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945B1 -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945B1
KR100950945B1 KR1020090052008A KR20090052008A KR100950945B1 KR 100950945 B1 KR100950945 B1 KR 100950945B1 KR 1020090052008 A KR1020090052008 A KR 1020090052008A KR 20090052008 A KR20090052008 A KR 20090052008A KR 100950945 B1 KR100950945 B1 KR 10095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nitoring
data
amou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
Priority to KR102009005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설비에서 필요한 주요 데이터(태양전지 모듈 출력, 현재발전량, 누적발전량, 일일발전량, 일사량, 온도, 풍향, 풍속 등)를 직관적으로 감시 할 수 있도록 감시 계통을 단순화하여 설비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사량, 풍향 풍속, 온습도, 강우량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 모듈,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인버팅하는 태양광 인버터, 상기 센싱 수단의 각 센서들로부터 취득되어진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지수와 전력감축량 및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출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디지털 감시 현황판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합 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 상기 통합 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에서 전송된 태양광 발전 효율지수, 전력감축량, 온실가스 감축량 및 상기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모니터링하고, 중앙 감시 모니터링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TCP/IP 전송모듈 내장하는 디지털 감시 현황판을 포함한다.
태양광, 발전, 일사량, 온도, 풍향, 풍속,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현황판

Description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Solar cellgenerating 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 설비에서 필요한 주요 데이터(태양전지 모듈 출력, 현재발전량, 누적발전량, 일일발전량, 일사량, 온도, 풍향, 풍속 등)를 직관적으로 감시 할 수 있도록 감시 계통을 단순화하여 설비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태양광발전은 발전기의 도움 없이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빛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이다.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태양전지와 축전지,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빛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태양전지에 쪼여지면 태양빛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 태양전지에 정공(hole)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한다. 이때 정공은 P형 반도체 쪽으로, 전자는 N형 반도체 쪽으로 모이게 되어 전위 차가 발생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장점은 공해가 없고,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만큼만 발전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반면에 전력생산량이 일조량에 의존하고, 설치 장소가 한정적이며, 초기 투자비와 발전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국내의 일반적인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산업자원부 고시 제2007-52호(“신재생에너지설비의 지원설치관리에 관한 기준, 2007.4.13) 제53조 제3항에 의거 단위사업별 설비용량기준으로 10kW 이상의 발전설비, 100m2 이상의 태양열설비 및 30RT 이상의 지열설비를 대상으로 설치되는 모니터링 설비에서 중앙서버, 클라이언트, 통신중계장치 등 다수의 설비 및 기기가 장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설비에서 필요한 주요 데이터(태양전지 모듈 출력, 현재발전량, 누적발전량, 일일발전량, 일사량, 온도, 풍향, 풍속 등)를 표시하지 못하고, 감시계통이 복잡하여 설비구축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태양광 발전 기초 설비의 동작 컨디션이 관리자에게 전달되지 못하여 설비에 대한 예방 유지보수 및 정기 유지보수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친환경 에너지원인 태양광 전력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을 분석하고 모니터링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에서 필요한 주요 데이터(태양전지 모듈 출력, 현재발전량, 누적발전량, 일일발전량, 일사량, 온도, 풍향, 풍속 등)를 직관적으로 감시 할 수 있도록 감시 계통을 단순화하여 설비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일사량, 풍향 풍속, 온습도, 강우량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 모듈,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인버팅하는 태양광 인버터, 상기 센싱 수단의 각 센서들로부터 취득되어진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지수와 전력감축량 및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출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디지털 감시 현황판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합 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 상기 통합 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에서 전송된 태양광 발전 효율지수, 전력감축량, 온실가스 감축량 및 상기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모니터링하고, 중앙 감시 모니터링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TCP/IP 전송모듈 내장하는 디지털 감시 현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 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은, 센싱 수단에서 측정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통합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의 센서 