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415B1 - 소프트웨어 연구성과 검증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연구성과 검증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415B1
KR100952415B1 KR1020080130532A KR20080130532A KR100952415B1 KR 100952415 B1 KR100952415 B1 KR 100952415B1 KR 1020080130532 A KR1020080130532 A KR 1020080130532A KR 20080130532 A KR20080130532 A KR 20080130532A KR 100952415 B1 KR100952415 B1 KR 100952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verification
performance
searc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최기석
허태상
박정훈
박만희
박근철
주원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96Methods or tools to render software test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연구성과 검증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성과물 전담기관은 소프트웨어 검증을 위한 원천정보를 제공하고, 성과검증시스템은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연구관리전문기관에서 필요한 표준 소프트웨어 검증서비스를 재구성하여 검증 결과를 제공한다. 연구관리전문기관은 성과검증시스템의 서비스를 웹서비스 혹은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Open API) 방식으로 제공받아 검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일련의 자동화된 방법은 기존의 수동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정보 구축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동시에 입력된 소프트웨어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소프트웨어 성과검증, 과제관리, 소프트웨어 검증서비스, 인증 데이터

Description

소프트웨어 연구성과 검증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 및 그 시스템{Standardized method and system for software research verification}
본 발명은 성과물 전담 기관에서 제공하는 인증데이터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성과검증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절차에 관한 것이다. 부가하여 본 발명은 연구관리전문기관의 과제관리 시스템에서 검증시스템을 연결하여 소프트웨어 성과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21C 정보 및 지식의 패러다임의 변화는 종래의 양적 정보소유의 "정보의 시대"에서 인터넷의 대중화로 정보의 무한공급 상황에서 정보획득의 정확성과 속도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식의 시대로 변화하게 하였다.
현재 웹(Web)이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만을 위주로 활용되던 시대에서 사용자의 소프트웨어가 결과를 받아서 많은 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웹서비스 기술을 현재 웹에서 이뤄지고 있는 전자상거래나 정보검색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에 적용하면 지금까지 자동적으로 처리하지 못하던 많은 부분을 자동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뿐만 아니라 정보시스템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근 들어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에 의해 산업 전반에 걸친 정보의 다양한 채널 및 고급정보를 접해본 고객들은 원시자료(Raw Data) 수준의 "정보"가 아닌 정련되고 신뢰도가 검증된 정보(=지식, Knowledge/Intelligence)를 원하고 있다.
즉, 최근의 지식수요자들은 특정한 목적(제품개발 또는 정책의 결정 등)을 위한 기획과 연구에 필요한 제대로 분류(Classify)된 정보(Raw Data/Inforrmation) - 뉴스, 특허, 저널 및 논문, 연구보고서, 무역통계, 업체정보, 표준 및 인증정보, 법규(규제 및 장려)정보 - 와 그러한 데이터를 토대로 재생산된 지식(Knowledge/Intelligence) - 각종 시장 레포트와 특허를 정량/정성 분석한 기술 레포트, 시대별, 기술별, 업체별 등 다각적 분석을 통한 3차원의 도식화된 데이터 -을 원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자료를 입력하는 보고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자료를 입력하는 보고서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보고서의 등록화면은 세부성과 관리번호, S/W 등록번호,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종류, 저작자, 적용분야, 프로그램 특징, 창작일, 등록일, 복제물형태, 주요 기능, 판매구분, 사용기종, 사용기종 기타설명, 사용OS, 사용OS 기타설명 등의 항목을 포함한다. 물론 과제관리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 정보 입력 시스템의 설정에 보고서에 포함되는 항목은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구자는 보고서의 해당 항목에 수작업으로 해당 내역을 기재한다.
