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055B1 -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더덕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용도 - Google Patents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더덕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055B1
KR100951055B1 KR1020070093644A KR20070093644A KR100951055B1 KR 100951055 B1 KR100951055 B1 KR 100951055B1 KR 1020070093644 A KR1020070093644 A KR 1020070093644A KR 20070093644 A KR20070093644 A KR 20070093644A KR 100951055 B1 KR100951055 B1 KR 100951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eodeok
stem
distilled water
neutroph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213A (ko
Inventor
김종만
김재명
이희수
장금찬
박신영
조윤상
이명헌
윤소미
박중원
지순옥
정석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7009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0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4Codono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더덕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더덕줄기 및 잎을 음지에서 건조시켜 마쇄하여 열탕용 봉지에 넣고 증류수 중에 가열하여 1차 추출한 후, 추출물은 별도로 분리하고 잔류물에 재차 증류수를 넣고 열탕하여 2차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1차 및 2차 추출물을 혼합하여 추출물에 2배량의 에탄올을 가하여 4∼6℃ 냉장실에서 24시간 정치시켜 침전된 다당체를 원심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다당체를 순수 에탄올로 원심 세척한 후 35∼38℃ 항온실에서 건조하여 증류수로 1mg/ml 농도로 용해시켜 세균여과지로 여과하여 원액을 얻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더덕추출물은 동물의 주요 면역세포인 호중구의 각종 활성과 싸이토카인 생성을 증강시키고 병원성세균의 공격접종에 대한 비특이적인 방어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동물용 의약품으로써 면역증강제. 백신보좌제 첨가물 그리고 보조치료제 등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더덕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용도{Extract of Codonopsis lanceolata for Strength of Animal's Immunity, Thereof Method and Use}
본 발명은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더덕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동물에서 각종 병원미생물 침입에 1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면역을 담당하는 것은 체내에 있는 주요 탐식세포인 호중구(neutrophil), 대식구(macrophages)이며 2차적으로 특이면역을 이끄는 면역세포는 림프구(lymphocytes, T/B cell) 등이며 이들의 활성이 비정상적일때 병원미생물이 감염, 증식하여 발병하게 된다. 면역증강물질은 이러한 질병방어에 주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각종 면역세포의 기능을 증강시켜 질병감염에 대한 특이 및 비특이 저항성을 높혀 준다. 이러한 면역증강물질은 동물, 식물, 미생물 등 다양한 생물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로 부터 추출한 많은 물질이 사람 및 동물의 면역증강제로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더덕은 식용 및 약용으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식물로서 천연물질을 이용한 면역증강물질 개발의 일환으로 더덕 재배후 폐기되는 더덕줄기 및 잎에서 추출한 물질에 대하여 병원성미생물 감염시 1차방어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혈중 호중구의 각종 활성에 미치는 효과와 세포성 면역의 지표로 이용되는 싸이토카인 생성 및 병원성미생물 공격접종에 대한 비특이적인 방어능을 시험하여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물질을 개발하였다. 비특이적인 면역활성 증강능이 우수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동물용 면역증강제, 백신보좌제 및 보조치료제 등을 개발하는데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도라지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쿨성 쌍떡잎식물로서 길이 2m 이상.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서 숲속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없고 덩이뿌리는 굵고 방추형이며 덩굴줄기는 감겨 올라간다. 잎은 마주나며 3∼4개 잎이 서로 접해서 난 바소꼴 또는 긴타원형으로 끝이 날카롭고 밑은 좁으며 톱니는 없다. 작은 가지 끝에 종(鐘) 모양의 꽃이 달렸으며,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녹색이고 길이는 2∼2.5㎝이다. 꽃부리는 꽃받침과 떨어져 그 윗부분에 나고 5갈래로 갈라졌다. 갈라진 조각들은 삼각형이고 뒤로 말리면 겉은 연한 녹색, 안쪽에는 자갈색의 반점이 있다. 열매는 원뿔형이고 꽃은 자색으로서 8∼9월에 핀다. 봄에는 어린 잎을 식용하고 가을에는 뿌리를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더덕은 뿌리가 굵고 비대하며 긴 방추형으로 섬유질이 많고 가로로 주름이 많이 잡혔으며 울통불통한 혹이 달려 있다. 서식지는 전국 각지, 중국,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더덕은 인삼과 함께 오삼의 하나로 불렸으며 인삼과 같은 사포닌과 스테롤 성분이 함유되어 강장제나 기관지염 및 해소병의 약재로 이용되며 칼슘, 인, 철분과 같은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하고, 항암작용이 있는 글리신, 시스테인, 페닐알라닌 등의 아미노산 성분이 있어 김치에 첨가했을 때 보존성을 연장시킬 수 있다고 알려 졌다.
