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272B1 -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 Google Patents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272B1
KR100953272B1 KR1020090132607A KR20090132607A KR100953272B1 KR 100953272 B1 KR100953272 B1 KR 100953272B1 KR 1020090132607 A KR1020090132607 A KR 1020090132607A KR 20090132607 A KR20090132607 A KR 20090132607A KR 100953272 B1 KR100953272 B1 KR 100953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hain
caster angle
bicycle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수
Original Assignee
장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수 filed Critical 장호수
Priority to KR1020090132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62K3/04Frames having a substantially horizontal top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0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telescopic fork, e.g. including auxiliary rocking arms
    • B62K25/10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telescopic fork, e.g. including auxiliary rocking arms for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the chain, belt, or the like being laterally shiftable, e.g. using a rear derailleur
    • B62M9/131Front deraille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탑튜브(11)와 다운튜브(12) 및 시트튜브(13)가 대체로 역삼각형태를 이루는 차체프레임(10)의 전,후방에 각각 전륜(W1)과 후륜(W2)이 위치하고, 차체프레임(10)의 하부에 부착된 구동스프라켓(S)에서 발생한 동력이 체인(C)에 의해 후륜(W2)으로 전달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S)과 후륜(W2) 측에 각각 기어변속을 위한 디레일러(D1,D2)가 설치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10)을 이루는 다운튜브(12)의 전방에 핸들스템(20)이 끼워지는 헤드튜브(14)의 하부가 힌지(h)로 결합되고, 이 헤드튜브(14)의 상부와 탑튜브(11) 선단 사이에 전륜(W1)의 캐스터 앵글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30)가 구비된다.
Figure R1020090132607
자전거, 캐스터, 앵글, 조절, 다운힐, 평지

Description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A Bike with adjustable caster angle}
본 발명은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헤드튜브의 각도 즉, 자전거 전륜의 캐스터 앵글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지 주행이나 다운힐 주행 또는 업힐 주행에 적합하게 캐스터 앵글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변속기가 구비된 자전거에서 변속시 또는 오프로드 주행시 체인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앞 드레일러의 설치위치를 적정하게 선정하여 체인의 긴장부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고, 후륜 서스펜션을 개선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전거의 종류로는 일반 평지에서 타기 위한 생활자전거나 사이클이 있고, 산악용 자전거로는 앞뒤 쇼바(서스펜션)의 유무에 따라서 쇼바가 없는 리지드형, 앞에만 쇼바가 있는 하드 테일형, 앞뒤 다 쇼바가 있는 소프트테일 & 풀 서스펜션형이 있으며, 경사로를 내려오기 위한 다운힐 스포츠 전용 자전거 등이 있는데, 이들은 헤드튜브의 각도(또는 캐스터 앵글)와 샥의 트레블 길이 차이에 따라서 용도 가 구비되기도 한다.
한편, 헤드튜브는 자전거의 앞바퀴가 걸리는 앞 부분에 위치한 튜브로, 헤드튜브 각도는 자전거의 수평면과 헤드튜브와의 각도를 말한다. 이 헤드튜브의 각도는 결과적으로 앞바퀴의 캐스터 앵글을 결정하게 되는데, 헤드튜브 각도는 작을수록 내리막길에서는 안전하고 평상시 운전하기는 편안하지만 회전(조향)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헤드튜브의 각도가 크면 빠른 회전이 가능하여 속도향상에는 좋은 반면 내리막길에서는 매우 불안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평지용 자전거인 생활자전거는 헤드튜브의 각도를 크게 다시 말해서 캐스터 앵글을 작게 하는 것이 조향에 유리하고, 사이클은 헤드튜브의 각도를 작게 하는 것이 직진성 및 속도 향상에 유리하며, 다운힐 스포츠 전용 자전거는 다운힐 시의 안정적인 하강을 위해 헤드튜브의 각도를 가급적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평지 주행시나 다운힐 주행용 자전거의 경우에는 캐스터 앵글을 크게 하는 게 바람직하고, 업힐 시에는 캐스터 앵글을 작게 하는 게 바람직하나, 기존의 자전거에서는 헤드 튜브의 각도 즉, 캐스터 앵글은 조절이 불가능하게 고정적으로 세팅되어 있어 이러한 조작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하나의 자전거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또, 기어변속을 위하여 앞,뒤 드레일러를 모두 구비한 고단 기어자전거의 경우 기어변속시 또는 오프로드 주행시 체인의 트레블링으로 인하여 체인이 구동스프라켓에서 벗겨지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산악용 자전거에서 채용하고 있는 기존의 후륜 서스펜션은 성능이 좋은 에어 또는 오일식 쇽업소버를 통해 충격흡수와 우수한 승차감을 가지고 있지만, 충격흡수시 후륜의 쇽 트레블링각도 즉, 후륜의 힌지점에서 후륜 축까지의 거리가 짧아 안정감이 없고 트레블링 주기가 짧아 승차감의 향상에는 