연구자가 과제관리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 정보 입력 시스템에 자료를 입력하 기 위해서 빈칸마다 일일이 수작업으로 타이핑하여 자료를 입력해야 한다. 연구자가 보고서에 수동으로 자료를 직접 타이핑하여 자신이 속한 기관 혹은 자신의 소프트웨어 성과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하는 비능률적인 작업이다. 또한 연구관리전문기관 성과관리 담당자는 입력한 성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해야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성과물 전담기관에서 제공하는 인증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수의 연구관리기관의 과제관리 시스템에서 표준화된 검증기능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연구관리 기관의 담당자가 입력한 성과에 대한 최소한의 시간의 비용으로 검증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다수의 연구 관리기관에 표준화된 성과물 검증기능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구 관리기관의 시스템으로부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관련된 정보로 구성된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검증을 요청받는 과정과, 성과물 전담기관이 제공하는 성과 검증 시스템에서 요청받은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수행한 상기 검증 결과를 상기 연구 관리기관의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성과물에 대한 진위 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시스템이 검색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과, 제공된 상기 화면에 소프트웨어 성과물과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과, 입력된 상기 키워드를 전달받은 성과 검증 시스템이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으로 상기 키워드에 대응 되는 검색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이 상기 검색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상기 성과 검증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전달받은 상기 검색 결과와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요청받은 검증에 대한 검증 결과를 제공하는 성과물 전담기관, 상기 성과물 전담기관에서 제공하며, 검증 모듈과 검증 웹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검증 요청을 상기 성과물 전담 기관으로 전달하는 성과 검증 시스템과,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관련된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검증을 상기 성과 검증 시스템으로 요청하며, 상기 성과 검증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검증 결과를 전달받는 연구 전문 기관을 포함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진위 여부를 체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검색 화면을 제공하며, 제공된 상기 검색 화면에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받는 입력시스템, 입력된 상기 키워드를 상기 입력시스템으로 전달받고,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을 요청하며, 전달받은 검색 결과와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성과 검증 시스템과, 상기 검색에 대응하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성과 검증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상기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성과물 전담기관은 소프트웨어 검증을 위한 원천정보를 제공하고, 성과검증시스템은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연구관리전문기관에서 필요한 표준 검증서비스를 재구성하여 검증 결과를 제공한다. 연구관리전문기관은 성과검증시스템의 서비스를 웹서비스 혹은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Open API) 방식으로 제공받아 검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일련의 자동화된 방법은 기존의 수동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정보 구축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동시에 입력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성과물 전담기관에서 제공하는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과검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연구관리전문 기관의 과제관리프로그램에서 성과검증시스템을 연결하여 성과검증 서비스에 제공하는 기반 모델을 제시한다.
성과정보 서비스는 연구, 개발(R&D)사업의 투자 효율성 제고 및 성과중심의 연구개발 체제 정착을 위하여 연구성과를 종합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수요자(정부부처, 연구자, 일반이용자)가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체제를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연구관리기관의 과제관리 시스템 내에서 연구성과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성과검증시스템을 이용하면 빠른 검색과 간단한 방법으로 검증된 성과를 입력할 수 있다.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검증기능을 이용하여 기존 구축된 성과에 대해서 검증된 양질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성과검증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입력된 성과에 대해 검증을 통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구 관리기관과 성과물 전담기관을 포함하는 두 개의 기관으로 구성된다. 연구 관리기관은 특정 기관에서 발주한 연구 과제들을 관리하는 기관이다. 성과물 전담 기관은 성과유형별로 지정하는 기관으로 주관 연구기관 및 연구관리기관으로부터 기탁 및 등록받은 성과물에 대한 정보의 수집과 가공과 성과물 데이터베이스(Data Base:DB) 구축 및 수요자를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성과물이란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혹은 부산물로 얻어지는 유형의 결과물로써 대표적인 성과물의 유형은 생물소재, 생물정보, 화합물, 소프트웨어, 장비, 기자재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성과물 중에서 소프트웨어 성과물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성과물의 관리는 성과 유형별 전담기관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일 예로 소프트웨어에 대한 성과물은 컴퓨터프로그램 보호위원회에서 전담 관리하며, 논문에 대한 성과물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전담 관리하며, 특허에 대한 성과물은 특허청 한국특허 정보원에서 전담 관리한다. 보고서에 대한 성과물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전담 관리한다.
논문을 전담 관리하는 기관에서 수행되는 역할에 대해 알아보면, 논문은 주로 학술적인 연구결과의 발표를 위하여 가설 검증을 위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실 증분석 결과나 사례연구를 논리적으로 기술한 기록물로 정의된다.
특허를 전담 관리하는 기관은 특허정보 제공을 위한 특허맵(Patent Map) 작성하고, 작성한 특허맵을 제공(각 사업에 대한 특허맵 작성 및 제공, 특허맵을 통해 향후 특허분쟁에 대한 예방 및 대처방안 모색)한다.
