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862B1 -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862B1
KR100953862B1 KR1020070072531A KR20070072531A KR100953862B1 KR 100953862 B1 KR100953862 B1 KR 100953862B1 KR 1020070072531 A KR1020070072531 A KR 1020070072531A KR 20070072531 A KR20070072531 A KR 20070072531A KR 100953862 B1 KR100953862 B1 KR 100953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haff
drying chamber
grinding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348A (ko
Inventor
김상돈
Original Assignee
김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돈 filed Critical 김상돈
Priority to KR1020070072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8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09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6Mills provided with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8Use of auxiliary physical effects, e.g. ultrasonics, irradiation, for disintegrating
    • B02C19/186Use of cold or heat for disinteg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8Non-mechanical pretreatment of the charge, e.g. desulfurization
    • C10B57/10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열 파이프의 원주상으로 형성된 열교환부의 방열핀이 건조실의 내부에서 180∼200℃의 온도를 발생하도록 가열하고, 상기의 방열핀과 접하는 중에 왕겨가 하향 이동하면서 진공 건조된 후 하단 분쇄실에 대수 배열한 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200∼300 메시의 크기로 분쇄되어 수분의 흡수율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의 원료로 가공하도록 한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양측에 하나 이상씩 설치한 버너에서 각각 다수의 열 파이프의 일측으로 열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열기를 공급받는 다수의 열 파이프의 타측은 건조실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절곡하면서 180∼200℃의 온도로 가열되는 열교환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의 열 파이프의 열교환부는 외면을 따라 경사지게 방열핀을 원주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열 파이프의 방열핀이 서로 접하도록 하고,
외부의 호퍼로부터 상부의 자바라관을 통해 연결된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왕겨가 상기 열 파이프의 방열핀을 따라서만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건조실의 외부에는 진동모터를 설치하여 상단의 자바라 관과 하단의 고무패킹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면서 위쪽으로부터 공급되는 왕겨가 내부에서 방열핀을 따라 이동하는 시간이 7∼10분 정도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건조실의 하단에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한 타공판으로 형성하여 건조된 왕겨가 하단의 분쇄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건조실과 사이에 고무패킹을 끼우면서 볼트체결로 결합되는 하단의 일반적인 분쇄실에는 다수의 분쇄 롤러를 횡으로 배열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분쇄 롤러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분쇄되도록 하고,
상기의 분쇄 롤러 중에서 1열의 짝수 번째의 롤러와 2열의 홀수 번째 롤러는 회전하는 중에 회전력으로 회전시키면서 전후로 얼마간 이동하도록 하여 왕겨를 분쇄하는 동시에 자르는 기능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분쇄 롤러의 아래쪽에는 가이더에 의해 1차 분쇄된 왕겨를 모아주면서 다수의 일반적인 멧돌 롤러에 의해 갈아 주어 200∼300 메시의 크기로 분쇄하도록 하고,
상기의 멧돌 롤러는 일측의 고정 롤러는 격벽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측의 회전 롤러는 감속기를 경유한 모터의 회전력으로 저속 회전하도록 하여 왕겨가 서로 접하는 두 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아주 작은 크기로 분쇄하여 수분의 흡수율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의 원료로 가공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열 파이프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분쇄 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4는 분 발명 멧돌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건조실 B : 분쇄실
3...3n, 6...6n : 열 파이프 4...4n, 7...7n : 열교환부
5...5n, 8...8n : 방열핀 10 : 자바라관
12 : 진동모터 13 : 고무패킹
14 : 타공판 16 : 송풍기
17 : 차폐판
21...21n, 22...22n, 23,,,23n, 24...24n : 분쇄 롤러
25 : 모터 27 : 멧돌 롤러
28 : 고정 롤러 29 : 회전 롤러
