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400B1 - 알부민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제조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 - Google Patents

알부민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제조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400B1
KR100959400B1 KR1020070127538A KR20070127538A KR100959400B1 KR 100959400 B1 KR100959400 B1 KR 100959400B1 KR 1020070127538 A KR1020070127538 A KR 1020070127538A KR 20070127538 A KR20070127538 A KR 20070127538A KR 100959400 B1 KR100959400 B1 KR 100959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olymer
albumin
water
producing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0642A (ko
Inventor
손대원
아마르
김도영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4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60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0605Polycondensat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8G73/0611Polycondensat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ly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e.g. polypyrr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14Amylose derivatives; Amylopectin derivatives
    • C08L3/20Oxidised amylose; Oxidised amylopect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부민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부민이 분산된 수용액과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를 첨가하고, 상기 수용액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수행하고, 얻어진 반응물을 투석하여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로써 제조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종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전혀 없는 전도성 고분자를 물에 용해가 가능한 형태로 제조를 가능케 하여, 전도성 고분자의 응용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 알부민, 용해도

Description

알부민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METHOD OF PREPARING A CONDUCTIVE POLYMER USING ALBUMIN AND A WATER-DISPERSIVE CONDUCTIVE POLYMER PREPARED THEREBY}
본 발명은 종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전혀 없는 전도성 고분자를 물에 용해가 가능한 형태로 제조하여, 전도성 고분자의 응용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는 알부민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가 본격적으로 물리학자들에게 학문적 연구 대상으로 큰 관심을 끌게 된 것은 1970년 후반에 미국 펜실배니아 대학의 A. J. Heeger 교수와 A. G. MacDiarmid 교수 연구팀에서 일본의 H. Shirakawa 교수가 합성한 폴리아세틸렌, (CH)x 필름에 할로겐 원소들을 도핑하여 전기 전도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부도체-금속 상전이 현상을 발견한 이후부터이다[C. K. Chiang, C. R. Fincher, Jr., Y. W. Park, A. J. Heeger, H. Shirakawa, E. J. Louis, S. C. Gau and A. G. MacDiarmid, Phys. Rev. Lett. 39, 1098 (1977)]. 이후 전도성 고분자는 공업화나 학문적인 연구를 위해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전도성 고분자는 전기전도도를 부도체에서 금속에 이르는 영역에까지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합성금속 (synthetic metals)'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는 유기 고분자의 특성과 전기적 특성에 의한 반도체의 관련 가능성에 유동적이고 부식이 되지 않는 코팅과 센서, 밧데리와 고용량 축전지, LED(Light Emitting Diode), 전기적 장치와 투명한 전기적 물질에 다양하게 적용이 되어왔다.
전도성 고분자 중 하나인 폴리피롤 또한 다양하게 연구되어왔다.
폴리피롤을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인 피롤은 손쉬운 산화와 물에 용해되는 특징으로 인해, 상업적으로 사용이 용이하여 많이 주목을 받아왔다. 이러한 폴리피롤은 환경적인 안정성과 좋은 환원 성질과 높은 전기적 전도성이라는 몇 가지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피롤의 중합체인 폴리피롤은 구조적으로 강한 내부 결합과 어느 정도의 교차결합에 의해 화학적으로나 전기화학적으로 물에 녹지 않고 가용성이 없다. 따라서 폴리피롤의 응용범위를 넓히기 위해 물 또는 용매에 용해되는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시도가 있어왔다.
몇몇의 논문에서 가용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그중 한 가지 방법은 콜로이드 형태의 폴리피롤을 분산 방법을 통해서 합성하는 것으로, Bjorklund와 Liedberg는 (R.B. Bjorklund, B. Liedberg, J. Chem. Soc. Chem. Commun. 1986, 1293) 수용액인 메틸 셀로로오스의 존재 하에서 폴리피롤의 입자를 다양하게 분산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1987년에 Armes와 Vincent는 poly(N-vinyl pyrrolidone)(PVP)와 poly(vinylalcohol-co-vinyl acetate) (S.P. Armes, B. Vincent, J. Chem. Soc. Chem. Commun. 1987, 288)를 이용하여서 구조적으로 안정된 폴리피롤을 합성하였다.