어느정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어 장시간의 오프로드 주행시에는 라이더로 하여금 상당한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튜브의 각도 즉, 자전거 전륜의 캐스터 앵글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자전거를 다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개선된 구조의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 변속기가 구비된 자전거에서 변속시 또는 오프로드 주행시 체인이 트레블링으로 인해 구동스프라켓에서 쉽게 벗겨지던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앞 드레일러를 구비한 기어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차감이 우수한 후륜 서스펜션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탑튜브와 다운튜브 및 시트튜브가역삼각형태를 이루는 차체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전륜과 후륜이 위치하고, 차체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된 구동스프라켓에서 발생한 동력이 체인을 통해 후륜으로 전달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을 이루는 다운튜브의 전방에 핸들스템이 끼워지는 헤드튜브의 하부가 힌지로 결합되고, 이 헤드튜브의 상부와 탑튜브 선단 사이에 전륜의 캐스터 앵글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가 구비된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기구는 헤드튜브의 상부와 탑튜브 선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나사식이나 유압 또는 공압식으로 이루어져 헤드튜브의 기울기(캐스터 앵글)가 다운튜브와 결합된 힌지를 축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나사식 조절기구는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형 로드와, 이 볼트형 로드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너트와, 상기 조절너트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지하는 조절튜브와, 상기 조절튜브의 타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플랜지형 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나사식 조절기구의 조절튜브에 조절레버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조절레버를 세운 상태에서 조절너트의 외측에 맞물려 조절너트를 회동시키고, 평상시에는 조절레버를 눕혀놓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탑튜브와 다운튜브 및 시트튜브가 역삼각형태를 이루는 차체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전륜과 후륜이 위치하고, 차체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된 구동스프라켓에서 발생한 동력이 체인을 통해 후륜으로 전달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후륜측에 각각 기어변속을 위한 디레일러가 설치되어 핸들에 부착된 시프터에 의해 기어변속이 이루어지도록 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프라켓측에 구비된 앞 디레일러는 시트튜브에 탑 밴드 로우 스윙(TOP BAND LOW SWING)방식으로 부착되되, 구동스프라켓과 후륜 사이에 연결된 체인의 트레블링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인의 긴장부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 기어 자전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탑튜브와 다운튜브 및 시트튜브가 역삼각형태를 이루는 차체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전륜과 후륜이 위치하고, 차체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된 구동스프라켓에서 발생한 동력이 체인을 통해 후륜으로 전달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다운튜브에는 후륜에 후단이 고정된 체인스테이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체인스테이의 후단 상부에는 스윙암의 후단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스윙암의 선단에는 각각 프레임의 탑튜브와 다운튜브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링크와 쇽업소버의 타단이 함께 힌지결합되어 후륜 서스펜션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산악용 자전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헤드튜브의 각도 즉,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주행상황에 따라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고, 변속시 또는 오프로드 주행시 체인이 벗겨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후륜 서스펜션에 의해 오프로드 주행시의 피로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성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 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 도 5는 캐스터 앵글의 조절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는 탑튜브(11)와 다운튜브(12) 및 시트튜브(13)가 대체로 역삼각형태를 이루는 차체프레임(10)의 전,후방에 각각 전륜(W1)과 후륜(W2)이 위치하고, 차체프레임(10)의 하부에 부착된 구동스프라켓(S)에서 발생한 동력이 체인(C)에 의해 후륜(W2)으로 전달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S)과 후륜(W2)의 피동스프라켓측에 각각 기어변속을 위한 앞,뒤 디레일러(D1,D2)가 설치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10)을 이루는 다운튜브(12)의 전방에 핸들스템(20)이 