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917B1 -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door device for elevator equipped therewith - Google Patents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door device for elevator equipped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917B1
KR100956917B1 KR1020080039364A KR20080039364A KR100956917B1 KR 100956917 B1 KR100956917 B1 KR 100956917B1 KR 1020080039364 A KR1020080039364 A KR 1020080039364A KR 20080039364 A KR20080039364 A KR 20080039364A KR 100956917 B1 KR100956917 B1 KR 100956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plate
elevator
hanger plat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3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13568A (en
Inventor
황우성
Original Assignee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9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917B1/en
Priority to CN2009801148287A priority patent/CN102015509B/en
Priority to PCT/KR2009/002201 priority patent/WO2009134045A2/en
Priority to JP2011504937A priority patent/JP5241913B2/en
Priority to EP09738951.4A priority patent/EP2269934B1/en
Publication of KR2009011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5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롤러가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는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엠보싱부는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플레이트 소재의 재질을 변경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행거 플레이트의 일부나 전체의 강성을 목적하는 수준에 맞게 증가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 도어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evator door device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elevator doorway and has a hanger case having a hanger rail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and a roller that is driven on the hanger rail is connected, and the roller corresponds to the electric drive on the hanger rail. Hanger plate to move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way, and an elevator door coupled to the hanger plate to open and close the elevator doorway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Here, the first embossed portion protruded forward or recessed rearwardly is formed in the hang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embossed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Accordingly,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rigidity of a part or the entire hanger plate to a desired level without changing the material o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hanger plate material, so that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Even i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hanger plate.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DOOR DEVICE FOR ELEVATOR EQUIPPED THEREWITH}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DOOR DEVICE FOR ELEVATOR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행거 플레이트의 강성을 증대시켜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hanger plate and an elevator do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hanger plat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hanger plate, and including the same. It relates to an elevator door device.

종래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과 관련된 안전 기준이 미흡한 실정이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EN(유럽표준) 기준의 경우 30㎏의 하중을 정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하여 도어의 변형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실제 충돌 상황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성을 충분히 담보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related art, safety standards related to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due to external impact have been insuffici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EN (European Standard) standard, a method of checking whether the door is deformed by applying a load of 30 kg to the elevator door statically is used.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does not adequately reflect the actual crash situation, it does not sufficiently secure the safety of the elevator door.

이에 따라, 최근 개최된 승강기안전분야 국제표준화회의(ISO/TC178)에서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강도와 시험방법"과 관련하여 실제 충돌 상황과 가장 유사하게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에너지를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하는 방법을 병행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가 그 안정성을 확인 받기 위해서는 엘리베 이터 도어에 450[J]의 에너지(2명의 중학생(120㎏)이 시속 약 10㎞로 돌진하여 부딪히는 경우의 에너지)가 가해지더라도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Accordingly, the recen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vator Safety (ISO / TC178), which is concerned with the "departure strength and test method" of elevator doors, applies the kinetic energy of moving objects to elevator doors most similar to the actual collision situation. It was agreed to go along. Accordingly, in order to confirm the stability of the elevator door, the elevator door is separated even if energy of 450 [J] (energy of two junior high school students (120 kg) rushing at about 10 km / hour)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Should not be.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경우 상기와 같은 에너지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면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가 쉽게 이탈된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door apparatus, when the above energy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vator door is easily released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hanger plate.

