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604B1 -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604B1
KR100956604B1 KR1020070103913A KR20070103913A KR100956604B1 KR 100956604 B1 KR100956604 B1 KR 100956604B1 KR 1020070103913 A KR1020070103913 A KR 1020070103913A KR 20070103913 A KR20070103913 A KR 20070103913A KR 100956604 B1 KR100956604 B1 KR 100956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ride
user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central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8564A (ko
Inventor
김재평
강경모
Original Assignee
김재평
강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평, 강경모 filed Critical 김재평
Priority to KR102007010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604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8Single-use cards, i.e. without possibility of re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놀이공원 입장객이 놀이공원에 설치된 여러 종류의 놀이기구를 이용함에 있어 입장객에게 제공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놀이기구를 이용 예약하고, 전자코인을 통하여 이용료를 지불하며, 이용할 시간이 되면 안내 메시지를 받게 함으로써 편리하게 놀이공원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예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놀이공원 입장객의 식별코드와 입장객이 충전한 전자코인이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이용료를 저장하고 전자코인 충전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놀이기구 이용을 예약하려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입장객 식별코드와 전자코인 금액을 인식하는 예약 장치; 놀이기구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놀이기구 주변에 설치되어 놀이기구를 이용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장객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놀이기구 단말 장치; 및 상기 예약 장치로부터 수신한 전자코인 금액을 확인하여 이용료만큼 사용자 단말기에서 차감한 후 예약 장치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와 예약 시간을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예약 현황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로 예약을 확인한 후 해당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중앙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놀이기구, 놀이공원, 예약, 단말기, 무선통신, RFID, 전자코인.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servation of amusement park ride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이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놀이공원 입장객이 놀이공원에 설치된 여러 종류의 놀이기구를 이용함에 있어 입장객에게 제공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놀이기구를 이용 예약하고, 전자코인을 통하여 이용료를 지불하며, 이용할 시간이 되면 안내 메시지를 받게 함으로써 편리하게 놀이공원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예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5일제 근무의 확대 실시와 초중고등학교의 격주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따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주말에 놀이공원을 찾는 빈도가 많아지게 되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놀이공원 내의 놀이기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희망하는 놀이기구의 매표소에서 표를 구입한 후 먼저 표를 구입한 사람들이 이용을 마칠 때까지 장시간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낭비되고 정신적 육체적으로 매우 피곤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린이날과 같이 이용객이 많은 때에는 인기가 많은 놀 이기구의 이용 자체를 포기해야 할 정도로 이러한 문제점은 심각하다. 또한 고액을 지불하여 자유이용권을 구입한 경우에도 대기 시간이 길어져 실제로는 몇 가지 놀이기구 밖에 이용하지 못하고 돌아오게 되는 불합리한 점도 있다. 아울러 많은 사람들이 줄을 서서 기다림에 따라 놀이공원 내의 혼잡이 가중되어 쾌적하게 놀이공원에서 여가를 즐길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에 의하지 않고 간편하게 놀이기구 이용을 예약하고 이용료를 지불하며, 줄을 서서 기다릴 필요 없이 순서가 되면 안내를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놀이공원 입장객이 제공받은 단말기를 통하여 희망하는 놀이기구의 이용을 예약하고, 단말기에 저장된 전자코인으로 이용료를 지불하며, 자신의 이용 차례가 오면 단말기로부터 안내를 받아 예약한 놀이기구를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은,
놀이공원 입장객의 식별코드가 저장되고 입력수단, 통신수단, 표시수단, 전자코인 금액 저장수단 및 전원수단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
놀이기구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놀이기구 이용을 예약하려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입장객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인식수단, 통신수단, 전자코인금액 충전수단 및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예약 장치;
놀이기구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놀이기구 주변에 설치되어 놀이기구를 이용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장객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인식수단, 통신수단 및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놀이기구 단말 장치; 및
