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374B1 -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의 자동 녹화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dmb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의 자동 녹화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dmb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374B1
KR100955374B1 KR1020070044856A KR20070044856A KR100955374B1 KR 100955374 B1 KR100955374 B1 KR 100955374B1 KR 1020070044856 A KR1020070044856 A KR 1020070044856A KR 20070044856 A KR20070044856 A KR 20070044856A KR 100955374 B1 KR100955374 B1 KR 100955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mb
program
data signal
ep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392A (ko
Inventor
유철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70044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374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32Convolutional interleaver; Interleavers using shift-registers or delay lines like, e.g. Ramsey type interlea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의 자동 녹화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DMB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DMB 단말기는, DMB 수신부, 점화 신호 발생부, DMB 제어부, 저장부, 방송 신호 처리부, 및 출력 선택부를 포함한다. DMB 수신부는 EPG 신호를 수신하여, EPG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앙상블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DMB 제어부는 점화 신호 발생부의 점화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되어, 상기 EPG 데이터 신호의 프로그램 정보를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에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저장부는 상기 DMB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 상기 EPG 데이터 신호,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저장한다. 방송 신호 처리부는 상기 DMB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 선택부는 상기 선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DMB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저장부와 상기 방송 신호 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DMB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언제라도 자동으로 녹화된 선호 프로그램들을 시청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44856
EPG, 앙상블, 프로그램 타입, DMB

Description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의 자동 녹화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DMB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for the use of a car with a function for recording the preference program of a user automatically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DMB 단말기 및 이와 관련된 장치들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MB 수신부의 상세한 블록 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저장부의 상세한 블록 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송 신호 처리부의 상세한 블록 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방송국 DMB 시스템의 상세한 블록 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DMB 제어부가 방송 신호 처리부에 출력하는 전체 프로그램 타입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DMB 수신부에 입력되는 앙상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DMB 단말기의 선호 프로그램 정보 등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DMB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 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DMB 녹화 모드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DMB 재생 및 녹화 모드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DMB 재생 모드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실시간 DMB 모드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량용 DMB 단말기 110 : DMB 수신부
120 : 키 입력부 130 : 점화 신호 발생부
140 : 저장부 150 : DMB 제어부
160 : 출력 선택부 170 : 방송 신호 처리부
200 : 디스플레이 장치 300 : 스피커
400 : 오디오 장치 500 : AV(Audio and Video) 장치
600 : 내비게이션 장치 BS1∼BSK : 방송국 DMB 시스템
700 : 중계기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MB 단말기는 이동 중인 사용자에게, 방송과 통신을 결합한 형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장치, 차량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들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차량용 DMB 단말기는 차량용 아날로그 TV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방송 수신 품질을 갖기 때문에, 최근에는 차량용 아날로그 TV가 차량용 DMB 단말기로 대체되고 있다. 한편, 차량용 DMB 단말기는 차량 내의 비교적 넓은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소형 및 경량으로 제조되어야 하는 휴대폰 또는 PDA 장치에 적용된 DMB 단말기와는 달리 다양한 추가의 기능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TV용 VCR(Video Cassette Recorder)과 유사하게, 차량용 DMB 단말기는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를 저장하는 녹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녹화 기능이 추가된 차량용 DMB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저장한다. 이처럼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가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차량용 DMB 단말기는 녹화 및 재생 횟수에 상관없이 손실이 적고 선명한 화질의 디지털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DMB 단말기의 녹화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현재 DMB 단말기에 수신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들 중에서,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직접 검색하여 선택한 후,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유하는 차량 내의 다른 기기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AV 장치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가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는 종래의 차량용 DMB 단말기의 녹화 기능을 이용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에 시동이 걸려있는 동안, 오디오 장치, AV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동작과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녹화하여, 사용자가 언제라도 자동으로 녹화된 선호 프로그램들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DMB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에 시동이 걸려있는 동안, 오디오 장치, AV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동작과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녹화하여, 사용자가 언제라도 자동으로 녹화된 선호 프로그램들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DMB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DMB 단말기는, DMB 수신부, 점화 신호 발생부, DMB 제어부, 저장부, 방송 신호 처리부, 및 출력 선택부를 포함한다. DMB 수신부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신호를 디코딩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EPG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DMB 채널을 통하여 복수의 앙상블(ensemble) 신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앙상블 신호를 앙상블 역다중화 및 디코딩하여, 방송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점화 신호 발생부는 차량의 점화 키가 입력될 때, 점화 신호를 발생한다. DMB 제어부는 점화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되어, 상기 DMB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EPG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미리 설정된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에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기입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저장부는 상기 DMB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EPG 데이터 신호를 등록 EPG 데이터 신호로서 저장하고, DMB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기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저장한다. 방송 신호 처리부는 상기 DMB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스트림 역다중화 및 패킷 해제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 선택부는 상기 선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DMB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저장부와 상기 방송 신호 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에 입력된다.
기입 제어 신호는 저장부의 저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는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피커는, 차량용 DMB 단말기, 오디오 장치, AV(Audio and Video) 장치, 및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에 의해 공유된다.
DMB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고, 오디오 장치, AV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비디오 모드 신호를 수신할 때, 오디오 장치, AV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됨을 인식한다. DMB 제어부는 차량용 DMB 단말기, 오디오 장치, AV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중 어떤 것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시킨다.
차량용 DMB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DMB 제어부는 등록 EPG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중에서, 프로그램 타입 정보가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에 일치할 때, 출력 선택부가 방송 데이터 신호를 저장부에 출력하도록 선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저장부가 방송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도록 기입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DMB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차량의 점화 키가 입력될 때, 차량용 DMB 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키는 단계; DMB 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상기 DMB 모드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는 제1 온 단계; 상기 제1 온 단계 이 후, DMB 재생 및 녹화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DMB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비디오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 상기 비디오 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는 제2 온 단계; 상기 비디오 모드가 아닐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키는 오프 단계; 및 상기 제2 온 단계 또는 상기 오프 단계 이 후, DMB 녹화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DMB 단말기 및 이와 관련된 장치들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1에서는, 차량용 DMB 단말기(100)에 관련된 장치들로서, 디스플레이 장치(200), 스피커(300), 오디오 장치(400), AV(audio and video) 장치(500),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600), 중계기(700), 및 방송국 DMB 시스템(BS1∼BSK)(K는 정수)의 개략적인 블록 도가 도시되어 있다. 오디오 장치(400)는 예를 들어, FM 또는 AM 라디오 튜너, 또는 C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V 장치(500)는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차량용 DMB 단말기(100)는 DMB 수신부(110), 키 입력부(120), 점화 신호 발생부(130), 저장부(140), DMB 제어부(150), 출력 선택부(160), 및 방송 신호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DMB 수신부(110)는 FIC(Fast Information Channel; 고속 정보 채널)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신호를 디코딩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EPG 데이터 신호(EPGDS)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EPG 신호는 방송국 DMB 시스템들(BS1∼BSK)에서 각각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각 방송 시간대별 편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각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프로그램의 제목, 채널 정보, 프로그램 타입(또 는 장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DMB 수신부(110)는 DMB 채널을 통하여 복수의 앙상블(ensemble) 신호(ESB1∼ESBK, 도 7참고)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앙상블 신호를 앙상블 역다중화 및 디코딩하여,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출력한다. DMB 수신부(110)의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은 도 2를 참고하여 좀 더 상세히 후술된다.