그 이후로 효과적인 구조적 안정제로 물에 녹는 poly(ethylene oixide), poly(sodium 4-strenesulfonate)와 poly(acrylic acid) 고분자를 제조하였다(S.P. Armes et al., Langmuir 1995, 11, 4222; Gospodinova et al., J. Chem . Soc . Chem. Commun. 1992, 643; Cooper et al., J. Phys . D Appl . Phys. 1989, 22, 1580; Yang et al., Synth . Met . 1997, 8477; Stejskal et al., Synth . Met. 1993, 61, 225; S.P. Armes et al., Langmuir 1991, 7, 1447).
최근에 본 발명자들은 점성의 아카시아(gum acacia)라고 불리는 공업적으로 생산된 값싼 안정제를 이용하여서 폴리아닐린의 분산을 만들었다(Amarnath et al., Thin Solid Films 2007, Article in Press, Corrected Proof). 또한 본 발명자들은 poly(vinyl alcohol),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 methyl ether (Palaniappan 및 Amarnath, 미합중국특허 공개 제2007-45590호)를 안정제로 이용하여서 물이나 유기용매에의 분산된 폴리아닐린을 만들었다.
Ma 등(Ma et al., J. Am. Chem. Soc. 2006, 128, 12064)은 DNA로 치환된 나노튜브를 이용하여 폴리아닐린을 합성하였다.
최근에 Silva 등은 polyaniline colloids를 구조적 안정제로 사용하여서 친 환경적인 효소를 이용한 아닐린의 합성을 연구하였다(Silva et al., Polymer 2006, 47, 1563).
한편, Yang과 McCarthy는 생체 고분자의 안정제로 소와 인간의 혈청 알부민 을 이용하여서 전도성을 띄며 물에 녹는 생체 고분자와 고분자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고분자의 분산에 친환경적이고 생체융화적인 합성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몇몇의 연구자들은 DNA로 치환된 나노튜브와 효소를 이용하여서 전도성 고분자의 합성에 이용하고 있으나, 비용이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달걀 알부민을 안정제로 이용하는 물에 녹는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알부민이 분산된 수용액에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를 첨가하고,
상기 수용액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수행하고,
얻어진 반응물을 투석하여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종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전혀 없는 전도성 고분자를 물에 용해가 가능한 형태로 제조하여, 전도성 고분자의 응용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물에 대한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달걀의 알부민을 사용한다.
난백 알부민은 동물의 알에서 흰자위의 주요 성분을 이루는 단백질. 흔히 달 걀 흰자의 약 70%를 차지하는 오브알부민(ovalbumin)을 일컫는다. 그중 암탉의 난백 알부민은 오브알브민이 주 단백질이고 60∼65%의 총 단백질이 물에 용해되어 있다(Silva et al., Polymer 2006, 47, 1563).
난백 알부민은 일반적인 단백질 구조와 특성을 연구하는 단백체학(proteomics)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닭의 달걀(계란)에서 분리한 알부민을 안정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최초로 시도하였으며, 특히 폴리피롤과 같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 전도성 고분자의 합성에 사용하였다. 상기 달걀로부터 분리한 난백 알부민은 값싸고 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환경 친화적인 물질로, 경제적이고 간단한 방법을 통해 다양한 전도성 고분자의 합성에 안정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달걀로부터 알부민의 분리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달걀의 흰자를 분류하여 증류수(20 ml)에 10∼15시간 동안 20∼25℃에서 혼합 한 후, 원심분리하여 물에 용해된 용해성의 알부민을 얻는 단계를 거쳐 달걀로부터 알부민을 분리한다.
일예로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달걀(약 36 g)에서 알부민이 포함된 흰자만 분류하여 증류수(20 ml)에 12시간 동안 ∼25℃에서 뒤섞는다. 이어 옅은 뿌연 노란색의 용액에서 약간의 하얀 젤 같은 물에 녹지 않는 단백질이 얻어진다. 이 물에 녹지 않는 단백질을 원심분리를 통해 용해된 부분과 분리한다. 이 용해성 달걀 알부민에는 10 w/v%의 용해성 단백질이 용해되어 있다. 이렇게 분리된 단백질은 다른 어떤 조작이나 과정 없이 전도성 고분자의 중합 반응에 안정화제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이때 명세서 전체에 걸쳐 언급되는 알부민은 달걀로부터 분리되는 난백 알부민을 의미한다.
