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662B1 - 간이 샤워 시설 - Google Patents

간이 샤워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662B1
KR100955662B1 KR1020090011591A KR20090011591A KR100955662B1 KR 100955662 B1 KR100955662 B1 KR 100955662B1 KR 1020090011591 A KR1020090011591 A KR 1020090011591A KR 20090011591 A KR20090011591 A KR 20090011591A KR 100955662 B1 KR100955662 B1 KR 100955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room
facility
cradl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이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호 filed Critical 이진호
Priority to KR1020090011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47K3/32Collapsibl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8Independent, movable shower units operated by weight, by hand or by foot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의 해체, 제거 작업장에 사용되는 간이 샤워 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 커버, 내피 및 샤워기로 구성되되 상기 내피는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내피의 외부로 석면 등의 오염물질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샤워가 끝난 후 수거하여 폐기처분함으로써 작업자에 대한 철저한 안전과 위생 및 건강 관리뿐만 아니라 작업중 발생한 석면으로부터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간이 샤워 시설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샤워실이 형성되도록 뼈대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지지되는 내피 및 상기 샤워실에 설치되는 샤워기로 구성되는 샤워시설이 구비된 간이 샤워 시설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는 하단부에 구비되어 물을 집수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샤워부로 구성된다.
간이 샤워 시설, 석면, 오염물질, 내피, 지지프레임, 샤워기