키 입력부(120)는 복수의 입력 키들(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 키들의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들(KEY1∼KEY9)을 DMB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사용자는 키 입력부(120)의 복수의 입력 키들을 조작하여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DMB 데이터를 녹화하기 위한 입력 키들을 누르면, 키 입력부(120)는 DMB 데이터에 대한 녹화 기능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1)를 DMB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또, 사용자가 녹화된 DMB 데이터(즉,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RDMBDS))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키들을 누르면, 키 입력부(120)는 녹화된 DMB 데이터에 대한 재생 기능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2)를 DMB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입력 키들에 따라, 키 입력부(120)는 방송국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3), 프로그램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4), 차량용 DMB 단말기(100)를 사용하기 위한 DMB 모드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5), 선호 프로그램을 등록하기 위한 기능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6), 선호 프로그램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7), 프로그램의 우선 순위 및/또는 채널의 우선 순위에 대한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8), EPG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9)를 각각 출력한다. 키 입력부(120)는 상기 복수의 입력 키들의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들(KEY1∼KEY9) 외에 추가의 키 입력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점화 신호 발생부(130)는 차량의 점화(ignition) 키가 입력될 때(즉,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 점화 신호(IGN)를 발생한다. 택일적으로, 점화 신호 발생부(130)는 차량의 점화 키의 입력 여부에 따라, 점화 신호(IGN)의 로직 값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DMB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어, DMB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선호 프로그램 정보(FPGM)를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RFPGM)로서 저장한다. 또, 저장부(140)는 DMB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어, DMB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되는 EPG 데이터 신호(EPGDS)를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로서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DMB 제어부(150)로부터 변경된 EPG 데이터 신호(EPGDS)를 수신할 때마다,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를 갱신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DMB 제어부(150)의 요청에 따라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RFPGM) 또는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를 DMB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저장부(140)는 DMB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되는 기입 제어 신호(WCTL)와 기입 어드레스 신호(WADD)에 응답하여, 출력 선택부(16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저장한다. 기입 제어 신호(WCTL)는 저장부(140)의 저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때, 저장부(140)는 저장된 방송 데이터 신호(DMBDS)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녹화 목록 데이터(미도시)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고, DMB 제어부(150)의 요청에 따라 현재까지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녹화 목록 데이터를 DMB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 DMB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되는 판독 제어 신호(RCTL)와 판독 어드레스 신호(RADD)에 응답하여, 자신에 저장된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RDMBDS)를 방송 신호 처리부(170)에 출력한다. 저장부(140)의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은 도 3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히 후술된다.
DMB 제어부(150)는 점화 신호(IGN)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된다. 이 후, DMB 제어부(150)는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는 동안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되어,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각 구성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점화 신호(IGN)에 응답하여,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전원이 온 된다. 또한, DMB 제어부(150)는 점화 신호(IGN)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되면, DMB 수신 제어 신호(RCTL)를 DMB 수신부(110)에 출력한다. DMB 제어부(150)는 오디오 장치(400), AV 장치(500), 및 내비게이션 장치(6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비디오 모드 신호(VMODE1∼VMODE3 중 하나)를 수신하거나, 또는 키 입력부(120)로부터 DMB 모드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5)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신호(DPWR)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신호(DPWR)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온 된다. 결국, 비디오 모드(즉, 사용자가 오디오 장치(400), AV 장치(500), 내비게이션 장치(600), 및 차량용 DMB 단말기(100) 중 어느 하나에 특정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 키 입력부(120)를 통하여 키 입력 조작을 하는 경우) 또는 DMB 모드일 때에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온 되고, 비디오 모드 또는 DMB 모드가 아닐 때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오프 된다. 택일적으로, DMB 제어부(150)는 비디오 모드일 때와 비디오 모드가 아닐 때,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신호(DPWR)의 로직 값을 서로 다르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신호(DPWR)의 로직 값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스피커(300)는 차량용 DMB 단말기(100), 오디오 장치(400), AV 장치(500), 및 내비게이션 장치(600)에 의해 공유된다. 비디오 모드 신호(VMODE1∼VMODE3 중 하나)는 오디오 장치(400), AV 장치(500), 및 내비게이션 장치(6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사용됨을 나타낸다. 또, DMB 제어부(150)는 DMB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되는 EPG 데이터 신호(EPGDS)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미리 설정된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RFPGM)에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 제어 신호(SCTL)를 출력하고, 기입 제어 신호(WCTL)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RFPGM)는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미도시), 프로그램 우선 순위 정보(미도시), 및 채널 우선 순위 정보(미도시)를 포함한다.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DMB 제어부(150)는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중에서, 프로그램 타입 정보가,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RFPGM)의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에 일치할 때, 출력 선택부(160)가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저장부(140)에 출력하도록 선택 제어 신호(SCTL)를 출력한다. 또,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사용하는 동안, DMB 제어부(150)는 상기 비교 결과, 또는 키 입력 신호(KEY1 또는 KEY2)에 응답하여, 기입 제어 신호(WCTL) 및 기입 어드레스 신호(WADD), 또는 판독 제어 신호(RCTL) 및 판독 어드레스 신호(RADD)와, 선택 제어 신호(SCTL), 및 재생 제어 신호(PCTL)를 출력한다. 이때, DMB 제어부(150)는 기입 제어 신호(WCTL) 및 기입 어드레스 신호(WADD), 또는 판독 제어 신호(RCTL) 및 판독 어드레스 신호(RADD)를 저장부(140)에 출력하고, 재생 제어 신호(PCTL)를 방송 신호 처리부(170)에 출력한다. 또, DMB 제어부(150)는 방송국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3) 또는 프로그램(및/또는 채널)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4)에 응답하여, 앙상블 선택 신호(ESLT) 또는 프로그램 선택 신호(PSLT)를 DMB 수신부(11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의 프로그램 타입 정보들 중에서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에 일치하는 프로그램 타입 정보가 복수 개 존재할 때, DMB 수신부(110)가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하나의 프로그램 타입에 대응하는 하나의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출력하도록, DMB 제어부(150)는 미리 등록된 상기 프로그램 우선 순위 정보 및 상기 채널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앙상블 선택 신호(ESLT)와 프로그램 선택 신호(PSLT)를 출력한다.
또, DMB 제어부(150)는 선호 프로그램 등록 기능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6)에 응답하여, 방송 신호 처리부(170)에 전체 프로그램 타입 정보(ALLPTY)를 출력하여, 전체 프로그램 타입 정보(ALLPTY)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 선호 프로그램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7), 또는 프로그램 우선 순위 및 채널 우선 순위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8)에 응답하여, DMB 제어부(15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 정보(FPGM)를 저장부(140)에 출력한다. 그 결과, 저장부(140)가 선호 프로그램 정 보(FPGM)를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RFPGM)로서 저장한다. EPG 표시 기능의 선택을 나타내는 키 입력 신호(KEY9)에 응답하여, DMB 제어부(150)는 저장부(140)로부터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를 판독하여 방송 신호 처리부(170)에 출력한다. 그 결과, 방송 신호 처리부(170)가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한다.
