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012B1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012B1
KR100957012B1 KR1020030041862A KR20030041862A KR100957012B1 KR 100957012 B1 KR100957012 B1 KR 100957012B1 KR 1020030041862 A KR1020030041862 A KR 1020030041862A KR 20030041862 A KR20030041862 A KR 20030041862A KR 100957012 B1 KR100957012 B1 KR 100957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mitting device
portable wireless
wireless termina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619A (ko
Inventor
송인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01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드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와, 상기 광원 소자의 광을 도파시키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프레임의 일부로 설치되는 광도파 프레임 및 상기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광원 소자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모듈을 단말기 내부 회로에 설치하고 발광장치의 제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화 해서 이벤트에 따라 네온 사인, 폭죽과 같이 다양한 발광 형태를 띄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의 기능적 동작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심미적 기능을 부가하여 외관이 미려해진다.
휴대용 무선단말기, 발광장치, LED, 광도파로, 발광방식 제어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EMITTING DEVICE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모듈 및 MSM(메인 칩셋)을 나타낸 블럭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본체 120: 폴더
130, 170: 디스플레이 장치 111, 121, 131, 171: 발광장치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호 착신시 또는 그밖의 기타 멀티미디어 컨텐츠 실행 경우에 단말기의 적소에 발광기능을 동작시켜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사용자에게 단말기의 기능적 요소를 부각시키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점차 보급화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경박 단소화되어감과 동시에 그 기능의 다양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기능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면서 단말기의 부피를 최대한으로 줄여야 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한편, 기능의 다양성을 극대화시키면서 경박단소화 되어 가는 단말기는 점점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도모하게 되는데, 단말기 제조자들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은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메인 바디인 본체와, 상기 본체상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 바디인 폴더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를 축운동 시켜 주는 힌지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상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엘씨디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엘씨디 모듈의 상측에는 이어 피스로 스피커 장치가 설치된다.
본체상에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다수의 키버튼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의 하측에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각 키버튼 어셈블리와 단말기의 외부 적소(특히 힌지 축부분)에는 소정의 LED를 구비하도록 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자가 원활히 단말기를 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키버튼 어셈블리 및 단말기의 외부에 간단히 설치되는 LED는 사용자가 단순히 키버튼을 누르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단순한 기능적 요소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휴대폰 무선 기술의 발달로 데이타 통신이 증가하고 통화 이외의 개인 멀티미디어 매체로서 휴대폰이 대신하는 시점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적인 느낌을 갖도록 하는데는 역부족이었다. 또한, 호 착신시 무음 기능일경우 단말기 외부의 적소에 설치된 비교적 작은 LED만이 발광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이 신호를 놓치는 경우가 다반사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호착신시,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와 같은 기타 기능이 수행될 때,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적인 기능을 갖도록 발광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의 기능적 동작을 손쉽게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드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와, 상기 광원 소자의 광을 도파시키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프레임의 일부로 설치되는 광도파 프레임 및 상기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광원 소자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는 단말기 본체의 보드에 전기적으로 다수의 광원 소자를 MSM 혹은 여타 메인 칩셋의 입출력(GPIO)포트와 연결된 스위치에 연결하고, 소프트웨어로 제어되는 스위치 출력 포트의 전압값 및 주기에 따라 불빛이 흐르듯이 다채롭게 발광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상기 광원 소자와 상응하는 위치의 단말기 테두리에 설치되는 아크릴 재질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그것을 구성하기 위한 스위치 모듈의 제어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타입의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타입의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모듈 및 MSM(메인 칩셋)을 나타낸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타입의 단말기(100)는 메인 바디인 본체(110)와, 상 기 본체(110)에서 일정 각도(예를 들어 약 135°~ 145°의 각도범위)로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서브 바디인 폴더(folder)(120)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120)는 도 1의 축 A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소정의 힌지수단(미도시 됨)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폴더(120)의 전면상에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소정의 엘씨디 모듈(컬러 엘씨디 모듈 포함)이 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TSP(Touch Screen Panel) 방식의 컬러 와이드 엘씨디 모듈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상부에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수화부인 스피커폰 장치(160)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10)상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와 접하는 면상에는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키패드 어셈블리(140)가 설치된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4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데이터를 입력시키거나 각종 다양한 기능,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기능, 을 사용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안테나 장치(17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40)의 하측에는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송화부인 마이크로폰 장치(150)가 설치된다.