한편 더덕의 성분으로는 N-formylharman, perlolyne, norharman, cycloartenol 등이 보고되었으며, 한방에서는 소종, 해독, 배농, 거담, 하유즙의 효능이 있고, 폐옹, 유선염, 나력, 유즙부족, 백대하를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더덕 추출물이 thymocyte의 증식을 촉진, helper T 세포의 수를 증가시키고 복강 macrophage의 탐식작용을 증강시킨다고 하였으며, 더덕의 수용성 추출물이 면역계 세포에 직간접적으로 작용하여 생체의 세포성 면역반응을 항진시킨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피부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식용 및 약용식물인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로부터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신규한 물질 개발에 관한 것이다.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물질은 각종 동물, 식물 및 미생물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인삼, 버섯 등 다양한 식물로 부터 추출하여 활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 2006-7009452(면역활성을 향상시키는 정제형태의 우유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는 가시오갈피, 더덕, 양송이버섯, 맛타리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을 향상시키는 정제형 기능성 우유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에서 면역증강물질을 추출하여 주요 면역세포인 호중구, 대식구 및 림프구(비장세포)에서의 면역활성 증강 효능과 병원균에 대한 비특이적 방어능 향상에 관한 기술개발 등이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천연물질을 이용한 면역증강물질 개발연구의 일환으로 더덕재배후 폐기되는 더덕줄기 및 잎에서 추출한 물질에 대하여 병원성미생물 감염시 1차방어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혈중 호중구의 각종 활성에 미치는 효과와 세포성 면역의 지표로 이용되는 싸이토카인 생성 및 병원성미생물 공격접종에 대한 비특이적인 방어능을 시험하여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물질을 개발하였다. 금후 비특이적인 면역활성 증강능이 우수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동물용 면역증강제, 백신보좌제 및 보조치료제 등을 개발하는데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더덕의 줄기 및 잎으로부터 물리적인 방법으로 신규한 유용물질을 추출하여 추출물의 각종 면역세포 활성 증강효능을 시험하여 추출물의 면역증강활성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동물의 질병을 효율적으로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면역증강제, 백신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좌제(adjuvants) 첨가물 및 치료효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 보조치료제로서 활용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따른 양축농가의 가축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는 동물용 의약품과의 경쟁력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동물의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더덕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1)건조한 더덕줄기 및 잎의 분말을 증류수 중에서 가열하여 1차 추출물과 잔류물을 얻은 후 상기 1차 추출물은 별도로 분리하고 잔류물에 재차 증류수를 넣고 가열하여 2차 추출 추출물을 얻는 단계, (2)상기 (1)단계에서 얻은 더덕줄기 및 잎의 1차 추출물 및 더덕줄기 및 잎의 2차 추출물을 혼합한 다음 상기 더덕줄기 및 잎의 혼합 추출물에 에탄올을 가하고 정치시켜 침전된 다당체를 얻은 다은 상기 침전된 다당체를 원심분리하는 단계, (3)상기 (2)단계에서 분리된 다당체를 에탄올로 원심 세척한 후 건조하여 증류수로 용해시킨 후 여과하여 원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단계에서 더덕줄기 및 잎의 분말을 증류수 중에서 가열시, 더덕줄기 및 잎의 분말을 더덕줄기 및 잎의 분말 중량 대비 5∼20배량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80∼120℃에서 가열하여 상기 증류수 함량이 최초 증류수 함량 대비 25∼50%가 될 때까지 추출하여 1차 추출물 및 잔류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더덕줄기 및 잎의 2차 추출물은 상기 1차 추출물을 얻을 때 생긴 잔류물에 잔류물 중량 대비 2∼20배량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80∼120℃에서 가열하여 상기 잔류물에 첨가된 증류수 함량이 최초 잔류물에 첨가된 증류수 함량 대비 25∼50%가 될 때까지 추출하여 2차 추출물 및 잔류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 더덕줄기 및 잎의 1차 추출물 및 2차 추출물이 혼합된 혼 합 추출물을 혼합 추출물 중량 대비 2∼5배량의 에탄올을 가하고 정치시킬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 더덕줄기 및 잎의 1차 추출물 및 2차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혼합 추출물 중량 대비 2∼5배량의 에탄올을 가하고 0∼10℃의 온도에서 10∼48시간 정치시킬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 더덕줄기 및 잎의 1차 추출물 및 2차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혼합 추출물 중량 대비 2∼5배량의 에탄올을 가하고 4∼6℃의 온도에서 24시간 정치시킬 수 있다.
