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861B1 -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 Google Patents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861B1
KR100957861B1 KR1020090117296A KR20090117296A KR100957861B1 KR 100957861 B1 KR100957861 B1 KR 100957861B1 KR 1020090117296 A KR1020090117296 A KR 1020090117296A KR 20090117296 A KR20090117296 A KR 20090117296A KR 100957861 B1 KR100957861 B1 KR 100957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outlet
waterproof
cover
communica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로
Priority to KR1020090117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6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specially adapted for military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에 관한 것으로, 배낭에 수납된 통신장비의 안테나를 배낭 외부로 인출하는 부분에서 완전 방수를 실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은,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와 개방부가 구비된 낭본체(10)와; 내부에 커버를 통해 개폐되는 인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낭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낭본체에 수납되는 통신장비(1)의 안테나(2)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안테나 인출구(20)와; 신축력과 복원력이 있는 재질이며 상기 안테나 인출구의 내부 또는 상기 낭본체의 원단의 내부와 외부 중 일측 이상에 부착되고 상기 낭본체에 수납된 통신장비(1)의 안테나(2)의 둘레부에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물이 상기 낭본체에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막(30)을 포함한다.
배낭, 군용, 통신장비, 안테나, 방수막

Description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A WATERPROOF PACK HAVING ANTENNA-HOLDER OF WIRELESS TELEGRAPH}
본 발명은 통신장비를 수납하는 군용/작전용 등의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낭 내부에 수납된 통신장비의 안테나를 배낭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안테나 인출구를 통해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 작전시에 특수임무에 따라 수중에서 은밀하게 침투하거나, 도강을 하는 경우 또는 우천시에는 지참하고 있는 통신장비(무전기), 비상식량, 사격기재, 전자장비, 의료기구 등에 물이 침투하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수중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등의 군의 특수작전 중에는 소지하고 있는 물품이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배낭을 무봉재로 제조하고 있다.
한편, 군용/작전용 배낭은 통신장비의 안테나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안테나 인출구(안테나 주입구)가 갖추어진다.
상기 안테나 인출구는 안테나가 인출되는 인출공 및 상기 인출공을 통해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밀폐하는 커버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안테나 인출구는 인출공이 안테나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를 인출하면 상기 인출공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물이 배낭에 침투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통신장비의 안테나 인출구를 통해 물이 침투하므로 배낭의 완전 방수를 실현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낭의 개방부는 별도의 밀봉수단에 의해 밀봉되지 않고 단지 두루마리식으로 감긴 후 덮개에 의해 덮히기 때문에 물이 침투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장비의 안테나를 인출하여도 안테나 인출공을 밀폐하여 물이 배낭에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낭의 완전 방수를 실현할 수 있는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낭의 개방부를 밀봉하여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은,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와 개방부가 구비된 낭본체와; 내부에 커버를 통해 개폐되는 인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낭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낭본체에 수납되는 통신장비의 안테나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안테나 인출구와; 신축력과 복원력이 있는 재질이며 상기 안테나 인출구의 내부 또는 상기 낭본체의 원단의 내부와 외부 중 일측 이상에 부착되고 상기 낭본체에 수납된 통신장비의 안테나의 둘레부에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물이 상기 낭본체에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막에 형성되는 인출공에 끼워져 상기 인출공을 수밀하게 밀폐하는 마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낭본체의 개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는 방수날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에 의하면, 배낭에 통신장비를 수납하고 상기 통신장비의 안테나를 배낭 외부로 인출할 때 방수막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안테나의 둘레부에 밀착되어 안테나의 둘레부를 통해 물이 침투할 수 없으므로 배낭의 완전 방수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배낭의 개방부를 방수날개와 요철형 록커에 의해 밀봉하여 개방부를 통해 물이 침투할 수 없으므로 역시 배낭의 완전 방수를 실현하며, 따라서, 통신장비는 물론 배낭 내부에 수납된 모든 물품을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므로 배낭으로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100)은, 내부에 통신장비(1)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갖는 낭본체(10), 낭본체(10)에 형성되며 낭본체(10)에 수납된 통신장비(1)의 안테나(2)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안테나 인출구(20)를 포함한다.
낭본체(10)는 완전 방수를 위하여 예를 들어 무봉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신장비(1) 등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상부에 개방부가 구비된다.
낭본체(10)의 개방부는 덮개(11)에 의해 개폐된다.