도 9는 일정한 힘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질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의 휘어짐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elevator door device for explaining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due to the bending of the hanger plate that may occur when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도 9를 참조하여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도어(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등이 설치되는 행거 케이스(10)가 구비된다. 상기 행거 케이스(10)에는 구동 장치 외에도 엘리베이터 도어(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행거 레일(12)이 구비된다. 상기 행거 레일(12) 상에는 행거 레일(12)을 따라 전동(轉動)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롤러(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롤러(22)는 엘리베이터 도어(30)와 결합되는 행거 플레이트(2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엘리베이터 도어(30)는 행거 플레이트(20)에 의해 행거 케이스(10)의 행거 레일(12)과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A conventional elevator door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entrance and exit is provided with a hanger case 10 in which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elevator door 30 is installed. The hanger case 10 is provided with a hanger rail 1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door 30 in addition to the driving device. On the hanger rail 12, there is provided a roller 22 which moves along the hanger rail 12 and moves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entrance and exit. This roller 22 is connected to the hanger plate 20 which is coupled with the elevator door 30. Throug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door 30 may be connected to the hanger rail 12 of the hanger case 10 by the hanger plate 20 so as to move left and right.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30)의 상부는 행거 플레이트(20)를 매개로 행거 케이스(10)에 의해 지지되고, 엘리베이터 도어(30)의 하부는 도어 슈(door shoe)(32)를 매개로 가이드 레일(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30)는 안정적으로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door 30 is supported by the hanger case 10 through the hanger plate 20, and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door 30 is guided through the door shoe 32. By being supported by the rail 40, the elevator door 30 can stably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그러나, 종래의 행거 플레이트(20)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의 금속 플레이트를 단순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그 강성이 매우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30)에 일정한 힘(F)이 수직하게 작용하면 행거 플레이트(20)의 일정 부분에 휘어짐이 발생하여(도 9의 A 및 B 참조) 엘리베이터 도어(30)가 가이드 레일(4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anger plate 20 is manufactured by a method of simply bending a flat metal plate having a thin thickness, its rigidity is very weak.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when a constant force F acts vertically on the elevator door 30, bending occurs in a portion of the hanger plate 20 (see FIGS. 9A and 9B). 30 may be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4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 발생을 억제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deformation of the hanger plate even if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hanger for elevators that can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It is to provide a plate and an elevator door device.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롤러가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는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엠보싱부는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door devic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elevator door and hanger case having a hanger rail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the transmission on the hanger rail A hanger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roller and which the roller moves on the hanger rail, and moves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entrance, and an elevator door which is coupled to the hanger plate and opens and closes the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Include. Here, the hanger plat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embossing portion projecting forward or recessed rearward, the first embossing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1 엠보싱부가 형성된 행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수직 방향의 힘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것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즉, 행거 플 레이트에 제1 엠보싱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행거 플레이트가 상기와 같이 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에 수직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가 상방으로 휘어지지 않아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Since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ger plate on which the first embossing portion is formed, the hanger pla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upward even if a vertical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hat is, since the first embossing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hanger plate, the rigidity of the hanger plate which can suppress the hanger plate from being bent as described above can be ensured, and thus the hanger is applied even if a vertical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Since the plate does not bend upward,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can be prevented.

또한, 이러한 이탈 방지는 제1 엠보싱부가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술하면, 행거 플레이트에 힘이 가해질 경우 행거 플레이트가 롤러와 연결되는 지점 즉,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제일 먼저 휘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에는 제1 엠보싱부가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행거 플레이트의 강도적 취약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엠보싱부는 행거 플레이트와 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좌우 1쌍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is separation prevention is more effective because the first embossed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In detail,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ger plate, bending may occur first at a point at which the hanger plate is connected to the roller, that is,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However, since the first embossed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inforce the strength vulnerability of the hanger plate. One pair of left and right may be formed around the connecting shaft connecting the first embossing part to the hanger plate and the roller.

한편, 엘리베이터 도어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보다 좌우로 이격된 지점에서 엘리베이터 도어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2 엠보싱부로 인해 행거 플레이트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에는 상기와 같은 행거 플레이트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2 엠보싱부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엠보싱부는 행거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hanger plate twisting due to the second embossing part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at a point spaced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line half divided between the width direction both ends of the elevator door. That is, in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embossed portion protruded forward or recessed backward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revent the twist of the hanger plate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second emboss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a center line that is half divided between the width direction both ends of the hanger plate.