검출부에서 신호를 입력받어 A/D 변환부를 통해 A/D변환 전송되고, 상기 A/D변환된 데이터를 중앙연산 제어 처리부의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디지털 감시 현황판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분리 패킷화하여 통신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감시 현황판으로 전송하며, 상기 인버터 측에서 검출되는 전력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방식으로 상기 디지털 감시 현황판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분리 패킷화하여 상기 통신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감시 현황판으로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센싱 수단을 통해 현재온도값을 데이터로 전송받아 단위시간당 온도변화 기준에 의한 손실 전력량을 산출하되, 상기 단위시간당 온도변화 기준 손실 전력량은, " 단위시간당 온도기준 손실 전력량 = (기준온도시 단위모듈당 전력량 - (온도효율계수 * 현재온도)) * 모듈수 " 의 수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일사량 기준 최종 발전효율지수는 " 발전효율지수(%) = (인버터 전력량 - 온도기준 현재 손실 전력량) / (현재일사량 * 단위일사량당 전력량) * 100 " 의 수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전력감축량은, " 전력감축량(월) = 금월 누적 전력량 - 전월 누적 전력량 " 의 수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온실가스 감축량은, " 온실가스 감축량(월) = 전력감축량 * 이산화탄소 환산계수 " 의 수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의하면, 태양광 발전 설비에서 필요한 주요 데이터(태양전지 모듈 출력, 현재발전량, 누적발전량, 일일발전량, 일사량, 온도, 풍향, 풍속 등)를 직관적으로 감시 할 수 있도록 감시 계통을 단순화하여 설비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태양광 발전 효율지수를 산출하고 태양전지모듈이나 인버터 등 태양광 발전 기초 설비의 동작 컨디션을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설비에 대한 예방 유지보수 및 정기 유지보수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지구 온난화 문제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에 따른 국제 협약(교토의정서)에 의거 친환경 에너지원인 태양광 전력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을 분석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태양광 발전 시스템 운용에 있어 저비용, 고효율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감시 현황판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통합테이터 수집 감시 모듈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싱 수단(10), 태양전지 모듈(20), 태양광 접속반(30), 태양광 인버터(40), 통합 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50), 디지털 감시 현황판(60), 중앙감시 모니터링 서버(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61), 키입력부(62), 메모리부(63), 중앙연산제어처리부(64), 통신데이터 입출력부(65), 데이터수집 통신입출력부(6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합 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검출부(51), A/D 변환부(52), 디지털 신호 입력부(53), 중앙연산제어처리부(54), 디스플레이부(55), 키입력부(56), 메모리부(57), 통신데이터 입출력부(58) 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으로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위 중앙 감시 모니터링 서버(7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TCP/IP 전송모듈 내장하고 있다. 또한, 하위의 센싱 수단(10)의 각 센서들로부터 취득되어진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지수를 산출하고 태양전지모듈(20)이나 인버터(40) 등 태양광 발전 기초 설비의 동작 컨디션을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설비에 대한 예방 유지보수 및 정기 유지보수에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통합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에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디지털 감시 현황판으로 데이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사량계, 풍향 풍속계, 온습도센서, 강우량계 등의 센싱 수단(10)에서 측정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통합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50)의 센서 검출부(51)에서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신호는 A/D 변환부(52)를 통해 A/D변환 전송된다(S101~S102).
이후, 상기 A/D변환된 데이터를 중앙연산 제어 처리부(54)의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분리 패킷화하여 통신 데이터 입출력부(58)를 통해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으로 전송하여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에 표시되게 한다(S103~108).
또한, 인버터(40) 측에서 검출되는 전력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분리 패킷화하여 통신 데이터 입출력부(58)를 통해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으로 순차적으로 전송한다(S109~S110).
도 5는 본 발명의 디지털 감시 현황판에서 발전효율지수를 산출 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모듈(20)의 에너지 발전량은 미세한 영향을 주는 기상요소인 기온, 습도, 풍속, 풍향과 비교적 태양전지모듈(20)의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는 기상요소인 강우, 강설 및 음영, 분진 등의 외부적 환경요소를 배제한다면 태양 복사 에너지량에 의해 변화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태양 복사 에너지의 변동의 주요인은 일조량과 일사량에 의해 구분되어지는데 복사에너지 전체량을 보았을 때 일조량에 의해 발전량의 변동이 크게 영향을 끼치지만 국토의 면적이 좁은 국내의 경우 일조량은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일사량에 의한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기상요소 및 외부적 환경요소를 제외한 태양 복사 에너지량을 태양광 발전량의 기준 변수로 본다면 단위시간당 일사량에 의해 태양전지모듈의 발전량은 크게 변동 된다고 볼 수 있다.
단위 일사량당 전력량은 발전설비 기초 데이터(예상 발전량)을 이용하여 산 출할 수 있다(S201~S204).