연구자는 과제수행으로 발생한 논문에 대하여 논문정보자료 내용 및 원문을 첨부하여 연구관리기관에 제출하고, 연구관리기관은 내부적으로 논문의 세부사항을 확인하여 연구관리시스템에 입력한다. 세부사항에는 논문명, 게재지 및 게재 연월, 주저자와 공저자 관계, 학술지명, 발행기관 등이 포함된다. 성과물 전담기관은 연구관리에서 입력한 내용을 바탕으로 논문 D/B를 구축·운영하여 원문을 제공하고 신속하고 편리한 논문 게재를 위한 지원 활동을 수행한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성과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된다. 이와 같이 성과물을 관리하는 이유는 투자 효율성 제고 및 성과중심의 연구개발 체제 정착을 위하여 연구성과를 종합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수요자(정부부처, 연구자, 일반이용자)가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성과물 전담기관은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검증 기능을 제안한다. 즉, 소프트웨어 성과물 전담기관은 등록된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해 온라인으로 실시간으로 검증을 수행한다. 즉, 연구관리기관에서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해 검증을 요청하면, 소프트웨어 성과물 전담기관은 요청한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해 인증된 정보에 따라 검증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증 결과를 연구관리기관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 한 검증과정을 수행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연구성과 검증을 위한 방안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성과 검증시스템의 구성 및 외부 시스템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소프트웨어 성과 검증시스템의 구성 및 외부 시스템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연구관리전문기관(연구 관리기관)(30), 성과물 전담기관(10), 성과물 전담기관(10)에서 제공하는 성과 검증시스템(20)을 도시하고 있다. 부가하여, 도 2는 성과 검증시스템(20)에 접속하는 일반 사용자(50)와 성과 검증시스템(20)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40)를 도시하고 있다.
성과물 전담기관(10)에서 제공하는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관리전문기관(30)의 입력시스템에 검증된 소프트웨어 성과를 자동으로 입력하거나, 기구축된 소프트웨어 성과에 대한 검증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연구관리기관(30)의 과제관리시스템 사용자(연구자)는 성과검증시스템(20)을 이용함으로써 입력에 대한 업무 부담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다.
성과검증 시스템(20)은 성과검증 연계서비스, 성과검증 서비스, 전담기관 연계 서비스를 지원한다. 성과검증 연계서비스는 웹 서비스 방식 또는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Open API) 방식을 이용한다. 물론 상술한 방식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소프트웨어 성과검증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응용 계층과 통신망의 전달망 계층 사이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데, 이는 통 신망의 기능들을 추상화시킨 인터페이스로서 이를 이용하여 통신망(유선전화망, 이동전화망, 데이터 통신망, 방송망 등)의 구조 및 형식과는 독립적으로 새로운 응용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소프트웨어 성과검증 서비스는 온라인검증과 진위성 체크입력으로 구분하여 제공한다. 전담기간 연계서비스는 성과물 전담기관(10)과 성과 검증시스템(20)을 상호 연결한다. 성과물 전담기관(10)은 성과물들을 DB로 관리하고 있다. 일 예로 성과물 전담기관(10)은 논문, 특허, 생물자원, S/W 등을 DB로 관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성과물 전담기관(10)은 S/W를 중심으로 관리한다. 성과 검증기 관리기능은 연계기관관리기능, 검증기 동작 모니터링 기능, 이용현황조회 기능 등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구 관리기관(30)은 소프트웨어 성과물을 성과물 전담기관(10)에서 제공하는 성과 검증시스템(20)을 이용하여 검증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에서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일반 사용자(50)는 성과 검증시스템(20)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성과 검증시스템(20)은 접속을 요청한 일반 사용자별로 레벨을 설정하고, 각 레벨별로 획득할 수 있는 정보의 레벨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즉, 레벨이 높은 일반 사용자는 높은 레벨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레벨이 낮은 일반 사용자는 낮은 레벨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높은 레벨의 정보까지 일반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시스템 관리자(40)는 성과물 전담기관(10)에 제공하는 성과검증시스템(20)을 관리한다. 성과물 전담기관(10)의 시스템과 성과검증시스템(20), 연구관리전문기 관(30)의 시스템은 모두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어 실시간 소프트웨어 성과검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성과 검증 시스템의 온라인 검증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간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성과 검증 시스템의 온라인 검증과 이와 관련된 구성 요소들간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 흐름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소프트웨어 온라인검증 서비스는 이미 등록된 소프트웨어 성과정보에 대해서 온라인에서 실시간으로 검증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이다.
