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888B1 - 이송 피스톤 펌프 - Google Patents

이송 피스톤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888B1
KR100958888B1 KR1020080063995A KR20080063995A KR100958888B1 KR 100958888 B1 KR100958888 B1 KR 100958888B1 KR 1020080063995 A KR1020080063995 A KR 1020080063995A KR 20080063995 A KR20080063995 A KR 20080063995A KR 100958888 B1 KR100958888 B1 KR 100958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discharge port
slider
hoppe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932A (ko
Inventor
장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엔티
장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엔티, 장재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엔티
Priority to KR102008006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8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04B15/023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supply of fluid to the pump by gravity through a hopper, e.g. without intak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2Packing the free space between cylinders and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 F04B53/143Sealing provided on the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53/162Adaptations of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7/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 F04B7/004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with specific kinematics of the distribution member
    • F04B7/0053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with specific kinematics of the distribution member for reciprocating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7/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 F04B7/008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the distribution being realised by moving the cylinder itself, e.g. by sliding or swin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90Coating; Surface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20Inorganic materials, e.g. non-metallic materials
    • F05B2280/2004Ceramics; Ox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Slurry pumps, e.g.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피스톤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펌핑 대상물질을 수령받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상기 호퍼와 연통된 수령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용챔버; 상기 수용챔버의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토출관; 상기 토출구에 대향하는 수용챔버의 타측으로부터 개방된 선단부가 상기 토출구 둘레에 기밀하게 접촉 및 이격되는 중공관상의 제1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을 구동시키는 제1피스톤구동기와, 상기 제1피스톤의 후방 둘레 단부로부터 상기 제1피스톤의 축선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수용챔버의 타측 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피스톤가이드와,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용챔버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를 갖는 제1피스톤유닛; 상기 제1피스톤의 내부를 통해 상기 토출구에 접속 및 이격되는 제2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을 구동시키는 제2피스톤구동기를 갖는 제2피스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펌핑 효율이 향상되는 이송 피스톤 펌프가 제공된다.
Figure R1020080063995
점성물질, 이송펌프, 피스톤, 호퍼, 유압실린더

Description

이송 피스톤 펌프{A piston type pump}
본 발명은 이송 피스톤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핑 구조가 개선된 이송 피스톤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이송 피스톤 펌프는 점성을 갖는 물질 등의 펌핑 대상물(이하 "점성물질"로 함)을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이송 대상이 되는 점성 물질 등은 오페수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또는, 음식물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레미콘 제조시설에서 생산되는 레미콘, 식품제조 공장에서 생산되는 된장이나 고추장 등을 꼽을 수 있다.
일반적인 종래 이송 피스톤 펌프(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10)에 수용된 점성 물질이 이송스크류(111)의 구동에 의해 이송배관(113) 및 이송실린더(120) 내에 채워지면, 유압실린더(130)의 구동에 의해 피스톤(131)이 이송실린더(120) 내에 충전된 점성 물질을 외부로 가압함으로써, 점성 물질이 토출배관(14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호퍼(110)의 이송배관(113) 연결 영역과 이송배관(113) 접속 영역의 토출배관(140)에는 각각 제1 및 제2체크밸브(151,152)가 설치되어 있는데, 점성물질이 호퍼(110)로부터 이송배관(113)과 이송실린더(120) 내부로 채워지는 과정에서는 제1체크밸브(151)가 개방되고 제2체크밸브(152)는 폐쇄되며, 이송배관(113)과 이송실린더(120) 내부에 점성물질이 채워진 후 유압실린더(130) 구동에 의한 피스톤(131)의 가압 행정시에는 제1체크밸브(151)는 폐쇄되고 제2체크밸브(152)는 개방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이송스크류(111)의 구동 및 제1 및 제2체크밸브(151,152) 개폐 구동 및 유압실린더(130) 구동에 의한 피스톤(131)의 가압행정에 의해서 호퍼(110)에 수용된 점성물질은 토출배관(140)을 통해 외부로 이송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이송 피스톤 펌프에 있어서는 슬러지나 콘크리리트와 같이 거친 점성물질을 펌핑하기 때문에, 이송실린더 내에 충전된 점성 물질을 피스톤으로 흡입 및 가압하는 과정에서 이송실린더의 내벽과 피스톤의 외주면의 마모가 과도하게 발생하고, 이송실린더의 내벽과 피스톤 간의 실링이 손상되어 구동장치인 이송실린더 내부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의해, 이송 피스톤 펌프의 빈번한 