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657B1 -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 - Google Patents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657B1
KR100948657B1 KR1020090089818A KR20090089818A KR100948657B1 KR 100948657 B1 KR100948657 B1 KR 100948657B1 KR 1020090089818 A KR1020090089818 A KR 1020090089818A KR 20090089818 A KR20090089818 A KR 20090089818A KR 100948657 B1 KR100948657 B1 KR 100948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ipe
display
fasten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09008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5Labels or tickets for tubes, pipes and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5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ables, pip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외부 충격에 쉽게 움직이지 않으면서도 상수도관의 비틀림 및 침하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수관에 고정되는 브라켓(110, 120)과, 상부 브라켓(110)에서 연장되는 원통부(130)와, 투명재질로 내부에 유체가 주입가능한 화살표 형상을 갖고 원통부(130)와 결합되는 제1 표시부(140)와, 원통부(130) 및 체결부(143)를 둘러싸는 보호파이프(150)로 이루어진 관체유동확인부(100)와; 내측에 제1 표시부(140)가 배치되는 몸체부(200)와; 몸체부(200) 상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핀고정되며 제1 표시부(140)와 동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표시부(330)가 구비된 표시고정부(300)와; 몸체부(200) 상부에 나선결합되는 투명덮개(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견고히 지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수도 관로의 비틀림 및 침하상태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게 한다.
상수도, 표시못, 비틀림, 침하