상기 예약 장치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와 예약 시간을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예약 현황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로 예약을 확인한 후 해당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고, 처리수단, 통신수단, 연산수단, 검색수단을 구비하는 중앙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자코인은 놀이공원 내에서 뿐 아니라 인터넷으로도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관리장치는 이용 시간이 임박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상기 중앙관리장치에 그 시점에서의 예약 현황을 요청하여 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놀이기구 예약 취소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해당 예약 정보를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방법은,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이용료를 저장하고 있는 예약 장치가 놀이기구 이용을 예약하려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입장객 식별코드와 전자코인 금액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예약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놀이기구 식별코드와 이용료, 상기 인식한 입장객 식별코드와 전자코인 금액을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중앙관리장치가 전자코인 금액이 이용료보다 적으면 상기 예약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예약 불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불가 메시지가 송신된 경우 상기 예약 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자코인을 충전하는 단계; 중앙관리장치가 사용자 단말기의 전자코인 금액을 이용료만큼 차감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장치로부터 수신 한 정보들과 예약 시간을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놀이기구의 예약자 수를 검색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예약자 수 또는 예상 대기시간을 전송하는 단계; 놀이기구 주변에 설치된 놀이기구 단말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놀이기구를 이용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식한 입장객 식별코드를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로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예약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이용 불가 메시지를 송신하고, 예약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예약자 수 또는 상기 예상 대기시간이 기준 이하로 줄어들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상기 중앙관리장치에 그 시점에서의 상기 예약자 수 또는 상기 예상 대기시간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 시점에서의 예약자 수 또는 예상 대기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예약 취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취소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예약 정보를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에 의하면, 입장객이 놀이기구를 이용함에 있어 편리하게 예약 및 이용료를 지불할 수 있고 자기 차례가 올 때까지 줄을 서서 기다릴 필요가 없게 되어 기존에 기다리던 시간을 다른 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놀이공원에서 효율적으로 여가를 즐길 수 있다. 한편 놀이공원의 입장에서도 놀이기구 주변의 혼잡을 피할 수 있어 수월하게 각 놀이기구를 관리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입장객을 유치하여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예약 시스템은 놀이공원에 입장한 입장객에게 제공된 사용자 단말기(10)와 예약 장치(20)와 중앙관리장치(30)와 놀이기구 단말 장치(40)로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놀이공원 입장시에 입장객에게 제공되는 소형의 무선통신 단말기로서 입장객별로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코드를 내장된 RFID IC 내에 저장하고 있으며, 연간회원, 자유이용권 구입자, 일반이용권 구입자별로 구분되는 코드 체계를 가지고 있다. 상기 카드에는 놀이기구 이용에 필요한 전자코인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 전자코인은 놀이공원 내에서 충전되거나 미리 인터넷 등으로 사전에 충전될 수 있다. 놀이공원 입장객은 단말기를 지급받을 때 또는 입장 후 충전 장소에서 원하는 만큼의 전자코인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터넷 등으로 사전에 충전한 경우에는 입장시에 그 금액만큼 단말기에 충전된다. 이 전자코인은 놀이기구 이용에 사용될 뿐 아니라 놀이공원 내에 설치된 각종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현금 대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이용권 구입자 뿐 아니라 모든 놀이기구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연간회원 및 자유이용권 구입자의 단말기에도 전자코인이 저장되고 충전될 수 있다. 다만 연간회원 및 자유이용권 구입자의 단말기로 놀이기구를 예약할 때에는 충전된 전자코인 금액이 줄어들지 않도록 한다. 이하 일반이용권 구입자의 단말기로 놀이기구를 예약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예약 장치(20)는 놀이기구별로 고유의 식별코드와 이용료를 저장하고 있으며 놀이공원 내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데, 놀이기구 부근에 설치되어 그 놀이기구의 이용 방법을 보고 입장객이 이용하고자 하는 생각이 들 때 예약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약 장치는 또한 연간회원 및 일반이용권 구입자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코인을 충전할 수 있도록 전자코인 충전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약 장치는 해당 놀이기구의 이용을 예약하고자 하는 입장객의 사용자 단말기(10)에 저장된 입장객 식별코드와 전자코인 금액을 인식한 후, 이를 놀이기구 식별코드, 이용료와 함께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관리장치(30)로 송신한다.