또한, 상기 행거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 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연결부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ger plat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plate and a connecting plate formed by bending vertically from one end of the base plate, and connecting the base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to prevent the connecting plate from folding toward the base plate.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third embossed portion projecting inwardly. Accordingly,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nding upward.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롤러가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에는 행거 플레이트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며, 상기 절곡부는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door apparatus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doorway, the hanger case having a hanger rail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and the rollers rolling on the hanger rail are connected. And a roller coupled to the hanger plate and the hanger plate moving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box on the hanger rail, and an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elevator doorway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Her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is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that is bent forward or rearward from the hanger plate, the bent portion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ass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do.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행거 케이스와, 행거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를 통해 연결하며,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되 롤러의 중 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엠보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vator hanger plate is provided with a hanger rail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doorway, and is guided by the hanger rail to the elevator doorway. The elevator door, which moves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 is connected via a roller that runs on the hanger rail, and protrudes forward or recesses backward, but passes through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It may include a first embossed portion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1 내지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된 행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행거 플레이트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 도어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elevator hanger plate and the elevator do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hanger plate having first to third embossed portions, the rigidity of the hanger plate can be increased, so that even if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he hanger plate is de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플레이트 소재의 재질을 변경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강성 증가를 위해 별도의 플레이트를 용접 등의 공정으로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으면서도, 손쉽고 저렴하게 행거 플레이트의 일부나 전체의 강성을 목적하는 수준에 맞게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or hanger plate and elevator do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change the material or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of the hanger plate, it is necessary to couple the separate plate to the hanger plate by a process such as welding to increase the rigidity. Without this, it is easy and inexpensive to increase the rigidity of part or the entire hanger plate to the desired level.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the same numbers in this description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other drawings under the above-mentioned rules, and the contents which are judged to be obvious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can be omitted.

실시예Example 1 One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nd FIG. 2 is a side view of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케이스(110), 행거 플레이트(120) 및 엘리베이터 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ger case 110, a hanger plate 120 and the elevator door 130.

엘리베이터 승장측 또는 엘리베이터 칸측 출입구(이하에서는 둘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로 기재한다)의 상부에는 행거 케이스(110)가 설치된다. 상기 행거 케이스(110)에는 엘리베이터 승장측 또는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이하에서는 둘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도어'로 기재한다)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160)와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폭 방향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행거 레일(112)이 구비된다. The hanger case 110 is provided above the elevator boarding side or the car side entr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levator entrance and exit'). The hanger case 110 has a width of an elevator device 130 and an elevator door 130 that provide a driving force for opening and closing an elevator boarding side or a car side do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vator door' including two). A hanger rail 112 is provided to guide the lateral movement in the direction.

상기 구동 장치(160)는 일반적으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 상기 구동 장치 본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에 감겨져 상기 구동 풀리의 회전에 의해 주회(周回) 운동하는 무단상(無端狀)의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의 주회 운동에 따라 상기 벨트에 연결된 행거 플레이트(12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행거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50)를 개폐할 수 있다.The drive unit 160 is generally wound around a drive unit body including a motor, a rotating shaft rotating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body, a driving pulley fixed 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shaft, and the driving pulley.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endless belt which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said drive pulley. The hanger plate 120 connected to the belt may move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150 according to the circumferential movement of the belt. Accordingly, the elevator door 130 coupled to the hanger plate 120 may be an elevator doorway. 150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행거 레일(112)은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행거 플레이트(120)에 연결된 롤러(122)의 이동을 안내하고, 엘리베이터 도어(130)가 결합된 행거 플레이트(120)를 롤러(122)를 매개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행거 레일은 행거 케이스와 별도로 제작되어 행거 케이스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행거 케이스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행거 케이스(110)와 일체로 제작된 행거 레일(112)이 예시되고 있다. The hanger rail 112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15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ller 122 connected to the hanger plate 120, and the hanger plate 120 to which the elevator door 130 is coupled. It serves to support the roller 122. Such a hanger rail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hanger case and coupled to the hanger case, or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hanger case. In this embodiment, the hanger rail 112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hanger case 110 is illustrated.

한편, 상기 행거 플레이트(120)는 엘리베이터 도어(130)와 행거 케이스(110)의 행거 레일(112)을 롤러(122)를 매개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구동 장치(160)에 의한 구동력을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구동 장치 본체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은 주회 운동하는 벨트에 의해 행거 플레이트(120)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상기 행거 플레이트(1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50)를 개폐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anger plate 120 not only connects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hanger rail 112 of the hanger case 110 via the roller 122, but also drives the driving force by the driving device 160 to the elevator door 130. It serves as a). That is,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unit main body moves the hanger plate 120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belt moving around, and the elevator door 130 coupled to the hanger plate 120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120. ) May open and close the elevator door 150.

