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711B1 -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711B1
KR100955711B1 KR1020090114008A KR20090114008A KR100955711B1 KR 100955711 B1 KR100955711 B1 KR 100955711B1 KR 1020090114008 A KR1020090114008 A KR 1020090114008A KR 20090114008 A KR20090114008 A KR 20090114008A KR 100955711 B1 KR100955711 B1 KR 100955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 tube
lifter
tube
fine dust
gran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관훈
채원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11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 장치는,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상단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정 크기 이상의 미세 먼지를 걸러내는 제1 분립기를 형성한다. 제1 분립기의 하부에는 다운 튜브가 결합되고, 다운 튜브의 하단에 제2 분립기가 결합된다. 이때, 다운 튜브는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며 형성되며, 외부 케이스의 관통 부위에는 다운 튜브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다운 튜브 지지관이 형성된다. 다운 튜브 지지관의 하단에 다운 튜브를 수직으로 이동시켜 다운 튜브와 제2 분립기를 분리시킬 수 있는 리프터를 형성한다.
미세 먼지, 채취, 필터카세트, 리프터, 방수, 교체

Description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DOWN TUBE OF APPARATUS FOR GATHERING FINE PART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세 먼지 채취 장치에서 다운 튜브를 분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를 태워 동력을 얻는 화력 발전을 이용한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 산업 폐기물 또는 일반 생활쓰레기 등의 소각 처리량의 증가 및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매연 가스 등으로 인해 대기 가스 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화석 연료, 산업 폐기물, 생활 쓰레기 등을 소각함에 따라 배출되는 배출 가스에는 인체에 유해한 다양한 종류의 유해 물질이 포함되어 대기로 배출된다. 상기 유해 물질로는 염화 수소와 같은 할로겐족 가스, 질소 산화물, 아황산 가스, 일산화 산소, 불화 수소, 암모니아 등의 연소 가스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유해 물질들은 인체에 흡수된 후 축척이 되면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자연 환경에도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각종 조사 및 실험을 통해 입증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 먼지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방편으로 전 세계적으로 소각장 및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사업장의 경우, 법에 의해 유해 물질의 배출량을 규제받고 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환경부고시'를 통해서 배출 가스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의 배출량을 제한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환경부에서는 '대기오염 공정시험방법', '배출허용기준시험방법' 등을 고시하여 배출가스에 유해 물질이 일정이상 함유되지 못하도록 관리 및 감독하고 있다.
이때, 유해 물질의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PM 10) 및 초미세 먼지(PM 2.5)를 채취해야 하며, 이를 위해 미세 먼지 및 초미세 먼지 채취장치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미세 먼지는 환경 보존법에 의한 PM 10(Particle Matters 10㎛)를 말하고, 초 미세 먼지는 환경 보존법에 의한 PM 2.5(Particle Matters 2.5㎛)를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미세 먼지 채취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분립기(10)가 외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직경이 10㎛ 이상의 먼지를 걸러낸다. 상기 제1 분립기(10)를 통과한 10㎛ 미만의 먼지는 다운 튜브(20)를 통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다운 튜브(20)의 하단은 제2 분립기(30)와 끼움 결합되어 연결된다. 상기 제2 분립기(30)는 직경이 2.5㎛ 이상의 먼지를 걸러낸다. 따라서, 상기 다운 튜브(20)를 통해 하부로 이동하는 먼지 중 직경 이 2.5㎛ 이상의 먼지는 상기 제2 분립기(30)를 통해 걸러지게 된다.
