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976B1 -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976B1
KR100950976B1 KR1020090103372A KR20090103372A KR100950976B1 KR 100950976 B1 KR100950976 B1 KR 100950976B1 KR 1020090103372 A KR1020090103372 A KR 1020090103372A KR 20090103372 A KR20090103372 A KR 20090103372A KR 100950976 B1 KR100950976 B1 KR 100950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
fixing
rotating plate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산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산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산전기
Priority to KR102009010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2Mobile units, e.g. for work s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 배전반, 저전압 배전반, 분전반, MCC(Motor Control Center)와 같은 전기 장비를 설치할 위치로 쉽게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치 장소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쉽게 움직이지 않는 구조를 가진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는 중장비를 동원하지 않고도 사람의 힘으로 쉽게 설치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설치 장소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SWITCHBOARD HAVING MOVABLE ELEMENT}
본 발명은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 배전반, 저전압 배전반, 분전반, MCC(Motor Control Center)와 같은 전기 장비를 설치할 위치로 쉽게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전압 배전반, 저전압 배전반, 분전반, MCC(Motor Control Center)와 같은 전기 장비는 그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사람의 힘으로 쉽게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기 장비를 설치할 때에는 포크 리프트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설치 장소로 이동시킨 후에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 장소마다 중장비를 동원하는 것은 번거로운 점이 있다. 또한, 설치 장소가 협소한 실내인 경우 설치 장소에 중장비를 진입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설치 장소에 전기 장비를 배치한 후에 배선을 연결하고 전기 장비의 위치를 세부 조정하는 경우에도 사람의 힘으로 장비를 움직이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중량의 전기 장비를 사람의 힘으로도 쉽게 설치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고,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쉽게 움직이지 않고 설치 장소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전기 장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만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치 장소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쉽게 움직이지 않는 구조를 가진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 설비를 제어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고정 플레이트와, 그 고정 플레이트의 양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부재;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의 지지부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그 지지부의 사이에 수용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의 지지부들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그 양단이 상기 제1부재의 지지부들에 걸리도록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부재의 가이드 홀에 끼워지며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 막대와, 상기 한쌍의 고정 막대의 수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 너트를 구비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회전 플레이트가 지면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제2부재의 회전 플레이트 하면에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들이 외장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는 중장비를 동원하지 않고도 사람의 힘으로 쉽게 설치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설치 장소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장비는 전력 공급 또는 기계/전기 장비의 제어를 위한 장비 등을 의미한다. 고전압 배전반, 저전압 배전반, 분전반, 모터 콘트롤 센터(MCC; Motor Control Center) 등이 본 발명의 전기 장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수배전반는 무거운 장비를 설치 장소까지 이동하기 용이하면서도 일단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움직이지 않고 지면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지지 다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수배전반(300)의 각종 회로 및 전자 설비는 외장 하우징(301) 내부에 설치되고, 외장 하우징(301)의 아래쪽 모서리 네 곳에는 각각 지지 다리(100)가 하나씩 설치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 다리(100)들은 각각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와 롤러(3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제1부재(10)는 고정 플레이트(11)와 한쌍의 지지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 플레이트(11)의 중앙부에는 중앙 홀(111)이 형성되고, 그 중앙 홀(111)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홀(112)이 한 쌍 형성된다. 가이드 홀(112)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가이드 홀(112)의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고정 플레이트(11)의 양측에는 각각 지지부(12)가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부(12)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정 플레이트(11)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부재(10)는 외장 하우징(301)에 결합된다.
제2부재(20)는 회전 플레이트(21)와 한 쌍의 고정 막대(24)와 고정 너트(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 플레이트(21)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 플레이트(21)의 폭은 제1부재(10)의 지지부(12)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고, 회전 플레이트(21)의 길이는 제1부재(10)의 지지부(12)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도 2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2부재(20)의 회전 플레이트(21)는 지지부(12) 사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회전 플레이트(21)의 상면 중앙부에는 중심 막대(23)가 고정된다. 중심 막대(2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고정 플레이트(11)의 중앙 홀(1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중심 막대(23)의 양측에는 각각 고정 막대(24)가 배치되어 회전 플레이트(21)에 결합된다. 고정 막대(24)는 중심 막대(23)와 나란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고정 플레이트(11)의 가이드 홀(1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고정 막대(24)에는 수나사부(241)가 형성되고 그 수나사부(241)에 고정 너트(25)가 나사 결합된다.
