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883B1 -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883B1
KR100956883B1 KR1020080028747A KR20080028747A KR100956883B1 KR 100956883 B1 KR100956883 B1 KR 100956883B1 KR 1020080028747 A KR1020080028747 A KR 1020080028747A KR 20080028747 A KR20080028747 A KR 20080028747A KR 100956883 B1 KR100956883 B1 KR 10095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ball
taka
permanent magnet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257A (ko
Inventor
이충훈
기우석
Original Assignee
(주)아이파이
이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파이, 이충훈 filed Critical (주)아이파이
Priority to KR1020080028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88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1/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 B25D11/06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 B25D11/064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using an electromagnetic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141Magnetic parts used in percussiv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71Use o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에 관한 것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보빈에 코일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한 솔레노이드, 한 쌍의 보빈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어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영구자석 또는 연철기둥, 영구자석 또는 연철기둥의 일단에 부착되어 영구자석 또는 연철기둥의 이동에 따라 타카못을 타격하는 공이, 공이에 설치되고 타카못을 타격한 공이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류가 흐르는 솔레노이드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영구자석 또는 연철기둥이 이동하여 영구자석 또는 연철기둥에 결합된 공이가 타카못을 원하는 위치에 박을 수 있는 타카를 제공할 수 있다.
타카, 솔레노이드, 영구자석, 연철, 스프링, 직류, 교류

Description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Tacker Using Solenoid}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솔레노이드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공이가 부착된 영구자석이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형성된 자기력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공이가 타카못을 타격하여 원하는 위치에 박을 수 있는 타카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종래의 에어건 방식을 자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직류 전원이나 교류 전원을 사용함을 기본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타카는 스테플러(Stapler), 네일러(Nailer) 및 핀너(Pinner)와 유사한 원리로 목재와 목재, 목재와 플라스틱, 목재와 강재, 목재와 콘크리트 접목에 사용하는 공압 기계로서 사용이 신속 간편하고 부착력이 견고하여 내, 외장 인테리어, 알루미늄 샷시 등 다양한 작업에 쓰인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타카의 외형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부에 피스톤과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는 몸체(11)와 피스톤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뚜껑(12), 못이나 스테플, 핀 등의 타카못이 장전되어 있는 장전통(13), 타카못이 발사되는 가이드(14), 작업시 안전을 위한 안전장 치(15), 못 장전을 위한 걸쇠장치(16), 장전통(13)과 손잡이(18)를 연결하여 견고한 구조를 가지게 하는 브라켓(17), 타카를 작동시키는 방아쇠(1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타카의 작동은, 방아쇠(19)를 작동시켜, 컴프레셔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몸체(11) 내부에 있는 피스톤을 움직이고, 피스톤에 결합된 공이가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장전통(13)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가이드(14)에 공급되는 타카못을 강하게 눌러주어 원하는 위치에 박음으로써 목재, 플라스틱 및 콘크리트를 접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타카는 대부분 공압식 타카로서, 타카못을 강하게 밀어주기 위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셔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로 인하여 타카를 사용하기 위해 수kg 내지 수십kg이 되는 컴프레셔를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며, 여러 명이 작업시에는 2대 이상의 컴프레셔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컴프레셔와 타카 사이에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타카에 공급하는 에어호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2대 이상의 컴프레셔를 사용하여 작업시 에어호스가 서로 엉켜 작업하기 힘든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공압식 타카에서 사용되는 컴프레셔를 없애고, 전기를 이용하여 타카의 부피와 무게를 줄여 이동시 편의를 제공하고 작업시 수고를 덜 수 있는 타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사람이 작업시 여러 대의 컴프레셔를 사용함으로써 에어호스가 서로 엉키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타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구자석에 공이를 탈부착할 수 있고, 장전통의 크기 또는 형태를 변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타카못을 사용할 수 있는 타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솔레노이드와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제작이 손쉽고 사용이 간편한 타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솔레노이드의 코일의 권선 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하여 마주보는 면의 극성이 같도록 하고, 한 쌍의 솔레노이드 사이에 연철링을 설치하거나, 연철로 이루어진 요크를 설치하여 솔레노이드와 영구자석 사이의 자기력의 세기가 더욱 강한 타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류 전원 및 교류 전원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공간의 제약 없이 사용가능한 타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보빈에 코일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한 솔레노이드, 상기 한 쌍의 보빈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의 일단에 부착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타카못을 타격하는 공이, 상기 공이에 설치되고 타카못을 타격한 