끼워지는 헤드튜브(14)의 하부가 힌지(h)로 결합되고, 이 헤드튜브(14)의 상부와 탑튜브(11) 선단 사이에 전륜(W1)의 캐스터 앵글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30)가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절기구(30)는 헤드튜브(14)의 상부와 탑튜브(11) 선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나사식 조절기구로 이루어져 헤드튜브(14)의 기울기(캐스터 앵글)가 다운튜브(12)와 결합된 힌지(h)를 축으로 조절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나사식 조절기구(30)는 헤드튜브(14)와 탑튜브(11) 중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외부에 수나사(31)가 형성된 볼트형 로드(32)와, 이 볼트형 로드(32)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너트(33)와, 상기 조절너트(33)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지하는 조절튜브(34)와, 상기 조절튜브(34)의 타측에 일단 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타단은 헤드튜브(14)와 탑튜브(11) 중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플랜지형 로드(35)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나사식 조절기구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조절기구(30)를 유압 또는 공압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는바, 공압식 조절기구의 경우에는 탑튜브 내부를 압축공기를 채워넣는 공기탱크로 제작하고, 이 공기탱크에 충진된 공기압을 공압실린더형의 조절기구 내부로 주입하는 것에 의해 캐스터 앵글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압축공기의 주입은 휴대용 펌프를 이용하여 필요한 경우 충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공압식 또는 유압식 조절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운전중에 밸브 또는 레버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캐스터 앵글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안장에서 내리지 않고도 주행하면서 즉각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상기 구동스프라켓(S)측에 구비된 앞 디레일러(D1)는 시트튜브(13)에 탑 밴드 로우 스윙(TOP BAND LOW SWING)방식으로 부착되되, 구동스프라켓(S)과 후륜(W2)의 피동스프라켓 사이에 연결된 체인(C)의 트레블링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인(C)의 긴장부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운튜브(12)에는 후륜(W2)에 후단이 고정된 체인스테이(40)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체인스테이(40)의 후단 상부에는 스윙암(50)의 후단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스윙암(50)의 선단에는 각각 프레임(10)의 탑튜브(11)와 다운튜브(12)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링크(60)와 쇽업소버(70)의 타단이 함께 힌지결합되어 후륜 서스펜션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상기 체인스테이(40)는 체인(C)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후방이 하부로 연장되어 대체로 ¬ 형태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후륜 서스펜션 메커니즘은 후륜의 서스펜션 동작시의 힌지점이 구동스프라켓(S)의 전방에 위치한 다운튜브(12)에 체인스테이(40)가 힌지결합된 지점이 되므로 후륜의 축과 힌지점과의 거리가 기존의 자전거에 비해 길어지게 됨으로써 즉, 체인스테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됨으로써 요철이 심한 도로주행시 기존의 자전거에서는 후륜이 짧은 체인스테이에 의해 통통 튀거나 탁탁 튀는 느낌이 들었으나, 본 발명은 서스펜션 유동각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부드럽게 지나가는 느낌을 주게 되어 오프로드에서의 승차감 향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후륜의 서스펜션 동작시 체인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체인스테이의 길이와 각도 및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 사이에 설치된 앞 디레일러의 장력부여기능에 의해 체인트레블링으로 인한 체인이탈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 절튜브(34)에는 조절레버(36)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조절레버(36)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조절너트(33)의 외측에 맞물려 조절너트(33)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절레버(36)는 조절튜브(34)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조절튜브(34)의 길이방향을 따라 눕거나 조절튜브(34)에 대체로 직각이 되게 세워질 수 있으며, 헤드튜브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레버(36)를 조절튜브(34)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세운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튜브(34)와 조절너트(33)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으며,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레버(36)를 눕힌 상태에서 조절레버(36) 하단이 조절너트(33)에서 물리지 않고 이탈되도록 한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회동시키면 조절너트(33)는 회전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조절튜브(34)만 