먼저, 알부민이 분산된 수용액에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를 첨가한다.
이때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는 파이 공액 고분자(π-conjugated polymer)를 이룰 수 있는 단량체로, 아닐린(aniline), 피롤(pyrrole), 아미노페놀(amino phenol)을 포함하는 페놀 치환체, 아세틸렌(acetylene), 티오펜(thiophene), 이소티오펜, 페닐렌(phenylene), o-, m-톨루딘(toludine), 아진(azine), 아센(ace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이의 치환체를 포함한다.
이때 전도성 고분자 단량체와 알부민은 1:0.75∼1:2.5의 몰비로 혼합한다. 상기 달걀 알부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중합 후 얻어진 전도성 고분자의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어 시간에 따라 침전이 발생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후속의 투석과정이 오래 걸리고 효과상의 증대효과가 더 이상 없어 비경제적이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수용액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교반후 중합반응을 수행한다.
상기 산화제로는 사용되는 단량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산화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산화철, 암모늄퍼설페이트((NH4)2S2O8), 포타슘설페이트(K2S2O8), 소듐퍼설페이트(Na2S2O8) 포타슘퍼옥소다이설페이트(K2O8S2), 삼염화철(Ferric Chloride; FeCl3), 삼브롬화철(FeBr3), 이염화구리(CuCl2), 이브롬화구리(CuBr2), 시안화철칼륨(K3Fe(CN)6), 황산철(Fe2(SO4)3), 과염소산철 (Fe(ClO4)3), 질산철(Fe(NO3)3), 염화몰리브덴(MoCl5),염화루테늄(RuCl3), 과산화수소(H2O2), 황산(H2SO4)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산화철을 사용한다.
이때 산화제는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산화제를 1:0.5∼1:2의 몰비로 혼합한다. 중합시 사용되는 산화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얻어진 전도성 고분자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므로, 나노 수준의 입자 크기를 얻기 위해선 산화제의 함량 제어가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산화제의 몰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중합이 발생하지 않아 미반응된 단량체가 잔존할 우려가 있으며 반응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반응 후 잔류하는 산화제의 함량이 증가하여 전도성 고분자의 응용시 불순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험예 5에 따르면, 산화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nm 수준의 크기를 유지하였다.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가 함유된 수용액에 산화체를 첨가하게 되면 중합 반응이 일어난다. 이때 중합은 25∼40℃에서 4∼24 시간 동안 수행한다.
상기 조건 하에 중합 반응을 수행하여야만 전도성 고분자의 중합 반응이 원활이 진행되고, 중합 반응 후 물에 분산되어 있는 전도성 고분자의 분산 안정성과 입자 형태가 균일하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반응물을 투석하여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를 제조한다.
상기 투석은 공지된 바의 장치를 이용하여 얻어지며, 이러한 투석을 통해 분산을 위해 사용하는 달걀의 알부민을 제거하여 물에 순수하게 분산된 전도성 고분자를 얻는다.
전술한 바의 전도성 고분자는 알부민과 단량체와의 몰비, 반응온도, 중합 시간, 산화제와 단량체와의 몰비를 조절하여 물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장시간 방치하여도 침전 등이 발생하지 않아 높은 분산 안정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은 분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생물학적 친환경적인 달걀 알부민을 사용함으로써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달걀 알부민은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달걀에서 쉽게 달걀 알부민을 분리 해낼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는 입자 크기가 100∼300 nm인 구형나노입자의 형태를 보인다.