상기 다운 튜브(20)는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외부 케이스(4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다운 튜브(20)는 케이블 글랜드(5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40)의 상부면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 글랜드(50)는 상기 다운 튜브(20)를 고정하고, 상기 관통 부분의 방수를 목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케이블 글랜드(50)를 회전시키면 상기 케이블 글랜드(50)의 내부에서 상기 다운 튜브(20)를 압착하여 상기 다운 튜브(20)를 고정함과 동시에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 글랜드(50)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 글랜드(50)가 덜 조여져 있으면, 방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다운 튜브(20)와 상기 케이블 글랜드(50) 사이로 빗물이 새어 들어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시료가 빗물에 젖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케이블 글랜드(50)가 너무 많이 조여져 있으면, 손으로 상기 케이블 글랜드(50)를 풀 수 없게 되며,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케이블 글랜드(50)을 풀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 글랜드(50)를 푸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 분립기(30) 내의 여지 필터(미도시)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직경이 2.5㎛ 이상의 먼지가 쌓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여지 필터(미도시)를 정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글랜드(50)를 반대 방향으로 회 전시켜 상기 다운 튜브(20)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다운 튜브(20)를 위로 들어 올려 상기 다운 튜브(20)와 상기 제2 분립기(30)를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분립기(30)의 커버를 들어낸 후, 상기 제2 분립기(30)의 내의 여지 필터를 교체해준다. 이때, 상기 미세 먼지 채취 장치는 24시간 가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2 분립기(30)의 여지 필터를 교체하는데 들이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먼저 상기 케이블 글랜드(5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 글랜드(50)를 풀어야 하는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글랜드(50)가 너무 많이 조여 있는 경우, 상기 케이블 글랜드(50)를 푸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립기(30)의 여지 필터를 교체한 후, 다시 상기 케이블 글랜드(50)를 조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2 분립기(30)의 여지 필터를 교체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조작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운 튜브(20)를 상기 제2 분립기(30)와 분리시킨 후, 상기 분립기(30)의 여지 필터를 교체하는 동안 상기 다운 튜브(20)를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여지 필터를 교체하는데 여러 사람(최소 2명)이 동원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운 튜브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터를 이용함으로써, 다운 튜브와 제2 분립기를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운 튜브 지지관의 상부에 다운 튜브를 감싸며 방우 커버를 형성함으로써, 제2 분립기의 여지 필터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 장치는, 외부의 미세 먼지를 채취하는 미세먼지 채취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정 크기 이상의 미세 먼지를 걸러내는 제1 분립기; 상기 제1 분립기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미세먼지 채취장치의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다운 튜브; 상기 다운 튜브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다운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소정 크기 이상의 미세 먼지를 걸러내는 제2 분립기; 상기 외부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다운 튜브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다운 튜브 지지관; 및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의 하단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운 튜브를 수직으로 이동시켜 상기 다운 튜브와 상기 제2 분립기를 분리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터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며, 일단이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지지대;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의 하부에서 상기 다운 튜브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리프터 고정링; 및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며, 일단이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리프터 고정링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미세 먼지 채취 장치는,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의 상부에 상기 다운 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며 형성되며, 상기 다운 튜브와 기밀성을 유지하는 방우 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리프터를 이용하여 다운 튜브와 제2 분립기를 빠른 시간에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분립기 내의 여지 필터를 교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터를 위로 올리는 것만으로 다운 튜브와 제2 분립기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여지 필터를 교체하는 과정이 간단해진다.
또한, 리프터를 올린 상태에서 리프터 고정부를 통해 상기 다운 튜브와 상기 제2 분립기를 상호 이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여지 필터를 교체하는데 드는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방우 커버를 통해 상기 다운 튜브 사이에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여지 필터의 교체 과정에서 빗물 등이 외부 케이스 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 튜브 분리 장치를 구비한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 튜브 분리 장치를 구비한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미세 먼지 채취 장치(100)의 제1 매거진(110-1)에는 '미세 먼지 채취 전의 필터카세트'가 수용되고, 제2 매거진(110-2)에는 '미세 먼지가 채취된 필터카세트'가 수용된다.
상기 제1 매거진(110-1)에 수용된 '미세 먼지 채취 전의 필터카세트'는 필터카세트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한 후, 필터카세트 홀더(120)에 밀착하여 미세 먼지를 채취하게 된다.
그 후, '미세 먼지가 채취된 필터카세트'는 상기 필터카세트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매거진(110-2) 내부로 장입되어 수용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카세트 홀더(120)의 상부 즉, 상기 미세 먼지 채취 장치(100)의 상단에는 제1 분립기(1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분립기(13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 먼지 중 소정의 직경 예를 들어, 10㎛ 이상의 미세 먼지를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분립기(130)의 하부에는 다운 튜브(140)가 결합되는데, 상기 제1 분립기(130)를 통과한 10㎛ 미만의 미세 먼지들이 상기 다운 튜브(140)를 통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다운 튜브(140)는 미세 먼지 채취 장치(100)의 외부 케이스(150)의 상 부면을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다운 튜브(140)의 하단은 제2 분립기(160)와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다운 튜브(140)는 상기 외부 케이스(150)의 상부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데, 상기 다운 튜브(140)의 상단은 상기 제1 분립기(130)와 결합되고, 상기 다운 튜브(140)의 하단은 상기 제2 분립기(160)와 결합된다.