또한,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좌우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정해진 경로 상에서 행거 플레이트(12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행거 레일(112)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12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22)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 상부에 2개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he hanger plat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roller 122 for rolling on the hanger rail 112 in order to facilitat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120 and to allow the hanger plate 120 to stably move on a predetermined path. Can be. Two such rollers 122 are gener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hanger plate 120 based on a center line that is di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상부는 행거 플레이트(120)를 매개로 행거 케이스(110)에 의해 지지되고,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하부는 도어 슈(door shoe)(132)를 매개로 가이드 레일(1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130)는 안정적으로 엘리베이터 출입구(150)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door 130 is supported by the hanger case 110 through the hanger plate 120, and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door 130 is guided through the door shoe 132. By being supported by the rail 140, the elevator door 130 can stably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150.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hanger plate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4 is a plan view of FIG. 3, and FIG. 5 is a side view of FIG. 3.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124)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엠보싱부(124)는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L)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세로 방향'이라 함은 행거 플레이트(120)의 길이 방향 즉, 도 3의 행거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을 의미하며, '가로 방향' 또는 '폭 방향'이라 함은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즉, 도 3의 행거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을 의미하다.3 to 5, the first embossing part 124 recessed to the rear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anger plate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first embossing portion 124 is preferably formed to pass through the line (L)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For reference, the term “vertical direc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120, that is, a vertical direction in the hanger plate of FIG. 3, and the term “horizontal direction” or “width direction” is a hanger. It means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120, ie,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anger plate of FIG.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도어(130)의 상단에 결합된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그 하단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부는 롤러(122)의 중심에 구비된 연결축(123)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힘이 작용할 경우 통상 상기 연결축(123) 부근에서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객의 부주의 또는 사고 등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 통상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부 양측에 연결된 롤 러(12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L)을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이 발생한다. When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30 at the front or the rear, a force applied to the hanger plate 120 coupled to the top of the door 130 at the bottom or the front or rear thereof is applied.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hanger plate 120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shaft 123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oller 122, when the above-mentioned force is applied, the hanger plate 120 is usually near the connecting shaft 123. Warping occurs. Therefore, when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30 due to carelessness or an accident of an elevator passenger, the hanger plate is generally along the line L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roller 122 connected to the upper both sides of the hanger plate 120. Warping of 120 occurs.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제1 엠보싱부(1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휘어짐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즉, 행거 플레이트(120)에서 가장 휘어지기 쉬운 부분 즉, 롤러(122)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L)을 통과하도록 제1 엠보싱부(124)가 형성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플레이트(120)가 상기와 같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이탈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first embossed portion 124 is formed in the hanger plat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 bending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That is, since the first embossing portion 124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line L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most bent portion of the hanger plate 120, that is,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122.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secure the rigidity of the hanger plate 120 which can prevent the hanger plate 120 from being ben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prevent the elevator door 130 from being detached due to the bending of the hanger plate 120 even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30.

이러한 제1 엠보싱부(124)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일부를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 방법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124)가 예시되고 있다.The first embossing part 124 may be formed by pressing a part of the hanger plate 120 by a press or the like, and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hanger plate 120 or to be recessed rearwar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Can be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mbossed portion 124 recessed to the rear is illustrated.

한편,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은 통상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제1 엠보싱부(124)가 폭 방향 중심 부근에 형성될 때보다 행거 플레이트(120)의 양단 부근에 형성될 때가 행거 플레이트(120)의 휘어짐 방지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행거 플레이트(120)의 양단 부근에서 연결되는 롤러(122)의 연결축(123)을 중심으로 제1 엠보싱부(124)가 좌우 1쌍으로 형성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bending of the hanger plate 120 usually start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120, the first embossing portion 124 is closer to both ends of the hanger plate 120 than is formed near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When formed,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bending of the hanger plate 12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mbossing portion 124 is form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around the connecting shaft 123 of the roller 122 connected near both ends of the hanger plate 120.

일반적으로 행거 플레이트(120)의 변형은 상기와 같이 행거 플레이트(120)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경우가 문제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도어(13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보다 좌우로 이격된 지점에서 도어(13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와 같은 휘어짐 외에도 행거 플레이트(120)의 비틀림이 문제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deformation of the hanger plate 120 is a problem when the hanger plate 120 is bent upward as described above. However, when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130 at a point spaced to the left or right from a center line half divided between the widthwise ends of the elevator door 130, the twist of the hanger plate 120 may be problematic in addition to the deflection. .