본 발명은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수의 열 파이프의 원주상으로 형성된 열교환부의 방열핀이 건조실의 내부에서 180∼200℃의 온도를 발생하도록 가열하고, 상기의 방열핀과 접하는 중에 왕겨가 하향 이동하면서 진공 건조된 후 하단 분쇄실에 대수 배열한 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200∼300 메시의 크기로 분쇄되어 수분의 흡수율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의 원료로 가공하도록 한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왕겨는 미곡종합처리장 및 도정공장 운용시 발생되는 부산물로서 조곡의 약 17%(무게기준)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번개탄, 과실포장용 충진재, 돈사용 깔개 및 퇴비 등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연탄사용의 격감, 포장재료의 고급화 및 운반비의 상승으로 인하여 왕겨의 이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왕겨는 표면에 굵은 강모가 존재하고 리그닌으로 다져져 있고 표피세포에 규산으로 침적되어 있어 조직이 강하고 수분침투가 어려워서 잘 부식되지 않기 때문에 분쇄기로 분쇄하여 퇴비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왕겨를 단순하게 분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왕겨의 특성상 분쇄된 왕겨의 조직이 강하고, 수분 침투가 어려워 부식이 잘되지 않기 때문에 이용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분쇄기로 왕겨를 분쇄하는 경우에는, 왕겨의 조직이 강하기 때문에 분쇄기의 마모가 심하여 부품을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왕겨의 조직을 팽창 및 연화시켜 수분 흡수율을 향상되도록 한 왕겨 팽연화 장치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팽연 왕겨의 경우 일반적으로 분쇄한 왕겨와는 현저하게 다른 부드러운 조직과 수분 흡수성을 가지기 때문에 발효가 빠르고 가스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함수율과 분쇄입자가 매우 일정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팽연 왕겨는 수분조절재 및 축사깔개, 조사료, 원예용 상토, 벼재배용상토 등 다방면에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왕겨 팽연화 장치를 살펴보면, 투입된 왕겨를 압축하는 원통형 케이싱에 팽연 왕겨를 수평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배출구를 형성하고, 원통형 케이싱의 끝단면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구성함과 동시에, 원통형 케이싱 내에 나선형의 스크류가 구비된 스크류축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압축하도록 구성하고, 스크류축의 끝단면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구성하여 왕겨의 팽창 및 연화를 행하도록 되어있다.
즉, 종래의 왕겨 팽연화 장치는 왕겨를 투입하여 물을 가하면서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압축하면 왕겨는 압축 가열되고, 압축 가열된 왕겨를 원통형 케이싱 끝단부의 배출구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왕겨를 단열팽창시킴과 동시에 분쇄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왕겨 팽연화 장치에 의해 제조된 팽연왕겨는 원료인 왕겨에 비해 작은 입도로 형성되고, 그 입도는 스크류축과 배출구 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작게 함으로써 팽연왕겨의 입자를 미세하게 할 수가 있고, 이 간극을 크게 함으로써 팽연왕겨의 입자를 거칠게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수평 왕겨 팽연화 장치는 원통형케이싱 내에 스크류축이 테이퍼진 반대측에만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회전시 스크류축의 수평 흔들림이 커지고 왕겨의 하부 편재와 불균일한 분포에 의해서 수평 흔들림이 더욱 크게 되어, 결국 회전관성모멘트가 일정치 않아 스크류축의 피로파괴를 발생시키게 되어 스크류의 마모율이 높아 교체 시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류축과 원통형 케이싱이 고정되어 있어 분도를 조절하기 어려워 그 필요에 따른 분도를 조정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 왕겨공급 스크류의 경우 잦은 막힘 현상으로 인하여 왕겨 평연화 장치의 연속적인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2004년 10월 20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29662호(왕겨 팽연화 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이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왕겨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하단에 배치되어 왕겨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형 케이싱과, 상기 원통형 케이싱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가압 및 정량 왕겨공급스크류와, 상기 가압 및 정량 왕겨공급 스크류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팽연 스크류와,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팽연 스크류를 덮도록 마련되는 팽연 스크류 커버와, 상기 팽연 스크류 커버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와, 팽연왕겨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갖는 왕겨 팽연화 장치에 있어서,
왕겨 팽연화 작업시 상기 원통형케이싱 내의 온도와 압력을 200~300℃, 3~5kg/㎠로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온도조절부는 온도센서와 히터 및 냉각팬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위치를 전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분도조절핸들이 더 구비히였다.