교체 수리가 요구되며, 펌핑효율의 급격한 저하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펌핑 효율이 향상되는 이송 피스톤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송 피스톤 펌프에 있어서, 펌핑 대상물질을 수령받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상기 호퍼와 연통된 수령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용챔버; 상기 수용챔버의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토출관; 상기 토출구에 대향하는 수용챔버의 타측으로부터 개방된 선단부가 상기 토출구 둘레에 기밀하게 접촉 및 이격되는 중공관상의 제1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을 구동시키는 제1피스톤구동기와, 상기 제1피스톤의 후방 둘레 단부로부터 상기 제1피스톤의 축선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수용챔버의 타측 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피스톤가이드와,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용챔버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를 갖는 제1피스톤유닛; 상기 제1피스톤의 내부를 통해 상기 토출구에 접속 및 이격되는 제2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을 구동시키는 제2피스톤구동기를 갖는 제2피스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피스톤 펌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피스톤유닛은 상기 제1피스톤의 후방 둘레 단부로부터 상기 제1피스톤의 축선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수용챔버의 타측 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피스톤가이드와,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용챔버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피스톤구동기는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접근위치와 이격위치로 왕복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펌핑블록의 타측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더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제2피스톤구동기는 상기 제2피스톤을 상기 슬라이더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피스톤은 패쇄된 선단부와 개방된 후단부를 갖는 중공체로 마련되며, 상기 제2피스톤구동기는 상기 제2피스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제2피스톤을 접근 및 이격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수용챔버의 토출구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제1피스톤의 선단부가 기밀하게 접촉 및 이격되는 밀폐림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폐림의 내주면에는 내향 경사지게 축경되는 기밀유도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관의 선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기밀유도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기밀유도면과 상기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패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피스톤의 선단부 내측 둘레단부는 내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축경되는 경사진 수용유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은 세라믹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펌핑 효율이 향상되는 이송 피스톤 펌프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피스톤 펌프의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도 2의 이송 피스톤 펌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피스톤 펌프(1)는 점성물질을 수령하는 펌핑물수령부(10)와, 펌핑물수령부(10) 하부 일측에 접속되며 외부를 향하는 토출관(20)과, 펌핑물수령부(10) 하부 타측에 마련되어 토출관(20)으로 점성물질을 토출시키는 펌핑수단(30)을 포함한다.
펌핑물수령부(10)는 점성물질을 수령하는 호퍼(11)와, 호퍼(11)의 하부에 형성되어 호퍼(11)로부터 낙하된 점성물질을 수령하기 위한 수령공간(13)을 형성하는 수용챔버(12)를 가지고 있다.
호퍼(11)는 상부로부터 수용챔버(12)를 향하는 하부를 향해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하단 개구가 수용챔버(12) 내부의 펑핌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이 호퍼(11)에 유입 수령되는 점성물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오페수 처리시설에서 발생된 슬러지나, 음식물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레미콘 제조시설에서 생산되는 레미콘 등 다양한 점성물질일 수 있다.
수용챔버(12)는 호퍼(11)의 하부에 연통 설치되어 그 내부에 밀폐된 점성물질 수령공간(13)을 형성한다. 이 수용챔버(12)의 일측에는 후술할 토출관(20)이 접속되는 토출구(15)가 형성되어 있으며, 토출구(15)에 대향하는 수용챔버(12)의 타측에는 후술할 펌핑수단(30)의 제1피스톤(41)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피스톤접속구(17)가 토출구(15)와 동일 축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용챔버(12)의 내측을 향하는 토출구(15)의 둘레 영역에는 후술할 제1피스톤(41)의 선단부가 기밀하게 접촉 및 이격되는 밀폐림(19)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밀폐림(19)의 내향면은 점성물질이 토출관(20)으로 원활하게 유입됨과 동시에 제1피스톤(41)의 선단부 경사면(41c)이 기밀하게 접할 수 있도록 내향 경사지게 축경되는 기밀유도면(19a)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 밀폐림(19)의 기밀유도면(19a)과 접촉하는 제1피스톤(41)의 선단 둘레 단부 역시, 밀폐림(19)의 기밀유도면(19a)에 대응하는 경사면(41c)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밀폐림(19)의 기밀유도면(19a)과 제1피스톤(41)의 경사면(41c)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호 접촉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패킹(19b)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폐림(19)의 기밀유도면(19a)과 제1피스톤(41)의 경사면(41c) 구조는 후술할 제1피스톤(41) 및 제2피스톤(5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 밀폐림(19)과 제1피스톤(41)이 상호 밀착되는 구조로서, 밀폐림(19)과 제1피스톤(41)의 간의 기밀을 더욱더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토출관(20)은 수용챔버(12)의 토출구(15)에 접속되어 있으며, 타측이 외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챔버(12)의 토출구(15)에 인접하는 토출관(20) 의 일영역에는 외부를 향해 토출되는 점성물질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21)가 설치되어 있다.