상기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는 밧데리, 고용량 축전지, 전기적 (바이오)센서, 전도성 섬유와 실, 기계적인 작동기, 전기 자기장적 내부간섭(EMI), 유동적인 코팅, 약 전달 시스템, 초고속 스위치, 비선형 광학 소자, 감광 재료, 광 기록 소재, 트랜지스터, 다양한 종류의 화학, 생물 센서 (sensor), 분자 크기의 전자소자 (molecular electronics), 투명한 전도체, 전자파 차폐용 박막, 이차전지, 전기변색소자, 발광다이오드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험예 1)
본 실험에서는 단량체와 알부민의 몰비에 따른 폴리피롤의 분산 안정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0.1342g(0.04M)의 피롤에 25ml의 증류된 물과 함께 1.030, 1.373, 1.716, 2.060, 2.747과 3.433g 의 10w/v% 물에 녹는 달걀 알부민 용액 (0.75:1, 1:1 1.25:1, 1.5:1,2:1, 2.5:1 달걀 알부민: 단량체의 질량 비율)을 혼합하였다. 이때 어떤 침전물이라도 보이게 된다면 원심분리를 하였다,
이어 투명한 용액이 보이게 되면 25ml의 0.162g(0.02M)의 염화철이 섞인 물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은 5분간 섞어주고 12시간 25 ℃에서 방치한 다음, 물에 녹는 검은색의 폴리피롤을 투석을 통하여서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폴리피롤을 6개월 동안 방치하여 입자 침전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단량체: 알부민의 몰비 분산 안정성
1 1 : 0.75 침전 없음
2 1 : 1.0 침전 없음
3 1 : 1.25 침전 없음
4 1 : 1.5 침전 없음
5 1 : 2.0 침전 없음
6 1 : 2.5 침전 없음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조된 폴리피롤은 물에 잘 분산이 되어있으며, 몇 달간 안정적이고 어떤 입자나 침전도 보이지 않아 분산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본 실험에서는 중합 온도에 따른 폴리피롤의 분산 안정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롤과 알부민을 1:1.25의 몰비로 사용하고, 4시간 동안 서로 다른 온도에서 중합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0.1342g(0.04M)의 피롤을 1.716g 10w/v%의 물에 녹는 달걀 알부민이 (1.25:1 달걀 알부민: 단량체 질량 비율) 섞여 있는 25ml의 증류된 물에 혼합하였다. 얻어진 용액은 어떤 침전물이 보이게 되면 원심분리를 수행하였다.
상기 얻어진 투명한 용액에 0.162g의(0.02M) 산화철이 함유된 25ml의 증류된 물을 혼합한 후, 5분간 섞어주며 4시간 동안 25,30,40 ℃에 방치하여 중합을 유도하였다.
반응 종료 후 투석을 통해 물에 용해된 검정색의 폴리피롤을 제조하였으며, 6개월 동안 방치하여 입자 침전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온도 분산 안정성
1 25 ℃ 침전 없음
2 30 ℃ 침전 없음
3 40 ℃ 침전 없음
상기 표 2를 보면, 중합 온도를 달리하는 경우 폴리피롤은 어떤 입자와 침전도 보이지 않으며 몇 달간 안정하게 물에 용해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본 실험에서는 반응시간에 다른 폴리피롤의 분산 안정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0.1342g(0.04M)의 피롤을 1.716g 10w/v%의 물에 녹는 달걀 알부민이 (1.25:1 달걀 알부민: 단량체 질량 비율) 섞여 있는 25ml의 증류된 물에 혼합하였다. 얻어진 용액은 어떤 침전물이 보이게 되면 원심분리를 수행하였다.
상기 얻어진 투명한 용액에 0.162g의(0.02M) 산화철이 함유된 25ml의 증류된 물을 혼합한 다음, 5분간 섞어주며 4, 12, 및 24 시간 동안 25 ℃에 방치하여 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투석을 통해 물에 용해된 검정색의 폴리피롤을 제조하였으며, 6개월 동안 방치하여 입자 침전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중합 시간(25 ℃) 분산 안정성
1 4 시간 침전 없음
2 12 시간 침전 없음
3 24 시간 침전 없음
상기 표 3을 보면, 중합시간을 달리하는 경우 폴리피롤은 어떤 입자와 침전도 보이지 않으며 몇 달간 안정하게 물에 용해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본 실험에서는 단량체와 산화제의 몰비에 따른 폴리피롤의 분산 안정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0.1342g(0.04M)의 피롤을 1.716g 10w/v%의 물에 녹는 달걀 알부민이 (1.25:1 달걀 알부민: 단량체 질량 비율) 섞여 있는 25ml의 증류된 물에 혼합하였다. 상기 얻어진 용액은 어떤 침전물이 보이게 되면 원심분리를 수행하였다.