그리고 2006년02월28일 출원번호 10-2006-0019327호(왕겨 팽연화 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이는, 상부에 왕겨가 투입되는 호퍼가 결합되고, 전측의 폭이 좁게 형성되면서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수용되고, 상기 투입된 왕겨를 혼합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 선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샤프트로 구성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의 속도와 회전력을 제어하는 감속부와;
상기 이송스크류 전측으로 수용결합되어 상기 왕겨가 압축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 전측의 상기 이송스크류 전단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된 왕겨를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절단부 전측의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절단된 왕겨를 가압하여 토출시키는 가압토출부와;
상기 절단부와 가압토출부 사이에 압력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왕겨 팽연화 장치는 호퍼 내로 투입된 왕겨를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시키고, 이를 압축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압축력이 왕겨이송력을 따 라가지 못해 이송된 왕겨가 종종 후방으로 역이송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의해 왕겨가 전방으로 이송되지 않고 적체되어 이송스크류가 제대로 회전되지 않아 왕겨 팽연화 공정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하가 걸려 전체 장치의 고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는 단순히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력이 작아, 왕겨가 압축되어 적체된 경우에는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힘이 적어 제대로 회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송된 왕겨가 제대로 토출되지 않아 토출구가 막히게 되어 작업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열 파이프의 원주상으로 형성된 열교환부의 방열핀이 건조실의 내부에서 180∼200℃의 온도를 발생하도록 가열하고, 상기의 방열핀과 접하는 중에 왕겨가 하향 이동하면서 진공 건조된 후 하단 분쇄실에 대수 배열한 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200∼300 메시의 크기로 분쇄되어 수분의 흡수율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의 원료로 가공하도록 한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는
양측에 하나 이상씩 설치한 버너에서 각각 다수의 열 파이프의 일측으로 열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열기를 공급받는 다수의 열 파이프의 타측은 건조실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절곡하면서 180∼200℃의 온도로 가열되는 열교환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의 열 파이프의 열교환부는 외면을 따라 경사지게 방열핀을 원주상으로 형성하면서 이들 열 파이프의 방열핀들이 서로 접하도록 하고,
외부의 호퍼로부터 상부의 자바라관을 통해 연결된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왕겨가 상기 열 파이프의 방열핀을 따라서만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건조실의 외부에는 진동모터를 설치하여 상단의 자바라 관과 하단의 고무패킹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면서 위쪽으로부터 공급되는 왕겨가 내부에서 방열핀을 따라 이동하는 시간이 7∼10분 정도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건조실의 하단에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한 타공판으로 형성하여 건조된 왕겨가 하단의 분쇄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건조실과 사이에 고무패킹을 끼우면서 볼트체결로 결합되는 하단의 분쇄실에는 다수의 일반적인 분쇄 롤러를 횡으로 2열 이상 배열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분쇄 롤러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분쇄되도록 하고,
상기의 분쇄 롤러 중에서 1열의 짝수 번째의 롤러와 2열의 홀수 번째 롤러는 회전하는 중에 회전력으로 회전시키면서 전후로 얼마간 이동하도록 하여 왕겨를 분쇄하는 동시에 자르는 기능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분쇄 롤러의 아래쪽에는 가이더에 의해 분쇄된 왕겨를 모아주면서 다수의 일반적인 멧돌 롤러에 의해 갈아 주어 200∼300 메시의 크기로 분쇄하도록 하고,
상기의 멧돌 롤러는 일측의 고정 롤러는 격벽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측의 회전 롤러는 감속기를 경유한 모터의 회전력으로 저속 회전하도록 하여 왕겨가 서로 접하는 고정 롤러와 회전 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아주 작은 크기로 분쇄하여 수분의 흡수율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의 원료로 가공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는
양측에 하나 이상씩 설치한 버너(1)(2)에서 각각 다수의 열 파이프(3)...(3n)(6)...(6n)의 일측으로 열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열기를 공급받는 다수의 열 파이프(3)...(3n)(6)...(6n)의 타측은 건조실(A)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절곡하면서 180∼200℃의 온도로 가열되는 열교환부(4)...(4n)(7)...(7n)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열 파이프(3)...(3n)(6)...(6n)의 내부에는 증류수 75%, 알코올 15% 그리고 알킬벤젠 10%를 혼합한 수용액의 열전달 매체를 주입한 후 밀봉하여 외부의 히터(1)(2)에 의한 열을 공급받으면 열 전달 매체로 인해 전체적으로 빠르게 열이 전달되어 왕겨의 건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의 열 파이프의 열교환부(4)...(4n)(7)...(7n)는 외면을 따라 경사지게 방열핀(5)...(5n)(8)...(8n)을 원주상으로 형성하면서 이들 열 파이프(3)...(3n)(6)...(6n)의 방열핀(5)...(5n)(8)...(8n)들이 서로 접하도록 하고,