그리고 다른 태양광 발전량 변동 요소 중 설비자체에 의한 조건으로는 태양전지 모듈(20)의 자체 온도의 변화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태 양전지 모듈(20)의 소재별 차이는 있겠지만 태양전지모듈 제조사에서 제공되는 단위전력별 온도효율계수를 이용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20)에 설치된 온도 센서(미도시)를 통해 현재온도값을 데이터로 전송받아 단위시간당 온도변화 기준에 의한 손실 전력량을 산출 할 수 있다(S206~S209).
단위시간당 온도변화 기준 손실 전력량 산출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단위시간당 온도기준 손실 전력량 = (기준온도시 단위모듈당 전력량 - (온도효율계수 * 현재온도)) * 모듈수
상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사량 기준 최종 발전효율지수 산출식은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단, 인버터의 현재 전력량을 기준 데이터로 이용하므로 인버터 전력 변환 손실율은 고려하지 않는다(S205).
[수학식 2]
발전효율지수(%) = (인버터 전력량 - 온도기준 현재 손실 전력량) / (현재일사량 * 단위일사량당 전력량) * 100
상기 수학식 2를토대로 발전효율 지수 범위에 따른 태양광 운전 현황상태에 대하여 디지털 감시현황판에 다음 표1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S210~S217).
[표 1]
발전효율지수 현황판 표시 내용 현황판표시 색상 비고
80% 이상 정상운전 녹색
70 ~ 80% 주의운전 황색
70 ~ 50% 점검필요 황색 표시 점멸
50% 이하 발전경고 적색 표시 점멸
도 6은 본 발명의 디지털 감시 현황판에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유엔 기후 변화 협약(UNFCCC)에서 현재 규정하고 있는 온실가스는 6가지 종류로 개별 온실가스 성분들이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력의 다른 의한 차이로 인해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기준을 표준화하기 위해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이 비율적으로 80%이상으로 가장 영향력이 큰 이산화탄소를 온실가스의 지수로 계량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공식적으로 지정된 표준은 없으나 환경부의 표준수치나 에너지 관리공단 자발적 협약 가이드북이나 에너지 관리공단 경제연구원 보고서의 이산화 탄소 환산계수를 적용하여 태양광 발전 전력 발생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출 할 수 있다.
각 기관별 이산화탄소 환산 계수는 다음과 같으며 디지털 감시 현황판에서 이산화탄소 환산계수는 관할 기관의 표준에 따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 환경부 표준 : 0.44kgC/kwh
* 에너지관리공단 자발적 협약 가이드북 : 0.1319*44/12(CO2ton/MWh)
* 에너지관리공단 경제연구원 보고서 : 0.424(CO2ton/MWh)
[수학식 3]
전력감축량(월) = 금월 누적 전력량 - 전월 누적 전력량
[수학식 4]
온실가스 감축량(월) = 전력감축량 * 이산화탄소 환산계수
본 발명은 상기의 수학식 3 및 4와 같은 산출식을 토대로 태양광 발전 전력 발생에 따른 온실 가스 감축량(월)을 연산하여 디지털 감시 현황판에 표시할 수 있다(S301~S306).
도 7은 본 발명의 디지털 감시 현황판에서 상위 중앙감시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TCP/IP로 시간 동기화 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50)에서 전송된 데이터와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에서 산출된 데이터를 중앙연산 제어처리부(64)에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상위 중앙감시 모니터링 서버(70)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분리 패킷화 하여 상위 시스템 통신 데이터 입출력부(66)를 통하여 상위 중앙 감시 모니터링 서 버(7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은 인터넷망에 연결될 수 있는 IP 어드레스를 가지며 TCP/IP 프로토콜 형태로 상위 중앙 감시 모니터링 서버(70)와 데이터 통신을 한다.
서버(70)와의 데이터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서 RTC(Real Time Clock)를 동기화 한다. RTC는 상위 중앙 감시 모니터링 서버(70)의 기준시각으로 동기화되며 상위 중앙 감시 모니터링 서버(70)는 한국과학연구원의 시간분석주파수 그룹의 표준시각과 동기화 된다. 표준시각을 동기화하는 이유는 디지털 감시 현황판과 상위 중앙 감시 시스템 서버간 RTC의 오차 발생으로 인한 태양광 발전 현장의 점검필요나 경고 발생시 각종 데이터의 현재값을 통한 정확한 원인 분석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은 물론 신속한 현장 대처를 하기 위함이다(S401~S407).