본 발명은 안테나 인출구(20)가 완전 방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안테나 인출구(20)는 모든 배낭에 적용 가능한 것이므로 낭본체(10)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낭본체(10)의 수납부에 수납된 통신장비(1)를 사용하기 위하여 안테나(2)를 낭본체(10)의 외부로 인출하여야 하며, 이때, 안테나(2)를 낭본체(10)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것이 안테나 인출구(20)이다.
안테나 인출구(20)는 낭본체(10)의 수납부에 통신장비(1)를 수납하였을 때는 물론 통신장비(1)를 수납하지 않았을 때에도 물이 낭본체(10)의 수납부에 침투하지 않도록 하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안테나 인출구(20)는 안테나(2)를 인출하기 위하여 내부에 인출공(21a)(낭본체(10)의 인출공(10a)과 연통)을 갖는 인출구 본체(21) 및 본체(21)를 개폐하는 인출구 커버(22)로 구성된다.
안테나 인출구(20)는 안테나(2)가 인출되도록 함은 물론 방수막(30)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방수막 홀더라 할 수도 있다.
안테나 인출구(20)는 낭본체(10)의 원단에 인출공을 직접 형성할 경우 낭본체(10)의 원단이 찢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인출구 본체(21)는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낭본체(10)와의 결속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외향 플랜지가 형성될 수도 있고 고주파/초음파 융착 등에 의해 낭본체(10)에 고정된다.
인출구 커버(22)는 인출구 본체(21)의 인출공(21a)을 개폐하는 것으로, 안테나(2)를 인출하지 않을 때에는 인출공(21a)을 폐쇄하고 안테나(2)를 인출할 때에는 인출공(21a)을 개방한다.
인출구 커버(22)는 인출공(21a)을 개방할 때 별도로 보관하지 않도록 연결띠(23)로 연결될 수 있다. 인출구 커버(22)는 인출구 본체(21)의 인출공(21a)에 끼워지거나 인출구 본체(21)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인출공(21a)을 폐쇄할 수 있고, 다르게는 인출구 본체(21)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인출공(21a)을 폐쇄할 수도 있다.
도 4와 도 5에서 인출구 커버(22)가 연결띠(23)를 매개로 하여 인출구 본체(21)에 연결되는 경우 인출공(21a)을 개방하기 위하여 인출구 커버(22)를 잡아당기기 때문에 연결띠(23)에 응력이 가해지며, 이 응력에 의해 연결띠(23)가 끊어지거나 찢어질 수 있다. 이처럼 연결띠(23)가 파손되면 안테나 인출구(20) 전체를 교체하여야 할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연결띠(23)의 둘레부에 보강원단(24)을 감을 수 있다.
보강원단(24)은 인장력이 큰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낭본체(10)와 동일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보강원단(24)은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을 보강하는 것이므로 연결띠(23)와 인출구 본체(21)가 연결되는 부분에서부터 연결띠(23)와 인출구 커버(22)가 연결되는 부분까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 인출구(20)는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출공(21a)은 안테나(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안테나(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인출구 커버(22)에 의해 인출공(21a)이 폐쇄되기 때문에 방수가 가능하지만, 안테나(2)를 사용할 때에는 인출공(21a)의 많은 부분이 개방 상태이기 때문에 물이 낭본체(10) 내부에 침투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안테나(2)를 사용할 때에도 물이 안테나 인출구(20)를 통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막(30)을 갖는다.
방수막(30)은 안테나(2)의 둘레부에 밀착되어 물의 침투를 막는 것으로, 신축력 및 복원력이 뛰어난 소재,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방 수막(30)은 낭본체(1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도록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소재로 할 수도 있다.
방수막(30)은 판재의 형태이며 두께는 중요하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방수막(30)의 신축력 및 복원력에 따라 두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방수막(30)은 낭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중 어느 일측에만 적용될 수도 있고 낭본체(10)의 내부와 외부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
방수막(30)은 안테나(2)가 인출될 수 있는 구멍이 없는 상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는 안테나(2)를 강제로 방수막(2)을 관통시키면 방수막(2)이 찢어지면서 안테나(2)가 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방수막(30)에 안테나(2)를 관통시켜 인출하면 구멍이 자연적으로 발생되며, 이후에는 상기 구멍을 통해 안테나(2)를 인출할 수 있다.