출력 선택부(160)는 DMB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선택 제어 신호(SCTL)에 응답하여, DMB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저장부(140)와 방송 신호 처리부(170) 중 어느 하나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선택 제어 신호(SCTL)가 인에이블 될 때, 출력 선택부(160)가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저장부(140)에 출력하고, 선택 제어 신호(SCTL)가 디세이블 될 때, 출력 선택부(160)가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방송 신호 처리부(170)에 출력한다.
방송 신호 처리부(170)는 DMB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재생 제어 신호(PCTL)에 응답하여, 출력 선택부(160)로부터의 방송 데이터 신호(DMBDS)와 저장부(140)로부터의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RDMBDS) 중, 수신되는 어느 하나를 스트림 역다중화 및 패킷 해제하여, 비디오 신호(VDS)와 오디오 신호(ADS)를 출력한다. 이때, 방송 신호 처리부(170)는 비디오 신호(VDS)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하고, 오디오 신호(ADS)를 스피커(300)에 출력한다. 방송 신호 처리부(170)의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은 도 4를 참고하여 좀 더 상세히 후술된다.
한편, 각 방송국별로 존재하는 방송국 DMB 시스템(BS1∼BSK) 각각은 각 방송 시간대별로 DMB 편성 정보를 포함하는 EPG 신호를 중계기(700)에 출력한다. 중계 기(700)는 방송국 DMB 시스템(BS1∼BSK)으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복수의 EPG 신호를 통합하여, 하나의 EPG 신호를 차량용 DMB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또, 방송국 DMB 시스템(BS1∼BSK) 각각은 각 방송 시간대별로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방송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앙상블 신호(EBS1∼EBSK, 도 7 참고)를 중계기(700)를 통하여 차량용 DMB 단말기(100)에 출력한다. 차량용 DMB 단말기(100)는 방송국 DMB 시스템들(BS1∼BSK)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복수의 앙상블 신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MB 수신부의 상세한 블록 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DMB 수신부(110)는 DMB 수신기(111),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디코더(112), EPG 디코더(113), 앙상블 역다중화기(114), CDI(Convolutional De-Interleaver)(115), 및 RS(Reed-Solomon) 디코더(116)를 포함한다. DMB 수신기(111)는 DMB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되는 DMB 수신 제어 신호(RCTL)에 응답하여,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EPG 신호(EPG)를 수신하여, MOT 디코더(112)에 출력한다. 또, DMB 수신기(111)는 DMB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앙상블 선택 신호(ESLT)에 응답하여, 복수의 앙상블 신호(ESB1∼ESBK)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앙상블 신호(STESB)를 수신하여, 앙상블 역다중화기(114)에 출력한다. MOT 디코더(112)는 MOT 프로토콜 형식의 EPG 신호(EPG)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EPG 신호(DEPG)를 EPG 디코더(113)에 출력한다. EPG 디코더(113)는 디코딩된 EPG 신호(DEPG)를 XML 디코딩하여, EPG 데이터 신호(EPGDS)를 DMB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앙상블 역다중화기(114)는 DMB 수신기(111)로부터 수신되는 선택된 앙상블 신호(STESB)를 앙상블 역다중화하여 복수의 DMB 서비스 스트림(미도시)을 발생하고, 프로그램 선택 신호(PSLT)에 응답하여, 복수의 DMB 서비스 스트림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DMB 서비스 스트림(STDMB)을 출력한다. CDI(115)는 선택된 DMB 서비스 스트림(STDMB)을 콘볼루션 디인터리빙 디코딩 방식에 의해, 오류 정정 및 디코딩하고, 그 디코딩 신호(DESTDMB)를 출력한다. RS 디코더(116)는 디코딩 신호(DESTDMB)를 리드-솔로몬 디코딩 방식에 의해, 오류 정정 및 디코딩하고, MPEG-2 TS(Transport Stream) 형태의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출력 선택부(160)에 출력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저장부의 상세한 블록 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저장부(160)는 제1 내지 제3 메모리(141∼143)를 포함한다. 제1 메모리(141)는 DMB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어, DMB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선호 프로그램 정보(FPGM)를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RFPGM)로서 저장한다. 또, 제1 메모리(141)는 DMB 제어부(150)의 요청에 따라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RFPGM)를 DMB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제2 메모리(142)는 DMB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어, DMB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되는 EPG 데이터 신호(EPGDS)를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로서 저장한다. 또, 제2 메모리(142)는 DMB 제어부(150)의 요청에 따라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를 DMB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제3 메모리(143)는 기입 제어 신호(WCTL)와 기입 어드레스 신호(WADD)에 응답하여, 출력 선택부(16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저장한다. 이때, 제3 메모리(143)는 자신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 신호(DMBDS)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녹화 목록 데이터(미도시)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고, DMB 제어부(150)의 요청에 따라 현재까지 녹 화된 방송 데이터 신호(즉,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녹화 목록 데이터를 DMB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 제3 메모리(143)는 판독 제어 신호(RCTL)와 판독 어드레스 신호(RADD)에 응답하여 자신에 저장된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RDMBDS)를 방송 신호 처리부(170)에 출력한다.