도 8은 본 발명의 디지털 감시 현황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용량, 현재 발전량, 누적 발전량, 현재 일사량, 발전 효율, 운전 상태 및 온실가스 감축량을 표시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설비에서 필요한 주요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감시 할 수 있도록 감시 계통을 단순화하여 설비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태양광 발전 효율지수를 산출하고 태양전지모듈이나 인버터 등 태양광 발전 기초 설비의 동작 컨디션을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설비에 대한 예방 유지보수 및 정기 유지보수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지구 온난화 문제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에 따른 국제 협약(교토의정서)에 의거 친환경 에너지원인 태양광 전력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을 분석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태양광 발전 시스템 운용에 있어 저비용, 고효율의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디지털 감시 현황판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통합테이터 수집 감시 모듈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통합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에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디지털 감시 현황판으로 데이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디지털 감시 현황판에서 발전효율지수를 산출 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디지털 감시 현황판에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디지털 감시 현황판에서 상위 중앙감시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TCP/IP로 시간 동기화 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디지털 감시 현황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싱 수단 20 : 태양전지 모듈
30 : 태양광 접속반 40 : 태양광 인버터
50 : 통합 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 51 : 센서 검출부
52 : A/D 변환부 53 : 디지털 신호 입력부
54 : 중앙연산제어처리부 55 : 디스플레이부
56 : 키입력부 57 : 메모리부
58 : 통신데이터 입출력부 60 : 디지털 감시 현황판
61 : 디스플레이부 62 : 키입력부
63 : 메모리부 64 : 중앙연산제어처리부
65 : 통신데이터 입출력부 66 : 데이터수집 통신입출력부
70 : 중앙감시 모니터링 서버

Claims (6)

  1. 삭제
  2. 일사량, 풍향 풍속, 온도, 습도, 강우량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10),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 모듈(20),
    상기 태양전지 모듈(2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인버팅하는 태양광 인버터(40),
    상기 센싱 수단(10)의 각 센서들로부터 취득되어진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지수와 전력감축량 및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출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20) 및 상기 인버터(4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합 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50),
    상기 통합 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50)에서 전송된 태양광 발전 효율지수, 전력감축량, 온실가스 감축량 및 상기 태양전지모듈(20) 및 상기 인버터(40)의 동작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모니터링하고, 중앙 감시 모니터링 서버(7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TCP/IP 전송모듈을 내장하는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통합 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50)은,
    센싱 수단(10)에서 측정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통합데이터 수집 감시 모듈(50)의 센서 검출부(51)에서 신호를 입력받아 A/D 변환부(52)를 통해 A/D변환 후 전송되고, 상기 A/D변환된 데이터를 중앙연산 제어 처리부(54)의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분리 패킷화하여 통신 데이터 입출력부(58)를 통해 상기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으로 전송하며, 상기 인버터(40) 측에서 검출되는 전력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분리 패킷화하여 상기 통신 데이터 입출력부(58)를 통해 상기 디지털 감시 현황판(60)으로 순차적으로 전송되게 하고,
    상기 센싱 수단(10)을 통해 현재온도값을 데이터로 전송받아 단위시간당 온도변화 기준에 의한 손실 전력량을 산출하되, 상기 단위시간당 온도변화 기준 손실 전력량은,
    " 단위시간당 온도기준 손실 전력량 = (기준온도시 단위모듈당 전력량 - (온도효율계수 * 현재온도)) * 모듈수 "
    의 수식으로 산출되도록 하며,
    상기 일사량 기준 최종 발전효율지수는,
    " 발전효율지수(%) = (인버터 전력량 - 온도기준 현재 손실 전력량) / (현재일사량 * 단위일사량당 전력량) * 100 "
    의 수식으로 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전력감축량은,
    " 전력감축량(월) = 금월 누적 전력량 - 전월 누적 전력량 "
    의 수식으로 산출되게 하며,
    상기 온실가스 감축량은,
    " 온실가스 감축량(월) = 전력감축량 * 이산화탄소 환산계수 "
    의 수식으로 산출되도록 한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52008A 2009-06-11 2009-06-11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0950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08A KR100950945B1 (ko) 2009-06-11 2009-06-11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08A KR100950945B1 (ko) 2009-06-11 2009-06-11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945B1 true KR100950945B1 (ko) 2010-04-01

Family