다르게는 방수막(30)에 인출공(31)을 형성할 수 있다. 인출공(31)은 안테나(2)의 둘레부에 밀착되도록 안테나(2)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막(30)에 인출공(31)을 기계적으로 형성한다면 인출공(31)이 변형되지 않을 것이므로 오랜 시간 사용하여도 방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방수막(30)은 안테나 인출구(20)에 고정되어 일체화될 수도 있다.
방수막(30)의 인출공(31)을 통해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즉 방수능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인출공(31)을 개폐하는 마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상기 마개의 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마개(32)는 인출공(31)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인출공(31)에 꽂혀 인출공(31)을 폐쇄한다.
마개(32)는 마개끈(33)을 통해 안테나 인출구(20)에 고정될 수 있다. 마개끈(33)은 후술하는 고정원단(40)의 안쪽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안테나 인출구(20)의 인출구 본체(21)에는 마개 수납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개 수납부(25)는 마개(32)가 끼워지는 통 구조일 수 있다.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마개(26)는 인출구 커버(2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개(26)는 인출구 커버(22)가 닫힌 상태에서 방수막(30)의 인출공(31)에 끼워져 인출공(31)을 폐쇄하고 인출구 커버(22)가 열리면 자동적으로 인출공(31)을 개방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테이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테이프는 방수막(30)에 부착되어 인출공(31)을 폐쇄한다.
안테나 인출구(20)와 방수막(30)의 고정 등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원단(40)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원단(40)은 내부에 홀이 있는 링형상이며 낭본체(10)와 동일한 원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막(30)이 낭본체(10)의 내부와 외부 모두에 적용되는 경우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낭본체(10)의 밑면(내부)과 상면(외부)에 각각 방수막(30)이 배치되 고 방수막(30)의 바깥쪽으로 각각 고정원단(40)이 적층된다. 안테나 인출구(20)는 외부쪽의 고정원단(40)과 외부측 방수막(30)의 사이에 개재된다.
고정원단(40)은 각각 낭본체(10)에 고주파 융착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은 안테나(2)가 인출되는 부분을 완전 방수함과 더불어 낭본체(10)의 개방부도 완전 방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낭본체(10)의 개방부에는 방수날개(12)가 형성된다.
방수날개(12)는 낭본체(10)와 동일 내지 방수가 탁월한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낭본체(10)의 내부에 고주파/초음파 융착 등으로 고정된다.
방수날개(12)는 평상시에 낭본체(10) 내부에 수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배낭(100)의 사용시에는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낭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되어 낭본체(10)에 고정되지 않은 다른 쪽을 덮는다.
낭본체(10)는 개방부를 두루마리 형태로 말은 후 덮개(11)를 덮는 것이며, 방수날개(12)가 개방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개방부를 방수할 수 있다.
도 11은 낭본체(10)의 개방부의 방수구조를 보인 다른 예로서, 개방부의 양측에 요철형 록커(13,14)가 형성된다.
요철형 록커(13,14)는 각각 띠형태로 형성되어 낭본체(10)의 개방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고주파 융착 등으로 고정되며, 낭본체(10)의 개방부를 폐쇄할 때 끼움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낭본체(10)의 개방부를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방수막(30)을 안테나 인출구(20)와 별개의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방수막(30)은 안테나 인출구(2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안테나 인출구(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인출구 커버(22)가 인출구 본체(21)에 결합되어 방수막(30)을 밀폐하므로 수중 작전은 물론 우천시 물이 배낭(100) 내부에 침투하지 못한다.
배낭(100)에 통신장비(1)를 수납하고 작전이나 훈련시 통신장비(1)를 사용하기 위하여 안테나(2)를 배낭(100) 외부로 인출하여야 할 경우 인출구 커버(22)를 인출구 본체(21)에서 제거하여 방수막(30)을 개방한다.
이렇게 되면 방수막(30)의 인출공(31)이 개방된다. 마개(32)가 적용된 경우 마개(32)를 빼내어 인출공(31)을 개방한다. 인출구 커버(22)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마개(26)의 경우 인출구 커버(22)가 닫혀 있으면 마개(26)가 인출공(26)에 끼워져 인출공(31)을 밀봉하며 인출구 커버(22)를 열면 마개(26)가 자연적으로 인출공(31)에서 빠지게 된다.