펌핑수단(30)은 수용챔버(12) 내부의 수령공간(13)에 수령되는 점성물질을 토출관(20) 내부로 가압하는 제1피스톤유닛(40) 및 제2피스톤유닛(50)을 가지고 있다.
제1피스톤유닛(40)은 수용챔버(12)의 피스톤접속구(17)에 기밀하게 접속되어 선단부가 수용챔버(12)의 토출구(15)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왕복 이동하는 제1피스톤(41)과, 제1피스톤(41)의 후방 둘레 단부로부터 제1피스톤(41)의 축선방향에 평행하게 수용챔버(12) 외측 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피스톤가이드(43)와, 피스톤가이드(43)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수용챔버(12)의 피스톤접속구(17)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45)와, 슬라이더(45)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1피스톤구동기(47)를 포함한다.
제1피스톤(41)은 선단부와 후단부의 중앙부에 각각 점성물질유입구(41a) 및 제2피스톤출입구(41b)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관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제1피스톤(41)의 선단 외측 둘레 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밀폐림(19)과의 원활한 기밀 접촉을 위해 밀폐림(19)의 기밀유도면(19a)에 대응하는 경사면(41c)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41c)에는 밀폐림(19)의 기밀유도면(19a)과 상호 접촉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패킹(19b)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피스톤(41)의 점성물질유입구(41a) 내측 둘레단부는 내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축경되는 경사진 수용유도면으 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점성물질유입구(41a)의 경사진 수용유도면은 제1피스톤(41)이 수용챔버(12)의 토출구(15) 측으로 이동할 때, 점성물질이 토출구(15)와 제1피스톤(41)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제1피스톤(41)의 외주면은 점성물질과의 접촉 및 수용챔버(12)의 피스톤접속구(17)와의 접촉시 발생할 수 있는 마모에 대한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세라믹 코팅 등의 표면처리가 되어 있고, 수용챔버(12)의 피스톤접속구(17)에는 제1피스톤(41)의 왕복을 기밀하게 지지하도록 실링(41d) 처리되어 있다.
슬라이더(45)는 원활한 왕복 이동 및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용챔버(12)의 피스톤접속구(17) 측벽으로부터 소정 길이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지지벽(48)까지 연결된 슬라이더가이드(49)에 대해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슬라이더(45)는 후술할 제1피스톤구동기(47)와 제2피스톤구동기(53)의 피스톤로드(47b,53b)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1피스톤구동기(47)와 제2피스톤구동기(53)의 구동에 따라 제1피스톤(41)과 제2피스톤(51)을 왕복 이동시킨다.
제1피스톤구동기(47)는 피스톤로드(47b)가 제1피스톤유닛(40)의 슬라이더(45)와 연결되어 있는 유압실린더(47a)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1피스톤구동기(47)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역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한 이송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의해 제1피스톤유닛(40)의 슬라이더(45)를 왕복 이동시키는 방식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기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피스톤유닛(50)은 제1피스톤(41) 내측에 동심적으로 설치되어 수용 챔버(12)의 토출구(15)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왕복 이동하는 제2피스톤(51)과, 제2피스톤(51)을 왕복 이동시키는 제2피스톤구동기(53)를 포함한다.
제2피스톤(51)은 제1피스톤(41)의 제2피스톤출입구(41b)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왕복 이동시 그 선단부가 제1피스톤(41)의 점성물질유입구(41a)를 통해 수용챔버(12)의 토출구(15)에 접근 및 이격된다. 이 제2피스톤(51)은 제1피스톤(41) 내부로 유입된 점성물질을 토출관(20)으로 가압하기 위해 선단부가 폐쇄되어 있으며, 그 내부는 제2피스톤구동기(53)가 설치되기 위해 개방된 후단부를 갖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피스톤(41)의 후방 외측에 위치하는 제2피스톤(51)의 후단부 둘레에는 제1피스톤유닛(40)의 피스톤가이드(43)에 대해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플랜지(5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피스톤(51) 역시 제1피스톤(41)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에 세라믹 코팅 등의 표면처리가 되어 있다. 또한, 제1피스톤(41)의 제2피스톤출입구(41b)에는 제2피스톤(51)의 왕복을 기밀하게 지지하도록 실링(41d) 처리되어 있다.