상기 (3)단계에서 (2)단계로부터 분리된 다당체를 에탄올로 원심 세척한 후 35∼38℃ 항온실에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3)단계에서 (2)단계로부터 분리된 다당체를 에탄올로 원심 세척한 후 35∼38℃ 항온실에서 건조하고 증류수로 1∼100mg/ml 농도로 용해시키고 여과하여 덕덕줄기 및 잎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1)단계 내지 (3)단계의 방법에 의해 얻은 더덕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1)단계 내지 (3)단계의 방법에 의해 얻은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병원성세균에 대한 면역활성 증가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1)단계 내지 (3)단계의 방법에 의해 얻은 더덕 추출물을 동물용약품의 면역증강제, 백신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좌제 첨가물, 보조치료제, 사료첨가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동물용약품의 면역증강제에 있어서, 동물은 사람 및 포유류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동물용약품의 면역증강제에 있어서, 동물은 사람을 제외한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더덕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에 관한 것으로 첫째,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로 부터 면역증강 효능이 있는 물질을 추출하는 데 있으며 둘째, 추출물의 동물의 주요 면역세포인 호중구 무작위 및 지향성유주능, 과산화물 산생, 싸이토카인 산생 및 병원균에 대한 비특이적인 방어능 향상효과를 확인하여 추출물질의 면역증강물질로서의 효능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더덕 추출물은 열탕 및 에탄올추출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그늘에서 건조시킨 더덕줄기 및 잎을 마쇄기로 갈아 75±25메쉬(mesh) 분말로 만들고 이것 50g을 열탕용 흰 봉지에 넣고 증류수 800g를 넣고 150분간 약재를 달인 후 1차 추출액을 수집하고 잔류물에 다시 증류수 400g를 가하여 150분간 추가로 추출하였다. 1차 및 2차 추출액을 합한후 추출액 총량의 2배량의 순수 에탄올을 가하여 5℃ 냉장실에 하루밤 정치하여 침전한 다당체를 저속 원심분리하여 수집하였다. 이것을 다시 동량의 순수 에탄올로 원심세척후 37℃ 항온실에서 건조한 후에 증류수에 1mg/ml농도로 녹여 원액으로 하고 0.45㎛ 세균여과지로 여과하여 분병한후에 냉동보관하면서 시험에 사용하였다.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중 당성분을 분석한 바, 추출물의 주요 다당체(polysaccharides) 함량을 단당류인 프럭토스(Fructose)를 기준당으로 하여 이온크로마토그라피법(Dionex US/IC25A, ion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서와 같이 프럭토스로서 1.79mg/ml이었다.
<시험예 1>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의 산양혈중 호중구(neutrophil)의 무작위유주능(Random migration) 증강효과는 체내에 침입한 병원체를 탐식, 제거하는 중추적 방어역할을 하는 호중구의 침입부위로 이동하는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아래와 같이 시험하였다.
1-1) 산양혈중 호중구 분리 및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로 혼합처리
산양의 경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여 항응고제인 에이시디액(ACD, sodium citrate, citric acid, dextrose)과 혼합하고 2,500×g, 20분 원심분리하여 연막(buffy coat)을 제거후 적혈구를 용혈시켜 1500×g, 5분 원심분리하여 호중구를 수집후 알피엠아이(RPMI 1640)배지에 호중구수가 1×107/ml 되도록 부유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로 호중구를 혼합처리하기 위하여 냉동보관중인 추출물 원액(1mg/ml)을 알피엠아이배지로 100㎍/ml, 10㎍/ml, 1㎍/ml이 되도록 희석하고 같은 양(30㎕)의 호중구부유액(1×107/ml)과 혼합하여 탄산가스 배양기(CO2 incubator)에서 37℃, 1시간 혼합처리하였다.