안테나(2)를 방수막(30)의 인출공(31)에 맞춰 외부로 인출하면 방수막(30)이 탄성변형하면서 안테나(2)의 둘레부에 밀착된다. 따라서, 안테나(2)가 배낭(100)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도 방수막(30)이 물이 침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수중 작전 중에도 물에 의한 통신장비(1)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안테나(2)는 방수막(30)의 인출공(31)과 낭본체(10)의 덮개(11)를 관통하여 배낭(100)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방수날개(12) 또는 요철형 록커(13,14)가 적용된 경우 개방부를 폐쇄한 후 1회 이상으로 두루마리식으로 말아 밀봉하여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통신장비(1)의 사용이 종료되어 안테나(2)를 방수막(30)에서 빼내면 방수막(30)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마개(32)가 적용된 경우 마개(32)를 인출공(31)에 꽂아 인출공(31)을 밀폐한다. 마개(32)는 인출공(31)의 단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인출공(31)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고 방수막(30)은 탄성 변형된다.
인출구 커버(22) 일체형의 마개(26)가 적용된 경우 인출구 커버(22)를 닫으면 마개(26)가 인출공(31)에 끼워진다. 마개(26)도 인출공(31)보다 큰 단면적이기 때문에 인출공(31)을 효과적으로 수밀하게 막을 수 있고, 아울러, 인출구 커버(22)가 인출구 본체(21)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인출구 커버(22)를 닫아 방수막(30) 및 인출공(31)을 폐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의 덮개가 열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의 덮개가 덮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에 적용된 안테나 인출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에 적용된 안테나 인출구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에 적용된 안테나 인출구의 다른 예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에 적용된 마개의 예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에 적용된 방수 날개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에 적용된 록커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통신장비, 2 : 안테나
10 : 낭본체, 11 : 덮개
12 : 방수 날개, 13,14 : 요철형 록커
20 : 안테나 인출구, 21 : 인출구 본체
22: 인출구 커버, 23 : 연결띠
24 : 보강원단, 25 : 마개 수납부
30 : 방수막, 31 : 인출공
32 : 마개,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와 개방부가 구비된 낭본체(10)와;
    내부에 커버를 통해 개폐되는 인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낭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낭본체에 수납되는 통신장비(1)의 안테나(2)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안테나 인출구(20)와;
    신축력과 복원력이 있는 재질이며 상기 안테나 인출구의 내부 또는 상기 낭본체의 원단의 내부와 외부 중 일측 이상에 부착되고 상기 낭본체에 수납된 통신장비(1)의 안테나(2)의 둘레부에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물이 상기 낭본체에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막(30)과;
    상기 방수막에 형성된 인출공(21)을 수밀하게 밀폐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32)는 상기 방수막에 형성되는 인출공(31)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방수막의 인출공에 끼워지며 마개끈(33)을 통해 낭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4. 삭제
  5.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와 개방부가 구비된 낭본체(10)와;
    내부에 커버를 통해 개폐되는 인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낭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낭본체에 수납되는 통신장비(1)의 안테나(2)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안테나 인출구(20)와;
    신축력과 복원력이 있는 재질이며 상기 안테나 인출구의 내부 또는 상기 낭본체의 원단의 내부와 외부 중 일측 이상에 부착되고 상기 낭본체에 수납된 통신장비(1)의 안테나(2)의 둘레부에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물이 상기 낭본체에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막(30)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막은 상기 낭본체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수막의 외부측에 적층되면서 상기 낭본체에 부착되는 고정원단(4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7.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와 개방부가 구비된 낭본체(10)와;
    내부에 커버를 통해 개폐되는 인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낭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낭본체에 수납되는 통신장비(1)의 안테나(2)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안테나 인출구(20)와;
    신축력과 복원력이 있는 재질이며 상기 안테나 인출구의 내부 또는 상기 낭본체의 원단의 내부와 외부 중 일측 이상에 부착되고 상기 낭본체에 수납된 통신장비(1)의 안테나(2)의 둘레부에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물이 상기 낭본체에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막(30)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인출구는 내부에 인출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낭본체에 부착되는 인출구 본체(21), 상기 인출구 본체의 저부에 형성된 상기 방수막을 개폐하는 인출구 커버(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 커버는 연결끈(23)에 의해 상기 인출구 본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의 둘레부에 감겨 상기 연결끈과 상기 인출구 본체 및 인출구 커버의 연결부를 보강하는 보강원단(24)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10.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와 개방부가 구비된 낭본체(10)와;