상기 중앙관리장치(30)는 놀이공원 예약시스템을 총괄하며 놀이기구별 예약 정보가 수록된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놀이기구 식별코드, 입장객 식별코드, 예약시간, 예상 대기시간 등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예약, 예약 취소, 이용 완료가 일어날 때마다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중앙관리장치는 상기 예약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이용료만큼의 금액을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차감한 후, 수신한 정보와 예약 시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놀이기구의 예약자 수를 검색하여 이로부터 현시점부터 이용시까지의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한다. 예약자 수에 따른 예상 대기시간은 놀이기구별로 다르게 계산된다. 1회 이용에 걸리는 시간이 짧고 한 번에 많은 인원이 이용하는 놀이기구는 상대적으로 예상 대기시간이 짧게 계산된다. 그리고 신규 예약시 또는 예약 후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예약된 놀이기구의 예약 현황을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 실시간 전송한다. 예약 현황 정보는 상기 예약자 수와 예상 대기시간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그 중 하나만이 될 수도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예약 취소 요청을 수신하거나, 놀이기구 단말 장치(40)로부터 놀이기구와 입장객 식별코드를 수신한 경우 해당 식별코드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예약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예약자 수 또는 예상 대기시간이 기준치 이하로 줄어들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40)는 각각의 놀이기구의 근처에 설치되며, 놀이기구별로 고유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놀이기구 단말 장치(40)는 해당 놀이기 구를 이용하려는 입장객의 사용자 단말기(10)에 저장된 입장객 식별코드를 인식한 후, 이를 놀이기구 식별코드와 함께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관리장치(30)로 송신한다. 중앙관리장치로부터 예약된 식별코드임을 확인한 후에만 놀이기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놀이기구 단말 장치(40)는 놀이기구 관리자가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5는 상기 예약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저장수단(11), 표시수단(12), 입력수단(13), 통신수단(14) 및 전원수단(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수단(11)은 입장객 식별코드와 전자코인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RFID를 이용하며 전자코인 금액은 무선으로 충전되며 차감된다. 표시수단(12)은 중앙관리장치가 전송하는 예약 현황 정보와 각종 메시지, 전자코인 금액, 건전지 용량 등을 표시한다. 입력수단(13)은 사용자가 중앙관리장치에 예약 현황 요청 및 예약 취소 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통신수단(14)은 중앙관리장치와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와 연결되는 내장형 안테나 연결단자, RF 및 IF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IF의 신호를 CPU에 연결하여 주는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원수단(15)은 전원공급장치로서 일반 건전지 또는 충전용 건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약 장치(20)는 저장수단(21), 인식수단(22) 충전수단(23) 및 통신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수단(21)은 해당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이용료를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Flash메모리로 이루어진다. 인식수단(22)은 해당 놀이기구의 이용을 예약하고자 하는 입장객의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입장객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부분으로서 RFID 리더로 이루어진다. 충전수단(23)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전자코인을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폐인식기, 카드, 휴대폰 인증기 등을 장착하여 현금, 신용카드, 휴대폰 등의 결제수단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수단(24)은 IF 및 RF 시스템 및 연결되어 있는 안테나를 통하여 중앙관리장치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관리장치(30)는 예약자 데이터베이스(31), 처리수단(32), 검색수단(33), 연산수단(34) 및 통신수단(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약자 데이터베이스(31)는 예약 현황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부분이다. 처리수단(32)은 통신수단(35)과 연결되어 통신수단이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 예약 장치(20) 및 놀이기구 단말 장치(40)로부터의 데이터로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31)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 예약 장치(20)로부터 신규 예약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삽입하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예약 취소 신호 또는 놀이기구 이용 시에 놀이기구 단말 장치(40)로부터 수신하는 놀이기구와 입장객 식별코드를 수신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한다. 검색수단(33)은 신규 예약 시에 예약되는 놀이기구의 식별코드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 시점에서의 예약자 수를 파악한다. 또한 놀이기구 단말 장치(40)에서 수신한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예약 정보가 존재하는지 파악한다. 연산 수단(34)은 상기 검색수단이 파악한 예약자 수로부터 고유의 알고리즘에 의해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말기에 저장된 전자코인 액수 와 놀이기구 이용료를 비교한다. 통신 수단(35)은 사용자 단말기(10), 예약 장치(20) 및 놀이기구 단말 장치(4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40)는 저장수단(41), 인식수단(42) 및 통신수단(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수단(41)은 해당 놀이기구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인식수단(42)은 해당 놀이기구를 이용하고자 하는 입장객의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입장객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것으로 RFID 리더로 이루어진다. 통신수단(43)은 중앙관리장치와 무선송수신 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6은 이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 예약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입장객은 놀이공원 입장시에 입장권과 함께 고유의 입장객 식별코드와 전자코인이 저장된 소형의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받는다. 단말기는 입장객이 놀이공원 입구를 통과할 때 중앙관리장치로 입장신호를 보내어 이용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며, 출구를 통화할 때는 퇴장신호를 보내어 이용이 종료되었음을 알린다. 입장객은 전자코인을 충전한 다음, 희망하는 놀이기구의 예약 장치에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근접시킨다.