제2피스톤구동기(53)는 제2피스톤(51) 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53b)가 제1피스톤유닛(40)의 슬라이더(45)와 연결되어 있는 유압실린더(53a)로 마련될 수 있다. 이 제2피스톤구동기(53)는 슬라이더(45)에 대해 피스톤로드(53b)가 인장 및 수축됨으로써, 유압실린더(53a)에 고정된 제2피스톤(51)을 토출관(20)에 접근 및 이격시킨다. 여기서, 제2피스톤구동기(53) 역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역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한 이송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의해 제2피스톤(51)을 왕복 이동시키는 방식 등 다양한 형태의 기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피스톤 펌프(1)의 펌핑작용을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3과 같이, 이송 대상이 되는 점성 물질은 호퍼(11)에 수용되면서 수용챔버(12)의 수령공간(13)으로 낙하 수령되면, 도 4와 같이, 제1피스톤구동기(47)가 구동하여 슬라이더(45)를 수용챔버(12)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피스톤(41)이 수용챔버(12)의 토출구(15)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수령공간(13)에 수용되어 있던 점성물질은 토출구(15)를 통해 토출관(20) 내측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제1피스톤(41)의 점성물질유입구(41a)를 통해 제1피스톤(41) 내부로 수용되기 시작한다. 이때, 제2피스톤구동기(53)는 제2피스톤(51)이 수용챔버(12)의 피스톤접속구(17)영역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더(45)를 끌어당긴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제1피스톤(41)의 선단부가 밀폐림(19)에 기밀하게 접하면, 토출관(20)과 제1피스톤(41) 내부에 점성물질이 채워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제2피스톤구동기(53)가 슬라이더(45)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구동하면, 제2피스톤(51)이 수용챔버(12)의 토출구(15) 측 즉, 밀폐림(19)에 접촉되어 있는 제1피스톤(41)의 선단부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피스톤구동기(47)는 슬라이더(45)를 수용챔버(12) 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피스톤(41)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제2피스톤(51)이 제1피스톤(41)의 선단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피스톤(41)과 토출관(20) 내부에 채워진 점성물질이 토출관(2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체크밸브(21)는 개방된다.
한편, 제1피스톤(41)과 토출관(20) 내에 채워진 점성물질의 토출이 완료되면, 도 7과 같이, 제1피스톤구동기(47)와 제2피스톤구동기(53)가 반대로 구동하여 제1피스톤(41)과 제2피스톤(51)을 도 3과 같이, 초기 위치로 원위치시킨다. 이때, 호퍼(11)에 수용되어 있던 점성물질은 다시 수용챔버(12)의 수령공간(13) 내부로 낙하 수용된다.
이러한 제1피스톤(41)과 제2피스톤(51)의 펌핑작용의 반복에 의해 호퍼(11)에 수용된 점성물질은 계속해서 토출관(2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피스톤 펌프는 제1피스톤이 점성물질을 수용하여 펌핑블록의 토출구 및 토출관과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피스톤이 제1피스톤 및 토출관 내에 수용된 점성물질을 가압하여 외부로 토출시킴으로써, 주 펌핑공간으로 형성되는 제1피스톤 내부의 기밀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2피스톤으로 제1피스톤 내에 수용된 점성물질을 펌핑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피스톤구동기와 점성물질의 직접적인 마찰을 배재함으로써, 제1 및 제2피스톤구동기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펌핑 효율이 향상되는 이송 피스톤 펌프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이송 피스톤 펌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피스톤 펌프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7은 도 2의 이송 피스톤 펌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호퍼 12 : 수용챔버
13 : 수령공간 15 : 토출구
20 : 토출관 30 : 펌핑수단
40 : 제1피스톤유닛 41 : 제1피스톤
43 : 피스톤가이드 45 : 슬라이더
47 : 제1피스톤구동기 49 : 슬라이더가이드
50 : 제2피스톤유닛 51 : 제2피스톤
53 : 제2피스톤구동기

Claims (10)

  1. 이송 피스톤 펌프에 있어서,
    펌핑 대상물질을 수령받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상기 호퍼와 연통된 수령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용챔버;
    상기 수용챔버의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토출관;
    상기 토출구에 대향하는 수용챔버의 타측으로부터 개방된 선단부가 상기 토출구 둘레에 기밀하게 접촉 및 이격되는 중공관상의 제1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을 구동시키는 제1피스톤구동기와, 상기 제1피스톤의 후방 둘레 단부로부터 상기 제1피스톤의 축선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수용챔버의 타측 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피스톤가이드와,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용챔버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를 갖는 제1피스톤유닛;
    상기 제1피스톤의 내부를 통해 상기 토출구에 접속 및 이격되는 제2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을 구동시키는 제2피스톤구동기를 갖는 제2피스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피스톤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챔버의 타측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더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피스톤구동기는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슬라이더가이드에 대해 왕복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피스톤 펌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의 후단부에는 제2피스톤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피스톤은 상기 피스톤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2피스톤출입구와 상기 제1피스톤의 선단부를 통해 상기 토출구에 접속 및 이격되도록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2피스톤구동기는 상기 제2피스톤을 상기 슬라이더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피스톤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스톤은 패쇄된 선단부와 개방된 후단부를 갖는 중공체로 마련되며,
    상기 제2피스톤구동기는 상기 제2피스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제2피스톤을 접근 및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피스톤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챔버의 토출구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제1피스톤의 선단부가 기밀하게 접촉 및 이격되는 밀폐림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피스톤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림의 내주면에는 내향 경사지게 축경되는 기밀유도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관의 선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기밀유도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피스톤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도면과 상기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패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피스톤 펌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의 선단부 내측 둘레단부는 내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축경되는 경사진 수용유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피스톤 펌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은 세라믹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피스톤 펌프.