그후,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가 본체의 테두리와 폴더의 테두리상에 설치된다. 상기 테두리(111, 121, 13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아크릴 재질로 설치될 수 있으며, 여타 광 도파로 기능을 갖는 다른 재질의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아크릴 프레임(131)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역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도시되었으나, 본체의 RF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광원 소자가 상기 아크릴 프레임과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 소자는 유기 EL, 또는 멀티 컬러 LED일 수 있으며, 여타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본체의 제어부는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원소자를 단말기의 기능에 따라 동작시키므로써, 상기 광원소자의 광을 아크릴 재질의 프레임에 도파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경우, 광원 소자와 본체와 폴더의 테두리 및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설치된 프레임이 직접 접촉되어 있으나, 거리가 있을 경우 별도의 광도파 물질(예를 들면 광섬유)를 개제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더(120)의 외관 테두리(121)까지 연장시켜 발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더(120)의 외면에 설치된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170)의 주변에 역시 발광장치(171)를 설치할 수 있다.
역시 기능적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상술한 발광장치(111, 121, 131, 171)를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로 컨트롤하여 다양하게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컨트롤에 따라 다양한 발광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발광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Clock, Data1, Data2의 GPIO 포트가 3개 쓰일 수 있다. 도 3에서 예를 들어 Clock의 주파수가 1KHz라고 하면 1cycle의 주기는 12ms가 된다. 즉 12ms 주기로 도 3에서 예로 나타낸 4개의 LED의 점멸 및 발광색이 결정되며 계속적인 cycle의 반복으로 각 LED의 상태가 컨트롤 된다. Data2로 표시된 LED data는 LED의 on, off상태를 결정하며 DATA1로 표시된 RGB data는 순차적으로 Red, Green, Blue상태를 결정한다. LED1에서는 LED data, RGB data가 모두 있으 므로 백색으로 발광할 것이고 LED4에서는 Red와 Blue data만 있으므로 보라색으로 발광할 것이다. 이헌 상태를 cycle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단말기 상태에 따른 여러가지 발광형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물론 LED의 갯수 및 구동시키는 방법에 따라 1cycle의 주기가 달라진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의 기능적 동작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심미적 기능을 부가하여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드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
    상기 광원 소자의 광을 도파시키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테두리를 따라 내면과 외면을 함께 공유하도록 상기 단말기의 프레임의 일부로 설치되는 광도파 프레임; 및
    상기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광원 소자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 프레임은 아크릴 재질로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소자는 유기 EL, 멀티 컬러 LED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소자는 단말기의 제어부 또는 여타 메인 칩셋의 입출력(GPIO) 포트와 연결된 스위치 모듈로 제어되는 출력 포트의 전압 및 주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발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폴더형, 스틱형, 플립형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 장치.
KR1020030041862A 2003-06-26 2003-06-26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 KR100957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862A KR100957012B1 (ko) 2003-06-26 2003-06-26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862A KR100957012B1 (ko) 2003-06-26 2003-06-26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619A KR20050001619A (ko) 2005-01-07
KR100957012B1 true KR100957012B1 (ko) 2010-05-13

Family

ID=3721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862A KR100957012B1 (ko) 2003-06-26 2003-06-26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122A (ko) * 2011-11-28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827B1 (ko) * 2005-08-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719A (ja) * 1999-04-12 2000-10-24 Nichinan:Kk 携帯電話機
KR100315676B1 (ko) * 1999-11-30 2001-11-29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착신램프 장치
KR20030024767A (ko) * 2003-03-07 2003-03-26 김성수 조명램프를 갖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719A (ja) * 1999-04-12 2000-10-24 Nichinan:Kk 携帯電話機
KR100315676B1 (ko) * 1999-11-30 2001-11-29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착신램프 장치
KR20030024767A (ko) * 2003-03-07 2003-03-26 김성수 조명램프를 갖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122A (ko) * 2011-11-28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940487B1 (ko) * 2011-11-28 2019-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619A (ko) 200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9802B2 (ja) 電子機器
JP2003125061A (ja) 携帯端末
KR20050026741A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장치
US7193620B2 (en) Wireless device lighting system
JP2001217904A (ja) 点灯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0957012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발광장치
JP2005084620A (ja) イルミネーション構造、該構造で用いられる光拡散板、電子機器及び発光制御方法
JP2006261721A (ja) 携帯通信端末
US20050163310A1 (en) Communication device keypad illumination
KR2006010425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EP1608132A1 (en) Collapsi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5186755B2 (ja) 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06908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광장치
KR200276038Y1 (ko) 이동전화단말기의 발광표시장치
JP4615216B2 (ja) 照明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搭載装置
KR100800830B1 (ko)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착신램프장치
KR2007004707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61910B1 (ko) 휴대 단말기
JP2008009526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3374790B2 (ja) 携帯型電話装置
KR20040012101A (ko) 총 천연색 버튼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01189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20110011060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JP3935679B2 (ja) 携帯通信端末装置
JP2007151005A (ja) 携帯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