예약 장치는 근접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입장객 식별코드와 충전되어 있는 전자코인 금액을 인식한 후(s11), 이를 예약 장치 내에 저장된 놀이기구 식별코드 및 이용료와 함께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한다(s12). 중앙관리장치는 예약 장치로부터 수신한 전자코인 금액과 이용료를 비교하여(s13) 전자코인 금액이 부족한 경우 예약 불가 메시지를 예약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s14). 사용자는 희망하는 놀이기구를 이용하기 위한 전자코인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예약 장치를 통하여 원하는 만큼의 전자코인을 충전한다(s15). 상기 비교 결과 전자코인 금액이 충분한 경우 중앙관리장치는 전자코인 금액을 이용료만큼 차감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예약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들과 예약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6). 그리고 놀이기구 식별코드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시점에서의 예약자 수를 검색한 후, 이를 토대로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한다(s17). 이러한 예약 정보는 예약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다(s18). 사용자는 전송된 정보로부터 해당 놀이기구를 이용할 수 있을 때까지 얼마나 기다려야 하는가를 예상할 수 있으므로, 놀이기구 앞에서 줄을 서서 기다릴 필요 없이 식사나 휴식 등으로 그 시간을 이용할 수 있다.
예약자는 원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수시로 중앙관리장치에 변경된 예약 현황을 요청할 수 있으며(s19), 이러한 요청을 받은 중앙관리장치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 시점에서의 예상 대기시간 등 예약 현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20).
예약자는 상기 전송된 예약 현황 정보를 확인한 후 예상 대기시간이 너무 길거나, 예약 정보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돌발적인 상황이 발생하여 예약한 놀이기구를 이용하지 못할 상황이 발생한 경우,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중앙관리장치에 예약 취소를 요청할 수 있으며(s21), 이러한 요청을 받은 중앙관리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데이터를 삭제한다(s22). 이 경우 후순위의 예약자들은 선순위의 예약자 수와 예상 대기시간이 즐어들게 되므로 보다 빨리 예약한 놀이기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중앙관리장치는 각 놀이기구별로 이용 가능 시간이 임박한 예약자들의 사용자 단말기로 이용 가능 시간이 임박하였으니 해당 놀이기구로 이동하라는 내용의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s23). 예약 취소 등의 사유로 예약시의 예상 대기시간보다 빨리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안내 메시지 송출이 필요하다.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안내 메시지는 예상 대기시간이 5~10분 되었을 때 송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 메시지를 받은 예약자는 해당 놀이기구로 가서 놀이기구 근처에 설치된 놀이기구 단말 장치에 사용자 단말기를 근접시킨다. 놀이기구 단말장치는 근접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장객 식별코드를 인식한 후, 이를 놀이기구 단말 장치 내에 저장된 놀이기구 식별코드와 함께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한다(s24). 중앙관리장치는 놀이기구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예약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s25),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용 불가 메시지를 놀이기구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s26),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예약 정보를 삭제한다(s27). 예약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무단 이용으로 간주하고 놀이기구 관리자로 하여금 이용을 막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와 그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로써, 본 실시예에 나타난 예약 장치(20) 없이 사용자 단말기(10) 자체로 예약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는 입장객 식별코드와 전자코인 외에 놀이공원 내의 각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그 이용료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예약하려는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그 이용료 및 입장객 식별코드와 전자코인을 중앙관리장치로 송신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수단(12)에는 놀이공원 내의 모든 놀이기구가 메뉴 형식으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입력수단(13)으로 원하는 놀이기구를 선택하여 예약 정보를 송신한다. 저장수단(14)에는 상기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그 이용료 및 예약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추가로 저장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이용권구입자의 단말기로 놀이기구를 예약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모든 놀이기구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연간회원 및 자유이용권 구입자의 단말기로 예약하는 경우에는 전자코인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이 발명에서 전자코인과 관련한 내용은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연간회원은 고유 아이디가 포함된 RF ID 카드를 사용하여 단말기 대신 놀이기구를 예약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 중 예약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시스템 중 중앙관리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시스템 중 놀이기구 단말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이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 예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사용자 단말기 20: 예약 장치
30: 중앙관리장치 40: 놀이기구 단말 장치

Claims (15)

  1. 놀이공원 입장객의 식별코드가 저장되고 입력수단, 통신수단, 표시수단, 전자코인 금액 저장수단 및 전원수단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
    놀이기구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놀이기구 이용을 예약하려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입장객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인식수단, 통신수단, 전자코인금액 충전수단 및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예약 장치;
    놀이기구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놀이기구 주변에 설치되어 놀이기구를 이용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장객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인식수단, 통신수단 및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놀이기구 단말 장치; 및