    내부에 커버를 통해 개폐되는 인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낭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낭본체에 수납되는 통신장비(1)의 안테나(2)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안테나 인출구(20)와;
    신축력과 복원력이 있는 재질이며 상기 안테나 인출구의 내부 또는 상기 낭본체의 원단의 내부와 외부 중 일측 이상에 부착되고 상기 낭본체에 수납된 통신장비(1)의 안테나(2)의 둘레부에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물이 상기 낭본체에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막(30)과;
    상기 낭본체의 개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낭본체의 개방부를 방수하는 방수날개(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방수날개는 일측이 상기 낭본체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낭본체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낭본체의 개방부를 폐쇄할 때 타측이 상기 낭본체의 외부로 인출된 후 상기 낭본체의 개방부를 덮어 상기 낭본체의 개방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12.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와 개방부가 구비된 낭본체(10)와;
    내부에 커버를 통해 개폐되는 인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낭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낭본체에 수납되는 통신장비(1)의 안테나(2)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안테나 인출구(20)와;
    신축력과 복원력이 있는 재질이며 상기 안테나 인출구의 내부 또는 상기 낭본체의 원단의 내부와 외부 중 일측 이상에 부착되고 상기 낭본체에 수납된 통신장비(1)의 안테나(2)의 둘레부에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물이 상기 낭본체에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막(30)과;
    상기 낭본체의 개방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서로 끼워져 상기 낭본체의 개방부를 수밀하게 밀봉하는 요철형 록커(13,14)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KR1020090117296A 2009-11-30 2009-11-30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KR100957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296A KR100957861B1 (ko) 2009-11-30 2009-11-30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296A KR100957861B1 (ko) 2009-11-30 2009-11-30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861B1 true KR100957861B1 (ko) 2010-05-14

Family

ID=4228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296A KR100957861B1 (ko) 2009-11-30 2009-11-30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8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631Y1 (ko) * 1987-06-29 1990-03-03 이정구 표시램프 안테나와 라디오가 내장된 배낭형 가방
JPH09191916A (ja) * 1996-01-17 1997-07-29 Shigeru Furukawa 携帯用バック及び携帯音響電子機器用保持具
JP2000014425A (ja) * 1998-06-29 2000-01-18 Nagano Japan Radio Co 電子機器収納用バッグ
JP2001016018A (ja) * 1999-07-02 2001-01-19 Iwatsu Electric Co Ltd 無線装置のアンテナ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631Y1 (ko) * 1987-06-29 1990-03-03 이정구 표시램프 안테나와 라디오가 내장된 배낭형 가방
JPH09191916A (ja) * 1996-01-17 1997-07-29 Shigeru Furukawa 携帯用バック及び携帯音響電子機器用保持具
JP2000014425A (ja) * 1998-06-29 2000-01-18 Nagano Japan Radio Co 電子機器収納用バッグ
JP2001016018A (ja) * 1999-07-02 2001-01-19 Iwatsu Electric Co Ltd 無線装置のアンテナ取付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535B1 (ko) 밀폐케이스
JP6326145B2 (ja) パフ内蔵型化粧用パウダー容器
JP2000125916A (ja) 携帯用電話機などの収納用防水ケ―ス
KR100957861B1 (ko) 완전 방수형 통신장비 안테나 인출구를 갖는 배낭
US20200060403A1 (en) Portable Solar USB Charger Storage Locker
KR20080038108A (ko) 휴대기기용 방수팩
KR20120025345A (ko) 초크 백
KR200487609Y1 (ko) Usb충전단자를 내장한 가방
JP2000072160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
KR200354962Y1 (ko) 휴대폰 방수케이스
KR200314774Y1 (ko) 방수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함.
KR200194785Y1 (ko) 휴대폰 방수케이스
KR100378761B1 (ko) 휴대용 방수팩
CN210986380U (zh) 一种无线耳机收纳盒
KR920005573Y1 (ko) 비치용 백
KR200344476Y1 (ko) 휴대폰 케이스
CN215400466U (zh) 一种塑料密封盖及包含其的塑料密封罐
JPH05166501A (ja) コイン形電池の防水収納装置
KR200173353Y1 (ko) 고무·비닐봉지 출입구 마개 장치
KR100398671B1 (ko) 고무·비닐봉지 출입구 마개 장치
CN218010375U (zh) 智能电子药盒
CN210407458U (zh) 容纳包
CN218086882U (zh) 一种包装装置
CN216453841U (zh) 应急物资气密防水袋
KR100462273B1 (ko) 휴대폰 방수 커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