한편, 제3 메모리(143)가 출력 선택부(16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저장하는 동안, DMB 제어부(150)로부터, 기입 어드레스 신호(WADD)에 일치하는 판독 어드레스 신호(RADD)와 함께 판독 제어 신호(RCTL)를 수신하면, 제3 메모리(143)는 이미 저장된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RDMBDS)의 일부(즉, 처음 부분부터 녹화된 부분까지)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면서, 방송 데이터 신호(DMBDS)의 녹화되지 않은 잔여 부분에 대한 저장 동작을 실행한다. 그 결과, 차량용 DMB 단말기(100)는 현재 녹화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처음 부분부터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하면서, 나머지 부분의 녹화를 연속하여 실행하는 타임 쉬프트(time shift)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송 신호 처리부의 상세한 블록 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방송 신호 처리부(170)는 MPEG-2 TS 역다중화기(171), 오디오 패킷 분해기(172), 오디오 디코더(173), 비디오 패킷 분해기(174), 비디오 디코더(175), 및 VDP(Video Display Processor)(176)를 포함한다. MPEG-2 TS 역다중화기(171)는 DMB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재생 제어 신호(PCTL)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예를 들어, 재생 제어 신호(PCTL)가 인에이블 될 때 MPEG-2 TS 역다중화기(171)가 인에이블 되어 동작하고, 재생 제어 신호(PCTL)가 디세이블 될 때 MPEG-2 TS 역다중화 기(171)가 디세이블 된다. MPEG-2 TS 역다중화기(171)는 인에이블 될 때, 출력 선택부(160)로부터의 방송 데이터 신호(DMBDS)와, 제3 메모리(143)로부터의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RDMBDS) 중 수신되는 어느 하나를 MPEG-2 역다중화하여, 오디오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ADPES)과 비디오 PES 패킷(VDPES)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방송 데이터 신호(DMBDS)와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RDMBDS)는 모두 MPEG-2 TS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디오 패킷 분해기(172)는 오디오 PES 패킷(ADPES)을 PES 및 SL(Synchronization Layer) 패킷 분해하여, 오디오 코딩 신호(ADCOD)를 출력한다. 오디오 디코더(173)는 오디오 코딩 신호(ADCOD)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ADS)를 스피커(300)에 출력한다. 비디오 패킷 분해기(174)는 비디오 PES 패킷(VDPES)을 PES 및 SL 패킷 분해하여, 비디오 코딩 신호(VDCOD)를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더(175)는 비디오 코딩 신호(VDCOD)를 디코딩하여, 내부 비디오 신호(IVDS)를 출력한다. VDP(176)는 DMB 제어부(150)로부터의, 전체 프로그램 타입 정보(ALLPTY),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 프로그램 우선 순위 선택 정보(RNK1), 채널 우선 순위 선택 정보(RNK2), 및 녹화 목록 데이터(미도시) 중 수신되는 하나, 또는 내부 비디오 신호(IVDS)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여, 비디오 신호(VDS), 전체 프로그램 타입 신호(VPTY), 등록 EPG 신호(VEPG), 프로그램 우선 순위 선택 신호(VRNK1), 및 채널 우선 순위 선택 신호(VRNK2)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방송국 DMB 시스템의 상세한 블록 도이다. 도 1에 도 시된 방송국 DMB 시스템(BS1∼BSK)의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은 서로 유사하므로, 방송국 DMB 시스템(BS1)의 구성 및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방송국 DMB 시스템(BS1)은 EPG 신호 처리부(710), DMB 데이터 처리부(720), 및 DMB 송신기(730)를 포함한다. EPG 신호 처리부(710)는 EPG 인코더(711), MOT 인코더(712), 및 패킷모드 인코더(713)를 포함한다. EPG 인코더(711)는 방송 시간대별 DMB 편성 데이터(XMLD)를 XML 형식으로 인코딩하여, 인코딩 신호(ENEPG)를 출력한다. MOT 인코더(712)는 인코딩 신호(ENEPG)를 MOT 프로토콜 형식으로 인코딩하여, 인코딩 신호(MEEPG)를 출력한다. 패킷모드 인코더(713)는 인코딩 신호(MEEPG)를 인코딩하여, EPG 신호(EPG)를 출력한다.
DMB 데이터 처리부(720)는 오디오 인코더(721), 오디오 패킷 조립부(722), 비디오 인코더(723), 비디오 패킷 조립부(724), MPEG-2 TS 다중화기(725), CI 및 RS 인코더(726), 및 앙상블 다중화기(727)를 포함한다. 오디오 인코더(721)는 복수의 오디오 신호(ADS1∼ADSJ)(J는 정수)를 각각 인코딩하여, 복수의 인코딩 오디오 신호(ADENC1∼ADENCJ)를 출력한다. 오디오 패킷 조립부(722)는 복수의 인코딩 오디오 신호(ADENC1∼ADENCJ)를 각각 PES 및 SL 패킷 조립하여, 복수의 오디오 PES 패킷(ADPES1∼ADPESJ)을 출력한다. 비디오 인코더(722)는 복수의 비디오 신호(VDS1∼VDSJ)(J는 정수)를 각각 인코딩하여, 복수의 인코딩 비디오 신호(VDENC1∼VDENCJ)를 출력한다. 비디오 패킷 조립부(724)는 복수의 인코딩 비디오 신호(VDENC1∼VDENCJ)를 각각 PES 및 SL 패킷 조립하여, 복수의 비디오 PES 패킷(VDPES1∼VDPESJ)을 출력한다. MPEG-2 TS 다중화기(725)는 복수의 오디오 PES 패킷(ADPES1∼ ADPESJ)과 복수의 비디오 PES 패킷(VDPES1∼VDPESJ)을 각각 다중화하여, MPEG-2 TS 형식의 복수의 방송 데이터 신호(DMBDS1∼DMBDSJ)를 출력한다. CI 및 RS 인코더(726)는 복수의 방송 데이터 신호(DMBDS1∼DMBDSJ)를 콘볼루션 인터리빙 인코딩 방식 및 리드-솔로몬 인코딩 방식에 의해 각각 인코딩하고, 복수의 인코딩 방송 데이터 신호(DMBENC1∼DMBENCJ)를 출력한다. 앙상블 다중화기(727)는 복수의 인코딩 방송 데이터 신호(DMBENC1∼DMBENCJ)를 앙상블 다중화하여, 앙상블 신호(ESB)를 출력한다. DMB 송신기(730)는 패킷모드 인코더(713)로부터 수신되는 EPG 신호(EPG)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중계기(700)에 전송한다. 또, DMB 송신기(730)는 앙상블 다중화기(727)로부터 수신되는 앙상블 신호(ESB)를 DMB 채널을 통하여, 중계기(700)에 전송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DMB 제어부가 방송 신호 처리부에 출력하는 전체 프로그램 타입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참조되는 것과 같이, 각 프로그램 타입 정보는 서로 다른 비트 값을 가지는 2진 코드로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EPG 데이터 신호(EPGDS)에도 2진 코드로 표시된 프로그램 타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DMB 수신부에 입력되는 앙상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방송국 DMB 시스템이 각 방송 시간대별로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방송 데이터 신호들을 하나의 앙상블 신호 형태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앙상블 1(ESB1)"은, 12시에서 13시까지 1시간 동안 방송되는 방송국(MBC)의 프로그램들로서, 뉴스(00001), 교육(00101), ..., 팝 음악(01010)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또, "앙상블 K(ESBK)"는 12에서 13시까지 1시간 동안 방송되는 방송국(KBS1 및 KBS2)의 프로그램들로서, 뉴스(00001), 다큐멘터리(11101), ..., 스포츠(00100)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동작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선호 프로그램 자동 녹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미리 선호 프로그램 및 녹화 우선 순위를 차량용 DMB 단말기(100)에 등록시켜 두어야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DMB 단말기의 선호 프로그램 정보 등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먼저, DMB 제어부(150)가 키 입력부(120)로부터의 키 입력 신호(KEY6)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선호 프로그램 등록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001). 키 입력 신호(KEY6)를 수신하면, DMB 제어부(150)는 선호 프로그램 등록 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전체 프로그램 타입 정보(ALLPTY)를 방송 신호 처리부(170)의 VDP(176)에 출력한다. VDP(176)가 전체 프로그램 타입 정보(ALLPTY)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여, 전체 프로그램 타입 신호(VPTY)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체 프로그램 타입 신호(VPTY)에 기초하여 전체 프로그램 타입 정보(ALLPTY)를 표시한다(단계 1002).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된 전체 프로그램 타입들 중에서, 키 입력부(120)를 통하여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선호 프로그램 타입을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DMB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2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키 입력 신호(KEY7)를 수신한다(단계 1003). 이 후, DMB 제어부(150)는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 타입이 복수 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004). 단계 1004에서, 선택된 선호 프로그래 타입이 복수 개일 때, DMB 제어부(150)는 프로그램 우선 순위 선택 정보(RNK1) 및 채널 우선 순위 선택 정보(RNK2)를 VDP(176)에 출력한다. VDP(176)는 프로그램 우선 순위 선택 정보(RNK1) 및 채널 우선 순위 선택 정보(RNK2)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여, 프로그램 우선 순위 선택 신호(VRNK1) 및 채널 우선 순위 선택 신호(VRNK2)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프로그램 우선 순위 선택 신호(VRNK1) 및 채널 우선 순위 선택 신호(VRNK2)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및 채널 우선 순위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1005). 그 후, DMB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20)로부터 프로그램 및 채널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키 입력 신호(KEY8)를 수신한다(단계 1006).
