (ja) 2002-06-06 2004-01-15 Dainippon Printing Co Ltd ロータリジョイ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041Y1 (ko) * 1993-03-24 1995-08-24 서영순 농업용 호스꼬임방지구
JPH11294657A (ja) 1998-04-10 1999-10-29 Ihara Science Corp スイベルジョイントの回転部
KR20030052230A (ko) * 2002-04-02 2003-06-26 장종오 파이프 회전자
JP2004011767A (ja) 2002-06-06 2004-01-15 Dainippon Printing Co Ltd ロータリジョイ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883A (ko) 2009-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3597B (zh) 车轮轴承铰链装置
RU2008131962A (ru) Вставное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кольцо для долот с коническими шарошками
US20150034737A1 (en) Drive mechanism for a sprinkler
CN103747879A (zh) 清洁设备的喷头
KR100959643B1 (ko) 분수용 회전 연결관
JP2013181634A (ja) キャリア支持構造
KR100957033B1 (ko) 크로스 롤러 베어링
JP2008075738A (ja) 軸受装置
CN103707714A (zh) 一种复合导向轮
JP2006061858A (ja) 流体噴射反力回転式洗浄装置
US20090011841A1 (en) Thrust washer for universal joint cross
KR20100001372U (ko) 연결식 스윙 분수
US10598449B2 (en) Self-rotating tube cleaning nozzle assembly
JP2014169730A (ja) 転がり軸受装置
JP2009073252A (ja) 車輪軸受装置
JP2006064177A (ja) ころがり軸受配置構造およびこのころがり軸受配置構造を備えた圧下機械の圧下機構
KR20200047105A (ko) 휠 베어링 조립체
WO2020246620A1 (ja) ベアリング
KR200453504Y1 (ko) 트위스트 분수
JP5857537B2 (ja) エアスピンドル
JP2011106493A (ja) 転がり軸受装置
JP2015183738A (ja) 軸受装置の冷却構造
JP2009103201A (ja) 外循環型ボールスクリュー
JP6793128B2 (ja) ローラベアリングアセンブリ
CN211678346U (zh) 回转支承喷涂防护装置及回转支承组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