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320B1 -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320B1
KR100954320B1 KR1020090020827A KR20090020827A KR100954320B1 KR 100954320 B1 KR100954320 B1 KR 100954320B1 KR 1020090020827 A KR1020090020827 A KR 1020090020827A KR 20090020827 A KR20090020827 A KR 20090020827A KR 100954320 B1 KR100954320 B1 KR 100954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r
triple jump
triple
utiliza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주
Original Assignee
정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주 filed Critical 정은주
Priority to KR102009002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6Training devices for jumping; Devices for balloon-jumping; Jumping a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8Skating
    • A63B2244/183Artistic or figure sk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느 장소에서나 트리플 점프 및 회전 등의 몸동작을 안전하면서도 자유롭게 연습을 할 수 있게 하여 실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트리플 점프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하단에 양측으로 걸고리(11)를 갖는 지지틀(10); 상기 지지틀(10)의 상단 중앙부에 연결줄(30)을 매달 수 있으면서 지지틀(20)이 좌우 회전되도록 구비하는 회동수단(20); 상기 양 걸고리(11)에 걸어져 사용자를 안전하게 매달 수 있도록 착용벨트(40)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수단(20)을 천정 등 상부에 구비되는 도르레(50)를 통해 연결줄(30)로 걸어서 연습자가 트리플 점프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품은 빙상을 활주하면서 여러 가지 곡선도를 그리는 피겨스케이팅이나 프리스케이팅 등에서 높은 점수를 부여받는 트리플 점프 연습기로 활용될 수 있다.
피겨스케이팅, 점프연습기, 회동수단