Description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MARKING NAIL OF WATER SUPPLY PIPE LINE}
본 발명은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충격에 쉽게 이동되지 않으면서도 상수도관의 비틀림 및 침하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은 수돗물을 공급하고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굴착한 다음에 매설하는 과정을 따르게 된다. 그런데 매설 후 그 상수도관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해당 부분을 다시 굴착해야 하는 상황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수도관의 매설 위치가 확인되지 않거나 그 상수도관의 비틀림, 침하 등의 이유로 불분명하여 불필요하게 넓은 범위로 굴착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시간 및 비용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상수도 관로용 표시못은 지표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수도관의 매설위치 또는 위치변경을 확인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제작에 따른 비용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지면에 견고히 고정가능하고 상수도관의 비틀림, 침하 등의 위치변경 확인이 가능한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배치되어 상수관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한 쌍의 상하부 브라켓과, 상기 상하부 브라켓 중 상부 브라켓 중앙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원통부와, 투명재질로 내부가 천공된 화살표 형상을 갖고 상면에 유체가 주입된 다음에 고무패킹으로 밀폐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 상측에 나선결합되는 체결부가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관과 일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원통부 및 체결부를 둘러싸는 보호파이프로 이루어진 관체유동확인부와; 상기 보호파이프 및 제1 표시부가 관통가능하도록 수직하게 천공되고, 상부 내외주면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며, 중앙부 및 하부 외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원판이 구비되되, 그 원판에는 핀고정을 위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 핀홀이 형성되고, 원판 사이에는 칸막이가 설치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 외측에 나선결합되는 체결링과, 상기 체결링 외주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핀홀과 연통되는 제2 핀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리브와, 원판의 직경보다 더 긴 길이의 화살표 형상을 갖도록 상기 체결링 외주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끝단에 핀고정을 위한 제3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표시부와 동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표시부로 이루어진 표시고정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 내측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체결링 상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투명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덮개 상부에는 상기 제1 표시부가 확대된 상태로 보이도록 하는 볼록렌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은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원판, 돌출리브 및 제2 표시부를 지면에 고정시킴에 따라 전체적으로 양호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최초 설치시 일직선상의 동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표시부의 위치관계와 차후 제1 표시부의 상하좌우 이동방향 및 그 내부 유체 쏠림방향을 통해 상수도관의 비틀림, 침하 등의 위치변경 확인이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은 기본적으로 상수관에 고정되어 이의 이동방향을 확인하기 위한 관체유동확인부(100)와, 관체유동확인부(100)의 상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지면에 고정가능한 구조를 갖는 몸체부(200)와, 몸체부(200)와 함께 지면에 고정되고 관체유동확인부(100)의 기준 위치를 제시하는 표시고정부(300)와, 몸체부(200) 및 표시고정부(300)로 이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덮개(400)로 구성된다.
상기 관체유동확인부(100)는 상하로 배치되어 상수관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한 쌍의 상하부 브라켓(110, 120)과, 상하부 브라켓(110, 120) 중 상부 브라켓(110) 중앙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원통부(130)와, 투명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그 재질로 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밀폐된 화살표 형상을 갖고 상면에 유체가 주입된 다음에 고무패킹(141)으로 밀폐되는 관통공(142)이 형성되며 원통부(130) 상측에 나선결합되는 체결부(143)가 하면에 설치되어 상수관과 일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표시부(140)와, 원통부(130) 및 체결부(143)를 둘러싸는 보호파이프(150)로 이루어진다. 브라켓(110, 120)은 도면에서와 같이 돌출된 양측이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는 종래 구조나 그 밖의 다양한 결합구조에 따라 상수관에 고정될 수 있고, 보호파이프(150)는 그 상부가 몸체부(200) 하측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부 브라켓(110)에 고정되어 원통부(130) 및 체결부(143)에 가급적 토압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수관의 비틀림 또는 침하 이동을 정확하게 제1 표시부(140)까지 전달하도록 한다. 한편으로 제1 표시부(140)는 상수관에 고정된 원통부(130)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좌우로 이동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하의 이동방향이 포함되는 경우, 즉 제1 표시부(140)가 기울어진 경우 내측에 주입된 액체가 그 기울어진 방향으로 쏠림에 따라 침하가 발생함을 알 수 있으며, 좌우의 이동방향이 포함되는 경우, 표시고정부(300)를 참조로 하여 최초 상수관 배치상태에서 비틀림이 일어난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200)는 보호파이프(150) 및 제1 표시부(140)가 관통가능하도록 수직하게 천공되고, 상부 내외주면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며, 중앙부 및 하부 외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원판(210)이 구비되는 한편, 그 원판(210)에는 핀고정을 위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 핀홀(211)이 형성되고, 원판(210) 사이에는 칸막이(220)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제1 표시부(140)는 몸체부(200) 내 배치되어 외력으로부터 보호되고 원판(210)은 표시고정부(300)의 돌출리브(320)와 함께 지상에 견고히 핀고정되며 원판(210) 및 칸막이(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토사,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의 물질이 충전될 수 있어 몸체부(200)가 쉽게 이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표시고정부(300)는 몸체부(200) 상부 외측에 나선결합되는 체결링(310)과, 체결링(310) 외주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제1 핀홀(211)과 연통되는 제2 핀홀(321)이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리브(320)와, 원판(210)의 직경보다 더 긴 길이의 화살표 형상을 갖고 체결링(310) 외주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끝단에 핀고정을 위한 제3 핀홀(331)이 형성되며 제1 표시부(140)와 동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표시부(330)로 이루어져, 원판(210)과 함께 돌출리브(320)를 핀고정시켜 지상에 고정되고, 제2 표시부(330)는 상수관의 최초 시공시에 제1 표시부(140)와 함께 그 상수관 설치방향과 수직한 위치에서 동일선상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차후 제1 표시부(140)의 이동방향과 제2 표시부(330)의 기준방향을 비교하여 상수관의 비틀림 정도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투명덮개(400)는 몸체부(200) 상부 내측에 나선결합되어 체결링(310) 상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몸체부(200) 또는 표시고정부(300)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부(200) 또는 표시고정부(300)에 배치된 제1 표시부(140)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덮개(400) 상부에 볼록렌즈(410)를 설치하거나 그 상부가 두께 조절을 통해 볼록렌즈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제1 표시부(140)가 작은 경우에도 확대된 상태로 육안 확인이 용이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을 도시한 단면도.

Claims (2)