공이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보빈에 코일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한 솔레노이드, 상기 한 쌍의 보빈 사이에 위치하는 링 형상의 연철링, 상기 한 쌍의 보빈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연철기둥, 상기 연철기둥의 일단에 부착되어 상기 연철기둥의 이동에 따라 타카못을 타격하는 공이, 상기 공이에 설치되고 타카못을 타격한 공이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원통형 보빈에 코일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한 솔레노이드, 상기 한 쌍의 보빈 사이에 위치하는 연철판, 상기 보빈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의 일단에 부착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타카못을 타격하는 공이, 상기 공이에 설치되고 타카못을 타격한 공이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타카는 상기 한 쌍의 보빈 사이에 위치하는 링 형상의 연철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타카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타카를 지지하는 손잡이, 상기 타카못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전되고 상기 장전된 타카못이 상기 공이에 의해 순차적으로 타격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전통,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타카는 상기 솔레노이드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한쪽 면에 구멍이 형성된 요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크에는 방열을 위한 절연유를 채울 수 있고, 상기 공이는 상기 요크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타카못을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이는 상기 영구자석 또는 상기 연철기둥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압식 타카에서 사용되는 컴프레셔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타카의 부피와 무게를 줄여 이동시 편의를 제공하고 작업시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여러 사람이 작업시 여러 대의 컴프레셔를 사용함으로써 에어호스가 서로 엉키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영구자석에 공이를 탈부착 할 수 있고, 장전통의 크기 또는 형태를 변 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타카못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여 생긴 자기력에 의해 영구자석이 이동하여 영구자석에 부착된 공이가 타카못을 타격하고, 타격하는 동안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영구자석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제작이 손쉽고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직류 전원 및 교류 전원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이 간편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는 보빈(110), 솔레노이드(120), 연철링(130), 영구자석(140), 공이(150), 스프링(160) 및 요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빈(110)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솔레노이드(120)는 각각의 보빈(110)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되어 있어, 전류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120)의 마주보는 면의 자성이 같아지게 된다.
연철링(130)은 한 쌍의 보빈(11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코일을 권선하여 만든 솔레노이드는 코일 내부에 연철을 삽입하는 경우 더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는데, 이 연철의 양을 늘려주면 더욱 더 강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빈(110) 사이에 연철링(130)을 설치하면 연철의 양이 늘어나 더 강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철링(130)은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연철링(130)을 보빈(110) 사이에 설치하는 것 외에 솔레노이드(12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더 강하게 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솔레노이드(120)를 감싸는 요크(17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요크(170)의 재질은 연철과 같은 자성체이다. 요크(170)는 요크(170) 내부에 구비된 각 구성요소들을 담고 있는 케이스의 역할과 각각의 위치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역할을 한다. 또한, 이 요크(170)의 내부에는 절연유를 충진하여 방열의 역할을 한다. 요크(170)의 한쪽 면에는 공이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영구자석(140)은 보빈(110)의 내부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공간에 위치하고 자성이 강한 네오디움 자석 등이 사용된다. 영구자석의 일단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공이(150)가 부착되고, 공이(150)에는 스프링(160)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는 방아쇠(180)를 작동함으로써 타카못을 원하는 위치에 박는다. 여기에서, 방아쇠(180)는 버튼으로 대치되어, 버튼을 누름으로써 스위치를 작동시켜 솔레노이드(120)에 전류를 인가할 수도 있다. 방아쇠 또는 버튼을 조작하는 부위에는 솔레노이드에 전기를 인가하는 시간과 전압을 조절하는 회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타카의 전단부에 장전통(190)이 구비되어 상기 타카못(191)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전될 수 있다. 장전통(190)은 장전된 타카못(191)을 순차적으로 올려주어 타카못(191)이 공이(150)에 의해 타격될 수 있도록 한다. 장전통(190)은 원하는 타카못(191)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장전통(190)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공이(150)는 영구자석(140)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형태 등 다양한 결합수단으로 결합되어 있고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타카못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교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의 타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방아쇠(180)를 작동하기 전 초기상태로써 영구자석(140)이 보빈(110)의 오른쪽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b는 방아쇠(190)의 작동에 의해 영구자석(140)이 보빈(110)의 왼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 참조하면, 방아쇠(180)를 작동시키기 전에는 솔레노이드(120)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보빈(110)은 자성을 띠지 않는다. 따라서, 영구자석(140)은 공이(150)에 구비된 스프링(160)의 길이만큼 보빈(110)의 왼쪽 끝과 일정 거리 떨어져서 멈추어 있다. 스프링(160)은 통상의 스프링 또는 고무줄 등을 사용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을 지니고 있어 형태가 변형되었을 때 복원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은 모두 사용가능하다.