1-2) 무작위유주능(Directional migration) 증강효과
더덕줄기 및 잎 추출액과 혼합처리한 호중구 10㎕씩을 아가로즈 프레이트(agarose plate)에 직경 3mm되게 만든 홀(hole)에 넣고 탄산가스배양기에서 37oC, 18시간 적용후 8% 구루타알데하이드액으로 고정하고 겔을 제거후에 세척, 건조하였다. 건조시킨 프레이트를 스타트염색액(Stat stain, Volu-Sol, Inc.)으로 염색하여 호중구가 유주한 거리를 현미경(MC-50T, MEIJI/Japan)으로 측정하고 호중구의 유주면적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즉, 유주면적 = πr2-π(홀 반지름)2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의 희석 배수별로 처리한 산양 혈중 호중구의 무작위유주능에 미치는 영향은 표 1에서와 같다.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을 100㎍/ml, 10㎍/ml, 1㎍/ml 농도로 처리한 호중구의 유주면적이 각 13.71mm2, 29.55mm2, 35.02mm2로 무처리대조군의 23.30mm2에 비하여 100㎍/ml로 처리한 경우 유주능을 억제하였으나 10㎍/ml, 1㎍/ml로 처리한 것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무작위 유주능을 나타내었다.
<표 1>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로 처리한 산양혈중 호중구의 무작위유주능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07066786510-pat00001
<시험예 2>; 지향성유주능(Directional migration) 증강효과 조사
무작위유주능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과 혼합처리한 호중구 10㎕를 아가로즈 프레이트(agarose plate)에 직경 3mm되게 일열로 만든 3개의 홀(hole)중 가운데 홀에 넣고 나머지 두 홀에는 10㎕의 인산완충식염수액(PBS, pH 7.2)과 자이모산(Zymosan A, Sigma Z-4250)으로 옵소닌(opsonization) 처리한 염소보체를 각기 넣고 탄산가스배양기에서 37℃, 3-5시간 적용후 8% 구루타알데하이드액으로 고정하고 겔을 제거후에 세척, 건조하였다. 건조시킨 프레이트를 스타트염색액(Stat stain, Volu-Sol, Inc.)으로 염색하여 인산완충식염수액과 옵소닌 처리 염소보체쪽으로 호중구가 유주한 거리를 각각 현미경(MC-50T, MEIJI/Japan)으로 측정하고 호중구의 유주거리 차이를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즉, 옵소닌 처리한 염소보체로 유주한 거리 - 인산완충식염수액으로 유추한 거리이다.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로 처리한 산양혈중 호중구의 지향성유주능에 미치는 효과는 표 2에서와 같다. 즉, 10㎍ 또는 1㎍/ml 농도로 처리한 호중구의 지향성유주능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100㎍/ml 농도로 처리한 경우는 유주능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2>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로 처리한 산양혈중 호중구의 지향성유주능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07066786510-pat00002
<시험예 3>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 추출물의 산양혈중 호중구(neutrophil) 항미생물성 과산화물(superoxide, O2-) 산생능 조사는 침입 병원체를 탐식한 호중구가 이들을 살균하기 위하여 폭발적 산소호흡(respiratory burst)에 이은 살미생물성 산소대사산물인 과산화물(superoxide, O2-) 산생능을 엔비티(NBT)법으로 시험하였다.
3-1)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로 혼합처리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로 호중구를 혼합처리하기 위하여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을 알피엠아이(RPMI)배지 원액(1mg/ml)을 100㎍/ml, 10㎍/ml, 1㎍/ml의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고 같은 양(30㎕)의 호중구부유액(1×107/ml)과 혼합하여 탄산가스 배양기(CO2 incubator)에서 37℃, 1시간 혼합처리하였다.