    상기 예약 장치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와 예약 시간을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예약 현황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로 예약을 확인한 후 해당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고, 처리수단, 통신수단, 연산수단, 검색수단을 구비하는 중앙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2. 삭제
  3. 놀이공원 입장객의 식별코드와 입장객이 충전한 전자코인이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이용료를 저장하고 전자코인 충전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놀이기구 이용을 예약하려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입장객 식별코드와 전자코인 금액을 인식하는 예약 장치;
    놀이기구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놀이기구 주변에 설치되어 놀이기구를 이용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장객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놀이기구 단말 장치; 및
    상기 예약 장치로부터 수신한 전자코인 금액을 확인하여 이용료만큼 사용자 단말기에서 차감한 후 예약 장치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와 예약 시간을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예약 현황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로 예약을 확인한 후 해당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중앙관리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4. 놀이공원 입장객의 식별코드와 입장객이 충전한 전자코인 및 놀이기구들의 식별코드와 이용료가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
    놀이기구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놀이기구 주변에 설치되어 놀이기구를 이용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장객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놀이기구 단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전자코인 금액을 확인하여 이용료만큼 사용자 단말기에서 차감한 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와 예약 시간을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예약 현황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로 예약을 확인한 후 해당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중앙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코인은 놀이공원 내에서 뿐 아니라 인터넷으로도 충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장치는 이용 시간이 임박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7.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상기 중앙관리장치에 그 시점에서의 예약 현황을 요청하여 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8.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놀이기구 예약 취소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해당 예약 정보를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9. 놀이기구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예약 장치가 놀이기구 이용을 예약하려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입장객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예약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놀이기구 식별코드와 상기 인식한 입장객 식별코드를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중앙관리장치가 수신한 놀이기구 식별코드와 입장객 식별코드 및 예약 시간을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놀이기구의 예약자 수를 검색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예약자 수 또는 예상 대기시간을 전송하는 단계;
    놀이기구 주변에 설치된 놀이기구 단말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놀이기구를 이용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식한 입장객 식별코드를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로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예약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이용 불가 메시지를 송신하고, 예약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방법.
  10. 놀이공원 입장객의 식별코드와 놀이기구들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가 입장객 식별코드와 사용자가 선택한 놀이기구 식별코드를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중앙관리장치가 수신한 놀이기구 식별코드와 입장객 식별코드 및 예약 시간을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놀이기구의 예약자 수를 검색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예약자 수 또는 예상 대기시간을 전송하는 단계;
    놀이기구 주변에 설치된 놀이기구 단말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놀이기구를 이용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식한 입장객 식별코드를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로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예약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이용 불가 메시지를 송신하고, 예약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방법.
  11.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이용료를 저장하고 있는 예약 장치가 놀이기구 이용을 예약하려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입장객 식별코드와 전자코인 금액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예약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놀이기구 식별코드와 이용료, 상기 인식한 입장객 식별코드와 전자코인 금액을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중앙관리장치가 전자코인 금액이 이용료보다 적으면 상기 예약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예약 불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불가 메시지가 송신된 경우 상기 예약 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자코인을 충전하는 단계;
    중앙관리장치가 사용자 단말기의 전자코인 금액을 이용료만큼 차감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들과 예약 시간을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놀이기구의 예약자 수를 검색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예약자 수 또는 예상 대기시간을 전송하는 단계;
    놀이기구 주변에 설치된 놀이기구 단말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놀이기구를 이용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식한 입장객 식별코드를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로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예약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이용 불가 메시지를 송신하고, 예약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방법.