타카못을 원하는 위치에 박기 위해 방아쇠(180)를 작동시키면 방아쇠(180)와 연동된 스위치가 작동되어 솔레노이드(120)에 전류가 인가된다. 솔레노이드(1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120)의 권선 방향에 의해 각 보빈(110)의 마주보는 면의 극성이 같아진다. 이와 같이 마주보는 면의 자성이 서로 같으면 가운데는 두 개의 자력선의 보강이 일어나서 강한 자력선을 나타내나, 양 끝은 상쇄되어 더 약한 자력선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전류가 도 3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왼쪽 보빈(110)은 왼쪽에 S극 오른쪽에 N극, 오른쪽 보빈(110)은 왼쪽에 N극 오른쪽에 S극을 띠게 된다. 솔레노이드(120)가 한 쌍의 보빈(110)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으므로 가운데의 N극은 더 강해지고 양 끝의 S극은 약해진다. 보빈(110)의 내부 공간에 왼쪽은 S극, 오른쪽은 N극을 띤 영구자석(140)을 설치하는 경우, 영구자석(140)은 솔레노이드(120)에 의해 형성된 가운데의 강한 N극과의 인력에 의해 왼쪽으로 이동한다. 보빈(110)의 양 끝의 S극은 가운데 N극에 비해 그 자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영구자석(140)이 보빈(110) 내부 공간을 이동할 때에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오게 하는 반발력이 적어 이동이 수월하다.
영구자석(140)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평형상태에 있던 스프링(160)은 점점 압축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스프링(160)이 영구자석(140)과 요크(1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공이(150)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제외한 요크(170)의 한쪽 면은 막혀 있다.
영구자석(140)이 이동함에 따라 공이(150)가 요크(170)의 구멍을 통해 요 크(170)의 외측에 제공된 타카못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한다.
타카못을 박은 후, 회로에 의해서 스위치가 열리고 솔레노이드(12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다. 그 결과 보빈(110)과 영구자석(140) 사이에는 자기력이 사라진다. 이때, 영구자석(140)이 왼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압축된 스프링(160)에 잠재된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160)이 다시 원위치로 돌아와 도 3a와 같은 형상이 된다.
또한, 영구자석(140)은 영구자석(140)과 같은 형상을 갖는 연철기둥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영구자석(140)이 연철기둥으로 대체된 경우, 솔레노이드(120)에 전류가 인가되어 마주보는 보빈(110)이 같은 극성을 띠게 되면 철이 자석이 붙는 원리에 의해 연철기둥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삭제
솔레노이드(120) 내부의 공간에 연철기둥이 위치한 경우, 연철링(130)의 내, 외경은 솔레노이드(120)의 내, 외경과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솔레노이드(120) 내부의 공간에 영구자석(140)이 위치한 경우, 연철링(130)의 내, 외경이 솔레노이드(120)와 같으면 영구자석(140)이 솔레노이드(120) 내부에서 이동 시에 솔레노이드(120)에 달라붙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철링(130)의 내, 외경을 솔레노이드(120)보다 작거나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연철링(130)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의 타격 원 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카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의 극성이 같아지도록 솔레노이드(120)를 권선한 한 쌍의 보빈(110), 한 쌍의 보빈(110)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연철판(131), 보빈(110)의 하단에 구비된 영구자석(140), 영구자석(140)의 일단에 부착된 공이(150), 공이(150)에 구비된 스프링(160), 요크(170)로 구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카를 작동시키기 전 영구자석(140)은 평형상태인 스프링(160)의 길이만큼 요크(170)의 하단에서 떨어져 있다.
도 4b에 스위치 및 전원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방아쇠를 작동시키면 스위치가 닫혀 전류가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솔레노이드(120)에 전류가 인가되어 보빈(110)의 마주보는 면이 N극이 된다면, 영구자석(140)의 위쪽 면의 N극과 보빈(110)은 서로 척력이 작용하여 영구자석(140)은 아래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영구자석(140)에 부착된 공이(150)가 타카못을 타격하게 된다. 이때, 요크(170)에는 공이(150)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동을 마친 후에 영구자석(140)은 영구자석(140)이 타카못을 박기 위해 아래로 내려오면서 압축된 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도 4a와 같은 처음 상태로 돌아간다.