3-2) 과산화물 산생능 조사
농도별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과 혼합처리한 호중구(2×106/ml) 50㎕와 얼스 액(Earls balanced salt solution, EBSS)과 염소보체로 옵소닌 처리한 자이모산 부유액 각 25㎕를 조배양용 마이크로플레이트(Costar, 96 well)의 홀에 3반복으로 넣고 탄산가스배양기에서 37℃, 1시간 작용시킨 후에 각 홀에 엔비티시액(NBT, nitroblue tetrazolium)을 100㎕(4mg/ml)씩 가하고 탄산가스배양기에서 3시간 반응시킨 후에 과산화물(superoxide) 생성양에 비례하여 형성된 자주색의 포르마잔(formazan) 입자를 디엠에스오(DMSO) 100㎕를 가하여 녹인후 흡수파장 560nm에서 흡광도를 엘라이자 판독기(ELISA reader, Titertec multiscan)로 판독하여 과산화물 생성양을 측정하였다.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의 희석 배수별로 처리한 산양 혈중 호중구의 과산화물 산생능에 미치는 영향은 표 3에서와 같다.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로 100㎍/ml, 10㎍/ml, 1㎍/ml 농도로 처리한 호중구의 과산화물 산생양에 따른 광학적밀도(O.D) 수치는 각 0.2000, 0.1857 및 0.1427로 대조군의 0.0943에 비하여 100㎍/ml 및 10㎍ 농도로 처리한 경우 무처리 대조군보다 현저히(p<0.01) 높은 과산화물 산생능을 보였다.
<표 3>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로 처리한 산양혈중 호중구의 과산화물 산생능
Figure 112007066786510-pat00003
<시험예 4>
마우스혈중 사이토카인(감마인터페론) 산생에 미치는 영향은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의 세포성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성면역의 주요 싸이토카인(cytokine)인 감마인터페론IFN-γ) 생성양으로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을 접종한 마우스에서 시험하였다.
4-1)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의 마우스 접종 및 채혈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 원액을 25g의 아이시알(ICR, ♂) 마우스 복강으로 0.2ml를 2수에 접종하고 3일후에 안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2수분의 혈청을 혼합한 즉시 냉동보관하면서 혈청중의 싸이토카인 양을 시험하였다.
4-2) 감마인터페론 생성양 조사
마우스 혈청중의 싸이토카인(인터루킨-2, 감마인터페론) 생성양 조사는 인스턴트 엘라이자 킷트(Bender MedSystems, Austria)를 이용하였다. 즉, 희석액으로 2배로 희석한 혈청 50㎕와 100㎕의 증류수를 종류별 사이토카인 킷트의 마이크로플레이트 홀에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반응시킨 후 세척액(wash buffer)으로 6회 세척하였다. 여기에 티엠비기질액(TMB substrate solution) 100㎕씩을 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발색시킨 후에 100㎕씩의 반응중지액(stop solution)을 가하고 흡수파장 450nm에서 흡광도를 엘라이자 판독기(ELISA reader, Titertec multiscan)로 판독하여 표준품의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인터루킨-2와 감마인터페론 생성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4에서와 같이 감마인터페론은 125pg으로 매우 많은 양이 검출되어 세포성 면역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인터루킨-2의 경우는 뚜렷한 생성양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4>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 접종 마우스 혈청중의 사이토카인 산생양
Figure 112007066786510-pat00004
<시험예 5>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의 병원성 미생물로 포도상구균(pathogenic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비특이적인 방어능을 알아 보기 위하여 포도상구균 공격 접종에 대한 방어능은 마우스의 방어능으로 시험하였다.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의 마우스접종 및 공격 접종은잎 추출물 원액을 25g의 아이시알(ICR, ♂) 마우스 복강으로 0.2ml를 4수에 접종하고 3일후에 병원성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strain 289)으로 최소치사량의 10배(10MLD/0.3ml)양을 복강으로 공격접종한 후 7일간의 생존율로 방어효과를 조사하였다.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을 접종한 마우스는 병원성 포도상구균 공격접종에서 4수중 3수가 생존하여 75%의 방어율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 마우스는 모두 폐사하여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의 우수한 비특이적 방어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5>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의 병원성포도상구균 공격접종에 대한 방어능
추출물 접종 (0.2ml, 복강) 공격접종 방어효과(%)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 원 액 0.3ml(10MLD) 복 강 1/4*(75)
대조군 - 0.3ml(10MLD) 복 강 4/4 (0)
* 폐사 마리수/공격접종 마우스 수 × 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더덕 추출물의 주요 성분인 다당체(polysaccharides)는 산양혈중 호중구의 무작위유주능(Random migration) 및 지향성유주능(Directional migration) 추출물을 1㎍/ml 또는 10㎍/ml 농도로 희석 처리하였을 때 산양혈중 호중구의 무작위 유주능이 현저히(p<0.05)향상되었으며 지향성유주능도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산양혈중 호중구의 과산화물(superoxide O2-) 산생능은 호중구의 활성화에 따른 과산화물(O2-) 생성양은 추출물을 1-100㎍/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무처리대조군의 과산화물 생성반응보다 현저히 높게(p<0.01-0.05) 나타났다. 싸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 원액을 복강으로 접종한 마우스의 혈중에서 세포성면역 활성의 지표로 활용되는 싸이토카인인 감마인터페론이 31.25pg/ml 검출되었다. 병원성 포도상구균 공격접종에 대한 마우스 방어효과는 더덕줄기 및 잎 추출물 원액을 접종한 마우스는 병원성 포도상구균 공격접종에서 75%의 방어율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 마우스는 모두 폐사하여 추출물의 우수한 비특이적 방어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병원성세균에 대한 방어능이 우수하여 산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더덕 추출물중 주요 면역증강물질인 다당체 양을 단당류인 프럭토스 양을 표준당으로 하여 분석한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1)건조한 더덕줄기 및 잎의 분말을 증류수에서 가열하여 1차 추출물과 잔류물을 얻은 후, 상기 1차 추출물은 별도로 분리하고 잔류물에 재차 증류수를 넣고 가열하여 2차 추출 추출물을 얻는 단계,