Description

간이 샤워 시설{temporary shower facility}
본 발명은 석면의 해체, 제거 작업장에 사용되는 간이 샤워 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 커버, 내피 및 샤워기로 구성되되 상기 내피는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내피의 외부로 석면 등의 오염물질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샤워가 끝난 후 수거하여 폐기처분함으로써 작업자에 대한 철저한 안전과 위생 및 건강 관리뿐만 아니라 작업중 발생한 석면으로부터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간이 샤워 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환경이 열악한 소형공장 등에서 육체적인 노동을 하는 사람들, 야외 건설현장에 종사하는 사람들 또는 여름철에 해수욕장을 찾는 사람들은 노동이나 해수욕 후 신체에 묻게 되는 먼지, 땀 그리고 해수 등을 깨끗이 씻어 신체를 청결하게 유지하고자 한다. 그러나 상기한 대부분의 장소에는 작업자나 물놀이하는 사람이 신체를 씻을 만한 장소가 제공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리고, 요즘에는 근로자의 복지를 위하여 소규모 공장 등에도 사업장 내에 신체를 씻을 수 있도록 샤워시설을 확보하고 있는 실정이나, 영세한 사업장에서는 시설비나, 설치공간 등의 부족으로 이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샤워시설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건물을 개조하거나 신규 건물을 신축하기에는 여러가지 허가절차를 거쳐야 하고, 비용 또한 상당하여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식 간이 샤워장이 개발되었는데, 그 구성은 접철이 가능한 지지대(1)를 연결구(2)에 끼움결합하고, 지퍼로 개폐되게 한 출입문(3a)을 측면에 구비한 가림천(3)의 상단부에 형성된 수 개의 고정고리(3b)를 연결구(2)의 지지봉(2a)에 끼우고 가림천(3)을 조립된 지지대(1)의 사방에 둘러쳐서 매직테이프(31), (32)로 고정하고, 그 내부에 차량용시거잭(41)을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42)와 펌프(43)을 내장한 샤워기(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간이 샤워장은 단순히 샤워만 가능하게 구성되어 석면의 해체,제거 작업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작업장에서 사용할 경우 별도의 탈의실과 갱의실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평상복에 오염물질이 묻게 되어 작업자의 위생 및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내피를 구비하여 석면의 해체, 제거 작업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작업장에서 작업이 끝난 뒤에 샤워를 한 후, 상기 내피를 별도로 수거하고 폐기처분 하도록 하여 석면 오염물질의 배출을 방지하는 간이 샤워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갱의실과 탈의실을 간이 샤워실의 양측에 구비하여 작업복과 평상복을 갈아입을 장소를 별도로 제공하여 작업자에 대한 철저한 안전과 위생 및 건강 관리가 가능한 간이 샤워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샤워실이 형성되도록 뼈대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지지되는 내피 및 상기 샤워실에 설치되는 샤워기로 구성되는 샤워시설이 구비된 간이 샤워 시설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는 하단부에 구비되어 물을 집수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샤워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내피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피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피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내피의 상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조의 후단부에는 거치대가 설치되는 제2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샤워부의 후단부에는 거치대가 설치되는 제1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거치대는 상부 거치대와 하부 거치대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하부 거치대는 힌지결합되어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집수조에는 집수홈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조의 일측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공에는 배수여과장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샤워실의 일측에는 탈의실이 형성되고 상기 샤워실의 타측에는 갱의실이 형성되되, 상기 샤워실과 탈의실, 샤워실과 갱의실 사이에는 분리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막의 하부는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워실과 탈의실, 샤워실과 갱의실 사이에는 공기차단실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분리막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분리막에 형성된 절개부는 서로 엇갈리게 절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내피를 구비하여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작업장에서 작업이 끝난 뒤에 샤워를 한 후, 상기 내피를 별도로 수거하여 폐기처분 하도록 하여 오염물질의 배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갱의실과 탈의실을 간이 샤워실의 양측에 구비하여 작업복과 평상복을 갈아입을 수 있는 장소를 별도로 제공하여 작업자에 대한 철저한 안전과 위생 및 건강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샤워 시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샤워 시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공기차단실이 구비된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샤워 시설의 샤워실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간이 샤워 시설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실(200)뿐만 아니라 탈의실(210)과 갱의실(220)이 더 구비되어 3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데,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는 평범한 공간에서는 샤워실(200)만 있어도 문제가 없지만, 석면을 해체, 제거하는 작업장과 같은 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되는 작업장에서는 간이 샤워 시설을 설치할 때, 샤워실(200)뿐만 아니라 양측에 탈의실(210)과 갱의실(220)을 더 구비하여 작업자가 작업복을 벗고, 샤워를 하고, 평상복을 갈아입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염물질로부터 오염을 방지하고 외부로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비록 작업자가 갱의실(220)에 들어가기 전에 HEPA 필터(High efficiency paticular air fillter)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로 오염물질을 흡입한다 하더라도 오염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복을 벗게 되면 여전히 오염물질이 배출되게 되는데, 상기 오염물질은 상기 갱의실(220)에 형성된 내피(150)의 내부에 남게 되어 일차적으로 오염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이렇게 작업복을 탈의한 작업자는 샤워실(200)로 들어가서 작업자의 몸에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깨끗하게 물로 씻어내게 되는데, 이렇게 씻겨진 오염물질은 별도로 수거하여 폐기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갱의실(220)과 샤워실(200)을 거치면서 작업자의 몸에는 오염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어, 깨끗한 상태로 탈의실(210)에 벗어둔 평상복을 갈아입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인 간이 샤워 시설은 3개의 공간인 탈의실(210), 샤워실(200), 갱의실(220)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공간은 지지프레임(100)과 내피(1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간이 샤워 시설의 뼈대를 이루는 구성으로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이동(휴대)의 편리성을 위하여 1단 또는 다단으로 연결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수평프레임(12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약 200 ~ 230cm 길이로 다단(삽입가능한)의 길죽한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접철식 또는 분리식으로 형성하여 설치나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100cm ~ 125cm 정도 길이로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0)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형상은 일자 형상도 가능하나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수직프레임(11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는 내피(150)가 설치되는데, 상기 내피(15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밀폐되도록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샤워실(200)과 