상기 제2 분립기(160)는 상기 다운 튜브(140)를 통해 유입되는 미세 먼지 중 소정의 직경 예를 들어, 2.5㎛ 이상의 미세 먼지를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분립기(160)의 내부에는 여지 필터(미도시)가 존재하며, 상기 2.5㎛ 이상의 미세 먼지는 상기 여지 필터(미도시)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상기 제2 분립기(160)를 통과한 미세 먼지가 상기 필터카세트 필터 홀더(120)에 밀착된 '미세 먼지 채취 전의 필터카세트'에 의해 채취되게 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150)의 상부면에는 다운 튜브 지지관(170)이 고정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150)의 상부면에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미도시)에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170)이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된 다운 튜브 지지관(170)은 상기 외부 케이스(150)의 상부면에 고정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운 튜브(140)는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170)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50)의 상부면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170)은 상기 다운 튜브(14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170)의 상부에는 상기 다운 튜브(140)의 외주면을 감 싸며 방우 커버(180)가 형성된다. 상기 방우 커버(180)의 내부 상단에는 기밀용 오링(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다운 튜브(140)와 상기 방우 커버(18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방우 커버(180)는 상기 다운 튜브(14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여, 빗물 등이 상기 다운 튜브(140)와 상기 방우 커버(180) 사이로 새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방우 커버(180)로 인해 빗물 등이 상기 외부 케이스(150) 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150) 내에 위치한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170)의 하단에는 상기 다운 튜브(140)를 상기 제2 분립기(160)와 분리시키는 리프터(190)가 형성된다.
상기 리프터(190)의 일단은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17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리프터(190)의 타단은 리프터 고정링(20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리프터 고정링(200)은 상기 다운 튜브(14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리프터(190)를 위로 올릴 때, 상기 다운 튜브(140)를 잡고 상부로 함께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프터(19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편의상 다운 튜브 지지관(170)은 외부 케이스(150) 하부에 형성되는 하단부만 표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터(190)는 한 쌍의 제1 지지대(191), 한 쌍의 제2 지지대(192), 연결 부재(193), 리프터 손잡이부(194), 리프터 고정부(195), 및 탄성 부재(196)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191)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191)의 일단은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170)의 하단 양 측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191)와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170)은 제1 결합 부재(197)를 통해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191)의 타단에는 상기 리프터 손잡이부(194)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192)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192)의 일단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191)의 중앙 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191)와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192)는 상기 연결 부재(19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192)의 타단은 리프터 고정링(200)의 양 측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192)와 상기 리프터 고정링(200)은 제2 결합 부재(198)를 통해 고정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192)는 상기 리프터(190)를 위로 올릴 때,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191) 및 상기 리프터 고정링(200)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다운 튜브(140)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192)에는 상기 리프터 고정부(195)가 걸림되는 걸림턱(199)이 형성된다.