도 3은 성과물 전담기관(10)과 성과물 전담기관에서 제공하는 성과검증 시스템(20), 연구관리 전문기관(연구 관리기관)(30)을 도시하고 있다. 성과 검증 시스템(20)은 검증 웹(Web) 서비스와 검증 모듈을 포함한다. 연구관리 전문기관(30)은 성과 DB와 과제 DB를 포함하고 있다.
①과정에서 연구관리 전문기관(연구 관리기관)(30)의 과제관리시스템 또는 성과정보 입력시스템에서는 특정 키값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성과 검증 요청 메시지를 성과검증시스템(20)의 검증 웹서비스(검증 웹 서비스 모듈)로 보낸다. ②과정과 ③과정에서 검증모듈은 연구관리 전문기관(30)의 요청에 따라 성과물 전담기관(10)의 웹서비스로 소프트웨어 성과에 대한 검증을 요청한다. 수락된 검증요청에 대한 검증결과에 대한 정보는 최종적으로 ④, ⑤과정을 통해 연구관리전문기관(30)의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⑥과정에서 성과검증 시스템(20)으로부터 전달된 검증결과에 대한 정보는 자동으로 연구관리전문기관(30)의 시스템에 입력된다.
소프트웨어 검증을 위한 키값은 프로그램명, 등록번호, 등록일, 저작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조합 이외에 다른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성과물에 따라 검증을 위한 키값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소프트웨어는 등록번호, 프로그램명, 등록일 등의 조합으로 키값을 구성할 수 있으며, 논문은 논문명, 주저자. SCI구분 등의 조합으로 키값을 구성할 수 있으며, 특허는 출원번호, 등록번호, 특허명 등의 조합으로 키값을 구성할 수 있다. 검증결과 값은 검증여부, 검증에러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성과검증시스템의 진위성 체크 입력과 이와 관련된 구성 요소들간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성과검증시스템의 진위성 체크 입력과 이와 관련된 구성 요소들간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 흐름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는 소프트웨어분야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100)과 소프트웨어분야 성과 검증 시스템(200), 과제 관리기관 소프트웨어정보 입력시스템(연구 관리기관 소프트웨어정보 입력시스템)(300)을 도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분야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100)은 소프트웨어분야 성과물 전담기관 웹 서비스를 포함하며, 소프트웨어분야 성과검증 시스템(200)은 검색화면과 상세정보화면을 지원한다. 과제관리기관 소프트웨어정보 입력시스템(300)은 소프트웨어 성과등록 시스템을 지원한다.
소프트웨어분야 진위성 체크입력 서비스는 소프트웨어 성과 등록과정에서 온라인 검증기의 도움을 받아 성과정보의 정확한 등록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이다. 접 근 방법은 기본 키를 조합하여 검색을 실시한 후, 검색목록에서 원하는 성과를 선택하여 등록하거나 검증하는 방식을 취한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진위성 체크입력을 위한 프로세스는 여러 단계의 절차를 거친다. ①과정에서 사용자가 과제관리기관의 소프트웨어정보 입력시스템(300)에 접속하면, 소프트웨어정보 입력시스템(300)은 사용자에게 검색화면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검색화면에서 소프트웨어 등록번호와 프로그램명을 입력 후 검색을 요청한다. 소프트웨어정보 입력 시스템(300)은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른 정보를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즉, 소프트웨어 정보 입력 시스템(300)은 저작자, 저작권자, 창작참여자 등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한 후 검색 요청을 하면 소프트웨어분야 성과검증시스템(200)이 ②과정에서 소프트웨어분야 성과물 전담기관에 재요청을 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소프트웨어분야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소프트웨어 분야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③과정에서 소프트웨어분야 성과검증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며, ④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재전송한다. 사용자는 검색결과 화면에서 소프트웨어분야 성과검증시스템(200)을 통하여 소프트웨어분야 성과물전담기관 시스템(100)으로 상세정보를 요청한다.