상기와 같은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제2 엠보싱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엠보싱부(125)도 제1 엠보싱부(124)와 마찬가지로 행거 플레이트(120)의 일부를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 방법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2 엠보싱부(125)가 예시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tors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mbossing part 125 may be formed in the hanger plat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milar to the first embossing portion 124, the second embossing portion 125 may be formed by pressing a part of the hanger plate 120 by a press or the like, an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second embossing portion 125 may move forward of the hanger plate 120.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or to be recessed to the rear.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embossed portion 125 recessed to the rear is illustrated.

한편,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은 롤러(122)의 연결축(123) 등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행거 플레이트(120)에 힘이 가해질 경우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C) 부근에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제2 엠보싱부(125)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C)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1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123 and the like of the roller 122, so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ger plate 1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hanger plate 120 It is common for the torsion to occur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line C which is divided between th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2nd embossing part 125 is formed so that the 2nd embossing part 125 may pass through the center line C which divides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120.

또한, 행거 플레이트(120)의 비틀림은 통상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하 방향 양단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제2 엠보싱부(125)가 상하 방향 중심 부근에 형 성될 때보다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하 방향 양단 부근에 형성될 때가 행거 플레이트(120)의 비틀림 방지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제 2 엠보싱부(125)는 행거 플레이트(120)의 상하 방향의 양단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since the torsion of the hanger plate 120 usually starts at both ends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120, the up and down ends of the hanger plate 120 are formed more than when the second embossing portion 125 is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n formed in the vicinity, the torsion prevention of the hanger plate 120 is effectiv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2nd embossing part 125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both ends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120. FIG.

한편, 행거 플레이트(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제1 및 제2 엠보싱부(124, 125)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8)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8)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129)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12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hanger plate 120 is normally bent vertically from the base plate 128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mbossing portions 124 and 125 are formed and one end of the base plate 128. It may be composed of a connection plate 129 is formed. Accordingly, the hanger plate 120 may have a cross section of an '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행거 플레이트(12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28)와 연결 플레이트(129)의 연결부는 휘어짐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취약함을 보완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에는 제3 엠보싱부(12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hanger plate 12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base plate 128 and the connecting plate 129 is very vulnerable to bending. Therefore, the third embossing part 126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hanger plat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compensate for the above weakness.

이러한 제3 엠보싱부(126)는 베이스 플레이트(128)와 연결 플레이트(129)를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120)는 상기와 같은 제3 엠보싱부(126)로 인해 상기 연결부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third embossing portion 126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base plate 128 and the connecting plate 129. The hanger plat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evented from bending upward by the third embossing part 126 as described abov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제1 내지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된 행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행거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do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ger plate formed with the first to third embossed portion, so that even if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it prevents the elevator door from coming off due to deformation of the hanger plate. can do.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플레이트 소재의 재질을 변경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강성 증가를 위해 별도의 플레이트를 용접 등의 공정으로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으면서도, 손쉽고 저렴하게 행거 플레이트의 일부나 전체의 강성을 목적하는 수준에 맞게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need to change the material or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of the hanger plate, and also does not need to combine a separate plate to the hanger plate by a process such as welding to increase rigidity. It is easy and inexpensive to increase the rigidity of part or all of the hanger plate to the desired level.

실시예Example 2 2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8는 도 6의 측면도이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and FIG. 8 is a side view of FIG. 6. For reference,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는 행거 케이스(110), 행거 플레이트(220) 및 엘리베이터 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와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주된 차이점은 행거 플레이트의 구성에 있으므로,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n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ger case 110, a hanger plate 220, and an elevator door 130. Since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hanger plat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본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220)는 행거 플레이트(220)의 폭 방향 양단에 절곡부(2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부(224)는 행거 플레이트(220)의 폭 방향 양단에서 상기 행거 플레이트(22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 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224)는 롤러(122)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L)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hanger plate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224 i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220. The bent portion 224 is bent to the front or rear of the hanger plate 220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220 is formed. In addition, the bent portion 224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ass through the line (L)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122).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3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 행거 플레이트(220)의 상부 양측에 연결된 롤러(12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L)을 따라 행거 플레이트의 휘어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224)는 제1 실시예의 제1 엠보싱부(124)와 마찬가지로 행거 플레이트(220)에서 가장 휘어지기 쉬운 부분 즉, 롤러(122)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L)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행거 플레이트(22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형성된 절곡부(224)가 예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30, bending of the hanger plate occurs along a line L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rollers 122 connected to both upper sides of the hanger plate 220. Accordingly, the bent portion 224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point most likely to be bent in the hanger plate 220, that is, the center of the roller 122, similarly to the first embossed portion 124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preferably formed to pass through the line (L). In this embodiment, the bent portion 224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hanger plate 220 is illustrated.