Description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sport apparatus for triple jump}
본 발명은 트리플 점프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빙상을 활주하면서 여러 가지 곡선도를 그리는 피겨스케이팅이나 프리스케이팅 등에서 높은 점수를 부여받는 트리플 점프 연습기로 활용될 수 있다.
피겨스케이팅은 댄스뮤직을 깔아 넣으면서 자유롭고 우아하게 리듬에 맞추어 하는 스케이팅으로 테크니컬 메리트(technical merit)에서 기술수준이 높은가, 독창적인 가치가 있는 스케이팅으로 짜여져 있는가, 짜임새는 풍부한가, 안정되고 또한 확실한 연기인가 하는 점 등의 난이도에 따라 점수가 부여된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피겨스케이팅이나 프리스케이팅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트리플을 우아하고 유연하게 소화해내기 위해 사용되는 점프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트리플 점프를 할 때 사고를 방지하고, 몸 동작의 착지 자세를 유연하게 하도록 수없는 반복되는 연습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트리플 점프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 종목 중 일례로 피겨스케이팅에서는 고난이도를 요구하는 트리풀 점프는 점프하여 공중에서 수회 회전한 후 착지하는 동작으로 점프 및 회 전, 착지의 각 동작 등이 필요로 하고 있는 바, 동호회나 선수들이 트리풀 점프 동작을 몸에 익히기 위하여 빙판에서 연습할 때 고관절, 발목 등의 부상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어린 학생들이 피겨스케이팅이나 프리스케이팅을 연습할 때 부상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연습을 하는 경우 먼저 정신적인 두려움을 떨치지 못하여 마음먹은 대로 충분한 연습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빙판이 아닌 실내에서도 트리풀 점프 등을 연습하는데 있어서도 고관절이나 발목부상 등의 두려움으로 일부분의 몸 동작만 제한적으로 연습하게 되어 실력 향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본 발명은 피겨스케이팅이나 프리스케이팅과 같이 빙판이나 또는 실내에서 또는 야외에서 트리플 점프 등의 몸 동작을 안전하면서도 고관절이나 발목부상 등의 두려움을 떨쳐내고 자유롭게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실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트리플 점프 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단에 양측으로 걸고리를 갖는 지지틀의 상단 중앙부에 연결줄을 걸수 있으면서 지지틀이 좌우 회전되도록 하는 회동수단을 구비함과, 상기 회동수단은 베어링이 내입되어 위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한 지지케이스에 축설하여 하부에 너트로 체결되어 회전되도록 아이볼트를 구비함과, 상기 양 걸고리에 걸어져 사용자를 안전하게 매달 수 있도록 착용벨트를 구비하여 상기 아이볼트를 천정에 구비되는 도르레 등을 인용한 연결줄로 사용자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한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트리플 점프연습기에 의하여 어느 실내에서나 두려움이 없이 고관절이나 발목부상 등의 우려를 배제하고 안전하게 몸 동작의 기술을 습득하여 더 나은 기교를 창출할 수 있어 실력 향상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만 아니라 부상 위험성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확대 구성도를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원 구성의 특징을 살펴보면, 본원에서 제공되는 트리플 점프연습기(S)는,
*하단에 양측으로 걸고리(11)를 갖는 지지틀(10)의 상단 중앙부에 연결줄(30)을 매달 수 있으면서 지지틀(10)이 좌우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회동수단(20)을 구비하고, 상기 양 걸고리(11)에 걸어져 사용자를 안전하게 매달 수 있도록 착용벨트(40)를 구비하여 천정등 상부에 위치하는 도르레(50)를 통해 연결줄(30)로 사용자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틀(10)은 도면상에 삼각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자 형상이나 마름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수단(20)은,
베어링(22)이 내입되어 위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한 지지케이스(21)에 위에서 삽입되게 축설하여 하부에 너트(23)로 체결되어 회전되도록 아이볼트(24)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품은, 연습자를 착용벨트(40)에 의하여 몸에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코치나 보조자가 연결줄을 잡아당기어 도르레(50)에 의하여 연습자를 음악의 리듬에 맞춰 임의로 승,하강시키며 착지연습을 시킬 수 있고, 연습자는 회동수단(20)에 의하여 좌우로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착지시에 부상에 대한 두려움을 배제하고 연습에 전념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습자의 트리플 점프 등 몸동작을 할 때 그 몸 동작에 맞추어 코치나 보조자가 연결줄을 승하강시키어 주게 되고 연습자가 공중에서 회전을 하면 회동수단(20)에 의하여 자연히 회동되어져 원하는 몸동작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고 연습자가 바닥에 착지할 때도 그에 맞게 연결줄(30)의 조절로 연습자가 다치지 않도록 조절하게 되어 두려움이 없이 안전하게 몸 동작의 기술을 습득하여 보다 스킬과 기교를 창출할 수 있어 실력 향상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점프 연습용구를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제시된 트리플 점프연습기(S)를 천정에 직접 장착이 어려운 경우에 본 발명의 트리플 점프 및 회전 연습기(S)를 조립식 형태의 부품으로 제공하여 야외에서나 실내 등에서 조립식 부품을 조립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실내에서 일측 벽면에 앵카에 의하여 부착할 수 있는 종 받침대(60)의 상단으로 마련되는 횡바(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어지는 입출바(62)를 갖고, 횡바(61) 및 입출바(62)에 도르레(50)를 각각 부착하여 연결줄(30)을 걸어 트리플 점프연습기(S)의 연결줄(30)이 지지되도록 하고,
또한 종 받침대(60)는 적정간격으로 분리되어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64)에 의하여 체결구로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시에는 도 3과 같이 조립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 이동 운반사에는 조립식으로 접어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종 받침대(60)에 횡바(61)를 받칠수 있도록 보강대(63)를 부착하여 견고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구성은 건물의 외벽이나 실내에 도르레(50)가 설치하기 곤란한 장소에서 벽면에 설치되는 종 받침대(60)의 상단에 구비한 입출바(62)에 도르레(50)가 구비되어 있어 트리플 점프연습기(S)를 연결줄(30)로 연결하여 승하강시킬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종 받침대(60)가 끼워 지지되는 삽입관(71)을 구비한 베이스(70)를 구비하여 종 받침대(60)를 지면에 세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베이스(70)에는 사용자의 중량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별도의 중량체(80)를 올려 놓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고, 야외에서 중량체를 구비하기 어려운 상황이면 자동차의 타이어를 통하여 중량체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의 구성은 벽면이 없는 야외에서 트리픔 점프를 연습할 경우 상기 종 받침대(60)를 세워 지지하는 베이스(70)를 구비함으로서 야외에서도 트리플 점프연습기(S)를 사용하여 실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3과 도 4에서는 운동코치가 연결줄(30)을 잡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조력자가 없는 경우 선수 자신이 연결줄(30)을 보강대(63)위치나 삽입관(71) 위치 등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고 혼자서 연습하는 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지지틀에 구비되는 회동수단의 확대 단면도
도 3,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 트리플 점프연습기
10: 지지틀 20: 회동수단
30: 연결줄 40: 착용벨트
50: 도르레 60: 받침대
61: 횡바 62: 입출바