한편, 단계 1004에서,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 타입이 하나일 때, DMB 제어부(150)는 채널 우선 순위 선택 정보(RNK2)를 VDP(176)에 출력한다. VDP(176)는 채널 우선 순위 선택 정보(RNK2)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여, 채널 우선 순위 선택 신호(VRNK2)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채널 우선 순위 선택 신호(VRNK2)에 기초하여, 채널 우선 순위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1007). 그 후, DMB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20)로부터 채널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키 입력 신호(KEY8)를 수신한다(단계 1008). DMB 제어부(150)는 단계 1003에서 수신한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와, 단계 1006 또는 단계 1008에서 수신한 프로그램 및/또는 채널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선호 프로그램 정보(FPGM)를,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RFPGM)로서 저장부 140)의 제1 메모리(141)에 저장한다(단계 1009). 상기에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우선 순위를 선택하도록 하는 이유는, 동일한 방송 시간대에 차량용 DMB 단말기(100)에 수신되는 프로그램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 프로그램 타입에 일치하는 프로그램이 복수 개일 경우,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녹화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호 프로그램 타입으로서 뉴스와 스포츠 두 가지를 선택한 경우, 동일한 방송 시간대에, 방송국(MBC)의 DMB 채널을 통하여 뉴스 프로그램이, 방송국(KBS1)의 DMB 채널을 통하여 스포츠 프로그램이 각각 차량용 DMB 단말기(100)에 입력될 경우, 최우선 순위의 프로그램 타입(예를 들어, 뉴스)을 미리 설정해둠으로써,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만을 수신하도록 한다. 또, 사용자에게 채널 우선 순위를 선택하도록 하는 이유는, 동일한 방송 시간대에 차량용 DMB 단말기(100)에 수신되는 프로그램들 중에서,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하나의 선호 프로그램 타입에 일치하는 프로그램들이 복수 개의 방송국들로부터 수신될 때, 복수 개의 방송국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녹화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최우선 순위의 프로그램 타입이 뉴스로서 미리 설정되고, 방송국들(MBC, KBS1)의 DMB 채널을 통하여 각각 뉴스 프로그램이 차량용 DMB 단말기(100)에 입력될 경우, 최우선 순위의 채널(예를 들어, KBS1)을 미리 설정해둠으로써,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만을 수신하도록 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차량용 DMB 단말기(100)에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와, 프로그램 및 채널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가 등록된 후, 차량용 DMB 단말기(100)는 차량에 시동이 걸려있는 동안, 자동으로 선호 프로그램의 녹화 동작을 실행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DMB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먼저, 점화 신호 발생부(130)는 차량의 점화 키가 입력될 때, 점화 신호(IGN)를 발생하여, DMB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DMB 제어부(150)는 점화 신호(ING)의 수신 여부에 따라, 차량용 점화 키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001). DMB 제어부(150)는 점화 신호(ING)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되어,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각 구성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점화 신호(ING)에 응답하여,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전원이 온 된다(단계 2002). 이 후, DMB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20)로부터의 키 입력 신호(KEY5)의 수신 여부에 따라, DMB 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003). 단계 2003에서, DMB 모드가 선택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신호(DPWR)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온 시킨다(단계 2004). 이 후, DMB 제어부(150)는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DMB 재생 및 녹화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단계 2005).
한편, 단계 2003에서, DMB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오디오 장치(400), AV 장치(500), 내비게이션 장치(6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비디오 모드 신호(VMODE1∼VMODE3 중 하나)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비디오 모드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006). 단계 2006에서, 비디오 모드로 판단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신호(DPWR)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온 시킨다(단계 2007). 또, 단계 2006에 서, 비디오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즉, 아무런 키 입력 조작이 없는 경우), DMB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신호(DPWR)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오프 된다(단계 2008). 택일적으로, DMB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신호(DPWR)의 로직 레벨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단계 2007 또는 단계 2008 이 후, DMB 제어부(150)는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DMB 녹화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단계 2009).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DMB 녹화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키 입력부(120)로부터 키 입력 신호(KEY5)를 수신하면, DMB 제어부(150)는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DMB 녹화 모드 동작을 종료하도록 제어하고(단계 2011), 단계 2004 및 단계 2005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DMB 녹화 모드 동작 과정(단계 2009)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DMB 제어부(150)는 DMB 수신부(110)에 DMB 수신 제어 신호(RCTL)를 출력한다. DMB 수신 제어 신호(RCTL)에 응답하여, DMB 수신부(110)가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EPG 신호(EPG)를 수신하고, EPG 데이터 신호(EPGDS)를 DMB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DMB 제어부(150)는 EPG 데이터 신호(EPGDS)를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로서 저장부(140)의 제2 메모리(142)에 저장한다. 이 후, DMB 수신부(110)는 EPG 신호(EPG)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여, EPG 데이터 신호(EPGDS)로 변환하고, DMB 제어부(150)는 EPG 데이터 신호(EPGDS)가 변경될 때마다, 그 변경된 EPG 데이터 신호(EPGDS)를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로서 제2 메모리(142)에 갱신 저장한다(단계 2101). 여기에서,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단계 2101의 동작 은 DMB 녹화 모드 동작 과정(단계 2009)이 실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DMB 제어부(150)는 제2 메모리(142)에 저장된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와, 제1 메모리(141)에 저장된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RFPGM)를 각각 판독한다. 이 후, EPG 데이터 신호(REPGDS)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의 프로그램 타입을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RFPGM)에 포함된 선호 프로그램 타입에 비교함으로써,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를 분석한다(단계 2102).