  12. 놀이공원 입장객의 식별코드와 입장객이 충전한 전자코인 및 놀이기구들의 식별코드와 이용료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가 입장객 식별코드와 전자코인 금액 및 사용자가 선택한 놀이기구 식별코드와 이용료를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중앙관리장치가 전자코인 금액이 이용료보다 적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예약 불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불가 메시지가 송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자코인을 충전하는 단계;
    중앙관리장치가 사용자 단말기의 전자코인 금액을 이용료만큼 차감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들과 예약 시간을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놀이기구의 예약자 수를 검색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예약자 수 또는 예상 대기시간을 전송하는 단계;
    놀이기구 주변에 설치된 놀이기구 단말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놀이기구의 식별코드와 놀이기구를 이용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식한 입장객 식별코드를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로 예약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예약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놀이기구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이용 불가 메시지를 송신하고, 예약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예약자 수 또는 상기 예상 대기시간이 기준 이하로 줄어들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상기 중앙관리장치에 그 시점에서의 상기 예약자 수 또는 상기 예상 대기시간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 시점에서의 예약자 수 또는 예상 대기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상기 중앙관리장치로 예약 취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관리장치가 상기 취소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예약 정보를 예약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방법.
KR1020070103913A 2007-10-16 2007-10-16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100956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913A KR100956604B1 (ko) 2007-10-16 2007-10-16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913A KR100956604B1 (ko) 2007-10-16 2007-10-16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564A KR20090038564A (ko) 2009-04-21
KR100956604B1 true KR100956604B1 (ko) 2010-05-11

Family

ID=4076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913A KR100956604B1 (ko) 2007-10-16 2007-10-16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6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08A (ko) 2014-06-26 2016-01-06 김주윤 놀이시설 이용 예약시스템 및 방법
WO2018147668A1 (ko) * 2017-02-13 2018-08-16 (주)모노리스 차량 주행용 테마파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9501A (zh) 2009-04-10 2012-05-09 株式会社泛泰 用于使用模数或序列生成信号模式的方法及其装置
KR101536168B1 (ko) * 2013-04-11 2015-07-1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 순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10360419B1 (en) 2018-01-15 2019-07-23 Universal City Studios Llc Interactive systems and methods with tracking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240A (ko) * 2000-08-29 2002-03-07 고순종 유원지 놀이기구 이용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6287B1 (ko) * 2005-02-24 2006-08-01 장영철 Rfid를 이용한 놀이기구의 탑승예약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240A (ko) * 2000-08-29 2002-03-07 고순종 유원지 놀이기구 이용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6287B1 (ko) * 2005-02-24 2006-08-01 장영철 Rfid를 이용한 놀이기구의 탑승예약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08A (ko) 2014-06-26 2016-01-06 김주윤 놀이시설 이용 예약시스템 및 방법
WO2018147668A1 (ko) * 2017-02-13 2018-08-16 (주)모노리스 차량 주행용 테마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564A (ko) 200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5451B2 (en) Delivery box system and reserving method and charging method therefor
EP1318470A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ensing electronic information
JP4391134B2 (ja) 携帯端末とその管理装置
KR100956604B1 (ko)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놀이기구 예약 시스템 및 방법
JP2003223592A (ja) 課金システム、移動端末及び課金方法
JP2003233898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関連機器
KR100699758B1 (ko) 단말 제공 시스템
JP4345409B2 (ja) 受渡しボックスシステム及びその予約方法及び課金方法
JP2008134964A (ja) 電子マネー決済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KR100645232B1 (ko) 교통 및 통신 요금 통합 청구시스템
KR101178546B1 (ko) 무인 사물함 관리시스템 및 사물함 관리방법
KR20020083317A (ko) 전자지갑을 이용한 고객카드 충전방법
JP7032010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施設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駐車場システム
KR20070033615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716571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ervice-providing device
JP2021114303A (ja) 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KR20090066564A (ko) 교통카드 충전방법
JP2011097277A (ja) 携帯通信機器
JP2008197846A (ja) 改札機、改札方法、及び券処理機
JP2006228105A (ja) アミューズメント施設運営システム
KR100692647B1 (ko) Rfid 기반 기술을 이용한 시설물 이용권 관련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1771B1 (ko) Ic 통행카드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JP3821348B2 (ja) 携帯端末を使用した電子乗車券システム
JP2006039855A (ja) 課金システム、駐車料金算出装置、移動機、車載機及びプログラム
KR101856774B1 (ko) 이미지 코드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