상기 리프터 손잡이부(194)는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191)의 타단에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191)를 서로 연결하며 형성된다. 상기 리프터 손잡이부(194)는 사용자가 상기 리프터(190)를 조작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리프터 고정부(195)는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19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리프터 고정부(195)는 사용자가 상기 리프터 손잡이부(194)를 잡고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191)를 위로 올렸을 때, 상기 걸림턱(199)에 걸림되어 상기 리프터(190)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프터 고정부(195)의 일 측에는 탄성 부재(19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196)의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191)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부재(196)의 타단은 상기 리프터 고정부(195)의 일 측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 부재(196)는 상기 리프터 고정부(195)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199)에 걸림될 때, 상기 리프터 고정부(195)가 상기 걸림턱(199)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리프터 고정부(195)에 탄성력을 제공해준다. 상기 탄성 부재(196)로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 튜브 분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다운 튜브(140)의 하단이 상기 제2 분립기(160)의 상단과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분립기(160) 내부의 여지 필터(미도시)는 상기 다운 튜브(140)를 통해 유입되는 2.5㎛ 이상의 미세 먼지를 걸러낸다. 그러 면, 시간이 지날 수록 상기 여지 필터(미도시)에는 2.5㎛ 이상의 미세 먼지가 쌓이게 되며, 따라서 상기 여지 필터(미도시)를 정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여지 필터(미도시)를 교체할 때, 먼저 상기 다운 튜브(140)를 상기 제2 분립기(160)와 분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상기 리프터 손잡이부(194)를 잡고 상기 리프터(190)를 위로 올리게 되면, 상기 리프터(190)의 한 쌍의 제2 지지대(192)와 고정 결합된 리프터 고정링(200)이 상기 다운 튜브(200)를 잡고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리프터(190)의 한 쌍의 제1 지지대(191)가 위로 올려진 높이만큼, 상기 리프터 고정링(200)과 결합된 다운 튜브(14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다운 튜브(140)와 결합된 상기 방우 커버(180)도 상기 다운 튜브(140)가 이동한 높이 만큼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리프터(190)를 위로 올리는 것만으로 상기 다운 튜브(140)와 상기 제2 분립기(160)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다운 튜브(140)를 상기 제2 분립기(160)와 분리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 튜브(140)와 상기 제2 분립기(160)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방우 커버(180)에 어떤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2 분립기(160)의 여지 필터(미도시)를 교체하는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방우 커버(180)는 상기 다운 튜브(140)와 기밀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제2 분립기(160)의 여지 필터(미도시)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빗물이 새어들어갈 염려가 없게 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리프터(190)를 위로 올린 결과 상기 다운 튜브(140)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분립기(160)와 분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리프터 고정부(195)가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192)에 형성된 걸림턱(199)에 걸림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리프터 고정부(195)에 의해 상기 리프터(190)가 해당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다운 튜브(140)도 상기 제2 분립기(16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여지 필터(미도시)를 교체하는 동안 상기 다운 튜브(140)를 사람이 붙잡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되며, 한 사람의 인력만으로도 상기 여지 필터(미도시)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리프터(19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분립기(160)의 커버(161)를 드러낸 후, 상기 제2 분립기(160)의 여지 필터(163)를 교체해준다.
그 후, 상기 제2 분립기(160)의 커버(161)를 결합시키고, 상기 리프터 고정부(195)를 상기 걸림턱(199)에서 떼어낸 후, 상기 리프터(19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다운 튜브(140)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분립기(160)의 상단과 다시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프터(190)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 튜브(140)와 상기 제2 분립기(160)를 빠른 시간에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여지 필터(163)를 교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 경우, 아무런 지장 없이 상기 미세 먼지 채취 장치를 24시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프터(190)를 위로 올리는 것만으로 상기 다운 튜브(140)와 상기 제2 분립기(160)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여지 필터(163)를 교체하는 과정이 간단해진다.
또한, 상기 리프터 고정부(195)를 통해 상기 다운 튜브(140)와 상기 제2 분립기(160)를 상호 이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여지 필터(163)를 교체하는데 드는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미세 먼지 채취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제2 분립기의 여지 필터를 교체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 튜브 분리 장치를 구비한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 튜브 분리 장치를 구비한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 튜브 분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 : 제1 매거진 110-2 : 제2 매거진
120 : 필터카세트 홀더 130 : 제1 분립기
140 : 다운 튜브 150 : 외부 케이스
160 : 제2 분립기 170 : 다운 튜브 지지관
180 : 방우 커버 190 : 리프터
191 : 한 쌍의 제1 지지대 192 : 한 쌍의 제2 지지대
193 : 연결 부재 194 : 리프터 손잡이부
195 : 리프터 고정부 196 : 탄성 부재
197 : 제1 결합 부재 198 : 제2 결합 부재
199 : 걸림턱 200 : 리프터 고정링

Claims (9)