EPG 데이터 신호(REPGDS)에 포함된 프로그램 타입이 선호 프로그램 타입에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DMB 제어부(150)는 EPG 데이터 신호(REPGDS)에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103). 단계 2103에서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단계 2101 내지 단계 2103을 반복 실행한다. 단계 2103에서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출력 선택부(160)가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저장부(140)의 제3 메모리(143)에 출력하도록 선택 제어 신호(SCTL)를 출력한다. 또, 단계 2103에서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EPG 데이터 신호(REPGDS)에 포함된 선호 프로그램이 복수 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104). 단계 2104에서, EPG 데이터 신호(REPGDS)에 포함된 선호 프로그램이 복수 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RFPGM)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우선 순위 정보 및 채널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최우선 순위의 하나의 선호 프로그램을 선택한다(단계 2105). 이때, 최우선 순위의 선호 프로그램의 선택은, DMB 제어부(150)가 DMB 수신부(110)의 DMB 수신 기(111)에 앙상블 선택 신호(ESLT)를 출력하고, DMB 수신부(110)의 앙상블 역다중화기(114)에 프로그램 선택 신호(PSLT)를 출력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방송국 DMB 시스템(BS1)이 복수 개의 채널(예를 들어, KBS1, KBS2, 도 7참고)을 점유한 경우, 프로그램 선택 신호(PSLT)는 하나의 선호 프로그램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와, 채널의 선택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방송국 DMB 시스템(BS1)이 복수 개의 채널(예를 들어, KBS1, KBS2)을 통하여, 동일한 최우선 순위의 프로그램 타입(예를 들어, 뉴스)의 프로그램을 방송할 경우, 프로그램 선택 신호(PSLT)에 응답하여, 앙상블 역다중화기(114)가 최우선 순위 채널(예를 들어, KBS1)의 최우선 순위의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DMB 서비스 스트림(STDMB)만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단계 2104에서, EPG 데이터 신호(REPGDS)에 포함된 선호 프로그램이 복수 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앙상블 선택 신호(ESLT)와, 프로그램 선택 신호(PSLT)를 DMB 수신부(110)에 출력하여, 해당 선호 프로그램을 선택한다(단계 2106). 이 후, DMB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의 제3 메모리(143)에 잔여 저장 공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107). 단계 2107에서, 제3 메모리(143)에 잔여 저장 공간이 존재할 경우, DMB 제어부(150)는 제3 메모리(143)에 기입 어드레스 신호(WADD)를 출력하여, 잔여 저장 공간을 선택한다(2108). 또, 단계 2107에서, 제3 메모리(143)에 잔여 저장 공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DMB 제어부(150)는 제3 메모리(143)에 최초로 저장된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RDMBDS)가 저장된 영역에 대응하는 기입 어드레스 신호(WADD)를 출력하여, 해당 저장 영역을 선 택한다(단계 2109).
DMB 수신부(110)는 앙상블 선택 신호(ESLT)와 프로그램 선택 신호(PSLT)에 응답하여, 단계 2105 또는 단계 2106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수신하여(단계 2110), 출력 선택부(160)에 출력한다. 출력 선택부(160)는 선택 제어 신호(SCTL)에 응답하여, DMB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제3 메모리(143)에 출력한다. 이 후, DMB 제어부(150)가 제3 메모리(143)에 기입 제어 신호(WCTL)를 출력함으로써, 그 수신된 방송 데이터 신호(DMBDS)가 제3 메모리(143)의 선택된 저장 영역(즉, 단계 2108 또는 2109에서 선택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단계 2111). DMB 제어부(150)는 점화 신호 발생부(130)가 점화 신호(IGN)의 발생을 정지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112). 택일적으로, 점화 신호 발생부(130)는 차량의 점화 키 입력 여부에 따라 점화 신호(IGN)의 로직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DMB 제어부(150)는 점화 신호(IGN)의 로직 값에 따라 차량의 점화 키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2112에서,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의 녹화 동작의 제어를 종료하고(단계 2113),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 된다(단계 2114). 또, 단계 2112에서,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 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115). DMB 제어부(150)는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2115에서,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의 녹화 동작의 제어를 종료하고(단계 2116),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117). 단계 2115에서,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단계 2107 내지 단계 2112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단계 2117에서,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 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단계 2114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 단계 2117에서,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 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단계 2102 내지 단계 2112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DMB 재생 및 녹화 모드 동작 과정(단계 2005)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11에서, 단계 2201 내지 단계 2206의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동작 과정은, 도 10을 참고하여 상술한 단계 2101 내지 단계 2106의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동작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단계 2201의 동작은 상술한 단계 2101의 동작과 유사하게, DMB 재생 및 녹화 모드 동작 과정(단계 2005)이 실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한편, 단계 2205 또는 단계 2206 이 후, 타임 쉬프트 기능에 기초하여,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한다(단계 2207).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 프로그램을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이미 녹화중인 경우, DMB 제어부(150)가 기입 어드레스 신호(WADD)에 대응하는 판독 어드레스 신호(RADD)와 함께, 판독 제어 신호(RCTL)를 제3 메모리(143)에 출력한다. 또, DMB 제어부(150)는 출력 선택부(160)가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제3 메모리(143)에 출력하도록 선 택 제어 신호(SCTL)를 출력한다. 제3 메모리(143)는 판독 제어 신호(RCTL)와 판독 어드레스 신호(RADD)에 응답하여, 이미 저장된 선호 프로그램의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RDMBDS)를 처음 부분부터 판독하여 방송 신호 처리부(170)에 출력한다. 그 결과, 방송 신호 처리부(170)가 MPEG-2 TS 형식의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RDMBDS)를 패킷 분해 및 디코딩하여, 비디오 신호(VDS)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하고, 오디오 신호(ADS)를 스피커(300)에 출력한다. 한편, DMB 제어부(150)는 제3 메모리(143)가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RDMBDS)를 방송 신호 처리부(170)에 출력하는 동안, 기입 제어 신호(WCTL)와 기입 어드레스 신호(WADD)를 제3 메모리(143)에 출력하여,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의 녹화되지 않은 잔여 부분이 녹화되도록 제어한다. 그 결과, 제3 메모리(143)는 기입 제어 신호(WCTL)와 기입 어드레스 신호(WADD)에 응답하여, 출력 선택부(16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저장한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 프로그램을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아직 녹화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출력 선택부(160)가 방송 데이터 신호(DMBDS)를 방송 신호 처리부(170)에 출력하도록 선택 제어 신호(SCTL)를 출력한다. 그 결과, 방송 데이터 신호(DMBDS)가 제3 메모리(143)에 저장되지 않은 채, 방송 신호 처리부(170)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스피커(300)를 통하여 출력된다.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단계 2207의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 DMB 제어부(150)는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208). 단계 2208에서,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 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의 표시 및 녹화 동작의 제어를 종료하고,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 된다(단계 2209). 또, 단계 2208에서,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 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되었는지(또는 방송 시간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210). 단계 2210에서,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또는 방송 시간이 종료된 경우), 차량용 DMB 단말기(100)는 단계 2202 내지 단계 2210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또, 단계 2210에서,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차량용 DMB 단말기(100)는 단계 2207 내지 단계 2210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한편, 단계 2203에서,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DMB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20)로부터 키 입력 신호(KEY2)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재생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211). 단계 2211에서, 재생 기능이 선택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DMB 재생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단계 2212).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DMB 재생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DMB 제어부(150)는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연속적으로 판단한다(단계 2213). 단계 2213에서,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 후, DMB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을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214). 단계 2214에서, 사용자가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을 선택한 경우, 차량용 DMB 단말기(100)는 단계 2204 내지 단계 2210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 단계 2214에서, 사용자가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차량용 DMB 단말기(100) 는 단계 2212 내지 단계 2214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한편, 단계 2211에서, 재생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실시간 DMB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단계 2215).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실시간 DMB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DMB 제어부(150)는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연속적으로 판단한다(단계 2216). 단계 2216에서,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 후, DMB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을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217). 단계 2217에서, 사용자가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을 선택한 경우, 차량용 DMB 단말기(100)는 단계 2204 내지 단계 2210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 단계 2217에서, 사용자가 현재 방송중인 선호 프로그램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차량용 DMB 단말기(100)는 단계 2211 내지 단계 2217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DMB 재생 모드 동작 과정(단계 2212)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DMB 제어부(150)는 제3 메모리(143)로부터 녹화된 프로그램 목록을 판독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한다(단계 2301). 이 후, 사용자가 녹화 프로그램 목록을 참고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녹화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DMB 제어부(150)는 선택된 녹화 프로그램의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RDMBDS)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단계 2302). 즉, DMB 제어부(150)는 판독 어드레스 신호(RADD)와 판독 제어 신호(RCTL)를 제3 메모리(143)에 출력하고, 재생 제어 신호(PCTL)를 방송 신호 처리부(170)의 MPEG-2 TS 역다중화기(171)에 출력한다. 이 후, DMB 제어부(150)는 선택된 녹화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303). 단계 2303에서, 선택된 녹화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단계 2302 및 단계 2303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또, 단계 2303에서, 선택된 녹화 프로그램이 종료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304). 