상기 절곡부(224)의 두께나 길이 등은 그 두께 등이 증가할수록 변형 방지에 유용하나 여유 공간이나 비용 증가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bent portion 224 may be useful for preventing deformation as the thickness thereof increases,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an increase in free space or cos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2 is a side view of FIG. 1.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FIG. 3.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of FIG. 3.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anger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도 8는 도 6의 측면도이다. 8 is a side view of FIG. 6.

도 9는 일정한 힘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질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의 휘어짐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elevator door device for explaining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due to the bending of the hanger plate that may occur when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행거 케이스 112 : 행거 레일110: hanger case 112: hanger rail

120 : 행거 플레이트 122 : 롤러120: hanger plate 122: roller

124 : 제1 엠보싱부 125 : 제2 엠보싱부124: first embossing portion 125: second embossing portion

126 : 제3 엠보싱부 128 : 베이스 플레이트126: third embossing portion 128: base plate

129 : 연결 플레이트 130 : 엘리베이터 도어129: connection plate 130: elevator door

150 : 엘리베이터 출입구 224 : 절곡부150: elevator doorway 224: bend

Claims (9)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A hanger case installed at an upper part of an elevator entrance and having a hanger rail form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entrance;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A hanger plate connected to the roller on the hanger rail, the roller plate moving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in response to the roller rolling on the hanger rail; And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하며,And an elevator door coupled to the hanger plate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elevator doorway according to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는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1 엠보싱부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엠보싱부는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The hanger plate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or recessed rea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embossed portion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Elevator door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는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된 제2 엠보싱부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엠보싱부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The hanger plate has a second embossed portion projecting forward or recessed rearward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embossed portion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line half divided between the width direction both ends of the hanger plate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행거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The hanger plate includes a base plate and a connecting plate that is formed vertically bent from one end of the base plat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base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to prevent the connecting plate from being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Elevator do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embossed portion protruding inward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엠보싱부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와 상기 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좌우 1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The first embossed portion elevator do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pairs are formed around a connecting shaft connecting the hanger plate and the roller.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는 행거 케이스;A hanger case installed at an upper part of an elevator entrance and having a hanger rail form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entrance;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연결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함에 대응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A hanger plate connected to the roller on the hanger rail, the roller plate moving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in response to the roller rolling on the hanger rail; And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하며,And an elevator door coupled to the hanger plate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elevator doorway according to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단에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ger plate are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which is bent forward or rearward from the hanger plate, and the bent portion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ass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Elevator do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행거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행거 케이스와, 상기 행거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상기 행거 레일 상에서 전동하는 롤러를 통해 연결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에 있어서,The hanger case provided with the hanger rail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an elevator entrance and exit, and the elevator door guided by the hanger rail and moving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elevator doorway on the said hanger rail. In the hanger plate for elevators connected through a roller to be driven,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되,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An elevator hanger plate protruding forward or recessed rearward, the first embossing portion being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pass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전방으로 돌출 또는 후방으로 함몰되되, 폭 방향 양단 사이를 반분하는 중심선을 통과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엠보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A hanger plate for an elevato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mbossed portion protruding forward or recessed rearward, and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pass through a centerline half-divided between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제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제1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3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A base plate on which the first embossed portion is formed and a connecting plate formed by bending vertically from one end of the base plate, and connecting the base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to prevent the connecting plate from being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n elevator hang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third embossed portion projecting inward.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폭 방향 양단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중심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통과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The hanger plate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forward or backwar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furth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ass through a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oller.
KR1020080039364A 2008-04-28 2008-04-28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door device for elevator equipped therewith KR100956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364A KR100956917B1 (en) 2008-04-28 2008-04-28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door device for elevator equipped therewith
CN2009801148287A CN102015509B (en) 2008-04-28 2009-04-28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elevator do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PCT/KR2009/002201 WO2009134045A2 (en) 2008-04-28 2009-04-28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elevator do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11504937A JP5241913B2 (en) 2008-04-28 2009-04-28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elevator door device including the same
EP09738951.4A EP2269934B1 (en) 2008-04-28 2009-04-28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elevator do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364A KR100956917B1 (en) 2008-04-28 2008-04-28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door device for elevator equipped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568A KR20090113568A (en) 2009-11-02
KR100956917B1 true KR100956917B1 (en) 2010-05-11