소프트웨어분야 성과물전담기관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분야 성과검증 시스템(100)을 통해 제공받은 상세정보와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가 일치한다면 검증 버튼을 클릭하여 과제관리기관 소프트웨어 정보입력 시스템에 검증된 소프트웨어정보를 입력한다.
이러한 일련의 검색, 입력, 검증 과정은 과제관리기관 소프트웨어 정보 입력시스템, 소프트웨어분야 성과 검증 시스템, 소프트웨어분야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 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된다.
도 5는 연구관리기관의 소프트웨어 성과 등록 시스템의 등록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성과 검증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구체적인 데이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소프트웨어 성과 등록 시스템의 등록 화면은 입력화면(1, 4), 검색화면(2), 상세정보화면(3)을 포함한다. 입력화면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성과물에 대한 다양한 항목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검색화면은 상술한 바와 등록번호와 프로그램명을 요청한다.
사용자는 검색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키워드를 입력한 후 검색을 요청하면, 해당 키워드에 해당하는 검색 목록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된 검색 목록들 중 하나의 목록을 선택하면 상세정보화면이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에 대한 상세정보는 등록번호, 프로그램명, 창작연월일, 등록연월일, 복제물형태, 프로그램종류, 적용분야, 프로그램 특징, 주요 기능. 판매구분, 사용기종, 저작자 등의 항목이 표시된다. 특허에 대한 상세정보는 출원명, 출원인, 공개여부, 출원인 구분코드, 국제출원일자, 대리인, 출원번호, 공개번호 등의 항목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성과물 전담기관에서 제공하는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과검증 서비스를 수행하고, 연구관리전문 기관의 과제관리프로그램에서 성과검증시스템을 연결하여 성과검증 서비스에 제공함으로써 입력한 성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수작업으로 성과를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내의 화면을 표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성과 검증 시스템의 구성 및 외부 시스템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성과 검증 시스템의 온라인 검증과 이와 관련된 구성 요소들간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소프트웨어 성과검증 시스템의 진위성 체크입력과 이와 관련된 구성 요소들간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연구관리기관의 소프트웨어 성과 등록 시스템의 등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성과물 전담기관 20 : 성과검증시스템
30 : 연구관리전문기관 40 : 시스템관리자
50 : 일반 사용자
100 : 소프트웨어분야성과물전담기관
200 : 소프트웨어분야 성과검증시스템
300 :과제관리기관 소프트웨어정보입력시스템
500 : 사용자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연구 관리전문기관의 시스템으로부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관련된 정보로 구성된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진위 여부에 대한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검증을 웹 서비스 방식을 이용하거나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식의 온라인을 이용한 검증을 요청받는 과정과,
    성과물 전담기관이 제공하는 성과 검증 시스템에서 요청받은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수행한 상기 검증 결과를 상기 연구 관리전문기관의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연구관리전문기관의 입력시스템에 상기 검증된 결과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성과물 검증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키값은 프로그램명 소프트웨어 등록번호, 등록일, 저작자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 검증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결과는 검증 여부 또는 검증 에러 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 검증 방법.
  6. 삭제
  7.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진위 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시스템이 검색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
    제공된 상기 화면에 소프트웨어 성과물과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과,
    입력된 상기 키워드를 전달받은 성과 검증 시스템이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으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이 상기 검색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상기 성과 검증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
    전달받은 상기 검색 결과와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검색 결과가 상기 입력시스템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시스템, 상기 성과 검증 시스템, 상기 성과물 전담 기관 시스템은 온라인으로 실시간 네트워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진위 여부 체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인 성과물 리스트에서 하나의 소프트웨어 성과물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제1 정보를 상기 성과물 전담 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진위 여부 체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과 관련된 키워드는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의 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숫자, 프로그램명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포함하며,
    상기 검색 결과는 상기 키워드가 포함된 소프트웨어 성과물들의 리스트에서 선택된 소프트웨어 성과물을 의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진위 여부 체크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성과 검증 시스템은,
    접속을 요청한 일반 사용자별로 레벨을 설정하고, 각 레벨별로 획득할 수 있는 정보의 레벨을 달리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진위 여부 체크 방법.