  1. 외부의 미세 먼지를 채취하는 미세먼지 채취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정 크기 이상의 미세 먼지를 걸러내는 제1 분립기;
    상기 제1 분립기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미세먼지 채취장치의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다운 튜브;
    상기 다운 튜브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다운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소정 크기 이상의 미세 먼지를 걸러내는 제2 분립기;
    상기 외부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다운 튜브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다운 튜브 지지관; 및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의 하단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운 튜브를 수직으로 이동시켜 상기 다운 튜브와 상기 제2 분립기를 분리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채취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며, 일단이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지지대;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의 하부에서 상기 다운 튜브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형 성되는 리프터 고정링; 및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며, 일단이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리프터 고정링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채취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의 타단에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를 연결하며 형성되는 리프터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채취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터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에 형성되며, 상기 리프터 고정부가 걸림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채취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리프터 고정부의 일 측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채취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미세먼지 채취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를 위로 들어 올리는 경우, 상기 리프터 고정링과 결합된 상기 다운 튜브가 상기 리프터가 위로 올려진 높이 만큼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분립기와 분리되는, 미세먼지 채취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고정부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리프터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키는, 미세먼지 채취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튜브 지지관의 상부에 상기 다운 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며 형성되며, 상기 다운 튜브와 기밀성을 유지하는 방우 커버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채취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KR1020090114008A 2009-11-24 2009-11-24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KR100955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08A KR100955711B1 (ko) 2009-11-24 2009-11-24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08A KR100955711B1 (ko) 2009-11-24 2009-11-24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711B1 true KR100955711B1 (ko) 2010-05-03

Family

ID=4228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008A KR100955711B1 (ko) 2009-11-24 2009-11-24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123B1 (ko) 2016-01-21 2017-09-28 이종일 미세먼지 채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686A (ja) * 1997-02-28 1998-09-08 Om Kogyo Kk パイプ接続治具
JP2001050870A (ja) 1999-08-13 2001-02-23 Terumu:Kk 気中物質捕集装置
US6192767B1 (en) 1998-07-20 2001-02-27 Andrea Fiorina Aerobiological sampler for airborne particles
KR100760571B1 (ko) * 2001-07-16 2007-09-20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686A (ja) * 1997-02-28 1998-09-08 Om Kogyo Kk パイプ接続治具
US6192767B1 (en) 1998-07-20 2001-02-27 Andrea Fiorina Aerobiological sampler for airborne particles
JP2001050870A (ja) 1999-08-13 2001-02-23 Terumu:Kk 気中物質捕集装置
KR100760571B1 (ko) * 2001-07-16 2007-09-20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123B1 (ko) 2016-01-21 2017-09-28 이종일 미세먼지 채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948B1 (ko) 미세 먼지 및 초미세 먼지의 채취 및 측정 시스템
KR100911160B1 (ko) 필터카세트 메거진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연속 채취장치
JP5226435B2 (ja) 排ガス測定装置および排ガス測定方法
KR20190093474A (ko) 산업용 굴뚝의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0955711B1 (ko) 미세 먼지 채취 장치의 다운 튜브 분리장치
US20050147530A1 (en) Method and detector for identifying effective lifetime of gas scrubber absorbent material, and gas scrubber including the detector
KR20130001755A (ko) 바이오 가스 전처리 시스템
KR101064267B1 (ko)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KR101695647B1 (ko) 파티클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티클 분리방법
KR101440368B1 (ko) 활성탄 회수 분리기
CN208177163U (zh) 一种工业废气检测处理装置
JP2013160692A (ja) 排ガス分析装置
KR100929590B1 (ko) 미세먼지 채취장치
CN213965656U (zh) 一种低硫烟气干法脱硫脱硝除尘装置
CN201596427U (zh) 一种用于耐高温的滤膜颗粒物捕集器
CN210386908U (zh) 一种便于清理的实验室用万向抽气罩
JP2014018790A (ja) 空気清浄化装置のフィルタ装着機構
CN110478993A (zh) 一种生活污泥焚烧烟气的处理系统
CN211864367U (zh) 一种锅炉废气零排放净化机构
CN220656825U (zh) 一种新型手套箱过滤器装置
CN109647192A (zh) 一种用于工业废气的催化与监测一体式装置
CN215178986U (zh) 一种用于环境检测的空气取样装置
CN212275362U (zh) 一种高效的环境空气颗粒物采样装置
CN216395760U (zh) 一种放射性粉尘收集处理系统
CN213334435U (zh) 一种废气净化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