Claims (3)

  1.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종 받침대(60);
    상기 종 받침대의 상단에 형성된 횡바(61);
    상기 횡바에 끼워져 체결구로 고정되는 입출바(62);
    상기 입출바(62)에 부착된 도르레(50);
    하단에 양측으로 걸고리(11)를 갖는 지지틀(10);
    상기 도르레(50)와 연결줄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틀(10)이 좌우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상기 지지틀(10)의 상단 중앙부에 구비되는 회동수단(20); 및
    상기 양 걸고리(11)에 걸어지는 착용벨트(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 받침대(60)를 끼워 지지하는 삽입관(71)을 갖는 베이스(70)를 구비하여 종 받침대(60)를 지면에 세워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 받침대(60)는 적정간격으로 분리되어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64)에 의하여 체결구로 탈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KR1020090020827A 2009-03-11 2009-03-11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KR100954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827A KR100954320B1 (ko) 2009-03-11 2009-03-11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827A KR100954320B1 (ko) 2009-03-11 2009-03-11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320B1 true KR100954320B1 (ko) 2010-04-26

Family

ID=4222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827A KR100954320B1 (ko) 2009-03-11 2009-03-11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3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61632A1 (es) * 2012-11-19 2014-05-20 Universidad De Extremadura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deslizamiento deportivo
ES2624632A1 (es) * 2017-03-29 2017-07-17 Universidad De Extremadura Mejoras introducidas en la solicitud de patente de invención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deslizamiento deportiv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0175A (en) 1981-07-17 1983-10-18 Shamp Ellis W Safety suspension unit and harness for developing jumps in figure skating
US4449716A (en) 1982-09-29 1984-05-22 Goldy Robert I Training device for athletes
US20050026757A1 (en) 2003-07-30 2005-02-03 Creary Nya A. Aerial exercising device and method
KR100889640B1 (ko) 2008-09-30 2009-03-20 정은주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0175A (en) 1981-07-17 1983-10-18 Shamp Ellis W Safety suspension unit and harness for developing jumps in figure skating
US4449716A (en) 1982-09-29 1984-05-22 Goldy Robert I Training device for athletes
US20050026757A1 (en) 2003-07-30 2005-02-03 Creary Nya A. Aerial exercising device and method
KR100889640B1 (ko) 2008-09-30 2009-03-20 정은주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61632A1 (es) * 2012-11-19 2014-05-20 Universidad De Extremadura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deslizamiento deportivo
ES2624632A1 (es) * 2017-03-29 2017-07-17 Universidad De Extremadura Mejoras introducidas en la solicitud de patente de invención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deslizamiento deportiv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79439A (en) Side horse training device
US5577984A (en) Frame for a variable impact therapy system
US20230013635A1 (en) Multi-purpose adjustable-incline climbing wall
JP2007130368A (ja) 機能回復訓練装置
CN109966707A (zh) 一种蹲起训练附带锻炼手臂肌肉的训练装置
KR100954320B1 (ko)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KR100889640B1 (ko)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
JP2017153667A (ja) 歩行訓練装置
KR101078058B1 (ko) 재활 트레이닝 룸
JP6901761B2 (ja) 雪上滑走スポーツ訓練装置
CN207101738U (zh) 一种用于运动、娱乐和vr游戏或体验的悬挂装置
KR20140033835A (ko) 실내용 평행봉 거치 기구
RU180810U1 (ru) Пристенный спортивный тренажер
RU107700U1 (ru) Дачный спортивно-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RU63694U1 (ru) Детский спортивный комплекс
KR200429261Y1 (ko) 외줄타기용 민속운동기구
RU133425U1 (ru) Семейный тренажер
KR102135978B1 (ko) 완강기 실습용 훈련장치
RU212526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развития вестибулярного аппарата
CN111603729B (zh) 一种康复科用平衡感训练装置
CN209734830U (zh) 托马斯全旋辅助训练装置
RU2443449C1 (ru) Тренировочный комплекс
RU64089U1 (ru) Подвесные качели
CN208990181U (zh) 一种篮球移动训练装置
CN208975102U (zh) 一种锻炼用立柱式搁腿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