헛돌아 오게 되므로 이러한 동작 즉, 조절레버(36)를 세워서 돌리고 다시 눕혀서 원위치로 복귀한 후 다시 조절레버(36)를 세워서 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헤드튜브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비교적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헤드튜브의 각도를 조절한 후에는 조절레버(36)를 눕히면 조절레버의 돌출로 인한 각종 문제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전거에서 후륜 서스펜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자전거에서 구동스프라켓 측에 설치되는 앞 디레 일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로, 본 발명의 앞 디레일러(D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스프라켓(S)의 축과 평행하게 시트 튜브(13)에 고정설치되는 축(81)과, 이 축(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구동 스프라켓(S)으로 연결되는 체인(C)을 옮겨주는 시프트 스프라켓(82)과, 핸들에 부착된 시프트레버(도시안됨)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시프트 스프라켓(82)을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는 액추에이터(8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시프트 스프라켓(82)의 좌우측에는 변속시 체인(C)을 가이드하기 위한 접시형의 안내디스크(84,85)가 부착되어 있고, 이 안내디스크(84,85)는 외측을 향하여 벌어진 상태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앞 디레일러(D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체인가이드방식이 아니고 자전거가 울퉁불퉁한 오프로드를 주행하여 체인(C)이 요동을 할 경우에도 체인(C)이 구동스프라켓(S)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시트 튜브(13)에 앞 디레일러(D1)의 축(81)을 고정하여 구동스프라켓(S)에서 후륜(W2)의 피동스프라켓으로 연결된 체인(C)의 긴장부가 일직선상태에서 벗어나 앞 디레일러(D1) 위치에서 상방으로 들려지도록 함으로써 후륜의 서스펜션 동작시에도 체인(C)의 긴장부는 여전히 이완되지 않고 적정한 긴장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변속동작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81)에 안내디스크(84,85)가 부착된 시프트 스프라켓(82)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후, 이 시프트 스프라켓(82)이 액추에이터(83)에 의해 축(8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구동스프라켓(S)과 후륜(W2)의 피동스프라켓 사이에 연결된 체인(C) 상부의 긴장부가 항상 적정한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므 로 변속시 구동스프라켓(S)과 후륜(W2)의 피동스프라켓 사이에서 체인(C)이 요동하게 되더라도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캐스터 앵글의 조절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후륜 서스펜션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도 2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확대도,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앞 디레일러 구조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앞 디레일러의 변속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프레임 11 : 탑튜브
12 : 다운튜브 13 : 시트튜브
14 : 헤드튜브 20 : 핸들스템
30 : 조절기구 31 : 수나사
32 : 볼트형 로드 33 : 조절너트
34 : 조절튜브 35 : 플랜지형 로드
36 : 조절레버 40 : 체인스테이
50 : 스윙암 60 : 링크
70 : 쇽업소버 81 : 축
82 : 시프트 스프라켓 83 : 액추에이터
84,85 : 안내디스크 C : 체인
D1 : 앞 디레일러 D2 : 뒤 디레일러
h : 힌지 S : 구동스프라켓
W1 : 전륜 W2 : 후륜

Claims (8)

  1. 탑튜브(11)와 다운튜브(12) 및 시트튜브(13)가 역삼각형태를 이루는 차체프레임(10)의 전,후방에 각각 전륜(W1)과 후륜(W2)이 위치하고, 차체프레임(10)의 하부에 부착된 구동스프라켓(S)에서 발생한 동력이 체인(C)에 의해 후륜(W2)으로 전달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S)과 후륜(W2)측에 각각 기어변속을 위한 앞,뒤 디레일러(D1,D2)가 설치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10)을 이루는 다운튜브(12)의 전방에 핸들스템(20)이 끼워지는 헤드튜브(14)의 하부가 힌지(h)로 결합되며, 이 헤드튜브(14)의 상부와 탑튜브(11) 선단 사이에 전륜(W1)의 캐스터 앵글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30)가 구비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구(30)는 헤드튜브(14)와 탑튜브(11) 중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외부에 수나사(31)가 형성된 볼트형 로드(32)와, 이 볼트형 로드(32)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너트(33)와, 상기 조절너트(33)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지하는 조절튜브(34)와, 상기 조절튜브(34)의 타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타단은 헤드튜브(14)와 탑튜브(11) 중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플랜지형 로드(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튜브(34)에는 조절레버(36)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조절레버(36)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조절너트(33)의 외측에 맞물려 