외부의 호퍼(9)로부터 상부의 자바라관(10)을 통해 연결된 공급관(11)으로 공급되는 왕겨가 상기 열 파이프(3)...(3n)(6)...(6n)의 방열핀(5)...(5n)(8)...(8n)을 따라서만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건조실(A)의 외부에는 진동모터(12)를 설치하여 상단의 자바라 관(10)과 하단의 고무패킹(13)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면서 위쪽으로부터 공급되는 왕겨가 내부에서 방열핀(5)...(5n)(8)...(8n)을 따라 이동하는 시간이 7∼10분 정도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건조실(A)의 하단에는 다수의 구멍(15)을 구비한 타공판(14)으로 형성하여 건조된 왕겨가 하단의 분쇄실(B)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건조실(A)에서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하단의 송풍기(16)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상단의 차폐판(17)을 개폐장치(18)로 닫아 주어 내부가 진공의 상태로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여 건조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상기의 건조실(A)과 사이에 고무패킹(13)을 끼우면서 볼트체결로 결합되는 하단의 분쇄실(B)에는 다수의 일반적인 분쇄 롤러(21)(22)(23)(24)...(21n)(22n)(23n)(24n)를 횡으로 2열 이상 배열하면서 모터(25)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분쇄 롤러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왕겨가 1차 분쇄되도록 하고,
상기의 분쇄 롤러(21)...(24n) 중에서 1열의 짝수 번째 롤러(22)...(22n)와 2열의 홀수 번째 롤러(23)...(23n)는 회전하는 중에 상기 모터(25)로부터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중에 캠운동을 하면서 전후로 얼마간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분쇄 롤러(21)...(24n)의 엇갈린 사선으로 형성된 홈이 서로 접하는 중에 분쇄와 동시에 자르는 기능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분쇄 롤러(21)...(24n)의 아래쪽에는 다수의 가이더(26)에 의해 1차 분쇄된 왕겨를 모아주면서 다수의 일반적인 멧돌 롤러(27)에 의해 갈아 주어 200∼300 메시의 크기로 분쇄하도록 하고,
상기의 멧돌 롤러(27)는 일측의 고정 롤러(28)는 격벽(3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측의 회전 롤러(29)는 격벽(30)에 지지된 상태에서 감속기(32)를 경유한 모터(31)의 회전력으로 저속 회전하도록 하여 왕겨가 서로 접하는 고정 롤러(28)와 회전 롤러(29)의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아주 작은 크기로 분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는,
양측에 하나 이상씩 설치한 버너(1)(2)에서 각각 다수의 열 파이프(3)...(3n)(6)...(6n)의 일측으로 열기를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열기를 공급받는 다수의 열 파이프(3)...(3n)(6)...(6n)의 타측은 건조실(A)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열교환부(4)...(4n)(7)...(7n)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열 파이프(3)...(3n)(6)...(6n)의 내부에는 증류수 75%, 알코올 15% 그리고 알킬벤젠 10%를 혼합한 수용액의 열전달 매체를 주입한 후 밀봉하여 외부의 히터(1)(2)에 의한 열을 공급받으면 열 전달 매체로 인해 전체적으로 빠르게 열이 전달되어 열교환부(4)...(4n)(7)...(7n)가 180∼200℃의 온도로 가열되면서 왕겨의 건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열 파이프의 열교환부(4)...(4n)(7)...(7n)의 외면을 따라 경사지게 방열핀(5)...(5n)(8)...(8n)을 원주상으로 형성하면서 이들 열 파이프(3)...(3n)(6)...(6n)의 방열핀(5)...(5n)(8)...(8n)들이 서로 접하도록 하였으므로 외부의 호퍼(9)로부터 상부의 자바라관(10)을 통해 연결된 공급관(11)으로 공급되는 왕겨가 상기 열 파이프(3)...(3n)(6)...(6n)의 방열핀(5)...(5n)(8)...(8n)을 따라서만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모든 왕겨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건조실(A)의 외부에는 진동모터(12)를 설치하여 상단의 자바라 관(10)과 하단의 고무패킹(13)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면서 위쪽으로부터 공급되는 왕겨가 내부에서 방열핀(5)...(5n)(8)...(8n)을 따라 이동하는 시간이 7∼10분 정도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왕겨가 충분히 건조되는 시간을 유지함은 물론, 너무 지체되어 왕겨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건조실(A)의 하단에는 다수의 구멍(15)을 구비한 타공판(14)으로 형성하여 건조된 왕겨가 하단의 분쇄실(B)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건조실(A)에서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하단의 송풍기(16)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상단의 차폐판(17)을 개폐장치(18)로 닫아 주어 내부가 진공의 상태로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여 건조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의 건조실(A)과 사이에 고무패킹(13)을 끼우면서 볼트체결로 결합되는 하단의 분쇄실(B)에는 다수의 일반적인 분쇄 롤러(21)(22)(23)(24)...(21n)(22n)(23n)(24n)를 횡으로 2열 이상 배열하면서 모터(25)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분쇄 롤러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왕겨가 1차 분쇄되도록 한다.