고정 너트(25)가 가이드 홀(112)을 통과할 수 있도록, 고정 너트(25)의 외경은 가이드 홀(112)의 폭의 최대값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 너트(25)가 가이드 홀(112)에 걸릴 수 있도록, 가이드 홀(112)의 폭의 최소값은 고정 너트(2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 막대(24)가 가이드 홀(112)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 홀(112)의 폭의 최소값은 고정 막대(2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회전 플레이트(21)의 양측에는 걸림부(22)가 형성된다. 걸림부(22)는 회전 플레이트(21)의 네 변 중에서 나머지 두 변보다 길이가 짧은 두 변에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걸림부(22)는 회전 플레이트(21)와 지지부(12)가 서로 마주하도록 제1부재(10)와 제2부재(20)가 서로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제1부재(10)와 제2부재(20)가 서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걸림부(22)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 플레이트(21)의 양단에 계단이 형성되어 지지부(12)의 하단과 맞춰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리 회전 플레이트(21)의 양단이 상측으로 꺾여서 지지부(12)의 하단과 맞춰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 플레이트(21)의 하면에는 롤러(30)가 설치된다. 롤러(30)가 지면에 대 해 구르면서 회전 플레이트(21)는 용이하게 움직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회전 플레이트(21)에 연결 및 고정된 지지 다리(100)도 전체적으로 지면에 대해 용이하게 움직이게 된다.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의 외장 하우징(301)에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수평 조절 다리(2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수평 조절 다리(200)들이 외장 하우징(301)의 네 귀퉁이 하부에 설치된다. 수평 조절 다리(200)에는 수나사부(201)가 형성되어 각각 외장 하우징(301)에 나사 결합된다. 수평 조절 다리(200)를 외장 하우징(301)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의 수평을 조절한다.
이하, 상술한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막대(24)에 고정 너트(25)가 끼워진 상태에서 제2부재(20)를 제1부재(10)에 대해 근접시키면, 고정 막대(24)가 제1부재(10)의 가이드 홀(112)에 끼워지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너트(25)와 함께 고정 막대(24)가 가이드 홀(112)에 끼워지고, 중심 막대(23)로 중앙 홀(111)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부재(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중심 막대(23)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부재(20)가 제1부재(1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고정 막대(24)는 가이드 홀(112)을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제2부재(20)를 제1부재(10)에 대해 90˚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 너트(25)를 조이면,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고정 너트(25)는 가이드 홀(112)에 걸리게 되므로, 고정 너트(25)를 조이면 제2부재(20)는 제1부재(10)에 고정된다. 한편, 제2부재(20)를 제1부재(10)에 대해 회전시킬 때 중심 막대(23)는 고정 플레이트(11)의 중앙 홀(111)에 끼워진 상태로 제2부재(20)를 제1부재(10)에 대해 지지하게 되므로, 제2부재(20)를 회전시키는 것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홀(112)은 중앙 홀(111)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2부재(20)를 제1부재(10)에 대해 회전시킬 때 가이드 홀(112)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고정 막대(24)의 경로를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회전 플레이트(21)는 길이 방향으로 제1부재(10)의 지지부(12)들과 직교하도록 배치된 상태이므로 그 양단이 제1부재(10)의 지지부(12)들에 걸리게 된다.
고정 너트(25)를 조일 때 회전 플레이트(21)의 걸림부(22)는 지지부(12)의 하단과 마주한 상태에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지지부(12)와 걸림부(22)는 서로 끼워맞춤되어 제2부재(20)와 제1부재(1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서로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의 4개의 지지 다리(100)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를 이동시킨다. 롤러(30)가 지면에 대해 구르면서,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설치 위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롤러(30)를 굴려서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를 설치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부재(20)가 제1부재(10)에 수용되도록 하여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를 설치 위치에 고정한다. 고정 너트(25)를 조금 풀어서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2부재(20)를 제1부재(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중심 막대(23)를 회전축으로 하여 고정 막대(24)가 가이드 홀(112)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회전 플레이트(21)의 길이 방향이, 한쌍의 지지부(12)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회전 플레이트(21)의 폭은 지지부(12)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 플레이트(21)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부재(10)의 지지부(12)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2부재(20) 및 롤러(30)는 더 이상 외장 하우징(301)의 무게를 지지하지 않게 되고, 지지부(12)가 외장 하우징(301)의 무게를 지지하게 된다.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의 자중에 의해 지지부(12)는 지면에 대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가 평평하지 않은 지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수평 조절 다리(200)를 이용하여 수평을 맞추게 된다. 외장 하우징(301)에 설치된 4개의 수평 조절 다리(200)들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 조절 다리(200)들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의 전체적인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들 들어, 앞에서 본 발명의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는 4개의 수평 조절 다리(200)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평 조절 다리(200)를 구비하지 않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앞에서 제1부재(10)에는 중앙 홀(111)이 형성되고, 제2부재(20)에는 중심 막대(23)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중앙 홀(111)과 중심 막대(23)를 구비하지 않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3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중심 막대(23)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고정 막대(24)는 가이드 홀(112)을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제2부재(20)는 제1부재(1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부재(20)의 걸림부(22)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와 달리 회전 플레이트의 양단이 상측으로 꺾여 올라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지지 다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지지 다리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수평 조절 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310: 외장 하우징