단계 2304에서,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단계 2301 내지 단계 2304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또, 단계 2304에서,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을 위한 제어 동작을 종료하고, 차량용 DMB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 된다(단계 2305).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실시간 DMB 모드 동작 과정(단계 2215)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DMB 제어부(150)는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단계 2401). 이 후, 사용자가 등록 EPG 데이터 신호(REPGDS)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참고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DMB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이 차기의 녹화 스케쥴과 무관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402). 단계 2402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이 차기의 녹화 스케쥴과 무관한 경우, DMB 제어부(150)는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 신호(DMBDS)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단계 2403). 단계 2402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이 차기의 녹화 스케쥴과 무관 하지 않을 때, DMB 제어부(150)는 차기의 녹화 스케쥴을 취소할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이 차기의 녹화 스케쥴과 관련된 경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택된 프로그램이 차기의 녹화 스케쥴과 관련된 경우는 선택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국과 차기에 녹화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국이 서로 다른 경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국이 MBC이고, 차기에 녹화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국이 KBS일 때,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선택된 프로그램의 방송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DMB 수신부(110)가 방송국(MBC)에서 제공하는 앙상블 신호(ESB1)를 수신해야 한다. 하지만 차량용 DMB 단말기(100)가 차기의 스케쥴에 따라 녹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DMB 수신부(110)가 방송국(KBS)에서 제공하는 앙상블 신호(ESBK)를 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선택된 프로그램의 방송을 더 이상 표시할 수 없게 된다. 또, 선택된 프로그램이 차기의 녹화 스케쥴과 관련된 경우는 선택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과 차기에 녹화될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서로 겹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2402 이 후, DMB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차기의 녹화 스케쥴이 취소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404). 단계 2404에서, 차기의 녹화 스케쥴이 취소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단계 2403의 동작을 실행하고, 차기의 녹화 스케쥴이 취소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단계 2401 및 단계 2402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한편, 단계 2403의 동작이 실행되는 동안, DMB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20)로부터 키 입력 신호(KEY4)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시청 프로그램의 재선택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405). 단계 2405에서, 시청 프로그램이 재선택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선택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406). 단계 2406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종료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단계 2401 내지 단계 2405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단계 2406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단계 2403 내지 단계 2406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또, 단계 2405에서, 시청 프로그램이 재선택되는 경우, DMB 제어부(150)가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407). 단계 2407에서,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 되지 않은 경우, DMB 제어부(150)는 단계 2401 내지 단계 2407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또한, 단계 2407에서, 차량의 점화 키가 오프 된 경우, DMB 제어부(150)는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데이터 신호(DMBDS)의 표시 제어 동작을 종료하고, 차량용 DMB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 된다(단계 2408).
상술한 것과 같이, 차량용 DMB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최우선 순위의 선호 프로그램 타입에 해당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는 동안 자동으로 녹화하므로, 사용자가 언제라도 자동으로 녹화된 선호 프로그램들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DMB 단말기(100)는 비디오 모드 또는 DMB 모드인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온 시키므로, 운전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 운전을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DMB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차량에 시동이 걸려있는 동안, 오디오 장치, AV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동작과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녹화하여, 사용자가 언제라도 자동으로 녹화된 선호 프로그램들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신호를 디코딩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EPG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DMB 채널을 통하여 복수의 앙상블(ensemble) 신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앙상블 신호를 앙상블 역다중화 및 디코딩하여, 방송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DMB 수신부;
    차량의 점화 키가 입력될 때, 점화 신호를 발생하는 점화 신호 발생부;
    상기 점화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되어, 상기 DMB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EPG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미리 설정된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에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기입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DMB 제어부;
    상기 DMB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EPG 데이터 신호를 등록 EPG 데이터 신호로서 저장하고, 상기 DMB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기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DMB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스트림 역다중화 및 패킷 해제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선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DMB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저장부와 상기 방송 신호 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출력하는 출력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입 제어 신호는 상기 저장부의 저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고, 상기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는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에 입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스피커는, 차량용 DMB 단말기, 오디오 장치, AV(Audio and Video) 장치, 및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에 의해 공유되고,
    상기 DMB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오디오 장치, 상기 AV 장치, 및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비디오 모드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오디오 장치, 상기 AV 장치, 및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됨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용 DMB 단말기, 상기 오디오 장치, 상기 AV 장치, 및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중 어떤 것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시키고,
    상기 차량용 DMB 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상기 DMB 제어부는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상기 프로그램 정보 중에서, 프로그램 타입 정보가 상기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에 일치할 때, 상기 출력 선택부가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선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저장부가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도록 상기 기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용 DMB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 키들의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들을 출력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DMB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신호들은 녹화 기능의 선택을 나타내는 제1 키 입력 신호, 재생 기능의 선택을 나타내는 제2 키 입력 신호, 방송국의 선택을 나타내는 제3 키 입력 신호, 프로그램의 선택을 나타내는 제4 키 입력 신호, 및 DMB 모드의 선택을 나타내는 제5 키 입력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DMB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또는 상기 제1 또는 제2 키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부의 기입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기입 제어 신호, 또는 저장부의 판독 어드레스 신호 및 판독 제어 신호와, 상기 선택 제어 신호와, 재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3 키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앙상블 선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4 키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용 DMB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MB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모드 신호 또는 상기 제5 키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온 되고,
    상기 비디오 모드 신호는, 상기 오디오 장치, 상기 AV 장치, 및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됨을 나타내는 차량용 DMB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 우선 순위 정보, 및 채널 우선 순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 입력 신호는 선호 프로그램 등록 기능의 선택을 나타내는 제6 키 입력 신호와, 선호 프로그램의 선택을 나타내는 제7 키 입력 신호, 및 프로그램 우선 순위 또는 채널 우선 순위의 선택을 나타내는 제8 키 입력 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DMB 제어부는, 상기 제6 키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신호 처리부에 전체 프로그램 타입 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전체 프로그램 타입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7 및 제8 키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호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로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차량용 DMB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신호는 EPG 표시 기능의 선택을 나타내는 제9 키 입력 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DMB 제어부는 상기 DMB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EPG 데이터 신호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변경된 EPG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로서 갱신 저장하고, 상기 제9 키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를 판독하고 상기 방송 신호 처리부에 출력하여,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DMB 단말기.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에 일치하는 복수의 프로그램 타입 정보가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에 포함될 때, 상기 DMB 제어부는 상기 DMB 수신부가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하나의 프로그램 타입에 대응하는 방송 데이터 신호를 상기 출력 선택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프로그램 우선 순위 정보 및 상기 채널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앙상블 선택 신호와 상기 프로그램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DMB 단말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MB 제어부는 상기 점화 신호에 응답하여, DMB 수신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DMB 수신부는,