  1. 상하로 배치되어 상수관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한 쌍의 상하부 브라켓(110, 120)과, 상기 상하부 브라켓(110, 120) 중 상부 브라켓(110) 중앙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원통부(130)와, 투명재질로 내부가 천공된 화살표 형상을 갖고 상면에 유체가 주입된 다음에 고무패킹(141)으로 밀폐되는 관통공(142)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130) 상측에 나선결합되는 체결부(143)가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관과 일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표시부(140)와, 상기 원통부(130) 및 체결부(143)를 둘러싸는 보호파이프(150)로 이루어진 관체유동확인부(100)와;
    상기 보호파이프(150) 및 제1 표시부(140)가 관통가능하도록 수직하게 천공되고, 상부 내외주면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며, 중앙부 및 하부 외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원판(210)이 구비되되, 그 원판(210)에는 핀고정을 위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 핀홀(211)이 형성되고, 원판 사이에는 칸막이(220)가 설치된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200) 상부 외측에 나선결합되는 체결링(310)과, 상기 체결링(310) 외주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핀홀(211)과 연통되는 제2 핀홀(321)이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리브(320)와, 원판(210)의 직경보다 더 긴 길이의 화살표 형상을 갖도록 상기 체결링(310) 외주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끝단에 핀고정을 위한 제3 핀홀(3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표시부(140)와 동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표시부(330)로 이루어진 표시고정부(300)와;
    상기 몸체부(200) 상부 내측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체결링(310) 상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투명덮개(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덮개(400) 상부에는 상기 제1 표시부(140)가 확대된 상태로 보이도록 하는 볼록렌즈(4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
KR1020090089818A 2009-09-22 2009-09-22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 KR100948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818A KR100948657B1 (ko) 2009-09-22 2009-09-22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818A KR100948657B1 (ko) 2009-09-22 2009-09-22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657B1 true KR100948657B1 (ko) 2010-03-18

Family

ID=4218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818A KR100948657B1 (ko) 2009-09-22 2009-09-22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6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909B1 (ko) * 2011-05-17 2011-08-29 주식회사영인이엔씨 방향표시 조절이 가능한 지하 매설물루트 표시팩
KR101645884B1 (ko) * 2015-06-03 2016-08-2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위치유지가 가능한 매설관 위치확인장치
KR101645885B1 (ko) * 2015-06-03 2016-08-2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위치제어시스템
KR101753157B1 (ko) * 2015-07-30 2017-07-12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564A (ja) * 1994-04-14 1995-10-27 Tokyo Gas Co Ltd 地下埋設管の沈下測定装置
JPH08122065A (ja) * 1994-10-24 1996-05-17 Tokyo Gas Co Ltd 地下埋設管の沈下測定装置
KR200376272Y1 (ko) 2004-09-24 2005-03-10 (주)테스콤엔지니어링 연약 지반 지하 구조물 침하 계측 장치
KR100747622B1 (ko) 2007-05-18 2007-08-08 (주)창민기술단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침하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564A (ja) * 1994-04-14 1995-10-27 Tokyo Gas Co Ltd 地下埋設管の沈下測定装置
JPH08122065A (ja) * 1994-10-24 1996-05-17 Tokyo Gas Co Ltd 地下埋設管の沈下測定装置
KR200376272Y1 (ko) 2004-09-24 2005-03-10 (주)테스콤엔지니어링 연약 지반 지하 구조물 침하 계측 장치
KR100747622B1 (ko) 2007-05-18 2007-08-08 (주)창민기술단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침하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909B1 (ko) * 2011-05-17 2011-08-29 주식회사영인이엔씨 방향표시 조절이 가능한 지하 매설물루트 표시팩
KR101645884B1 (ko) * 2015-06-03 2016-08-2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위치유지가 가능한 매설관 위치확인장치
KR101645885B1 (ko) * 2015-06-03 2016-08-2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매설관 위치확인장치의 위치제어시스템
KR101753157B1 (ko) * 2015-07-30 2017-07-12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468B1 (ko)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계측장비
KR100948657B1 (ko)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
KR100957234B1 (ko) 지중케이블 보호관
KR101034653B1 (ko) 관로 보호대
KR20160011113A (ko) 지중매설관의 침하관측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473856Y1 (ko)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KR200487137Y1 (ko) 관로표시장치
KR100835931B1 (ko)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584659B1 (ko) 상수도관의 롤러식 보호 구조물
KR100656175B1 (ko) 지중 케이블 보호시설구조
KR100593172B1 (ko) 상수도관의 보호구조물
KR100736833B1 (ko)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구조
KR200409697Y1 (ko) 관로용 관리 표시구
KR100808574B1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JP6542587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工法
KR200344163Y1 (ko) 상하수도관의 보호구조물
KR20110040014A (ko) 케이블 안내용 입상관
KR20130059799A (ko) 보호관이 구비된 배관
JP2012154052A (ja) 土砂災害感知システム
KR100769478B1 (ko)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KR200430631Y1 (ko) 매설표시기
KR100941030B1 (ko) 배전용 지중 전력 케이블 관로 보호구
KR101464374B1 (ko) 침하방지용 맨홀
CN101506448A (zh) 塞子组件
KR100707719B1 (ko) 관로용 관리 표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