    (2)상기 (1)단계에서 얻은 더덕줄기 및 잎의 1차 추출물 및 더덕줄기 및 잎의 2차 추출물을 혼합한 다음 상기 더덕줄기 및 잎의 혼합 추출물에 에탄올을 가하고 정치시켜 침전된 다당체를 얻은 다음 상기 침전된 다당체를 원심분리하는 단계,
    (3)상기 (2)단계에서 분리된 다당체를 에탄올로 원심 세척한 후 건조하여 증류수로 용해시킨 후 여과하여 원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더덕 추출물 100㎍/㎖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용약품의 면역증강제, 백신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좌제 첨가물, 보조치료제, 사료첨가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사용하는 방법
KR1020070093644A 2007-09-14 2007-09-14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더덕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용도 KR100951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644A KR100951055B1 (ko) 2007-09-14 2007-09-14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더덕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644A KR100951055B1 (ko) 2007-09-14 2007-09-14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더덕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13A KR20090028213A (ko) 2009-03-18
KR100951055B1 true KR100951055B1 (ko) 2010-04-06

Family

ID=4069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644A KR100951055B1 (ko) 2007-09-14 2007-09-14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더덕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3489B (zh) * 2022-06-22 2023-04-11 西藏天虹科技股份有限责任公司 藏党参多糖提取物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6.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13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llejos-Vidal et al. The response of fish to immunostimulant diets
Aboaba et al. Antibacterial effect of edible plant extract on Escherichia coli 0157: H7
Dalloul et al. Immunopotentiating effect of a Fomitella fraxinea-derived lectin on chicken immunity and resistance to coccidiosis
KR101309583B1 (ko) 닭 전염성질병 예방용 사료첨가조성물
AU668348B2 (en) Benzopyran phenol derivates for use as antibacterial, antiviral or immunostimulating agents
Bankole et al. Synergistic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hytoestrogens in crude extracts of two sesame species against some common pathogenic microorganisms
Stanley et al.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leaf extracts of Ocimum gratissimum and Sida acuta
Acharya et al. Alternatives to fight against coccidiosis: A review
JP3471789B2 (ja) アレルギー疾患治療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336987A (zh) 一种羊肚菌和牛肝菌复方粗多糖及制备方法和医用用途
KR100951055B1 (ko)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더덕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용도
Camilla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of Cymbopogon citratus (lemon grass) on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KR101434741B1 (ko) 페실로마이세스 바리오티 바라이어티 브른네오러스 gpp1101b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제제
Moharram et al. In vitro assessment of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endophytic fungal metabolites extracts
RU2314819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пробио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Khare et al. In vitro and in vivo efficacy of a new herbaceous indian plant-Abutilon indicum against Leishmania donovani infection
KR20090046387A (ko)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101894874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질리스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KR20090021610A (ko)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벌나무가지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면역증강제
Parekh et al. Antimicrobial and hemolytic activity of seed protein extracts from selected medicinal plants against tooth decaying microorganisms
Kumar et al. Study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of fruits of Myrica Esculenta
KR20080106789A (ko)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감초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40960B1 (ko) 무화과 효소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US20080233144A1 (en) Use of the Mushroom Agaricus Blazei Murill for the Production of Medicaments Suitable for Treating Infections and Allergies
KR20090021611A (ko)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노란 민들레 열탕 추출물, 그제법 및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