    상기 DMB 수신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EPG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앙상블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앙상블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앙상블 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기;
    상기 DMB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 형식의 상기 EPG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EPG 신호를 출력하는 MOT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EPG 신호를 XML 디코딩하여, 상기 EPG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 는 EPG 디코더;
    상기 DMB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선택된 앙상블 신호를 앙상블 역다중화하여 복수의 DMB 서비스 스트림을 발생하고, 상기 프로그램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DMB 서비스 스트림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DMB 서비스 스트림을 출력하는 앙상블 역다중화기;
    상기 선택된 DMB 서비스 스트림을 콘볼루션 디인터리빙 디코딩 방식에 의해, 오류 정정 및 디코딩하고, 그 디코딩 신호를 출력하는 CDI(Conolutional De-Interleaver); 및
    상기 디코딩 신호를 리드-솔로몬 디코딩 방식에 의해, 오류 정정 및 디코딩하고, MPEG-2 TS(Transport Stream) 형태의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RS(Reed-Solomon) 디코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DMB 단말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DMB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선호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로서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상기 DMB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EPG 데이터 신호를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로서 저장하는 제2 메모리; 및
    상기 기입 제어 신호와 상기 기입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선택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판독 제어 신호와 상기 판독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에 저장된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 는 제3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메모리가 상기 출력 선택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는 동안, 상기 DMB 제어부로부터, 상기 기입 어드레스 신호에 일치하는 상기 판독 어드레스 신호와 함께 상기 판독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3 메모리는 이미 저장된 상기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의 저장 동작을 실행하는 차량용 DMB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처리부는,
    상기 재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선택부로부터의 상기 방송 데이터 신호와, 상기 제3 메모리로부터의 상기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 중 수신되는 어느 하나를 MPEG-2 역다중화하여, 오디오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과 비디오 PES 패킷을 출력하는 MPEG-2 TS 역다중화기;
    상기 오디오 PES 패킷을 PES 및 SL(Synchronization Layer) 패킷 분해하여, 오디오 코딩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패킷 분해기;
    상기 비디오 PES 패킷을 PES 및 SL 패킷 분해하여, 비디오 코딩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패킷 분해기;
    상기 오디오 코딩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더;
    상기 비디오 코딩 신호를 디코딩하여, 내부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더; 및
    전체 프로그램 타입 정보,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 및 상기 내부 비디오 신호 중 수신되는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여, 전체 프로그램 타입 신호, 또는 등록 EPG 신호, 또는 상기 비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VDP(Video Display 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DMB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 신호들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전체 프로그램 타입 정보를 상기 VDP에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 신호들 중 다른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메모리로부터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VDP에 출력하는 차량용 DMB 단말기.
  12. 차량의 점화 키가 입력될 때, 차량용 DMB 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키는 단계;
    DMB 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상기 DMB 모드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는 제1 온 단계;
    상기 제1 온 단계 이 후, DMB 재생 및 녹화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DMB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비디오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
    상기 비디오 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는 제2 온 단계;
    상기 비디오 모드가 아닐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키는 오프 단계; 및
    상기 제2 온 단계 또는 상기 오프 단계 이 후, DMB 녹화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DMB 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MB 녹화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등록 EPG 데이터 신호를 저장부에 갱신 저장하는 단계;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미리 설정된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에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 단계; 및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에, 상기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할 때, 상기 선호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방송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는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 프로그램 우선 순위 정보, 및 채널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판단 단계에서,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타입 정보가 상기 선호 프로그램 타입 정보에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되는 차량용 DMB 단말기의 동작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MB 재생 및 녹화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등록 EPG 데이터 신호를 저장부에 갱신 저장하는 단계;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미리 설정된 등록 선호 프로그램 정보에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에, 상기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할 때, 상기 선호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방송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등록 EPG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에, 상기 선호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을 때, 재생 기능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생 기능이 선택될 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녹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녹화 방송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기능이 선택되지 않을 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방송중인 프로그램들 중 하나에 해당하는 방송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DMB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070044856A 2007-05-09 2007-05-09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의 자동 녹화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dmb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0955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856A KR100955374B1 (ko) 2007-05-09 2007-05-09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의 자동 녹화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dmb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856A KR100955374B1 (ko) 2007-05-09 2007-05-09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의 자동 녹화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dmb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392A KR20080099392A (ko) 2008-11-13
KR100955374B1 true KR100955374B1 (ko) 2010-04-29

Family

ID=4028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856A KR100955374B1 (ko) 2007-05-09 2007-05-09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의 자동 녹화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dmb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3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916A (ko) * 1999-07-23 2001-02-15 윤종용 텔레비전 방송을 재생/녹화하기 위한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32323A (ko) * 2003-10-01 2005-04-07 실리샌드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KR20050037774A (ko) * 2003-10-20 2005-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컨텐츠 저장과 이용을 위한장치 및 방법
KR20060027496A (ko) * 2004-09-23 2006-03-28 한국디엠비 (주) 무선 데이터망 시스템을 이용한 dmb 방송 알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916A (ko) * 1999-07-23 2001-02-15 윤종용 텔레비전 방송을 재생/녹화하기 위한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32323A (ko) * 2003-10-01 2005-04-07 실리샌드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KR20050037774A (ko) * 2003-10-20 2005-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컨텐츠 저장과 이용을 위한장치 및 방법
KR20060027496A (ko) * 2004-09-23 2006-03-28 한국디엠비 (주) 무선 데이터망 시스템을 이용한 dmb 방송 알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392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877B1 (ko) 프로그램 재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4882960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US8020189B2 (en) Fast adaptive channel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fast adaptive channel converting method
US201101674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007881B1 (ko) 방송 프로그램의 연속 녹화 제어 방법
JP2007096508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897496B1 (ko) 방송 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
JP2006295868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101370347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06442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56339A1 (en) Electric program guide receiving apparatus, digital television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0002397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video recorder services on a portable wireless device
KR100955374B1 (ko)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의 자동 녹화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dmb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9544651B2 (en) Information reception apparatus,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computer program for information reception,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KR20130126992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200435688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10011266A (ja) データ放送受信装置及び携帯型機器
US20050141353A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KR100630248B1 (ko) 정보 송신 장치 및 그 방법, 정보 수신 장치 및 그 방법과 매체
US20080005762A1 (en) Data broadcast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JP2007181104A (ja) 放送受信装置
KR10073709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106271A (ko) 디지털 tv 수신기에서 채널 검색 방법
KR10042610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서비스 전환방법 및디지털 방송 서비스 정보 제공방법
KR10101083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선호 방송 기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