탈의실(210), 샤워실(200)과 갱의실(220) 사이에는 분리막(154)이 형성되어 각각의 공간을 분할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피(150)는 분리막(154)과 하면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보다 완벽하게 밀폐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있는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피(150)의 양측면과 분리막(154)에는 절개부(158)가 형성되어 작업자들의 출입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내피(150)의 상부에는 플랜지(152)가 구비되는데, 상기 플랜지(152)는 끈이나 고리와 같은 연결부재(153)를 사용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20)으로부터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내피(150)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설치하는 이유는 종래의 경우 프레임(100)의 태측이 아닌 외측에만 커버(140)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들이 작업을 완료하고 탈의하거나 샤워중에 옷이나 몸으로부터 제거되는 석면 오염물질이 프레임(100)에 누적되어 커버(140)를 제거하더라도 프레임(100)에는 누적된 오 염물질이 잔류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상기 내피(15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프레임(10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내피(150)만 수거하여 폐기처분하더라도 오염물질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과 내피(150)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나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외부에는 커버(140)를 더 구비하여 보다 완전하게 오염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140)는 불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외측을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커버(140)의 양측에는 출입구(145)가 형성되어 작업자들이 출입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커버(140)는 테이프나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설치하여 간이 샤워 시설을 용이하게 설치, 해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워실(200)과 갱의실(220), 샤워실(200)과 탈의실(210) 사이에는 폭 30cm 정도의 공기차단실(230)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공기차단실(230)은 갱의실(220)과 샤워실(200) 및 샤워실(200)과 탈의실(210) 사이를 단절시켜 오염물질이 다른 공간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차단실(230)의 양측 분리막(154)에 형성된 절개부(158)는 서로 엇갈리게 절개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 출입시 석면 오염물질이 다른 공간으로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작업자가 상기 공간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샤워실(200)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160)가 설치되어 샤워를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샤워기(160)는 샤워부(170), 거치대(180) 그리고 집수조(1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워부(170)는 물이 분사되는 샤워꼭지(174)가 설치되어 샤워를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샤워부(170)의 일측에는 온도조절부(178)가 설치되어 있어 온수를 사용하여 샤워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샤워부(170)의 후단부에는 상기 거치대(180)가 삽입 설치될 제1결합부(172)가 형성되어 설치와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데, 상기 샤워부(170)의 하단부 일측에 바퀴(176)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거치대(180)와 분리한 후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180)는 상부 거치대(182)와 하부 거치대(184)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 거치대(182)와 하부 거치대(184)는 힌지결합으로 체결되어 샤워부(170) 및 집수조(190)와 분리하여 운반할 때 절첩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집수조(190)의 후단부에는 상기 거치대(180)가 삽입 설치되는 제 2결합부(192)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180)의 설치와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집수조(190)에는 다수의 집수홈(194)이 형성되어 용이하게 샤워한 물을 모으게 되고, 상기 집수조(190)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196)가 형성되어 물기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조(190)의 일측에는 배수공(197)이 형성되어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상기 배수공(197)에는 배수여과장치(130)가 연결되어 샤워에 사용된 물을 정수하여 폐기처분함으로써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인 간이 샤워 시설은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석면 해체,제거 작업장과 같은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작업장에 손쉽게 설치하여 작업자들의 위생을 향상시키게 되고, 또한, 작업자의 작업복, 오물이 함유된 물 그리고 내피(150)는 별도로 수거하여 폐기처분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전술된 간이 샤워 시설의 작동관계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작업구역에서 작업을 마친후 HEPA필터가 내장된 진공청소기로 오염물질을 흡입한 후 갱의실(220)로 입장하여 오염물질이 묻어있는 작업복을 별도 구비된 작업복 수거함(미도시)에 벗어두고 내피(150)에 형성된 절개부(158)를 통하여 샤워실(20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샤워실(200)과 갱의실(220) 사이에 형성된 공기차단실(230)을 통과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갱의실(220) 내부에 있는 오염물질은 샤워실(200)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되게 된다.
그리고, 샤워실(200)의 내부에 구비된 샤워기(160)를 사용하여 샤워를 하여 작업자의 몸에 묻어있는 오염물질을 모두 씻어내게 된다.
여기서, 샤워실(200)의 바닥에 설치된 집수조(190)는 다수의 집수홈(194)이 형성되어 있어 오염물질을 씻어낸 물은 집수조(190)의 하부에 고이게 되고, 상기 집수조(190)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공(197)에 의해 별도로 수거되어 배수여과장치(130)에 의해 정수가 이루어진 후 폐기처분하게 된다.
그리고, 샤워를 마친 작업자는 샤워실(200)의 내피(150)에 형성된 절개부(158)를 통하여 탈의실(210)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도 전술된 바와 같이 공기차단실(230)을 통과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샤워실(200)에 남아있는 오염물질이 탈의실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탈의실(210)에서 작업하기 전에 벗어둔 평상복으로 갈아입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면의 해체, 제거 작업장에 사용되는 간이 샤워 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 커버, 내피 및 샤워기로 구성되되 상기 내피는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내피의 외부로 석면 등의 오염물질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샤워가 끝난 후 수거하여 폐기처분함으로써 작업자에 대한 철저한 위생 및 건강 관리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간이 샤워 시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간이 샤워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간이 샤워장의 샤워 장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샤워 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샤워 시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공기차단실이 구비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샤워 시설의 샤워실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조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지프레임 110 : 수직프레임
120 : 상부프레임 130 : 배수여과장치
140 : 커버 145 : 출입구
150 : 내피 152 : 플렌지
153 : 연결부재 154 : 분리막
157 : 관통공 158 : 절개부
160 : 샤워기 170 : 샤워부
172 : 제1결합부 174 : 샤워꼭지
176 : 바퀴 178 : 온도조절부
180 : 거치대
182 : 상부 거치대 184 : 하부 거치대
190 : 집수조 192 : 제2결합부
194 : 집수홈 195 : 집수공
196 : 미끄럼방지돌기 197 : 배수공
200 : 샤워실 210 : 탈의실
220 : 갱의실 230 : 공기차단실