Family

ID=4125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364A KR100956917B1 (en) 2008-04-28 2008-04-28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door device for elevator equipped therewith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69934B1 (en)
JP (1) JP5241913B2 (en)
KR (1) KR100956917B1 (en)
CN (1) CN102015509B (en)
WO (1) WO2009134045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331B1 (en) * 2015-10-16 2017-03-31 이미숙 Preventing structure for pushing of elevator do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3287A (en) * 1988-05-31 1989-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Door device for elevator
US5881844A (en) 1996-11-07 1999-03-16 Otis Elevator Company Secondary positioning system for elevator car doors
JP2001227233A (en) 2000-02-18 2001-08-24 Showa Denko Kk Device for preventing derailing of sliding door of refrigerator, etc.
KR20040003540A (en) * 2002-07-03 2004-01-13 주식회사 미륭산업 A method manafacture to hanger cage for a alevator do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8775U (en) * 1982-10-29 1984-05-10 株式会社東芝 elevator
JPS59198278A (en) * 1983-04-25 1984-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Main frame device
JPH03589Y2 (en) * 1986-11-10 1991-01-10
JPH0764508B2 (en) * 1989-07-07 1995-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door installation device
JPH02292520A (en) * 1990-04-20 1990-12-04 Fuji Kiko Co Ltd Universal joint
JPH072536Y2 (en) * 1991-05-01 1995-01-25 株式会社クマリフト技術研究所 Anti-shake device for high-speed door rails on three-sided do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3287A (en) * 1988-05-31 1989-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Door device for elevator
US5881844A (en) 1996-11-07 1999-03-16 Otis Elevator Company Secondary positioning system for elevator car doors
JP2001227233A (en) 2000-02-18 2001-08-24 Showa Denko Kk Device for preventing derailing of sliding door of refrigerator, etc.
KR20040003540A (en) * 2002-07-03 2004-01-13 주식회사 미륭산업 A method manafacture to hanger cage for a alevator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17649A (en) 2011-06-16
EP2269934A4 (en) 2015-01-07
CN102015509A (en) 2011-04-13
JP5241913B2 (en) 2013-07-17
KR20090113568A (en) 2009-11-02
WO2009134045A2 (en) 2009-11-05
WO2009134045A3 (en) 2010-01-21
EP2269934B1 (en) 2016-08-24
CN102015509B (en) 2013-05-29
EP2269934A2 (en)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7817B2 (en) Toe guard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CN102056832B (en)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elevator car doors
CN102007063B (en) Elevator hoistway door separation preventive structure
CN108944379B (en) Sunroof apparatus
JP4819530B2 (en) Plug door device for vehicle
JP4644721B2 (en) Elevator doorway device
KR100956917B1 (en) Hanger plate for elevator and door device for elevator equipped therewith
US10501288B2 (en) Seal member for sealing a door sill gap
JP5233253B2 (en) Roof device
EP2298685A2 (en) Door mechanism for elevator
JP4823658B2 (en) Vehicle sliding door structure
KR101010861B1 (en) Elevator door
RU2424175C2 (en) Elevator door
JP7290534B2 (en) car body structure
JP6026626B1 (en) Elevator equipment
JP5344428B2 (en) Elevator door equipment
US20080011556A1 (en) Elevator door operator and interlock arrangement
KR20200091673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upper part of sliding door of vehicle
JP4844146B2 (en) Elevator landing door equipment
JP6598620B2 (en) Sliding door structure
CN113966309B (en) Elevator door
JP2017088405A (en) Elevator apparatus
KR20240062743A (en) Device for preventing escape of car door
KR200299188Y1 (en) An elevator door rail
KR20050120370A (en) A slide door structure of the a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