상기 얻어진 투명한 용액에 0.162, 0.324와 0.684g (0.50:1, 1:1, 2:1 산화제와 단량체의 몰 비율)의 산화철이 들어있는 증류된 물 25ml를 첨가한 후, 5분간 섞어주며 4 시간동안 25 ℃에서 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투석을 통해 물에 용해된 검정색의 폴리피롤을 제조하였으며, 6개월 동안 방치하여 입자 침전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단량체:산화제의 몰비 분산 안정성
1 1:0.5 침전 없음
2 1:1.0 침전 없음
3 1:2.0 침전 없음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산화제와 단량체와의 몰비를 달리하더라도 수분산된 폴리피롤은 어떤 입자와 침전도 보이지 않으며 몇 달간 안정하게 물에 용해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분산된 폴리피롤 입자 (25℃ 분산)의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광 산란 실험(Dynamic Light Scattering)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실험예 1∼4에서 제조된 폴리피롤의 입자 크기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변수 입자 크기
1 단량체:알부민 몰비 1:0.75 220 nm
2 1:10 210 nm
3 1:1.25 140 nm
4 1:1.5 120 nm
5 1:2.0 180 nm
5 1:2.5 185 nm
6 중합온도 25 ℃ 140 nm
7 30 ℃ 140 nm
8 40 ℃ 140 nm
9 중합시간 4시간 140 nm
10 12시간 140 nm
11 24시간 140 nm
12 단량체:산화제 몰비 1:0.5 140 nm
13 1:1.0 160 nm
14 1:2.0 165 nm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입자 크기가 140∼220 nm로, 폴리피롤이 nm 수준의 입자크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입자 크기는 중합 온도나 시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달걀 알부민과의 몰비와 산화제의 몰비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상기 실험 13 번을 통해 얻어진 폴리피롤의 입자크기 분포를 보여주는 입자 분포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달걀 알부민을 이용하여 제조한 폴리피롤은 단분산(mono-disperse) 형태로 입자가 분포되며, 이때 입자 분포도가 좁아 균일한 크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상기 실험예 1∼4에서 제조된 수분산된 폴리피롤의 UV-Visible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CARY 100 Cone UV-Visible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서 수분산된 폴리피롤 샘플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물에 녹는 폴리피롤의 UV-Visible 스펙트럼은 모든 실험 예에서 폴리피롤의 구성 피크가 450nm와 825nm 근처에서 관찰되어 중합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으로, 도 2는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된 폴리피롤의 UV/VIS 스펙트럼이다. 도 2를 참조하면, 450, 825nm에서 흡수 스펙트럼이 관찰되며, 600nm부근에서는 흡수 스펙트럼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는 밧데리, 고용량 축전지, 전기적 (바이오)센서, 전도성 섬유와 실, 기계적인 작동기, 전기 자기장적 내부간섭(EMI), 유동적인 코팅과 약 전달 시스템 분야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도 1은 상기 실험 13 번을 통해 얻어진 폴리피롤의 입자크기 분포를 보여주는 입자 분포도이다.
도 2는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된 폴리피롤의 UV/VIS 스펙트럼이다.