KR1020080063995A 2008-07-02 2008-07-02 이송 피스톤 펌프 KR100958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995A KR100958888B1 (ko) 2008-07-02 2008-07-02 이송 피스톤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995A KR100958888B1 (ko) 2008-07-02 2008-07-02 이송 피스톤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32A KR20100003932A (ko) 2010-01-12
KR100958888B1 true KR100958888B1 (ko) 2010-05-20

Family

ID=4181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995A KR100958888B1 (ko) 2008-07-02 2008-07-02 이송 피스톤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037B1 (ko) 2014-04-14 2015-11-09 정수영 고효율 액체토출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4628B (zh) * 2016-07-08 2018-11-27 净化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液压泥饼柱塞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7379U (ko) 1980-02-27 1981-09-28
JPS62218667A (ja) * 1986-03-20 1987-09-26 Mitsubishi Heavy Ind Ltd 液圧ポンプ又はモ−タのピストン
JPH07305680A (ja) * 1994-05-10 1995-11-21 Matsushita Refrig Co Ltd 圧縮機とその製造方法
KR100549277B1 (ko) 2004-06-11 2006-02-03 성세제 세라믹재의 피스톤이 구비된 공기압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7379U (ko) 1980-02-27 1981-09-28
JPS62218667A (ja) * 1986-03-20 1987-09-26 Mitsubishi Heavy Ind Ltd 液圧ポンプ又はモ−タのピストン
JPH07305680A (ja) * 1994-05-10 1995-11-21 Matsushita Refrig Co Ltd 圧縮機とその製造方法
KR100549277B1 (ko) 2004-06-11 2006-02-03 성세제 세라믹재의 피스톤이 구비된 공기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037B1 (ko) 2014-04-14 2015-11-09 정수영 고효율 액체토출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32A (ko) 201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6351B2 (ja) 洗浄システム操作用の真空モーター
CN104612958B (zh)
RU2018142922A (ru) Насос прямого вытеснения двой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CA2557146C (en) Piston pump for thick materials
US3146721A (en) Hydraulic piston pump for the pumping of viscous pulpy or plastic substances
CN206874446U (zh) 柱塞泵
EP1462648A3 (en) Fluid discharge pumping apparatus
TW201026957A (en) Bellows plungers having one or more helically extending features, pumps including such bellows plungers and related methods
KR100958888B1 (ko) 이송 피스톤 펌프
CA2574324A1 (en) Plunger pump with atmospheric bellows
CN110454349A (zh) 一种高压柱塞式液压泵的柱塞部件
DE102012206445A1 (de) Werkzeugmaschine
CN207315587U (zh) 一种往复式连续泥浆泵
KR20170070153A (ko) 유체 제품들을 위한 양변위 펌프 및 펌핑 그룹 및 그의 사용을 위한 방법
KR20110094815A (ko) 흡입밸브와 토출밸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런저 펌프
TWI660124B (zh) 用於驅動灌洗系統的抽真空馬達
CN104675682B (zh) 一种容积泵装置
JP4335543B2 (ja) 往復動複列型容積ポンプ
US2507888A (en) Tamping device for semiplastic pumps
US6168398B1 (en) Piston pump having lifting valves with a convex surface
CN1681598A (zh) 物质的微粒化装置
EP3557059B1 (en) Volumetric membrane pump
US20130156621A1 (en) Lance Pump with a Ram
CN103949101B (zh) 一种固液混合物过滤装置
KR200441445Y1 (ko) 왕복동식 슬러지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