Claims (15)

  1. 샤워실이 형성되도록 뼈대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지지되는 내피 및
    상기 샤워실에 설치되는 샤워기로 구성되는 샤워시설이 구비된 간이 샤워 시설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는 하단부에 구비되어 물을 집수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샤워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피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피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상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의 후단부에는 거치대가 설치되는 제2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샤워부의 후단부에는 거치대가 설치되는 제1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부 거치대와 하부 거치대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하부 거치대는 힌지결합되어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에는 집수홈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조의 일측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에는 배수여과장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실의 일측에는 탈의실이 형성되고 상기 샤워실의 타측에는 갱의실이 형성되되,
    상기 샤워실과 탈의실, 샤워실과 갱의실 사이에는 분리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하부는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실과 탈의실, 샤워실과 갱의실 사이에는 공기차단실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분리막에 형성된 절개부는 서로 엇갈리게 절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샤워 시설.
KR1020090011591A 2009-02-12 2009-02-12 간이 샤워 시설 KR100955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91A KR100955662B1 (ko) 2009-02-12 2009-02-12 간이 샤워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91A KR100955662B1 (ko) 2009-02-12 2009-02-12 간이 샤워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662B1 true KR100955662B1 (ko) 2010-05-06

Family

ID=4228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591A KR100955662B1 (ko) 2009-02-12 2009-02-12 간이 샤워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6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103B1 (ko) 2017-08-04 2017-12-01 김원주 간이 위생 설비
WO2019107944A1 (ko) * 2017-11-30 2019-06-06 임유빈 사방 차단 커튼 대 및 이를 이용한 사방 차단 샤워커튼
WO2021147146A1 (zh) * 2020-01-20 2021-07-29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横梁预制件组件、立柱预制件组件、淋浴房及其安装方法
KR20220055094A (ko) 2020-10-26 2022-05-03 하눌비앤디 주식회사 이동식 위생설비 유니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002Y1 (ko) * 1997-04-29 1999-11-01 양희상 조립식 간이 샤워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002Y1 (ko) * 1997-04-29 1999-11-01 양희상 조립식 간이 샤워장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103B1 (ko) 2017-08-04 2017-12-01 김원주 간이 위생 설비
WO2019107944A1 (ko) * 2017-11-30 2019-06-06 임유빈 사방 차단 커튼 대 및 이를 이용한 사방 차단 샤워커튼
KR20190063802A (ko) * 2017-11-30 2019-06-10 임유빈 사방 차단 커튼 대 및 이를 이용한 사방 차단 샤워커튼
KR102009907B1 (ko) * 2017-11-30 2019-08-12 임유빈 사방 차단 커튼 대 및 이를 이용한 사방 차단 샤워커튼
WO2021147146A1 (zh) * 2020-01-20 2021-07-29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横梁预制件组件、立柱预制件组件、淋浴房及其安装方法
KR20220055094A (ko) 2020-10-26 2022-05-03 하눌비앤디 주식회사 이동식 위생설비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3512A (en) Portable isolation enclosure
CN201958792U (zh) 集尘容器及应用此集尘容器的吸尘机器
KR100955662B1 (ko) 간이 샤워 시설
KR101285409B1 (ko) 건물의 창으로 들어오는 먼지 차단장치
CN106196325A (zh) 一种移动式室内环境洁净机器人
CN215838862U (zh) 一种循环式清洁机器人基站及机器人清洁系统
KR100574901B1 (ko) 공동주택 출입구의 신발 바닥 청소장치
KR100831928B1 (ko) 이동용 목욕차
CN107497782A (zh) 一种纺织机械用去尘装置
CN104548815A (zh) 一种消音空气过滤装置
KR102322052B1 (ko) 미세먼지 대피겸 저감시스템
JP2012065720A (ja) クリーンルームおよびその底床清掃方法
KR20180025348A (ko) 클리닝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필터 장치
CN211475770U (zh) 一种便于清洗的路灯
KR20200066996A (ko) 야외용 미세먼지 거름장치
KR101352719B1 (ko) 다중 및 양면여과가 가능한 연속형 자동재생 공기여과 집진장치
CN210238204U (zh) 一种市政道路排水的过滤装置
KR101291080B1 (ko) 군화 흙 제거장치
JP2002022391A (ja) エアコン洗浄ユニット及び廃液受け用ホッパー
KR101277107B1 (ko) 쓰레기 받이망이 구비된 도로변 빗물 배수시설
KR20120079554A (ko) 에어필터 창문
CN219315594U (zh) 一种施工用路面绿色环保处理装置
KR102105454B1 (ko) 창틀형 공기 여과장치
KR200326126Y1 (ko) 산업용집진장치
CN214891547U (zh) 一种分体落地式房间空调器用过滤网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