Claims (10)

  1. 알부민이 분산된 수용액에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를 첨가하고,
    상기 수용액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수행하고,
    얻어진 반응물을 투석하여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를 제조하고,
    상기 알부민은 달걀의 흰자를 분류하여 증류수에 혼합한 후, 원심분리하여 물에 용해된 용해성을 알부민을 얻는 단계를 거쳐 분리된 것인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달걀의 흰자는 증류수에 10∼15시간 동안 20∼25℃에서 혼합한 것인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는 아닐린(aniline), 피롤(pyrrole), 아미노페놀(amino phenol), 아세틸렌(acetylene), 티오펜(thiophene), 이소티오펜, 페닐렌(phenylene), o-, m-톨루딘(toludine), 아진(azine), 아센(ace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이의 치환체인 것인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와 알부민은 1:0.75∼1:2.5의 몰비로 혼합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산화철, 암모늄퍼설페이트((NH4)2S2O8), 포타슘설페이트(K2S2O8), 소듐퍼설페이트(Na2S2O8) 포타슘퍼옥소다이설페이트(K2O8S2), 삼염화철(Ferric Chloride; FeCl3), 삼브롬화철(FeBr3), 이염화구리(CuCl2), 이브롬화구리(CuBr2), 시안화철칼륨(K3Fe(CN)6), 황산철(Fe2(SO4)3), 과염소산철 (Fe(ClO4)3), 질산철(Fe(NO3)3), 염화몰리브덴(MoCl5),염화루테늄(RuCl3), 과산화수소(H2O2), 황산(H2SO4)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와 산화제는 1:0.5∼1:2의 몰비로 혼합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반응은 25∼40℃에서 4∼24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070127538A 2007-12-10 2007-12-10 알부민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제조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 KR100959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538A KR100959400B1 (ko) 2007-12-10 2007-12-10 알부민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제조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538A KR100959400B1 (ko) 2007-12-10 2007-12-10 알부민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제조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642A KR20090060642A (ko) 2009-06-15
KR100959400B1 true KR100959400B1 (ko) 2010-05-24

Family

ID=4099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538A KR100959400B1 (ko) 2007-12-10 2007-12-10 알부민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제조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4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830B1 (ko) * 1995-05-24 1998-10-15 강박광 수용성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및 그의 복합체의 제조방법
JP2006063283A (ja) * 2004-08-30 2006-03-09 Q P Corp 高分子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成形体
KR20070072017A (ko) * 2005-12-30 2007-07-0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분산 중합을 이용한 전도성 폴리피롤 나노입자의 대량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830B1 (ko) * 1995-05-24 1998-10-15 강박광 수용성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및 그의 복합체의 제조방법
JP2006063283A (ja) * 2004-08-30 2006-03-09 Q P Corp 高分子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成形体
KR20070072017A (ko) * 2005-12-30 2007-07-0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분산 중합을 이용한 전도성 폴리피롤 나노입자의 대량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642A (ko) 200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cher et al. Nanoparticles of conjugated polymers
Konyushenko et al. Polyaniline nanotubes: conditions of formation
Li et al. Self‐stabilized nanoparticles of intrinsically conducting copolymers from 5‐sulfonic‐2‐anisidine
Jagur‐Grodzinski Electronically conductive polymers
Kinlen et al.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organically soluble and electrically conducting polyaniline
Palaniappan et al. Polyaniline materials by emulsion polymerization pathway
US5232631A (en) Processible forms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niline
Liu et al. Green-nano approach to nanostructured polypyrrole
Yan et al. Preparation of electrically conducting polypyrrole in oil/water microemulsion
Soman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aniline dispersions
US8920681B2 (e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with enhanced conductivity
JP2003176409A (ja) 加工し得る形態の導電性ポリアニリンおよびそれから形成された導電性生成品
JPH07509743A (ja) 電気伝導性ポリアニリン:乳化重合方法
McGrath et al. Conductive, Monodisperse Polyaniline Nanofibers of Controlled Length Using Well‐Defined Cylindrical Block Copolymer Micelles as Templates
Wang et al. Fabrication of stable and well-dispersed polyaniline–polypyrrolidone nanocomposite for effective photothermal therapy
Li et al. Carbon dot/poly (methylacrylic acid) nanocomposite hydrogels with high toughness and strong fluorescence
Alves et al. Preparation of fluorescent polyaniline nanoparticles in aqueous solutions
Fong et al. Visible light-mediated photoclick functionalization of a conjugated polymer backbone
Minisy et al. Frozen‐State Polymerization as a Tool in Conductivity Enhancement of Polypyrrole
Yuan et al. Template synthesis of polyaniline in the presence of phosphomannan
Riaz et al.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and blends: recent trends
DiTullio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polyaniline nanorods with thiol-terminated poly (ethylene oxide)
Maity et al. Water‐dispersible conducting nanocomposites of binary polymer systems. I. Poly (N‐vinylcarbazole)–polyaniline–Al2O3 nanocomposite system
Mendez et al. Synthesis, electrical properties, and nanocomposites of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nanorods
KR100959400B1 (ko) 알부민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제조된 수분산된 전도성 고분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