ID=42219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008A KR100950945B1 (ko) 2009-06-11 2009-06-11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9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98B1 (ko) 2010-11-22 2011-05-20 (주)에코브레인 특정지점 기상예측 기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실시간 예측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02401U (ko) * 2014-12-30 2016-07-08 부강이엔에스 주식회사 발전정보 표출 장치 및 태양광 발전 현황판
KR20200064519A (ko) * 2018-11-29 2020-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양광 원격 모니터링 기반 발전량 이상 증상 분석 방법과 장치
CN112886922A (zh) * 2021-01-07 2021-06-01 合肥阳光智维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电站损失电量的计算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409193B1 (ko) 2022-01-07 2022-06-15 보국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트링 상태감시, 이상 진동 및 누설 전류 감지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240A (ko) * 2003-04-04 2005-12-26 비피 코포레이션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태양광 발전기에 대한 성능 모니터
KR100861499B1 (ko) * 2007-06-08 2008-10-02 서울마린 (주) 태양광 발전효율 계측장치
KR20090001608A (ko) * 2007-05-03 2009-01-09 강남구청 온실가스 감축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3017A (ko) * 2007-07-05 2009-01-09 한국전기연구원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출력 보정 및 성능 검증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240A (ko) * 2003-04-04 2005-12-26 비피 코포레이션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태양광 발전기에 대한 성능 모니터
KR20090001608A (ko) * 2007-05-03 2009-01-09 강남구청 온실가스 감축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1499B1 (ko) * 2007-06-08 2008-10-02 서울마린 (주) 태양광 발전효율 계측장치
KR20090003017A (ko) * 2007-07-05 2009-01-09 한국전기연구원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출력 보정 및 성능 검증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98B1 (ko) 2010-11-22 2011-05-20 (주)에코브레인 특정지점 기상예측 기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실시간 예측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02401U (ko) * 2014-12-30 2016-07-08 부강이엔에스 주식회사 발전정보 표출 장치 및 태양광 발전 현황판
KR200481193Y1 (ko) * 2014-12-30 2016-08-29 부강이엔에스 주식회사 발전정보 표출 장치 및 태양광 발전 현황판
KR20200064519A (ko) * 2018-11-29 2020-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양광 원격 모니터링 기반 발전량 이상 증상 분석 방법과 장치
KR102635460B1 (ko) * 2018-11-29 2024-0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양광 원격 모니터링 기반 발전량 이상 증상 분석 방법과 장치
CN112886922A (zh) * 2021-01-07 2021-06-01 合肥阳光智维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电站损失电量的计算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886922B (zh) * 2021-01-07 2024-04-09 阳光智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伏电站损失电量的计算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409193B1 (ko) 2022-01-07 2022-06-15 보국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트링 상태감시, 이상 진동 및 누설 전류 감지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72128B (zh) 太阳光发电监视方法以及在该方法中使用的太阳光发电监视系统
US9520826B2 (en) Solar cell module efficacy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erefor
CN102566435B (zh) 一种光伏电站的性能预报及故障报警方法
KR101390405B1 (ko)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0950945B1 (ko) 발전효율 감시 기능이 포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068862B1 (ko)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295529B1 (ko) 태양전지판의 고장진단 원격감시 시스템
WO2009033246A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KR20080011979A (ko) 대규모 태양광 발전시설의 태양전지모듈 온라인 감시 진단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3093430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CN108599724A (zh) 一种光伏组件在线监测系统及监测方法
Aristizábal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of 6 kW BIPV system applied in laboratory building
Shuda et al. Towards module-level performance and health monitoring of solar PV plants using LoRa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1024225B1 (ko)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과 연계된 신재생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
JP6153651B2 (ja) 管理サーバ、局所気象情報生成システム、および局所気象情報生成方法
CN108696249A (zh) 光伏组件故障快速诊断方法
CN214407761U (zh) 一种光伏发电数据监测系统
CN209233491U (zh) 一种户级的光伏电站管理系统
CN109830981A (zh) 一种户级的光伏电站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207051961U (zh) 太阳能光伏发电量预测系统
JP2013157409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109672220A (zh) 一种村级的光伏电站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US20230040893A1 (en) Certification of at Least One Installation-Specific Amount of Energy of an Energy System
CN209298905U (zh) 一种村级的光伏电站管理系统
JP2014033545A (ja) 発電効率保証装置及び発電効率保証方法並びに発電効率保証装置を備えた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