이때, 보빈(110)에는 자력을 보강하기 위한 연철이 삽입될 수 있고, 연철판(13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형상이며, 요크(170)는 연철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자기력의 양을 늘릴 수 있으므로 자성을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타카의 외형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의 타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의 타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11)

  1.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보빈에 코일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한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한쪽 면에 구멍이 형성된 요크;
    상기 한 쌍의 보빈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의 일단에 부착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타카못을 타격하는 공이;
    상기 공이에 설치되고 타카못을 타격한 공이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요크에는 방열을 위한 절연유를 채울 수 있고, 상기 공이는 상기 요크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타카못을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2.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보빈에 코일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한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한쪽 면에 구멍이 형성된 요크;
    상기 한 쌍의 보빈 사이에 위치하는 링 형상의 연철링;
    상기 한 쌍의 보빈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연철기둥;
    상기 연철기둥의 일단에 부착되어 상기 연철기둥의 이동에 따라 타카못을 타격하는 공이;
    상기 공이에 설치되고 타카못을 타격한 공이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요크에는 방열을 위한 절연유를 채울 수 있고, 상기 공이는 상기 요크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타카못을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3.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원통형 보빈에 코일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한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한쪽 면에 구멍이 형성된 요크;
    상기 한 쌍의 보빈 사이에 위치하는 연철판;
    상기 보빈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의 일단에 부착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타카못을 타격하는 공이;
    상기 공이에 설치되고 타카못을 타격한 공이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요크에는 방열을 위한 절연유를 채울 수 있고, 상기 공이는 상기 요크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타카못을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빈 사이에 위치하는 링 형상의 연철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타카를 지지하는 손잡이;
    상기 타카못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전되고 상기 장전된 타카못이 상기 공이에 의해 순차적으로 타격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전통;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회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는 상기 영구자석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는 상기 연철기둥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방아쇠 또는 버튼에 의해 전원과 연결되어 전류가 인가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10. 삭제
  11. 삭제
KR1020080028747A 2008-03-28 2008-03-28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KR10095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747A KR100956883B1 (ko) 2008-03-28 2008-03-28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747A KR100956883B1 (ko) 2008-03-28 2008-03-28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257A KR20090103257A (ko) 2009-10-01
KR100956883B1 true KR100956883B1 (ko) 2010-05-11

Family

ID=4153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747A KR100956883B1 (ko) 2008-03-28 2008-03-28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8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5706A (ja) * 1982-03-10 1983-09-16 Kamiya Denshi Kogyo Kk ソレノイド
US6796477B2 (en) 2002-10-30 2004-09-28 Aplus Pneumatic Corp. Nail-hammering apparatus
US6857549B1 (en) * 2003-11-21 2005-02-22 Navtor Technology Corporation Nail driving gun with a shock-absorbing member
KR100717382B1 (ko) * 2006-10-12 2007-05-11 신우공업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5706A (ja) * 1982-03-10 1983-09-16 Kamiya Denshi Kogyo Kk ソレノイド
US6796477B2 (en) 2002-10-30 2004-09-28 Aplus Pneumatic Corp. Nail-hammering apparatus
US6857549B1 (en) * 2003-11-21 2005-02-22 Navtor Technology Corporation Nail driving gun with a shock-absorbing member
KR100717382B1 (ko) * 2006-10-12 2007-05-11 신우공업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257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36190U (zh) 一种打钉机
US2967302A (en) Electric hammer
JP5580610B2 (ja) 打撃機構および手工具装置
US6854530B1 (en) Method for driving electric percussion tool
TW201404551A (zh) 施加器具與控制方法
WO2009152752A1 (zh) 一种具有杠杆的高速电磁钉枪
WO2007053244A3 (en) Moving coil actuator for reciprocating motion with controlled force distribution
KR100956883B1 (ko)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타카
KR100956882B1 (ko) 전자석과 영구자석을 이용한 타카
US2682052A (en) Plunger and staple driving structure for pneumatic stapling machines
KR100971776B1 (ko) 타카
KR20080100737A (ko) 전자석을 이용하는 타카
US8757464B2 (en) Powered stapling device
WO2015169167A1 (zh) 电磁钉枪
KR20120074922A (ko) 전자석을 이용한 리벳타격장치
JP2008502491A (ja) 電動工具
US20110072877A1 (en) Marking apparatus using magnetism
CN205148235U (zh) 充电式电磁钉枪
CN206920970U (zh) 一种磁轭片用缓冲式夹紧器
CN103507042B (zh) 工具机和控制方法
KR102055130B1 (ko) 그리퍼 장치
CN220719209U (zh) 一种电磁射钉器
RU195053U1 (ru) Вакуумный захват
KR200349933Y1 (ko) 철근 결합용 타커
KR100570337B1 (ko) 철근 결합용 타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