조절너트(33)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프라켓(S)측에 구비된 앞 디레일러(D1)는 구동스프라켓(S)의 축과 평행하게 시트 튜브(13)에 고정설치되는 축(81)과, 이 축(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구동 스프라켓(S)으로 연결되는 체인(C)을 옮겨주는 시프트 스 프라켓(82)과, 핸들에 부착된 시프트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시프트 스프라켓(82)을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는 액추에이터(83)와, 상기 시프트 스프라켓(82)의 좌우측에 부착되어 변속시 체인(C)을 가이드하기 위한 접시형의 안내디스크(84,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앞 디레일러(D1)는 구동스프라켓(S)과 후륜(W2) 사이에 연결된 체인(C)의 트레블링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인(C)의 긴장부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운튜브(12)에는 후륜(W2)에 후단이 고정된 체인스테이(40)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체인스테이(40)의 후단 상부에는 스윙암(50)의 후단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스윙암(50)의 선단에는 각각 프레임(10)의 탑튜브(11)와 다운튜브(12)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링크(60)와 쇽업소버(70)의 타단이 함께 힌지결합되어 후륜 서스펜션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체인스테이(40)는 체인(C)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후방이 하부로 연장되어 대체로 ¬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KR1020090132607A 2009-12-29 2009-12-29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KR100953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607A KR100953272B1 (ko) 2009-12-29 2009-12-29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607A KR100953272B1 (ko) 2009-12-29 2009-12-29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272B1 true KR100953272B1 (ko) 2010-04-16

Family

ID=4222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607A KR100953272B1 (ko) 2009-12-29 2009-12-29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53B1 (ko) * 2017-09-20 2018-06-11 빈덕삼 자가발전형 전동바이크
KR101963337B1 (ko) * 2018-05-25 2019-03-28 빈덕삼 자가발전형 전동바이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2352A (ko) 1973-10-29 1975-06-14
JPH05270472A (ja) * 1992-03-24 1993-10-19 Suzuki Motor Corp 二輪車用キャスタ角可変装置
JPH095042A (ja) * 1995-06-15 1997-01-10 Hitachi Zosen Corp シールド掘進機のテール部クリアランスの計測方法および計測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2352A (ko) 1973-10-29 1975-06-14
JPH05270472A (ja) * 1992-03-24 1993-10-19 Suzuki Motor Corp 二輪車用キャスタ角可変装置
JPH095042A (ja) * 1995-06-15 1997-01-10 Hitachi Zosen Corp シールド掘進機のテール部クリアランスの計測方法および計測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53B1 (ko) * 2017-09-20 2018-06-11 빈덕삼 자가발전형 전동바이크
WO2019059677A1 (ko) * 2017-09-20 2019-03-28 빈덕삼 자가발전형 전동바이크
CN111372842A (zh) * 2017-09-20 2020-07-03 宾德三 自行发电型电动自行车
KR101963337B1 (ko) * 2018-05-25 2019-03-28 빈덕삼 자가발전형 전동바이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785B2 (en) Bicycle derailleur system
US10457348B2 (en) Bicycle rear suspension
US10106221B2 (en) Bicycle rear wheel suspension system
US6102421A (en) Rear suspension for a bicycle
US8851498B2 (en) Adjustable geometry bicycle rear wheel suspension system
US6910702B1 (en) All-suspension bicycle frame with isolated drive gear
US7395892B2 (en) Cycle suspension assembly
US7216883B2 (en) Bicycle with rear suspension
EP3261908B1 (en) Rear suspension system for a bicycle
US9988122B2 (en) Bicycle frame
CN101072707B (zh) 用于自行车的缓冲系统
US20020038944A1 (en) Rear suspension for a bicycle
US6045470A (en) Front derailleur with chainline controlling idler cog
EP2377751B1 (en) Bicycle suspension
KR100953272B1 (ko) 캐스터 앵글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US20040070169A1 (en) Rear suspension of a vehicle with drive wheel borne by an oscillating arm
CA2560971A1 (en) Cycle suspension assembly
GB2338216A (en) Bicycle with articulating rear wheel
AU2016102059A4 (en) Suspension for a bicycle
JP2006056493A (ja) 前二輪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