100: 지지 다리 10: 제1부재
11: 고정 플레이트 111: 중앙 홀
112: 가이드 홀 12: 지지부
20: 제2부재 21: 회전 플레이트
22: 걸림부 23: 중심 막대
24: 고정 막대 241: 수나사부
25: 고정 너트 30: 롤러
200: 수평 조절 다리

Claims (5)

  1.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 설비를 제어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고정 플레이트와, 그 고정 플레이트의 양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부재;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의 지지부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그 지지부의 사이에 수용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의 지지부들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그 양단이 상기 제1부재의 지지부들에 걸리도록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부재의 가이드 홀에 끼워지며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 막대와, 상기 한쌍의 고정 막대의 수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 너트를 구비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회전 플레이트가 지면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제2부재의 회전 플레이트 하면에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들이 외장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되는 중심 막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의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부재의 중심 막대가 끼워지는 중앙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회전 플레이트에는, 그 회전 플레이트가 상기 제1부재의 지지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에 대한 상기 제2부재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부재의 지지부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가이드 홀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하우징의 수평을 맞추기 용이하도록 상기 외장 하우징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 조절 다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20090103372A 2009-10-29 2009-10-29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0950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372A KR100950976B1 (ko) 2009-10-29 2009-10-29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372A KR100950976B1 (ko) 2009-10-29 2009-10-29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976B1 true KR100950976B1 (ko) 2010-04-08

Family

ID=4221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372A KR100950976B1 (ko) 2009-10-29 2009-10-29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9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49U (ko) 2015-10-01 2017-04-11 김지훈 분전반의 접이식 다리
KR101778052B1 (ko) * 2016-09-09 2017-09-13 이창규 이동 수단이 구비된 배전반
KR20180039957A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대원전기산업 배전반의 이동 및 균형조절장치
CN110611254A (zh) * 2019-10-25 2019-12-24 江苏电卫士电力服务有限公司 一种电力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5887U (ko) 1980-04-02 1981-11-04
JPH08205323A (ja) * 1995-01-27 1996-08-09 Nissin Electric Co Ltd 箱構造
KR200246249Y1 (ko) 2001-03-15 2001-10-08 주식회사 삼원 유니텍 이동식 철판 박스 타입 투명 분전반
KR200377284Y1 (ko) 2004-12-06 2005-03-11 한국전기철도기술 주식회사 이동용 철도 역사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5887U (ko) 1980-04-02 1981-11-04
JPH08205323A (ja) * 1995-01-27 1996-08-09 Nissin Electric Co Ltd 箱構造
KR200246249Y1 (ko) 2001-03-15 2001-10-08 주식회사 삼원 유니텍 이동식 철판 박스 타입 투명 분전반
KR200377284Y1 (ko) 2004-12-06 2005-03-11 한국전기철도기술 주식회사 이동용 철도 역사 전원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49U (ko) 2015-10-01 2017-04-11 김지훈 분전반의 접이식 다리
KR101778052B1 (ko) * 2016-09-09 2017-09-13 이창규 이동 수단이 구비된 배전반
KR20180039957A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대원전기산업 배전반의 이동 및 균형조절장치
KR101872602B1 (ko) 2016-10-11 2018-06-28 주식회사 대원전기산업 배전반의 이동 및 균형조절장치
CN110611254A (zh) * 2019-10-25 2019-12-24 江苏电卫士电力服务有限公司 一种电力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976B1 (ko)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CA2843071C (en) Electrical device mounting pole
KR101598434B1 (ko) 내진용 배전반
KR101597706B1 (ko) 내진기능 및 수평조절이 가능한 수배전반
JP5776835B2 (ja) 電気機器用運搬車
KR101100147B1 (ko) 수배전반용 방진구
KR100989444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WO2006076391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odular building
KR200487667Y1 (ko) 건축구조물 돌출부 시공용 갱폼 지지대
US20100290175A1 (en) Adjustable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mounting apparatus and switchgea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3175077U (ja) 架台用角度調整具
CN208674718U (zh) 一种箱式变电站可调装配平台
KR101405148B1 (ko) 송전, 배전, 변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래킷 높이조절장치
KR20110060430A (ko) 전기/전자제어설비 상부 내진보강 시스템
KR102357043B1 (ko)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KR20170030006A (ko) 교량 건설용 거더의 전도 방지 장치
KR200469705Y1 (ko) 케이블 지지장치
KR10128004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클린룸의 지지 볼트
KR20150062697A (ko) 대형 계량기실 받침대
KR20160011982A (ko) 이동식 건물용 수평조절장치
CN112928629A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施工现场用临时配电柜
CN207053118U (zh) 一种高承重铝合金桥架
JP3201833U (ja) フリーサイズ架台
KR20160049936A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용 변류기 고정장치
CN210998403U (zh) 用于电力器具生产定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