상기의 분쇄 롤러(21)...(24n) 중에서 1열의 짝수 번째 롤러(22)...(22n)와 2열의 홀수 번째 롤러(23)...(23n)는 모터(25)에 의해 회전하는 중에 캠운동을 하면서 전후로 얼마간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분쇄 롤러(21)...(24n)의 엇갈린 사선으로 형성된 홈이 서로 접하는 중에 분쇄와 동시에 자르는 기능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분쇄 롤러(21)...(24n)의 아래쪽에는 다수의 가이더(26)에 의해 1차 분쇄된 왕겨를 모아주면서 다수의 일반적인 멧돌 롤러(27)에 의해 갈아 주어 200∼300 메시의 크기로 2차 분쇄하도록 한다.
상기의 멧돌 롤러(27)는 일측의 고정 롤러(28)는 격벽(3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측의 회전 롤러(29)는 격벽(30)에 지지된 상태에서 감속기(32)를 경유한 모터(31)의 회전력으로 저속 회전하도록 하여 왕겨가 서로 접하는 고정 롤러(28)와 회전 롤러(29)의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아주 작은 크기로 분쇄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에 의하여서는 다수의 열 파이프를 건조실의 외부에서 버너로 가열시키도록 하고,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원주상으로 형성된 열 파이프에 의한 열교환부의 내부에 넣어진 열전달 매체를 통하여 열이 빠르게 전달되는 열교환부의 방열핀이 건조 실의 내부에서 180∼200℃의 온도를 발생하도록 가열하고,
상기의 방열핀과 접하는 중에 왕겨가 서서히 하향 이동하면서 진공 건조되도록 하고,
상기 건조실의 하단 분쇄실에 대수 배열한 분쇄 롤러와 멧돌 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2차에 걸쳐 200∼300 메시의 크기로 분쇄되어 수분의 흡수율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의 원료로 가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양측에 하나 이상씩 설치한 버너(1)(2)에 각각 다수의 열 파이프(3)...(3n)(6)...(6n)의 일측이 접하도록 하고,
    상기 열기를 공급받는 다수의 열 파이프(3)...(3n)(6)...(6n)의 타측은 건조실(A)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절곡하여 열교환부(4)...(4n)(7)...(7n)가 형성하고,
    상기 열 파이프(3)...(3n)(6)...(6n)의 내부에는 증류수 75%, 알코올 15%, 알킬벤젠 10%를 혼합한 수용액의 열전달 매체를 주입한 후 밀봉하고,
    상기의 열 파이프의 열교환부(4)...(4n)(7)...(7n)는 외면을 따라 경사지게 방열핀(5)...(5n)(8)...(8n)을 원주상으로 형성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방열핀(5)...(5n)(8)...(8n)들이 서로 접하도록 하고,
    외부의 호퍼(9)로부터 상부의 자바라관(10)을 통해 건조실(A)의 상단에 형성한 공급관(11)을 연결하고,
    상기 건조실(A)의 외부에는 진동모터(12)를 설치하고,
    상기 건조실(A)의 하단에는 다수의 구멍(15)을 구비한 타공판(14)으로 형성하고,
    상기의 건조실(A)의 하단에는 송풍기(16)를 설치하면서 상단에는 개폐장치(18)에 의해 작동하는 차폐판(17)을 설치하고,
    상기의 건조실(A)과 사이에 고무패킹(13)을 끼우면서 볼트체결로 결합되는 하단의 분쇄실(B)에는 모터(2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다수의 일반적인 분쇄 롤러(21)(22)(23)(24)...(21n)(22n)(23n)(24n)를 횡으로 2열 이상 배열하고,
    상기 분쇄 롤러(21)...(24n)의 아래쪽에는 다수의 가이더(26)를설치하고,
    상기 가이더(26)의 아래쪽에는 다수의 일반적인 멧돌 롤러(27)를 설치하고,
    상기 멧돌 롤러(27)의 일측 고정 롤러(28)는 격벽(30)에 고정시키면서 타측의 회전 롤러(29)는 감속기(32)를 경유한 모터(31)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