  11. 삭제
  12. 요청받은 검증에 대한 검증 결과를 제공하는 성과물 전담기관,
    상기 성과물 전담기관에서 제공하며, 검증 모듈과 검증 웹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검증 요청을 상기 성과물 전담 기관으로 전달하는 성과 검증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관련된 키값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검증을 상기 성과 검증 시스템으로 요청하며, 상기 성과 검증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검증 결과를 전달받아 입력시스템에 상기 검증된 결과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연구 전문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키값은 프로그램명 소프트웨어 등록번호, 등록일, 저작자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 검증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검증은,
    웹 서비스 방식을 이용하거나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 검증 시스템.
  14.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진위 여부를 체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검색 화면을 제공하며, 제공된 상기 검색 화면에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받는 입력시스템,
    입력된 상기 키워드를 상기 입력시스템으로 전달받고,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을 요청하며, 전달받은 검색 결과와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성과 검증 시스템과,
    상기 검색에 대응하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성과 검증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상기 성과물 전담기관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가 상기 입력시스템에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진위 여부 체크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인 리스트에서 하나의 소프트웨어 성과물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에 대한 제1 정보를 상기 성과물 전담 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으며,
    상기 소프트웨어 성과물과 관련된 키워드는 상기 성과물의 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숫자, 프로그램명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포함하며,
    상기 검색 결과는 상기 키워드가 포함된 소프트웨어 성과물들의 리스트에서 선택된 소프트웨어 성과물을 의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성과물에 대한 진위 여부 체크 시스템.
KR1020080130532A 2008-12-19 2008-12-19 소프트웨어 연구성과 검증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52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532A KR100952415B1 (ko) 2008-12-19 2008-12-19 소프트웨어 연구성과 검증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532A KR100952415B1 (ko) 2008-12-19 2008-12-19 소프트웨어 연구성과 검증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415B1 true KR100952415B1 (ko) 2010-04-14

Family

ID=4221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532A KR100952415B1 (ko) 2008-12-19 2008-12-19 소프트웨어 연구성과 검증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145B1 (ko) * 2013-09-24 2015-07-23 중소기업은행 실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수기 조정 실적 관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1231A (ko) * 2005-12-29 200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20080106993A (ko) * 2007-02-28 2008-12-10 김동원 키워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1231A (ko) * 2005-12-29 200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20080106993A (ko) * 2007-02-28 2008-12-10 김동원 키워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주원균 외, "연구성과 검증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07 춘계 종합학술대회, 2007. 12. 3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145B1 (ko) * 2013-09-24 2015-07-23 중소기업은행 실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수기 조정 실적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96570B (zh) 一种智慧文旅系统
CN107977790B (zh) 一种集团型企业技术创新管理信息系统
US201200959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Information to Identify, and Act Upon, Intellectual Property Issues
US20160034474A1 (en) Enterprise Data Mining in a Multi-Tenant Database
Janssen et al. Simulation and animation for adopting shared services: Evaluating and comparing alternative arrangements
CN106682878A (zh) 一种设计师匹配平台及方法
US20150134372A1 (en) Integration of online self-booking tool and third party system search results
CN111949724A (zh) 一种知识产权大数据平台
KR102213465B1 (ko) 통합보안업무관리장치 및 통합보안업무관리방법
Agarwal et al. Enterprise architecture for e-Government
WO2015070975A1 (en) Integration of online self-booking tool and third party system search results
Ronoh et al. An interoperability framework for E-government heterogeneous information systems
Theocharis et al. E-government: The concept, the environment and critical issues for the Back-office systems
KR100952415B1 (ko) 소프트웨어 연구성과 검증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9377155A (zh) 借贷信息审批方法以及装置
US200600747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idential property data capture, process, and distribute on-line for sale or lease purpose
Yurtlu Current Cloud-Based Software Services Used in Online Marketing of Hotels in Turkey
KR20140115267A (ko) 복수의 독립적 서버와 데이터 집합에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중앙 집중식 관리 및 액세스 시스템 및 방법
US9230284B2 (en) Centrally managed and accesse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processing on multiple independent servers and datasets
EP2874107A1 (en) Integration of online self-booking tool and third party system search results
Harsiti et al. A service application prototype of citizen portal apps (C-PORT) for improving local government public services
KR10266883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건설업체의 행정업무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50391B1 (ko) 저작권 불명 여부와 판단을 위한 조사기관 별 정보 검색 및 수집 자동화 방법
KR100989689B1 (ko) 은행 업무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03008A (ja) カスタム製品情報提供装置、カスタム製品情報照会装置およびカスタム製品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