KR1020070072531A 2007-07-20 2007-07-20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 KR100953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531A KR100953862B1 (ko) 2007-07-20 2007-07-20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531A KR100953862B1 (ko) 2007-07-20 2007-07-20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348A KR20090009348A (ko) 2009-01-23
KR100953862B1 true KR100953862B1 (ko) 2010-04-20

Family

ID=4048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531A KR100953862B1 (ko) 2007-07-20 2007-07-20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393A (ko)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유니바이오 왕겨 흡수율을 제고시키는 팽연왕겨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5085A (ja) 1997-12-05 1999-06-22 Hosokawa Seisakusho:Kk 冷却米櫃付精米機
KR20000051936A (ko) * 1999-01-28 2000-08-16 박석만 왕겨팽연화기
JP2005007322A (ja) 2003-06-19 2005-01-13 Satake Corp 製粉装置
KR200373535Y1 (ko) 2004-10-20 2005-01-21 (주)지앤엘 왕겨 팽연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5085A (ja) 1997-12-05 1999-06-22 Hosokawa Seisakusho:Kk 冷却米櫃付精米機
KR20000051936A (ko) * 1999-01-28 2000-08-16 박석만 왕겨팽연화기
JP2005007322A (ja) 2003-06-19 2005-01-13 Satake Corp 製粉装置
KR200373535Y1 (ko) 2004-10-20 2005-01-21 (주)지앤엘 왕겨 팽연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393A (ko)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유니바이오 왕겨 흡수율을 제고시키는 팽연왕겨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348A (ko) 200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92069U (zh) 一种饲料加工用高效环保粉碎机
CN205128099U (zh) 一种高效农用秸秆粉碎机
CN107525389A (zh) 一种高效饲料粉碎烘干设备
CN106179680B (zh) 一种煤炭上专用的机械式粉碎装置
CN207585305U (zh) 一种高效饲料粉碎烘干设备
CN209279619U (zh) 一种有机肥烘干设备
CN108816471B (zh) 一种节能环保型大米加工设备
KR100953862B1 (ko) 왕겨의 팽연 및 분쇄장치
CN208800207U (zh) 一种玉米芯粉碎机
CN110616099A (zh) 一种利用农作物秸秆制备生物质燃料的设备及方法
CN213726988U (zh) 一种饲料粉碎烘干出料装置
CN209711471U (zh) 一种食用菌粉制备系统
CN209772683U (zh) 肥料生产用高效烘干装置
CN204891972U (zh) 一种移动式饲料粉碎机
CN217910601U (zh) 一种骨关节保健物干燥加工设备
CN112146355A (zh) 一种高效环保的低温污泥烘干机
CN207907629U (zh) 一种副产导电炭黑加工用闪蒸干燥机
KR200403646Y1 (ko) 버섯재배용 배지살균포장장치
CN202456342U (zh) 发酵饲料烘干成套设备
RU72537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двухроторный компрессор,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древесных отход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ого топлива
KR200373535Y1 (ko) 왕겨 팽연화 장치
CN112254494A (zh) 一种饲料生产加工用高效烘干设备
CN108936756B (zh) 一种用于花生循环干燥机的定量偏心排粮机构
KR102137877B1 (ko) 왕겨 흡수율을 제고시키는 팽연왕겨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10280364A (zh) 一种高效磨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